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鍼刺가 人體의 血漿 Atrial Natriuretic Peptide,Aldosterone, Cortisol 濃度 및 Renin 活性度에 미치는 影響

        朴秀雄,李昊燮 圓光大學校 韓醫學硏究所 1991 원광한의학 Vol.1 No.1

        The sources of body water are metabolically produced and ingested water. There are four sites from which water is lost to the external environment : skin, lungs, gastrointestinal tract, and kidneys. According to the theory of oriental medicine, the balance of body water is controlled by kidneys, lungs, Bee(脾), urinary bladder, and Sam Cho(三焦), the function of skin is controlled by lungs(肺主皮毛)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lucidate the effects of acupuncture in the meridian point Sam Cho Soo(B22), Bee Soo(B20), and Pye Soo(B13) on the renin-angiotensin aldosterone system and atrial natriuretic peptide(ANP).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Plasma atrial natriuretic peptide was decreased significantly after acupuncture in the meridian point Pye Soo(B13) 2. Plasma renin activity was decreased significantly after acupuncture in the meridian point Sam Cho Soo(B22). 3. Plasma renin activity was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acupuncture in the meridian point Bee Soo(B20) 4. Plasma aldosterone concentration was decreased significantly after acupuncture in the meridian point Sam Cho Soo(B22) and Bee Soo(B20) 5. Plasma cortisol concentration was decreased significantly after acupuncture in the meridian point Bee Soo(B20). 6. Plasma ACTY concentration was decreased significantly after acupuncture in the meridian points Bee Soo(B20) and Pye Soo(B13) These results suggest that meridian points Sam Cho Soo(B22), Bee Soo(B22), and Pye Soo(B13) have regulatory function for the body water metabolism. The effects of acupuncture in the meridian points the Sam Cho Soo(B22) and Bee Soo(B20) were related with the changes of plasma levels of renin activity and aldosterone concentration, but the effects of acupuncture in the Pye Soo(B13) was related with the decreases of plasma levels of ANP and aldosterone.

