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공조시스템을 적용한 석실 고분내 온ㆍ습도 분포

        전용두,이금배,박진양,고석보,전희호 公州大學校 工學硏究院 生産技術硏究所 2005 論文集 Vol.13 No.-

        Although the importance of good conservation of historic sites including ancient royal tombs is well aware, still not much attention has been paid for the facilities and systems to preserve those historic sites, which includes precious artifacts as wall paints and carved works, etc. Even the general understanding about the environment of the underground space of tombs is not satisfactory. In Korea, researchers have recently begun addressing the above issue and are making efforts to develop suitable HVAC(heating, ventilating and air-conditioning) systems for conservation of tombs. An experimental investigation was carried out to study the behavior of the HVAC system installed for a tomb. This tomb resembles in size and shape the original stone built tomb of Baek-je Dynasty, which dates back to 6th Century in southwest part of Korean peninsula. In this study, an HVAC system for a tomb(D×W×H=1.3m×3.0m×1.2m) was installed to maintain sui표 indoor conditions for conservation of tomb.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inside the tomb were measured different of the setting. Finally, performance of the HVAC system is presented and discussed.

      • Relaxin is up‐regulated in the rat ovary by orthodontic tooth movement

        Yang, So‐,Young,Ko, Hyun‐,Mi,Kang, Jee‐,Hae,Moon, Yeon‐,Hee,Yoo, Hong‐,Il,Jung, Na‐,Ri,Kim, Min‐,Seok,Cho, Jin‐,Hyung,Oh, Won‐,Mann,Kim, Sunȁ Blackwell Publishing Ltd 2011 European journal of oral sciences Vol.119 No.2

        <P> <I>Yang S‐Y, Ko H‐M, Kang J‐H, Moon Y‐H, Yoo H‐I, Jung N‐R, Kim M‐S, Cho J‐H, Oh W‐M, Kim S‐H. Relaxin is up‐regulated in the rat ovary by orthodontic tooth movement.</I> 
 <I>Eur J Oral Sci 2011; 119: 115–120. © 2011 Eur J Oral Sci</I> </P><P>Relaxin (Rln) is an ovarian hormone that stimulates osteoclastic and osteoblastic activities and connective tissue turnover. To investigate the expression of Rln during orthodontic tooth movement, rats were implanted with orthodontic appliances that connected a spring from the upper incisors to the first molar with a 70 cN force. Rats in each group were killed 6, 48, and 144 h after activating the appliance, and the levels of <I>Rln1</I> and <I>Rln3</I> expression in the ovary were determined by real‐time RT‐PCR, northern blots, western blots, and immunofluorescence analyses. The amount of tooth movement induced by the orthodontic force increased in a time‐dependent manner. The levels of <I>Rln1</I> mRNA increased by 12‐, 41‐, and 263‐fold at 6, 48, and 144 h, respectively, after orthodontic tooth movement. The time‐dependent increase in the concentration of Rln 1 protein in the ovary was also confirmed by western blotting. Rln 1 was localized in the granulosa cells of the ovarian follicles, and the immunoreactivity against Rln 1 was increased by the movement. In contrast, the concentration of Rln 3 was below the level of dete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local changes in periodontal tissues induced by orthodontic tooth movement may affect <I>Rln1</I> expression in the ovary. However,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decipher the mechanisms involved and the possible contribution of the increased level of expression of Rln 1 to the tooth movement.</P>

      • 21-O-Angeloyltheasapogenol E3, a Novel Triterpenoid Saponin from the Seeds of Tea Plants, Inhibits Macrophage-Mediated Inflammatory Responses in a NF- <i>κ</i> B-Dependent Manner

        Yang, Woo Seok,Ko, Jaeyoung,Kim, Eunji,Kim, Ji Hye,Park, Jae Gwang,Sung, Nak Yoon,Kim, Han Gyung,Yang, Sungjae,Rho, Ho Sik,Hong, Yong Deog,Shin, Song Seok,Cho, Jae Youl Hindawi Publishing Corporation 2014 Mediators of inflammation Vol.2014 No.-

