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계열별 고등학생집단의 뇌기능특성화 경향에 대한 연구

        윤규태,최기수,안의태,고정식,양남길,박경호 순천향의학연구소 1995 Journal of Soonchunhyang Medical Science Vol.1 No.2

        본 연구에서는 계열에 따른 고등학생들의 대뇌반구기능의 특성화 또는 편재화의 경향을 알아보고, 전공분야에 대한 적응력과의 상관관계를 검토하고자 했다. 일반고등학교 인문계열 학생 359명, 자연계열 학생 371명, 음악과 미술전공 학생을 포함한 예능계열 196명, 체육특기자를 포함한 체육계열 학생 151명 등 1,077명을 대상으로 각 계열별, 남녀별, 성적별 고등학생 집단들의 대뇌반구의 특성화, 편재화 경향을 시나가와(품川)질문지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인문계열 고등학생의 뇌기능의 편재화 경향은 우뇌형 54.3%, 양쪽뇌형 32.6% 및 좌뇌형 13.1%였다. 남녀별로는 남학생은 우뇌형 62.9% 양쪽뇌형 27.9% 및 좌뇌형 9.5%로 나타났으며, 여학생은 각각 43.7%, 38.6% 및 17.7%로서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하여 죄뇌화 경향을 보였다. 2. 자연계열 고등학생의 경우는 우뇌형 56.9%, 양쪽뇌형 29.9% 및 좌뇌형 13.2%로서 인문계열 고등학생과 비슷한 분포를 보였다 이를 남녀별로 구별하여 보면 남학생은 62.2%, 27.1% 및 10.2%, 여학생은 51.5%, 32.5%및 16.0%의 분포를 보여, 역시 여학생의 좌뇌화 경향이 뚜렷했다. 3. 예능계열 고등학생의 경우는 우뇌형 56.1%, 양쪽뇌형 35.2% 및 좌뇌형 8.7%의 분포를 보였으며, 이를 전공별로 세분해서 살펴보면 음악전공학생의 경우 53.7%, 35.5% 및 10.7%로서 전체 평균과 거의 비슷한 분포를 보였으나, 미술전공학생의 경우 60.0%, 34.7% 및 5.3%로서 , 특히 좌뇌형의 경우 음악전공에 비해 절반수준에도 못 미치는 경향을 보였다. 4. 체능계열 고등학생 집단의 경우 우뇌형 50.3%, 양쪽뇌형 37.7% 및 좌뇌형 11.9% 분포를 보였다. 5. 성적별로 보면 일반고등학교 학생 가운데 성적 우수 집단은 뚜렷하게 좌뇌형 경향(25.6% 및 25.0%)을 보였다. 6. 예능계열의 우수집단은 양쪽뇌형의 분포비율(50.0% 및 44.4%)이 특히 높았다. 7. 체육계열의 우수집단은 좌뇌형 분포(21.6%)가 높았다. According to the advanced study on differential theory of brain function, the left hemispheric functions are concerned more on the verbal, logical, sequential and arithmetic abilities, whereas the right hemisphere has characteristics of non-lingual, general, creative and aesthetic abilities. The authors compared the tendency of hemispheric specialization in high school students with different educational condition and facilities. Sinakawa's questionnaire method was the instrument for this study.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Among 1,077 of whole subjects, right hemispheric dominant type was 55.0% (59.1% in male, 51.0% in female), bilateral type was 32.9% (10.6% in male, 35.1% in female) and left hemispheric dominant type was 12.2% (10.4% in male, 13.9% in female). 1. Of the 359 subjects in the field of humanity science, right hemispheric dominant type was 54.3% (62.9% in male, 43.7% in female), bilateral type was 32.6% (27.9% in male, 38.6% in female) and left hemispheric dominant type was 13.1% (9.5% in male, 17.7% in female). 2. Of the 371 subjects in the field of natural science, right hemispheric dominant type was 56.9% (62.2% in male, 51.5% in female), bilateral type was 29.9% (27.1% in male, 32.5% in female) and left hemispheric dominant type was 13.2% (10.2% in male, 16.0% in female). 3. Of the 196 art school students, 56.1% was regraded as right hemispheric dominant type, students majoring music was 53.7%, 35.5% and 10.7%, respectively, whereas the frequency for students majoring find art was 60.0%, 34.7% and 5.3%. 4. In students majoring physical education, 50.3% were shown in right hemispheric dominant type, 37.7% were bilateral type and 11.9% were left hemispheric dominant type. 5. Laterality patterns of students who adapt more successfully to their specific studying fields show following characteristics; Successful students of general high school show pronounced left shift in their laterality pattern, whereas successful students of art school exhibit more bilateral type. And successful students of physical education school show left shift in their laterality patterns.

