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시상하부-뇌하수체 질환에서 종합적 뇌하수체전엽 기능검사의 진단적 의의

        김수동,김신우,김정국,하승우,김보완 慶北大學校 醫科大學 1993 慶北醫大誌 Vol.34 No.4

        시상하부-뇌하수체질환의 기저질환에 따른 종합적 뇌하수체전엽 자극검사의 진단적 가치를 알아보고자 81례의 뇌하수체 기능부전증환자를 대상으로 시상하부질환군과 Sheehan증후군, 말단비대증과 프로랙틴종, 그리고 뇌하수체선종에서 시야장애가 동반된 군과 장애가 없는 군으로 나누고 기능검사의 결과를 비교하였다. 1. Sheehan증후군 15례 가운데 GH 및 cortisol결핍이 전례(각각 100%)에서 FSH, LH 및 TSH결핍이 11∼12례(73∼80%)에서 관찰되었고 13례(86%)에서는 TRH에 대한 PRL분비증가가 저하 또는 소실되었다. 두개인두종 10례를 포함한 시상하부질환 14례 가운데 12례(86%)는 PRL의 기저지가 비정상직으로 증가되어 있었으며 TRH자극에 대해 PRL분비 증가가 11례(79%)에서 둔화되어 있었다. GH분비능도 11례(79%)에서 저하되었으며 그 밖의 cortisol, LH, TSH, FSH의 순으로 분비능이 저하되어 있었으나 그 빈도는 Sheehan증후군에 비해 전반적으로 낮았다. 2. 말단비대증 18례 가운데 14례(78%)에서 GH기저치가 비정상적으로 증가되어 있었고 13례(72%)는 저혈당자극에 대해 정상적인 GH의 증가를 보였으며 8례(44%)에서 고프로랙틴 혈증이 동반되었다. 프로랙틴종 18례 가운데 전례(100%)에서 PRL기저치가 증가되었고 13례(72%)에서 TRH에 대한 PRL의 증가반응이 둔화되었다. LH, FSH, cortisol 및 TSH분비능의 장애는 말단비대증군에서 프로랙틴종에 비해 다소 높은 빈도를 보이는 경향이었다. 3. 뇌하수체선종 가운데 시야장애가 동반된 21례에서 시야장애가 없는 23례에 비해 GH, cortisol및 LH의 분비반응이 저하된 빈도가 다소 높은 경향이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종합적 뇌하수체전엽 기능검사는 시상하부-뇌하수체질환의 기저질환을 진단하는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The combined stimulation test using TRH, LHRH and insulin has allowed investigation of the reserve of all pituitary tropic hormones under physiological and pathological conditions. To evaluate the diagnostic efficacy of this test for differentiating the underlying causes of hypopituitarism, we analyzed retrospectively the results of these tests done in 81 patients with proven hypothalamo-pituitary disorders. 1. In 15 patients with Sheehan's syndrome as a typical type of primary hypopituitarism, responses of both GH and cortisol to insulin-induced hypoglycemia were decreased in 15 cases all (100% in both) and of FSH, LH and TSH in 11 to 12 cases(73-80%). Incremental response of prolactin(PRL) to TRH was diminished or absent in 13 cases(86%). In 14 patients with hypothalamic diseases, including 10 cases of craniopharyn-gioma, as a representative secondary hypopituitarism, the basal PRL levels were abnormally elevated in 12 cases (86%) and both responses of PRL to TRH and of GH to hypoglycemia were blunted in 11 cases (79% in both). The frequency of impaired cortisol secretion was 50%, followed by LH, TSH and FSH secretion : overall frequency much lower than in Sheehan's syndrome. 2. In 18 acromegalics with pituitary adenoma, basal GH levels were abnormally elevated in 14 cases(78%) and incremental responses of GH to hypoglycemia were found in 13(72%). Hyperprolactinemia was accompanied in 8 (44%). In 18 patients with prolactinoma, basal PRL levels were moderately to markedly elevated in all of them(100%) and responses of PRL to TRH were blunted in 13(72%). The frequency of impaired secretion of LH, FSH, cortisol and TSH was slightly higher in acromegalics than in patients with prolactinoma. 3. The frequency of impaired secretion of GH, cortisol and LH tended to be slightly higher in patients with pituitary adenoma associated with visual field defect than those without visual field defect.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combined pituitary stimulation test will give us some of reliable information for evaluating the underlying causes of hypopituitarism.