      • KCI등재후보

        시의 언어와 민족의 언어

        박수연(Park Soo-yeon) 픽션과논픽션학회 2021 픽션과논픽션 Vol.3 No.1

        본고는 김수영 시의 민족 의식에 대해 고찰한다. 김수영이 민족주의와 거리를 두었다는 평가는, 백낙청의 비평으로부터 시작한다. 그러나 이러한 평가는 김수영에 대한 오해이다. 이러한 진술을 이어 장정일은 김수영을 세계시민주의자 로 전도시키고 있다. 그러나 김수영의 민족주의 비판은 관제민족주의이지 민족주의 일반이 아니다. 김철은 이중언어세대인 김수영에게서 식민지적 혼종성 을 읽고 그런 혼종성이 국민화 프 로젝트를 비판하게 만들었다고 보고 있으나, 김수영이 바판한 것은 위로부터의 국민화 프로젝투 이지 밑으로부터의 민중적 지향 의 민족성이 아니다. 이중언어세대인 김수영에게 일본어는 망령으로서 그 내면을 사로잡은 상태였다. 김수영은 그러한 자신을 숨기지 않고 그대로 보여주므로써 삶에 밀착한 언어로서의 시를 실천했고, 그 태도가 포스트식민주의적 사후 효과를 낳았다. 이것은 우리 민족의 현실태를 있는 그대로 보여주면서 그 현실을 극복하려는 태도였다. 하이데거의 영향을 받은 김수영의 민족록은 삶의 원천을 드러내는 민족의 유비인 고향 에 대해 침묵 으로써 말한다. 하이데거에 따르면 민족 은 그 원천을 알고 있는 자의 능력으로 비밀에 붙여져야 하는 대상이었고, 김수영에게 그것은 침묵의 언어 이자 미메시스의 언어 이다. 이 미메시스의 언어는 정치적 혁명을 수용한 그의 내적 혁명으로 실천된다. 김수영의 고립과 고독은 현실에 대한 격한 긍정을 가능하게 했고, 적과 동지, 최고 정신의 시인과 육체 노동의 식무 를 한데 결합하는 혁명을 이루어낸다. 또한 벤야민을 통해 직역으로서의 순수 언어 를 드러내는 방법론을 수용했다. 그것이 그의 세계의 번역으로서 미메시스이다. 따라서 김수영의 혁명은 적과 동지를 한데 묶고, 그들을 낱낱이 호명하는 능력의 실현이었다. This paper examines Kim Soo-young s poetry s national consciousness. The evaluation that Kim Soo-young distanced from nationalism begins with Baek Nak-cheong s criticism. However, this evaluation is a perversion derived from the lack of reading about Kim Soo-young. Following these statements, Jang Jung-il is turning Kim Soo-young into a global citizen . However, Kim Soo-young s criticism of nationalism is controlled nationalism, not nationalism in general. Kim Cheol read colonial hybridity from Kim Soo-young, a bilingual generation, and believes that such hybridity made him criticize the nationalization project, but what Kim Soo-young criticized is a nationalization project from above, not a popular orientation from below. To Kim Soo-young, the Japanese language was captured as a ghost, and Kim Soo-young showed himself as it was. He practiced poetry as a language closely related to life, and the poetry produced the post-colonial effect of ‘post-colonialism’. Influenced by Heidegger, Kim Soo-young s national theory speaks of hometown as an analogy of the nation that reveals the source of life as silence . According to Heidegger, the nation was an object that had to be kept secret by the ability of those who knew its source, and for Kim Soo-young, it is a language of silence and a language of mimesis . This mimesis language is put into practice as his inner revolution embracing the political revolution. Kim Soo-young s isolation and solitude enabled a strong affirmation of reality, forming a union of enemies and comrades, the best spirit and the maid . He also accepted the methodology of revealing ‘pure language as a literal translation’ through Benjamin, and practiced mimesis as a translation of the world. Therefore, Kim Soo-young s revolution is the realization of the ability to unite enemies and comrades, to look at and call them individually. In Kim Soo-young s literature, the language of people were also bound to appear as a combination of Japan as a ghost and Japanese

      • KCI등재

        임호박수검(林湖朴守儉)의 트라우머와 장자철학(莊子哲學) -치유담론으로서의 『장자』에 대한 역사적 사례-

        김종수 ( Jong Soo Kim ) 영산대학교 동양문화연구원 2013 동양문화연구 Vol.15 No.-

        17세기 중.후반을 주요 활동기로 삼았던 임호 박수검은 제천에 연고를 둔 노론계의 관인.유자였다. 수학기 적부터 자자한 문명을 떨쳤던 박수검은 20세 때에 진사초시에 합격하는 영예를 안았다. 그러나 이후 약20여 년간에 이르는 온갖 집안의 불행사들로 인하여 박수검의 과거 합격은 무한정 지연되어 가고만 있었다. 마침내 박수검은 뒤늦은 나이인 44세때에 과거에 급제하였으나, 이미 그의 영혼은 심각한 트라우머에 시달리고 있었다. 때문에 주로 한직과 외직을 전전했던 박수검의 관직생활은 단순한 생계유지의 수단 그 이상의 의미를 발휘하지 못했다. 대신에 박수검은 웅장한 경세에의 포부가 좌절된 데 따른 트라우머로 인하여 늘상 방황하는 모습을 연출하고 있었다. 박수검은 그런 자신을 ?『장자』? 속의 중증 장애인인 지리소로 비유하곤 하였다.그런 점에서 수학기 적에 만난 세 번째 스승인 무하옹 이준남은 박수검이 닮아야 할 동일시 모델로 다가섰고, 또한 텍스트 ?『장자』?를 매개.인도케해준 중요한 인물이었다. 박수검이 구축한 장자철학은 <장자소요유제물론이편주해서>로 대변되는 텍스트 ?『장자』?에 대한 해석과 시료로서 ?『장자』?를원용한 두 국면을 형성하고 있다. 전자가 정주학적 세계 구도인 음양.오행론과 역학적 사유가 묘하게 결부된 주해 방식을 선보여 주었다면, 후자의경우 자신의 트라우머를 드러내고 해소.치유하기 위한 의식적 노력과 결부되어 있다. 또한 두 국면 모두 『주역』의 복괘에 내함된 생의[陽]가 투사되어 있는바, 이는 트라우머의 치유를 위한 박수검 나름의 치열한 노력이반영된 결과였다. 그러나 박수검은 끝끝내 자신 안에 각인된 트라우머를 치유.승화시키는 단계로까지는 진입하지를 못했다. 박수검의 경우 ?『장자』?혹은 장자철학이란 자아 성찰과 세계 확장이라는 새로운 두 계기를 제공해주었으나, 궁극적인 치유담론으로 기능하지는 못한 것 같다. Imho(林湖) Park Soo-geom(朴守儉) could not pass an examination to become a government officer because of various misfortunes which continued for more than 20 years on him. He at last passed a government examination for government officer at the late age of 44 years old; however, his soul was already suffering serious trauma. Therefore, the government officer position of Park Soo-geom was just a way to make ends meet. Park Soo-geom always wandered because of the serious trauma caused by the frustration coming from the failure to realize the big aspiration he had held as a government officer. He frequently compared himself to Jiriso(支離疏), who is a seriously disabled person appearing in the book, Zhuangzi(莊子). The philosophy of Zhuangzi philosophy established by Park Soo-geom can be seen in his two writings quoting the book Zhuangzi as the material for his poetry and his preface on the two annotations on Soyoyoo (逍遙遊) and Jemullon(齊物論) in the book Zhuangzi(莊子逍遙遊齊物論二篇註解序). However, Park Soo-geom could not reach the stage of healing and sublimation of his internal trauma with deep source until the end. Consequently, the philosophy of Zhuangzi established by Park Soo-geom provided him with two opportunities of self-introspection and world-expansion; however, it seems it could not function as an ultimate discourse on healing