      • 대학생집단의 뇌기능 특성화 경향에 대한 연구

        최기수,윤규태,안의태,양남길,고정식,박경호 순천향의학연구소 1995 Journal of Soonchunhyang Medical Science Vol.1 No.2

        체육학과 학생 163명과 국가대표선수 211명을 포함한 체육 전공자들과 의과대학생 282명, 문과대학생 101명, 신학전공학생 96명 그리고 간호학과 전공학생 100명, 계 953명을 대상으로 남녀 대학생들의 대뇌반구의 특성화, 편재화 경향을 시나가와 ( 品川)질문지 법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체육과 남학생은 우뇌형 45.6%, 좌우뇌형 47.4%, 좌뇌형 7%로 나타났으며, 여학생의 경우 우뇌형 41.6%, 좌우뇌형 44.3%, 좌뇌형 14.2%로 나타났다. 2. 대표선수의 경우 우뇌형과 좌우뇌형에서 일반 체육학과 학생과 유사한 분포를 보였으나, 좌뇌형이 남자 12.9% 여자 12.6%로 남녀 고른 분포를 나타냈다. 3. 의과대학생의 경우 남학생은 우뇌형 63.5% 좌우뇌형 24.9% , 좌뇌형 11.6%인 반면, 여학생은 우뇌형 50%, 좌우뇌형 22.9%, 좌뇌형 27.1%로 나타났다.. 4. 문학은 전공하는 남녀학생과 신학을 전공하는 학생은 우뇌형, 좌우뇌형, 좌뇌형의 순으로 유사하게 나타났다. 5. 간호학전공 학생의 분포는 우뇌형42.0% 좌우뇌형 38.0% 좌뇌형 20%였다. Many Studies have demonstrated that the two hemispheres are functionally specialized in the majority of individuals, so that the left hemisphere regulates verbal-analytic cognitive abilities while the right hemisphere predominates in spatial-synthesis abilities. This research program have proceeded about the tendency of hemisphere specialization in sportsmen and variable subject classes in university. Sinagawa's questionnaire method was used as the instrument for this study .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In the physical education class(163subjects) 45.6%(male) and 41.6%(female) of the subjects were regarded as the left hemisphere dominant type, 47.4%(male) and 44.3%(female) of them were bilateral and 7%(male) and 14.2%(female) of them were regarded as left hemisphere dominant type. 2. In the representatives (mational players) group, very similar frequencies were shown except in the left hemisphere dominant type, whose percentile distributions appear as 12.9% in males and 12.6% in females. 3. Extremely higher frequency was shown in right hemisphere dominant type in the male students of medical science class : 63.5% of them were right, 24.9% were bilateral and 11.6% were left hemisphere dominant type. 4. The frequencies of the literature class also were shown very similar patterns with those of other female classes.