      • Streptozotocin-당뇨병 백서에서 당뇨병 이환기간에 따른 대동맥의 이완능 저하 및 Oxygen-Free Radical에 의한 이완능의 손상정도

        김정국,김신우,김수동,서예경,하승우,김보완,백운이,권삼,강승완 경북대학교 병원 1997 경북대학교병원의학연구소논문집 Vol.1 No.1

        목적: 당뇨병의 이환기간이 혈관의 내피세포 의존성 및 비의존성 이완능의 저하에 미치는 영향과 이환기간에 따라 oxygen-free radical(OFR)에 의한 동맥이완능의 손상정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Streptozotocin(STZ)으로 당뇨병이 유도된 3 주 및 10주째의 백서군과 연령이 비슷한 정상 대조백서군의 적출 대동맥환을 norepinephrine으로 수축시킨 상태에서 내피세포 의존성 이완제인 acetylcholine(ACh) 및 비의존성 이완제인 nitroglycerine(NTG)에 대한 이완능을 즉정하여 비교 관찬하였다. 또한 xanthine과 xanthine oxidase의 혼합으로 생성된 H₂O₂에 대동맥환을 노출시킨뒤 역시 ACh과 NTG에 대한 이완능의 손상정도를 비교하였다. 결과: 3주및 10주째 당뇨병 백서의 대동맥환은 모두 대조군 백서의 대동맥환에 비해 ACh에 대한 이완능이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10주째 당뇨병 백서군에서의 ACh에대한 이완능의 저하는 3 주째 당뇨병 백서군에 비해 유의하게 심하였다.H₂O₂에 노출시킨 뒤 ACh에대한 이완능은 3주 및 10주 째 당뇨병 백서군에서 모두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심한 손상을 보였으나 3주와 10주째 당뇨병 백서군 사이의 손상정도의 차이가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한편 3주 및 10주째 당뇨병 백서군 모두 NTH에 대한 대동맥환의 이완능은 대조 백서군과 별다른 차이가 없었으며 또 H₂O₂에 노출시킨 뒤에도 NTG에 대한 이완능의 손상은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STZ-당뇨병백서에서 대동맥의 이완능은 당뇨병에 이환된지 3 주째에 이미 ACh에 대한 내피세포 의존성 이완능이 선택적으로 저하되며 당뇨병의 이환기간이 길수록 이완능의 저하가 심하였고, OFR에 의한 동맥 이완능의 손상도 내피세포 의존성 이완능에만 선택적으로 나타나나 이환기간에 따라 OFR에 의한 이완능 손상정도에는 뚜렷한 차이가 없음을 시사하고 있다. Objectives: Diabetes mellitus produces histological evidence of endothelial as well as changes in vascular function in experimental animal. Oxygen free radicals interfere with of destroy endothelium-dependent relaxation in normal and diabetic blood vessels. The present study was investigated whether the duration of diabetic state can affect the severity of impairment in endothelium-dependent and/or independent relaxation and the sensitivity to oxygen free fadical (OFR)-induced damage in diabetic rat vasculature. Methods: The relaxative responses of aortic ring precontracted with norepinephrine in vitro to cumulative concentrations of acetylcholine (ACh) and nitroglycerine (NTG) were conducted in 3- and 10- week streptozotocin (STZ)-diabetic rats and agematched controls. After exposure to H₂O₂generated by mixing xanthine and xanthine oxidase, the degree of impairment in relaxative responses to ACh and NTG were also compared between 3- and 10-week diabetic rats. Results: The relaxative responses of aortic rings produced by cumulative concentrations of ACh were significantly lower in both 3- and 10-week diabetic rats than in the age-matched controls. The impairments of relaxative responses to ACh in 10-week diabetic rats were significantly greater than those in 3-week ones. After H₂O₂ exposure, the impairments of relaxative responses to ACh in 3- and 10-week diabetic aortas was also significantly greater than those in the control in the control ones. However, the severity of H₂O₂-induced damage in 10-week diabetic aortas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than that in 3-week ones. In contrast, aortic rings of 3- and 10-week diabetic rats could still be fully relaxed by NTG, even after exposure to H₂O₂. Conclu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in SRZ-diabetic rat aortas selective impairment of endothelium-dependent relaxation to Ach can be found early even over a 3-week period after the induction of diabetes and the impairment may be greater in those with the longer duration of the diabetic state and that the impairment of the vascular relaxation by OFR is also selective to endothelium-dependent response but the sensitivity of OFR-induced damage may not be related to the duration of the diabetic state.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자연 판막에 발생한 아스페르길루스 심내막염 1예