        <P>21-O-Angeloyltheasapogenol E3 (ATS-E3) is a triterpenoid saponin recently isolated from the seeds of the tea tree <I>Camellia sinensis</I> (L.) O. Kuntze. ATS-E3 has several beneficial properties including anti-inflammatory, antidiabetic, antiatherosclerotic, and anticancer effects. Unlike other phenolic compounds isolated from tea plants, there are no studies reporting the pharmacological action of ATS-E3. In this study, we therefore aimed to explore the cellular and molecular inhibitory activities of ATS-E3 in macrophage-mediated inflammatory responses. ATS-E3 remarkably diminished cellular responses of macrophages such as FITC-dextran-induced phagocytic uptake, sodium nitroprusside- (SNP-) induced radical generation, and LPS-induced nitric oxide (NO) production. Analysis of its molecular activity showed that this compound significantly suppressed the expression of inducible NO synthase (iNOS), nuclear translocation of nuclear factor- (NF-) <I>κ</I>B subunits (p50 and p65), phosphorylation of inhibitor of <I>κ</I>B kinase (IKK), and the enzyme activity of AKT1. Taken together, the novel triterpenoid saponin compound ATS-E3 contributes to the beneficial effects of tea plants by exerting anti-inflammatory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in an AKT/IKK/NF-<I>κ</I>B-dependent manner.</P>

      • 한라산 사제비동산일대 산불피해지의 식생 및 토양특성 변화

        고석형 ( Seok Hyung Ko ),고정군 ( Seung Hoon Yang ),김대신 ( Chang Hoon Shin ),신창훈 ( Young Hoan Yang ),현해남 ( Hae Nam Hyun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4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14 No.2

        우리나라는 삼림이 우거짐에 따라 산림 내에 낙엽, 고사 가지나 고사목 등의 연소물질이 많아지면서 대형 산불의 위험이 높아지고 있다. 산불의 피해는 일차적으로 현존생물량의 감소 등 구조적인 변화를 야기하지만 이차적으로 물질의 순환 등 생태계의 기능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친다. 또한 식물군집과 토양의 물리화학적 특성에도 영향을 미치는데, 이들 영향은 산불의 강도와 지속시간, 토양의 수분함량, 산불이 발생하는 시기, 산불 후 강우의 강도 등에 따라 많은 차이가 있다. 그리고 산불규모에 따라 산림 내에 다양한 크기의 공간을 형성하며, 지상부의 생물체와 유기물질을 제거시켜 비생물 환경 요인의 변화를 유발시킨다. 한편 한라산의 고산지대도 소나무(Pinus densiflora)림의 고지대로의 이동과 분포면적의 확산, 억새(Miscanthus sinensis) 군락의 발달 및 제주조릿대(Sasa quealpaertensis)의 생물량 증가와 확산 등으로 인해 산불발생 가능성은 점차 높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추세와 병행하여 한라산에서는 지난 2012년 4월에 해발 1, 450m일대 사제비 동산에서 산불이 발생하였다. 이는 지난 1988년 한라산 사라오름 남동쪽 외륜에 산불이 발생하여 참나무류 등의 나무에 피해 입힌 후 비교적 큰 규모의 산불이 24년 만에 발생된것이다. 비록, 산불의 조기진화로 인해 피해강도가 낮고 지속기간이 짧아 한라산 생태계에 큰 영향을 주지는 않는 것으로 보고 있다. 그러나 산불이 진화된 후 산림이 받은 피해에 관한 조사는 산불의 특성을 파악하고, 산불로 인한 생태적, 환경적 영향을 분석하는데 필요한 기초 자료가 된다. 본 연구는 지난 2012년 4월에 발생된 산불로 인해 식생피해를 받은 한라산 사제비동산일대의 피해규모와 함께 산불 발생 후 식생 및 토양특성 변화 현상 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산불피해 조사방법은 산불에 의해 수목의 수관까지 전소한 수관화 지역과 교목의 수관 하층만 전소한 지표화 지역으로 구분하여 면적을 조사하였다. 즉, 고성능 위성항법시스템(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Trimble Co. )을 이용하여 각 산불피해지의 가장자리를 측정하고 지도상에 표현하는 방법으로 작성하고, 면적은 Arc View GIS3. 2a(Environmental System Research Institute Inc. )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수목피해 조사는 관목 및 교목을 대상으로 전수 조사하였는데, 피해목의 수고 및 생육상황 등을 조사하였다. 또한 일부 피해를 입은 수목의 경우 지속적인 생존여부를 파악하기 위하여 각각의 고유번호를 표지한 뒤 1년 6개월 후인 2013년 9월에 생육상황을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토양분석은 농촌진흥청 분석법 (NIAST, 1988)에 준하여 분석하였다. 사제비동산일대 산불발생으로 인한 식생피해면적은 총 20, 872㎡(2. 09ha)였으며, 이중 수관화 산불유형지역은 12, 028㎡이었고, 지표화 산불유형을 지닌 지역은 8, 844㎡ 이었다. 산불발생지역은 꽝꽝나무(Ilex crenata), 산철쭉 (Rhododendron yedoense f. poukhanense) 등의 관목류와 소나무(Pinus densiflora) 등의 교목류가 분포하는 지역이다. 산불피해를 받은 관목류는 대부분 화염에 의해 지상부가 전부 타버리면서 회복 가능성은 극히 낮은 상황이며, 소나무 등 교목류는 피해정도에 따라 회복 가능성에 차이를 가져올 것으로 보인다. 산불발생지역의 하층식생은 산불발생 후 50일이 경과된 후 대부분 높이 30㎝정도로 새롭게 성장한 제주조릿대(Sasa quealpaertensis)로 피복되었으며, 부분적으로 억새(Miscanthus sinensis)가 발달되었다. 이처럼 비교적 빠른 시기에 제주조릿대의 회복은 짧은 시간 내에 산불이 진화되면서 땅속줄기가 화염에 의한 영향을 거의받지 않아 줄기의 눈(bud)에서 새롭게 순이 돋아난 것이기 때문으로 보인다. 사제비동산일대의 토성은 미사함량이 많은 미사토였다. 1년이 경과 후 산화지에서의 토양의 용적밀도는 0. 23g/㎤ 높아진 반면 입자밀도는 1. 34g/㎤로 낮아졌으며, 공극률도 24%가 감소하였다. 토양 pH는 표토와 심토에서 각각 0. 5, 0. 6정도 낮아지는 경향을 보인 반면 전기전도도는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1년이 경과된 후 유기물, 총질소 및 유효인산 함량은 표토와 심토에서 모두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교환성양이온함량이나 양이온교환용량도 모두 증가는 경향을 보였다. 산불에 따른 수목피해는 총 1, 226본으로 나타났으며, 이중 924본은 완전 고사되었으며 나머지는 줄기 등에 부분 피해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고사된 개체수중 교목성 수목은 소나무가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관목성 수목은 꽝꽝나무가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다. 고사된 수목 중 산불발생 당시 전소된 개체수는 838본이였으나, 줄기 등에 피해를 입은 수목 중 1년 동안에 86본이 추가로 고사되었다.