      • KCI등재

        임호(林湖) 박수검(朴守儉)의 생애와 저술 양상

        김종수 ( Kim Jong-soo ) 한국유교학회 2012 유교사상문화연구 Vol.50 No.-

        향리인 제천의 만지곡에서 출생한 임호 박수검은 17세기 중후반을 전후로 한 관료이면서 사상가였다. 고려 왕족의 후손인 박수검은 효성과 학문을 중시한 전래의 가풍 속에서, 일찍부터 독서에 눈을 뜨기 시작했다. 이어지는 수학기 동안에 박수검은 순차적으로 조석윤ㆍ이영선ㆍ이준남ㆍ송시열 등의 문하에서 학업을 연마하는 행운을 누렸고, 자연히 임호는 원근을 막론하고 조기에 문명을 떨칠 정도의 실력을 배양하게 되었다. 그런데 박수검은 비교적 이른 시기에 과거 공부에 착수하였으나, 실제 그 가문과 급제한 나이는 뒤늦은 44세 때였다. 이후 박수검은 내직과 외직을 두루 거치는 사환기에 접어들게 되었으나, 남인과 뚜렷한 대립각을 곤두세웠던 그의 서인 노론적 당색으로 인해 잦은 환로의 부침을 경험하기에 이른다. 특히 박수검은 기사환국 직후에 고향 제천으로 낙향, 몇 년간에 걸쳐서 이른바 의림경영에 돌입하기도 했다. 그런 와중에서도 박수검은 경학과 역사학, 역학 과 장자철학 둥을 아우르는 일련의 저술을 추진해 나감으로써, 학자 본연의 자세를 망각하지 않았다. 박수검이 남긴 저서 목록인 『진사통고』ㆍ『중용석의』ㆍ『장자소요제물론이편주해』ㆍ『참동계교정』ㆍ『절위여편』과 문집인 『산일여편』등은 관직 생활을 하는 와중에서 저술된 결실로서, 임호의 치열한 학자적 탐구 노력을 반증해 준다. 특히 박수검은 一理 혹은 理原을 철학적 화두로 설정한 가운데, 자신의 전 저서들 속에 이 물음을 투영시켜 두었음이 주목된다. 이같은 정황은 박수검의 사상적 착지점이 근본 정주학자였다는 사실을 뚜렷이 확인시켜 주고 있다. Park Soo-geom was born in a country village, Jecheon (堤川). He was the posterity of Goryeo royal family and experienced the invasion of Ching (丙子胡亂) in person. Park Soo-geom studied until the age of 40 under the scnolars who succeed the tradition of Giho school neo-Confucianism (畿湖性理學) such as Jo Seok-yoon (趙錫尹), Yi Yeong-seon (李榮先) and Song Si-yeol (宋時烈). Accordingly, the academic school and political position of Park Soo-geom were defined as Seoin (西人) Norongye(老論系). Park Soo-geom passed examination for government officer (科擧) when he was 44 years old; however, his career as a government officer was not successful. He had frequent conflicts with Namin (南人) and he ended up resigning government position and returned to home village. Meanwhile, Park Soo-geom authored Jinsatonggo (震史通考), Jungyongseokeui (中庸釋義), Chamdonggyegyojeong (參同契矯正) and Jeolweeyeopyeon (絶韋餘編). He also published annotation (註解書) on Zhuangzi (莊子). Like this, the academic world of Park Soo-geom was quite extensive accommodating historical studies, jingxue (經學), yixue (易學) and Zhuangzi (莊子) philosophy. These books share the characteristic of exploring me topic or chengzhuxue (程朱學) represented by yili (一理).