        서정원,김진현,박완범,신정임,김대희,윤창환,김용진 대한내과학회 2003 대한내과학회지 Vol.65 No.6

        아스페르길루스 심내막염은 드물지만 매우 불량한 예후를 보이는 질환이다. 최근 심장 수술, 면역 저하, 장기간의 항생제 사용, 약물 남용 및 후천성 면역 결핍증 등의 선행 요인과 연관되어 빈도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국내 최초로 자연 판막에 발생한 아스페르길루스 심내막염을 심초음파 검사 및 수술 조직을 통해 진단하였고, 이에 대해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Fungal endocarditis is a rare but poor-prognostic disease. It typically occurs in patients with several predisposing factors such as open heart surgery, long term venous catheterization, antibiotic therapy, intravenous drug abuse, hematologic malignancy and AIDS. We report a case of native endocarditis caused by Aspergillus fumigatus, which has not been reported as a causative organism of native valve endocarditis in Korea. A 47 year-old female patients without significant past medical history except pulmonary tuberculosis was admitted because of headache and neck pain. After admission, she developed high feve, new cardiac murmur and signs of multiple systemic embolization. Echocardiography revealed large mobile vegetations. Emergent mitral valve replacement was performed and Aspergillus fumigatus was isolated from the resected vegetation. Despite postoperative amphotericin B therapy, she died of subarachnoidal hemorrhage.

      • SCOPUSKCI등재

        김치유래 젖산균의 균체지방산 분석을 이용한 분류학적 연구

        이정숙,정민철,김우식,이근철,김홍중,박찬선,이헌주,주윤정,이근종,안종석,박완,박용하,민태익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 ( 구 한국산업미생물학회 ) 1996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Vol.24 No.2

        표준균주를 포함한 230여개의 김치유래 젖산균에 대한 균체지방산(FAMEs)을 분석하였다. FAMEs profiles는 Euclidian Distance 17.5에 의해 7개의 Major Cluster와 1개의 Single Cluster로 나뉘어졌다. 이중 A, B, C 및 Cluster는 Leuconostoc속으로 분석되어졌고, F는 Lactobacillus속으로 분석되어졌다. 그리고 E와 G cluster는 두개의 Genus가 혼재되어 나타났으며 보충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앞으로 김치유래 젖산균의 균체지방산 분석결과를 기반으로 한 데이타베이스에 95가지 탄소원을 이용하는 수치분류학적 접근방법 및 Pyrolysis Mass Spectrometry 등의 화학적 분석 방법과 분자친화적 연구를 통한 종합적 분류정보 체계가 갖추어지면 젖산균의 신속, 정확한 동정 및 연구에 활발히 이용되어질 것이다. Two hundreds and thirty lactic acid bacteria, mostly isolated from Kimchi, including type strains were sued for analysis of cellular fatty acids. The 230 test strains were recoverd in 7 major and 1 single clusters defined a Euclidian distance of 17.5. These aggregate taxa were equivalent to the genus Leuconostoc (aggregate group A, B, C and D), and the genera Leuconostoc and Lactobacillus (aggregate group G). It is concluded as evident that FAMEs (Fatty Acid Methyl Esters) profile of cell can be used as a criterion in classification of lactic acid bacterial from kimchi. Additional comparative taxonomic studies need to be carried out on well chosen representative strains to determine the most appropriate methods of value.