      • SCISCIESCOPUS

        Wavelength Tuning of Vertical-Cavity Surface-Emitting Lasers by an Internal Device Heater

        Seong-Seok Yang,Jeong-Kwon Son,Young-Kyu Hong,Yong-Ho Song,Ho-Jin Jang,Seong-jun Bae,Yong-Ho Lee,Gye-Mo Yang,Hyun-Sung Ko,Gun-Yong Sung IEEE 2008 IEEE photonics technology letters Vol.20 No.20

        <P>We have fabricated thermal-induced wavelength- tunable vertical-cavity surface-emitting lasers with a 780-nm emission wavelength that is tunable by using an internal device heater. A 5.36-nm tuning range was achieved by means of a 70-mA tuning current and a 3.5-mA driving current while maintaining continuous single-mode operation and the optical power variation is less than 2.5 dB in the tuning range. In addition, a multimode tuning range of 9.1 nm was achieved with a 90-mA tuning current and a 7-mA driving current.</P>

      • 동물 및 기타 한리산국립공원의 등산로별 토양 및 토양미생물 특성

        고성형 ( Seok Hyung Ko ),양승훈 ( Seung Hoon Yang ),신창훈 ( Chang Hoon Shin ),양영환 ( Young Hoan Yang ),현해남 ( Hae Nam Hyun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3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13 No.2