      • KCI등재

        지봉(芝峯) 이수광(李?光) 한시문학(漢詩文學)의 사실(寫實)과 한아(閑雅) 풍격(風格)

        박수천 ( Park,Soo-cheon ) 한국한시학회 2016 韓國漢詩硏究 Vol.24 No.-

        芝峯 李?光은 조선 중기 穆陵盛世를 대표하는 문인들 중의 한 사람이다. 그는 이 시기에 盛唐의 풍격을 높이 거론하며 시풍의 전환에 큰 역할을 수행했고, 또한 자신의 시작품으로 당풍의 문학성을 구현해 내었다. 이수광이 지향한 證故實의 학문 태도는 그의 시작품 창작에도 크게 작용해 경물의 寫實지향으로 나타났다. 그는 눈앞에 펼쳐지는 경물을 있는 그대로 작품에 담아내고자 했고, 시작품의 회화성을 중시하면서 `詩中有畵`의 논의를 작품으로 실천해 보였다. 寫實지향의 시적 태도는 그가 만나는 情景을 가급적 구체적으로 그려 눈으로 보는 듯이 절실하게 느낄 수 있는 작품을 창작하게 하였다. 이수광의 『芝峯集』에는 관료 문인으로서 충군애민의 의식을 담아낸 시작품이 적지 않게 수록되어 있다. 그는 <宮詞>에서 군왕을 그리워하는 궁녀의 애달픈 한을 노래하기보다, 爲民의 善政에 고심하고 노력하는 훌륭한 군주의 면모를 표현해 내 충군과 애민의 의식을 작품화하기도 했다. 이수광의 寫實정신은 實景의 묘사와 함께 實政의 祈願으로 그의 시작품에 나타났던 것이다. 寫實과 애민을 지향한 이수광의 시의식은 그의 작품 세계를 구성하는 하나의 큰 축이라 하겠다. 이수광의 한시 작품이 나타낸 대표적인 풍격은 閑淡과 雅麗라 할 수 있다. 閑淡의 풍격은 비교적 일상의 삶이나 자연과 산수를 읊조릴 때, 雅麗의 풍격은 여성적 정서를 담은 艶體나 환상적인 遊仙의 시편 등에서 더 잘 나타나는 편이다. 이러한 이수광 시문학의 풍격은 그의 盛唐 추숭 문학론과도 관련이 깊다. 이수광은 그의 문학론으로 唐詩를 말하면서 자연스러움과 함축의 표현을 매우 강조하였다. 이수광은 『芝峯集』에 비교적 많은 수의 艶情詩를 남겨 놓았다. 艶情을 소재로 한 작품이다 보니 그 전체적 분위기가 우아하고 곱게 펼쳐진다. 그의 시작품에서 雅麗, 婉麗, 溫雅 등의 풍격을 지적한 평가는 주로 이러한 여성적 정감을 다룬 艶情의 시에 많이 나타난다. 閑淡과 雅麗를 표현해 낸 이수광 시문학의 전체적 풍격은 그것을 한데 아울러 閑雅라 규정을 해 볼 수 있을 것이다. Jibong(芝峯) Yi, Soo-gwang(李?光) was one of famous writers during middle period of Josun(朝鮮) dynasty. He argued the literary theory about the best T`ang (盛唐) style on the Chinese classic poems. Also he wrote several works the T`ang style(唐風) and made a role of transition as the T`ang style. He intended to the proof-investigation on his study. So he wrote his poems such as expressing reality. His works showed the real scenery as if someone had seen the landscape seriously. Jibongjib(『芝峯集』) which is a book of Yi, Soo-gwang(李?光)`s literary works records many poems including the thought of loyalty and love-people. His sprit of reality made his poems showing the righteous politics as well as describing real scenery. The representative style of Yi, Soo-gwang(李?光)`s poem is Clean-elegance (閑雅). The comfortable and clean style was expressed the poems of daily life and nature. The pretty and elegance style was expressed the poems of woman`s life and fantastic fairyland. Such literary style are related deeply with his literary theory insisting the best T`ang(盛唐) style. Yi, Soo-gwang(李?光) remained many poems about love in his collection of works Jibongjib(『芝峯集』). The poems about love show such mood as pretty and elegance generally. Yi, Soo-gwang(李?光) poem`s general style is comfortable- clean and pretty-elegance, so we can call it Clean-elegance(閑雅) style totally.