      • 미세알부민뇨를 동반한 인슐린 비의존성 당뇨병 환자에서 혈장 Endothelin의 변화

        서예경,정상원,남직화,신병호,전종민,김정국,김동희,하승우,김보완 慶北大學校 醫科大學 1996 慶北醫大誌 Vol.37 No.3

        목적 : 혈관내피세포에서 생성되는 endothelin(ET)는 강력한 혈관수축작용을 가진 펩타이드로 당뇨병 환자에서 혈관내피세포의 손상여부에 따라 혈중 농도가 증가할 수 있으며 혈관합병증과 관련이 있다는 보고가 있다. 그러나. 혈중 ET치의 상승과 당뇨병성 합병증의 상관성에 대해서는 논란이 많다. 이에 저자들은 인슐린 비의존성 당뇨병 환자에서 미세알부민뇨의 동반유무에 따른 혈중 ET치의 변화 및 혈장 ET치와 요중 알부민 배설률과의 상관성을 검토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인슐린 비의존성 당뇨병 환자중 미세알부민뇨를 보인 22명과 정상알부민뇨를 보인 43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혈장 ET를 측정하여 요중 알부민 배설률, 당뇨병성 망막증 및 당뇨병 관련인자들과의 관계를 비교하였다. 결과 : 당뇨병성 망막증이 합병된 군에서 망막증이 합병되지 않은 군에 비하여 혈장 ET치가 유의하게 높았던 반면 (각각 1.9±0.66, 1.5±0.76pg/㎖, p<0.05) 미세알부민뇨를 보인 군과 정상알부민뇨를 보인 군사이에 혈장 ET치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각각 1.9±1.14, 1.7±0.69pg/㎖). 또한 요중 알부민 배설률과 혈장 ET치 사이에 유의한 상관관계는 없었으며 미세알부민뇨를 동반한 인슐린 비의존성 당뇨병 환자군에서 혈장 ET치는 당뇨병의 관련인자들과도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결론 : 인슐린 비의존 당뇨병 환자에서 혈장 ET치가 초기 당뇨병성 신증의 합병여부나 미세알부민뇨의 정도를 반영하기는 어려울 것임을 시사한다. Background : Endothelin(ET), a potent vasoconstritor peptide released from vascular endothelial cells, is known to be increased in diabetic patients with vascular damage and related with diabetic angiopathy. However, whether plasma ET levels may be related to diabetic complications is controversial. We studied the change of ET levels in non-insulin dependent diabetics with microalbuminuria and relation between ET and urinary albumin excretion rate. Methods : Plasma ET levels of 22 non-insulin dependent diabetics with microalbuminuria and 43 patients with normoalbuminuria were measured and relations of plasma ET to diabetic complications such as urinary albumin excretion rate, retinopathy and other associated factors were studied. Results : Plasma ET level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patients with diabetic retinopathy than those without retinopathy(1.9 ± 0.66 vs 1.5 ± 0.76 pg/㎖. p<0.05). The difference, however, between diabetics with and without microalbuminuria was not significant(1.9 ± 1.14 vs 1.7 ± 0.69 pg/㎖). There were no correlations of plasma ET to urinary albumin excretion rate and to the other associated factors in non-insulin dependent diabetics. Conclusion : These results suggest that plasma ET levels may not seem to act as a predictor of diabetic nephropathy or microalbuminuria in non-insulin dependent diabetics.

      • 내시경적 점막절제술로 치험한 식도 과립상 세포종 1례

        강혁주,김성욱,최석진,이중현,장재식,서영범,윤병구,박건욱,김성자,김용섭,강승완,이구,양창헌,이창우,김욱년,이광헌,서정일 동국대학교 의학연구소 2000 東國醫學 Vol.7 No.-

        과립상 세포종은 Schwann 세포 기원으로 생각되며 인체에 비교적 드물게 발생한다. 과립상 세포종은 전신 어느 곳에서나 발견될 수 있으나 주로 혀, 구강, 피부 혹은 유방 등에서 호발하며 드물게 위장관에서 발견된다. 위장관에서는 식도에서 가장 호발하며 다음으로 위, 대장 순이다. 과립상 세포종은 대부분, 특히 위장관에서는 양성이며 소수의 악성 병변이 보고되었다. 이러한 이유와 함께 수술 전의 진단이 어렵기 때문에 과립상 세포종에 대한 근본적인 치료는 현재까지 외과적 절제술이다. 최근에 시도되는 치료방법들로는 내시경적 레이저 치료, 용종절제술, 내시경적 점막 절제술 등이 있다. 저자들은 상부 소화관 내시경검사를 시행하여 식도 과립상 세포종을 진단하고 내시경적 점막 절제술을 시행하여 합병증 없이 퇴원하여 현재 재발없이 경과 관찰중인 1례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Granular cell tumors, which occur infrequently, are probably of Schwann cell origin. They can occur almost anywhere in the body but usually affect the tongue, oral cavity, skin, or breasts and are rarely found in the gastrointestinal tracts. The esophagus is the most frequent gastrointestinal site, followed by the stomach and the colon. Granular cell tumors are generally benign, especially in the gastrointestinal tract, some malignant lesions have been reported. For this reason, and also because preoperative diagnosis is difficult, the standard treatment for granular cell tumor has until now been surgical excision. In recent years, other therapeutic methods is endoscopic laser therapy (ELT), polypectiomy, endoscopic mucosal resection (EMR). We report a case of esophageal granular cell tumor which was diagnosed by an endoscopy and managed using an endoscopic mucosal resection without complication.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