        제주도는 신생대에 형성된 섬으로 대한해협의 서남측에 위치하며 면적은 약 1,848 ㎢에 달한다. 단면상으로는 해발고도 1,950 m의 한라산 정상을 중심으로 한 원추형이며 한라산의 남 · 북사면은 경사가 급한 반면, 동 · 서사면은 비교적 완만한 경사를 이룬다. 제주도에 대한 토양조사는 전국토양 개략조사의 일환으로 1962년에 시작되었으며, 1975년에 해발 700 m 이상인 산악지와 추자군도를 대상으로 정밀토양조사를 실시한 바 있다. 그 후 1999년에Soil Taxonomy 개정판 발간으로 인하여 토양 분류단위와 분류기준이 수정되면서 이에 대한 추가 조사 및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한라산국립공원 내 등산로 구간을 중심으로 토양의 이화학적 성질 및 토양미생물의 분포와 효소활성을 측정하여 한라산국립공원 자연자원의 효율적인 관리체계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함에 있다. 본 토양조사는 2012년 3월부터 수행되었으며 한라산국립공원에 위치한 어리목, 영실, 성판악, 관음사 및 돈내코등산로를 중심으로 낙엽층을 제거한 후에 표토(0~15 cm)와심토(15~30 cm)를 채취하였다. 등산로 구간은 한라산국립공원에 한정하였으며 해발고도 100 m 간격으로 토양시료를 채취하였다. 가급적이면 시료를 채취할 때 오차가 ± 10m를 넘지 않도록 하였다. 등산로는 침목 및 석분 등으로인하여 사실상 시료채취가 불가능한 지역이 많았으며 등산로를 주변으로 가급적이면 훼손이 안 된 지역에서 토양시료를 채취하였다. 토양의 화학적 성질은 농촌진흥청 분석법(NIAST, 1998)에 준하여 분석하였다. 토양의 화학적 성질분석은 채취한 시료를 풍건시킨 후 2 mm 체에 통과된 토양시료를 사용하였다. 토양 pH는 토양과 증류수의 비를 1 : 5로 하여 pH meter로 측정하였고, 전기전도도는 pH를 측정하고 남은 여액을 EC meter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유기물함량은 Walkley and Black법, 유효인산은 Lancaster법, 전 질소함량은 Kjeldahl법으로 측정하였다. 치환성양이온K, Ca, Mg 및 Na는 1N ammonium acetate(pH 7.0)용액50 mL를 가하여 30분간 진탕한 다음 여과하여 얻어진 여액을 원자흡광분광광도계(AAS)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양이온치환용량은 1 N-NH4OAc(pH 7.0)로 포화하고 80% ethyl alcohol로 세척한 후 토양을 Kjeldahl 증류장치에 의해 NH4+ 함량을 정량하여 산출하였다. 입도분석은 풍건토양 10 g을 평량하여 500 ㎖ Tall beaker에 담고, Tall beaker에 증류수를 300 ㎖씩 가하고 30% 과산화수소를 25 ㎖씩가 한 뒤 90℃로 가열된 전열판 위에서 가열하면서 유기물을 분해하였다. 원심분리병에 분산제 5% Sodium hexametaphosphate 10 ㎖를 가한 후 약 18시간 정도를 진탕시키면서 완전히 분산시켰다. 이 후 Pipette법과 체분석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인지질 지방산(Phospholipid fatty acid, PLFA)분석은 Bligh/Dyer first-phase extraction(Bligh and Dyer, 1959)방법을 이용하였다. 미생물 분포비율은 분석된 지방산을 지방산 분석지표를 이용하여 세균, 방선균, 사상균 및 균근균으로 분류하여 처리별 PLFA 값은 총PLFA의 퍼센트 비율로 나타냈다(Li et al., 2006; Rahman and Sugiyama, 2008). 한라산국립공원 등산로 구간은 전체적으로 표토의 평균토양 pH는 4.8, 심토의 평균 토양 pH는 5.0이었다. 한라산국립공원의 토양 pH도 일반토양에서 나타나는 현상과 마찬가지로 대체적으로 표토보다 심토에서 높았다. 표토의 평균전기전도도는 0.59 dS/m, 심토의 평균 전기전도도는 0.37dS/m였다. 이와 같은 농도는 식물생육에 대한 염류의 영향을 거의 무시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표토의 평균 유기물함량은 21.45%, 심토의 평균 유기물함량은 15.79%였다. 이와같이 유기물함량은 토양 pH와는 반대로 심토보다 표토에서 함량이 높았으며 표토에 유기물함량이 집적되는 현상을 보였다. 표토의 평균 유효인산함량은 9.7 mg/kg, 심토의 평균유효인산함량은 7.3 mg/kg였다. 