      • KCI등재

        허수경 시의 색채 이미지 연구

        강수원(Soo-Won Kang) 동남어문학회 2022 동남어문논집 Vol.1 No.54

        허수경의 시에서 검은색과 흰색은 반복과 회귀의 방식으로 독특한 색채적 상징성을 드러낸다. 이러한 양상은 정서와 주제 의식을 심화하고 확대해내면서, 그만의 시적 미학성의 변별점을 형성해낸다. 또한, 그의 시에서 검은색과 흰색의 색채 이미지는 한 작품 속에서 혼재와 교착 양상을 이루면서 아상블라주(Assemblage)한 효과를 보여준다. 이는 이질적인 요소들의 조합이 만들어낸 새로운 가능성으로서, 두 색채가 각기 다른 작품들에서 대립적인 단일한 의미망을 형성하는 통념에서 진일보한 사유 양상이다. 허수경의 시에서 두 색채 이미지가 한 작품에서 혼재되고 교착되어 나타나는 경우, 주제 의식의 의미상 크게 대립성과 동질성의 두 가지 양상을 보인다. 이는 우선, 두 색채가 대립적인 색채 이미지로 나타나, 강자와 약자의 권력 구조를 도식화하는 상징성을 띤다. 하지만, 두 색채는 선악이나 강약의 대립적 의미가 고정되어 있지 않고 상호 전위되어 나타나, 시인의 열린 사고를 드러낸다. 반면, 두 색채 이미지가 동질적인 색채 이미지를 드러내는 경우에는 부정적인 동질성과 긍정적인 동질성의 두 가지 양상을 보인다. 즉, 검은색과 흰색이 모두 슬픔과 우울의 정서를 극대화하면서 부정적인 동질성을 드러내거나, 순수와 평화의 세계를 지향하고 희구하면서 긍정적인 동질성을 드러내 보인다. 이러한 양상은 흰색과 검은색을 정반대되는 색으로 여기는 통념에서 벗어난 것으로, 허수경만의 독특한 색채 의식을 드러내 보이는 지점이다. 이렇게 보면, 허수경의 시에서 검은색과 흰색의 색채 이미지는 단독으로 쓰인 경우보다, 한 작품에서 혼재되고 교착되어 나타날 때, 더 깊고 풍부한 의미망을 형성한다. 이는 색채 이미지의 상징성에 대한 시인의 창의적 상상력이 확대된 결과이며, 입체적이고 유동적인 색채 미학을 표출한 것으로, 검은색과 흰색의 교호 작용을 통해 색채적 상징성의 새로운 가능성을 확보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Black and white in Heo Soo-kyeong's poetry reveal unique color symbolism in a way of repetition and reversion. This aspect deepens and expands the emotion and the subject consciousness, which forms her own distinct poetic aesthetics. Furthermore, the black and white color images in her poems display an Assemblage effect, forming mixed and entangled aspects in one work. This is a new possibility created by a combination of disparate elements, a further level of thinking from the conventional wisdom that the two colors indicate an opposing single network of meanings in different works. In the case where the two color images are mixed and entangled in a single work, in Heo Soo-kyeong's poem, there appears two aspects of confrontation and coessentiality in the meaning of the subject consciousness. First of all, the two colors appear as opposing color images, which assumes the symbolism that schematizes the power structure of the strong and the weak. However, the meaning of these two colors can be interchangeable, not being fixed as an opposite between good and evil or strong and weak and, thereby presenting the poet's flexible way of thinking.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where the two color reveal coessential color images, they assume two aspects, negative coessentiality and positive coessentiality. In other words, both black and white reveal negative coessentiality by maximizing the emotion of sadness and depression, or positive coessentiality by aspiring after a world of purity and peace. This pattern deviates from the conventional wisdom that regards white and black as opposite colors, which is a point that reveals Heo Soo-kyeong's distinct sense of color. In this light, the color images of black and white forms deeper and richer semantic network when they appear to be mixed and entangled in one work than when used solely. This is the result of the poet's expanded creative imagination for the symbolism of color images, and it can be interpreted as the expression of multidimensional and fluid color aesthetics and securing new possibilities for color symbolism through the interaction of black and white.