      • Bupivacaine과 ropivacaine이 Xenopus oocyte에 발현된 HERG 전류에 미치는 영향

        김국성,이규승,김효신,손숙진,이상도,김광진,전병화,김윤희,박진봉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의학연구소 2003 충남의대잡지 Vol.30 No.1

        Bupivacaine is an amide-type local anesthetic widely used for regional anesthesia. Ropivacaine is developed as a less cardiotoxic alternatives to bupivacaine. In the present study, we have analyzed the effects of bupivacaine and ropivacaine on HERG currents expressed in Xenopus oocytes. Bupivacaine and ropivacaine(3∼1,000μM) blocked HERG currents in a concentration dependent manner. EC_(50) was 26.1±3.1μM(n_(R) 0.65±0.04) and 43.5±7.9μM(n_(H) 0.99±0.13) in bupivacaine and ropivacaine, respectively. Bupivacaine and ropivacaine did not affect the activation and deactivation kinetics of HERG channels. However, the drugs decreased the slope conductance measured from fully activated current-voltage relationship curv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bupivacaine and ropivacaine have a similarinhibitory effect on HERG channels, which could be a possible cellular mechanism of LQT or ventricular arrythmia by the drug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청정 생산을 위한 생태산업단지 구축과 주요기술

        유창규 ( Chang Kyoo Yoo ),허순기 ( Soon Ki Heo ),유동준 ( Dong Joon Yoo ),이승준 ( Seung Jun Lee ),신지나 ( Ji Na Shin ),박용준 ( Yong Joon Park ),윤학모 ( Hack Mo Yoon ),전희동 ( Hee Dong Chun ),문정기 ( Jeong Ki Moon ),이인범 ( 한국화학공학회 2005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HWAHAK KONGHA Vol.43 No.5

        최근에 환경오염과 자원고갈에 의해서 인류활동의 생태적 영향을 최소화하는 지속 가능한 산업 개발(sustainable industrial development)이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기존에 있던 산업단지를 환경친화적으로 변화시키거나 새로운 산업단지를 건설하여 개별 공장 내뿐만 아니라 한 산업단지 내의 각 기업들이 물질 및 에너지를 최대한 효율적으로 이용하는 생태산업단지로의 전환이 전 세계적으로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생태산업단지(ecoindustrial park, EIP)는 산업단지 내의 각 기업들이 물질, 용수 및 에너지를 최대한 폐기물, 에너지, 물질, 용수 등을 서로 효율적으로 재이용함으로써 경제, 환경, 사회적 이익을 얻는 것을 목표로 한다. 본 총설에서는 국내외 생태산업단지의 사례연구와 생태산업단지 개발의 중요한 기술들(에너지 교환, 물질 재이용, 용수 재이용, 환경영향평가)에 대하여 소개한다. Sustainable industrial development which can minimize an ecological effect by the mankind exertion is recently interested due to an environmental contamination and a resource exhaustion problem. An eco-industrial park (EIP) is a community of manufacturing and service businesses seeking enhanced environmental and economic performance through collaboration in managing environmental and resource issues, including energy, water, and materials. EIP developments which improve a production plant within an eco-friendly greenfield and design a new industrial ecosystem are accomplished recently, which can efficiently re-use the waste and resources from each company within EIP. In this review, the outside and domestic case studies of EIP and cornerstone technologies to develop the EIP, such as energy integration, waste reuse, mass flow analysis, water pinch, and life cycle assessment, are summarized.

      • 10 TPD급 반응기에서 하수슬러지와 폐목재 혼합물의 반탄화 특성

        박동규 ( Dong Kyoo Park ),정법묵 ( Bup-mook Jeong ),김동주 ( Dong-ju Kim ),윤영식 ( Young-sik Yoon ),박수남 ( Soo-nam Park ),구재회 ( Jae-hoi Gu ),박길주 ( Gil-ju Park )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구 한국폐기물학회) 2018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춘계학술발표논문집 Vol.2018 No.-