이와 같이 한라산국립공원토양의 유효인산함량은 매우 낮았다. 표토의 평균 총 질소함량은 1.16%, 심토의 평균 총 질소함량은 0.94%였다. 어리목 등산로 1500 m 지점에서 총 질소함량이 4.04%로 매우 높아 특이한 현상을 보였다. 표토의 평균 치환성 K, Ca 및 Mg 함량은 0.25, 0.69 및 0.46 cmol+/kg 이었으며, 심토는 0.13, 0.28 및 0.19 cmol+/kg이었다. 전체적으로 한라산국립공원 등산로의 치환성 Na 함량은 불검출~0.26cmol+/kg 범위였다. 표토의 평균 치환성 Na 함량은 0.06cmol+/kg, 심토의 평균 치환성 Na 함량은 0.03 cmol+/kg으로 매우 낮았다. 양이온치환용량은 토양비옥도를 나타내는 하나의 지표인자이다. 제주도 화산회토는 난분해성 유기물의 집적으로 유기물 함량이 매우 높고 양이온치환용량도 매우 높다. 표토의 평균 양이온치환용량은 20.98 cmol+/kg, 심토의 평균 양이온치환용량은 20.91 cmol+/kg로 표토와 심토 간에 차이가 없었다. 토양의 입도(입경)는 흙을 이루고 있는 입자의 굵기에 따라 모래, 미사 및 점토로 구분이 되며 토성이란 모래, 미사, 점토의 상대적인 비율을 의미한다. 한라산국립공원의 토양은 다양한 토성명으로 구분이 되었으며 영실 및 관음사 등 산로의 토성은 식토와 사질식양토가 우세하였고 성판악 등 산로의 토성은 사질식양토, 식토, 사양토, 식양토 등으로 다양했으며 돈내코 등산로의 토성은 식토가 우세하였다. 토양미생물은 온도, 수분함량, 양분 등 토양환경조건에 많은 영향을 받고 토양내에서 물질순환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한라산 등산로별로 인지질지방산함량을 이용한 미생물의 분포비율을 조사한 결과 그람양성세균, 방선균, 균근균은 성판악지역이 각각 17.4%, 12.7%, 3.4%로 가장 높게 분포하였으며 곰팡이는 관음사지역이 13.1%로 성판악지역 9.4%보다 높았다. 그람음성세균은 영실과 관음사지역이 각각34.5, 34.4%로 성판악과 어리목지역보다 약 9% 정도 높게 분포하였다. 이상의 결과는 5개 등산로 코스별 채취지점에 따라 미생물이 서식하기에 적합한 환경조건에 따라 고도별로 차이를 보였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특히 성판악지역의 그람양성세균이 제일 높고, 곰팡이 분포비율이 낮아 토양중 유기물함량이 높아도 미생물이 이용할 수 있는 탄소영양원의 분포비율이 낮아 토양중 유기물의 분해에는 방선균등이 많이 관여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등산로 코스별 100m 간격으로 인지질 지방산 유래 토양미생물의 분포비율을 조사한 결과 그람음성세균이 가장 높았고 균근균이 낮았으며 한라산 고도별로 채취지점에 따른 분포는 일정한 경향을 보이지 않았다. 토양의 온도는 미생물의 밀도와 활성에 영향을 주는데 이것은 채취시기의 토양환경 조건에 기인한 것으로 생각된다. 한라산 등산로 코스별 인지질 지방산함량을 이용한 생물학적 지표를 분석한 결과, 탄소 영양원 이동지표인 (G-/G+)비는 관음사지역이 4.0으로 성판악과 어리목지역보다 약 2.5배 높게 나타났다. 이것은 관음사지역의 토양중 탄소 영양원이 증가하는 반면에 성판악과 어리목지역은 감소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온도가 높아지면 그람음성세균/그람양성세균 비가 낮아지는데 이들 지역은 토양채취시기에 토양의 온도가 한라산 고도별 영향으로 낮은 것도 있지만 등산로 코스별로 조사지점의 토양 중 그람음성세균의 비율이 낮거나 식생의 분포, 일조량 등 토양환경 조건이 영향을 준 것으로 생각된다. 유기물함량 지표인 B/F비는 영실지역과 성판악 지역이 각각 4.8, 4.7로 높았으며 관음사와 어리목지역이 3.5로 낮게 나타났다. 성판악지역이 G-/G+비가 낮고 B/F비가 높은 것으로 보아 토양 중 유기물함량이 높지만 미생물이 이용 가능한 탄소영양원이 낮아채취지점의 토양온도, 수분함량 등 고도별로 물리적인 환경이 다르고, 토양유기물함량에 영향을 주는 식물체의 뿌리, 낙엽 등을 고려할 때 식생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식생, 지형, 지질 및 기상요인을 종합하여 해석한다면 한라산국립공원의 등산로 구간과 비등산로 구간의 토양특성을 이해하고 한라산국립공원 자연자원의 효율적인 관리체계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임신성 유방암과 40세 미만의 유방암과 비교