        최근 세계적으로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으며, 국내의 경우 폐바이오매스를 이용하는 친환경 적인 에너지원으로써 활용할 수 있는 연료화 기술이 각광받고 있다. 국내 폐바이오매스는 크게 식품폐기물, 축산폐기물, 농산부산물, 임산부산물 및 하수슬러지 등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이를 에너지원으로 전환하는 공정은 생물학적, 열화학적 공정으로 크게 구분할 수 있다. 국내 하수슬러지의 경우, 해양투기가 금지된 이후 에너지로 전환하여 재활용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2014년 환경부에 따르면 전국 하수슬러지 처리시설은 98개 지자체에서 96개의 하수슬러지 처리시설이 운영되고 있고, 추가적으로 18개의 시설이 설계 및 건설되고 있다. 이 중 대부분의 시설은 고화 및 건조연료화를 통해 하수슬러지 처리량 저감을 하고 있으나, 고화 및 건조 연료화를 통한 하수슬러지 저감은 슬러지 자체의 높은 수분함량으로 인해 상대적으로 많은 에너지를 필요로 한다. 본 연구는 하수슬러지의 연료화를 위해 열화학적 공정 중 하나인 반탄화 공정을 이용하여 10 TPD급 폐바이 오매스 반탄화 반응 시스템을 구성하였다. 원료물질인 하수슬러지의 높은 수분함량에 따른 열량 부족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폐목재를 혼합하여 사용하였으며, 반응온도(250-350℃)와 하수슬러지와 폐목재 혼합물의 혼합비(6:4, 4:6)에 대하여 운전 조건의 최적화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결과적으로 반탄화물 수율 70% 이상, 생성된 탄화물의 고위발열량 4,000 kcal/kg 이상의 운전조건을 도출할 수 있었다. 이와 더불어 생산된 반탄화물의 원소분석에 따른 C, H, O의 구성비는 저품위 석탄과 유사하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8 TPD급 고정층 반응기에서 비성형 고형연료의 가스화 특성

        박동규 ( Dong-kyoo Park ),정법묵 ( Bup-mook Jeong ),김동주 ( Dong-ju Kim ),윤영식 ( Young-sik Yoon ),박수남 ( Soo-nam Park ),박영수 ( Yeong-su Park ),구재회 ( Jae-hoi Gu ),오종혁 ( Jong-hyeok Oh )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구 한국폐기물학회) 2018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춘계학술발표논문집 Vol.2018 No.-

        지난 10년간 신재생에너지 시장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이와 더불어 폐기물 에너지화(WtE, Waste to Energy) 기술은 매년 5% 이상 꾸준히 성장할 것으로 예측된다. 폐기물 에너지화 기술은 폐기물 처리방식에 따라 물리적, 열화학적, 생물학적 기술로 분류되며 그중 하나인 폐기물 가스화 기술은 폐기물의 고부가가치 연료화 및 온실가스 감축 증대의 효과로 최근 더욱 각광받고 있다. 공급된 폐기물 내 탄소 및 수소 성분은 가스화 반응을 통해 CO, H<sub>2</sub>가 주성분인 합성가스로 전환되고 생산된 합성가스는 메탄올, 디젤류, DME 등 다양한 화학원료로 이용될 수 있으며 가스엔진 등 발전분야에 이용이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생활폐기물을 기반으로 제조된 비성형 고형연료를 대상으로 8 TPD급 고정층 가스화 반응기에서 합성가스의 생산특성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본 연구의 반응기는 가스화제 주입을 Down-draft 및 Up-draft의 방향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제작하였으며, 이와 더불어 가스화 반응 영역 후단에 Gas Chamber를 두어 추가적인 타르 크랙킹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하였다. 기존 공기 가스화의 경우 공기 중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비활성 물질인 질소의 공급량이 많아 생산가스 내 합성가스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낮아 활용측면에서 발전부분에 국한되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반해 본 연구는 공기비(ER, Equivalent Ratio)와 더불어 순산소의 추가 공급으로 산소부화율을 제어하여 발생되는 합성가스의 주성분인 CO, H<sub>2</sub>의 비율을 30% 이상으로 높게 유지할 수 있었고 이를 통해 생산 가스의 열량 및 냉가스 효율 등 고품질의 합성가스를 생산할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