        양반석 ( Ban Seok Yang ),박세호 ( Se Ho Park ),이소희 ( So Hee Lee ),박형석 ( Hyung Seok Park ),황혜원 ( Hye Won Hwang ),이준상 ( Jun Sang Lee ),고시몬 ( Si Mon Ko ),김승일 ( Seung Il Kim ),박병우 ( Byeong Woo Park ) 대한임상종양학회 2011 Korean Journal of Clinical Oncology Vol.7 No.2

        목적: 본 연구는 임신성 유방암의 임상병리학적 특징과 예후를 조사하여 임신이 임신성 유방암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법: 1987년부터 2007년 사이에 치료받은 14명의 임신성 유방암환자들의 임상병리적 특성, 치료방법, 생존율을 855명의 40세 미만침윤성 유방암 환자들과 chi-square 검정, Kaplan-Meier 방법, 그리고 Cox`s hazards 모델을 이용하여 비교하였다. 임신성 유방암은 임신기간중또는출산후1년이내에진단된유방암으로정의하였다. 결과: 14명의 임신성 유방암 환자 중, 7명은 임신 중에 진단되었으며, 7명은 산후 1년 내에 진단되었다. 평균 증상기간은 7.6개월이었고, 임신성 유방암과 40세 미만 유방암 환자들의 평균 나이는 각각 32.6세, 34.6세였다 (p=0.044). 임신성 유방암은 모두 유관암이었으며, 병기, 호르몬 수용체 발현, 치료방법은 임신성 유방암과 40세 미만 유방암 사이에 통계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임신성 유방암 환자의 5년 무병 생존율과 전체 생존률은 57.1%, 70.0% 였으며, 생존율은 두 그룹 사이에 통계적 차이는 없었다. 다변량 분석에서도 임신여부는 생존율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임신성 유방암 환자 중 출산전과 후에 따른 생존율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젊은 유방암 환자와 비교하여 임신성 유방암은 임상병리학적 특성과 예후는 차이가 없었으며, 임신성 유방암 환자와 태아를 위해 적극적인 진단과 다학제적인 치료가 필요하다. Purpose: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clinicopat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outcomes of pregnancy-associated breast cancer (PABC) and to determine the implications of pregnancy itself on the prognosis of PABC. Methods: Clinicopathological features, treatment patterns, and survival of 14 PABC patients were compared to those of 855 invasive ductal carcinoma (IDC) patients under 40 years of age, who were treated between 1987 and 2007, using a chi-square test, the Kaplan-Meier method, and Cox`s hazards models. PABC was defined as breast cancer diagnosed during pregnancy or within the first year after delivery. Results: Among 14 PABCs, 7 were diagnosed during pregnancy and 7, during the first postpartum year. The mean duration of the symptoms was 7.6 months. The mean age at diagnosis of PABC and IDC under 40 years was 32.6 and 34.6 years, respectively (p=0.044). All PABCs were ductal type. Hormone receptors, treatment modalities, and tumor and node stage were not statistically different between PABC and IDC under 40 years. Five-year disease-free, locoregional relapse-free, distant relapse-free, and overall survival of PABC was 57.1%, 71.3%, 56.4%, and 70.0%, respectively. Survival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wo groups. In Cox°Øs models, PABC was not associated with survival outcomes. Among PABCs,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in survival between patients diagnosed before and after delivery. Conclusion: Pregnancy itself does not increase the risk of poorer outcomes among young breast cancer patients. Vigilant diagnosis and multidisciplinary treatment should be recommended to best manage woman with PABC and her baby.

      •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SCNT Pig Embryos Knocked-out of Alpha-1,3-Galactosyltransferase Gene

        Shim, Joo-Hyun,Park, Mi-Rung,Yang, Byoung-Chul,Ko, Yeoung-Gyu,Oh, Keon-Bong,Lee, Jeong-Woong,Woo, Jae-Seok,Park, Eung-Woo,Park, Soo-Bong,Hwang, Seong-Soo The Korean Society of Animal Reproduction 2009 Reproductive & developmental biology Vol.33 No.3

        This study was performed to comprehend the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cloned embryos knocked out (KO) of $\alpha$-1,3-galactosyltransferase (GalT) gene. Immature oocytes were collected and cultured for 40 hrs (1-step) or 20hrs (with hormone) + 20hrs (without hormone) (2-step). The embryos transferred with miniature pig ear fibroblast cell were used as control. The reconstructed embryos were cultured in PZM-3 with 5% $CO_2$ in air at $38.5^{\circ}C$ for 6 days. To determine the quality of the blstocysts, TUNEL and quantitative realtime RT-PCR were performed. The embryos were transferred to a surrogate (Landrace) at an earlier stage of the estrus cycle. The maturation rat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2-step method than that of 1-step (p<0.05). The blastocyst development of GalT KO embryos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normal cloned embryos (p<0.05). The total and apoptotic cell number of GalT KO blastocysts was not different statistically from control. The relative abundance of Bax-$\alpha$/Bcl-xl ratio was significantly higher in both cloned blastocysts than that of in vivo blastocysts (p<0.05). Taken together, it can be postulated that the lower developmental potential and higher expression of apoptosis related genes in GalT KO SCNT embryos might be a cause of a low efficiency of GalT KO cloned miniature pig production.

      • SCISCIESCOPUS

        Simultaneous Multiparametric PET/MRI with Silicon Photomultiplier PET and Ultra-High-Field MRI for Small-Animal Imaging

        Ko, Guen Bae,Yoon, Hyun Suk,Kim, Kyeong Yun,Lee, Min Sun,Yang, Bo Yeun,Jeong, Jae Min,Lee, Dong Soo,Song, In Chan,Kim, Seok-ki,Kim, Daehong,Lee, Jae Sung Society of Nuclear Medicine 2016 The Journal of nuclear medicine Vol.57 No.8

        <P>Visualization of biologic processes at molecular and cellular levels has revolutionized the understanding and treatment of human diseases. However, no single biomedical imaging modality provides complete information, resulting in the emergence of multimodal approaches. Combining state-of-the-art PET and MRI technologies without loss of system performance and overall image quality can provide opportunities for new scientific and clinical innovations. Here, we present a multiparametric PET/MR imager based on a small-animal dedicated, high-performance, silicon photomultiplier (SiPM) PET system and a 7-T MR scanner. Methods: A SiPM-based PET insert that has the peak sensitivity of 3.4% and center volumetric resolution of 1.92/0.53 mm(3) (filtered backprojection/ordered-subset expectation maximization) was developed. The SiPM PET insert was placed between the mouse body transceiver coil and gradient coil of a 7-T small-animal MRI scanner for simultaneous PET/MRI. Mutual interference between the MRI and SiPM PET systems was evaluated using various MR pulse sequences. A cylindric corn oil phantom was scanned to assess the effects of the SiPM PET on the MR image acquisition. To assess the influence of MRI on the PET imaging functions, several PET performance indicators including scintillation pulse shape, flood image quality, energy spectrum, counting rate, and phantom image quality were evaluated with and without the application of MR pulse sequences. Simultaneous mouse PET/MRI studies were also performed to demonstrate the potential and usefulness of the multiparametric PET/MRI in preclinical applications. Results: Excellent performance and stability of the PET system were demonstrated, and the PET/MRI combination did not result in significant image quality degradation of either modality. Finally, simultaneous PET/MRI studies in mice demonstrated the feasibility of the developed system for evaluating the biochemical and cellular changes in a brain tumor model and facilitating the development of new multimodal imaging probes. Conclusion: We developed a multiparametric imager with high physical performance and good system stability and demonstrated its feasibility for small-animal experiments, suggesting its usefulness for investigating in vivo molecular interactions of metabolites, and cross-validation studies of both PET and MRI.</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