      • 김수영과 신동엽 산문의 지시사 표현 양상

        김흥수 ( Heung Soo Kim ) 국민대학교 어문학연구소 2016 語文學論叢 Vol.35 No.-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expressive/stylistic functions of Kim, Soo-yeong and Shin, Dong-yeop`s prose and fi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two writers. In this analysis, the three main results are found. The deictic expressions perform the expressive/stylistic function in connection with discourse/text, based on grammatical/pragmatic function. The deictic expressions reflect the writers``attitude towards the situation and the periodic/social context. The two writers have shown the common ground and differences in the use of deictic expressions. The major points are as follows: The``이``group deictics reflect the writer`s attitude and periodic/social context. The choice of deictics reflect the writer`s cognitive/psychological attitude or distance. Especially, in Kim, Soo-yeong`s prose``저``reflects the negative or distant objects and in some cases point out North Korea. The emphasis related phenomena include repetition, concrete representation, and excessive prenominal construction. The repetition is described as following three features. First, the deictics are repeated as the anaphoric use and the flow of the context. Second, the deictics are represented, facing up a real situation or a situation in context. Simultaneously, the circumstances are generic and untransparent, representation is overlapped, adverbial anaphora ``-게``is being repeated. Third, the deictics is repeated to stress the presence of the object or the content meaning. In repetition, concrete representation, and excessive prenominal construction preferred in Kim, Soo-yeong`s. On the other hand, the emphasis on the identity or the property of the referential objects is preferred in Shin, Dong-yeop`s.

      • KCI등재

        한일회담, 베트남 그리고 김수영

        박수연(Park, Soo-yeon) 우리말글학회 2021 우리말 글 Vol.90 No.-

        김수영 시의 중심 주제가 1964년을 기점으로 변하고 있다는 사실에 대해서는 여러 논의들이 이미 있어왔다. 이 글은 그 중 김수영의 문학과 베트남의 관계에 대해 살펴보려는 것이다. 1964년과 1965년은 한일협정과 베트남 파병 결정이라는 역사적 사실이 확정된 때이다. 학계에서는 ‘65년 체제’라는 명칭을 이미 부여하고 있지만, 이 주제와 관련한 한국문학의 논의는 그다지 많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이렇다는 것은 65년 체제에 대한 우리 자신의 인식이 그다지 깊지 않다는 사실을 뜻한다. 이 문제를 김수영에게로 가져와서 우리는 다음과 같은 사항을 확인했다. 1) 한일협정과 베트남 파병이 당대의 동아시아 체제에 연동되어 있다는 점에서 근대 식민체제와 전후민주주의에 대한 김수영의 기억과 반응을 분석하고 김수영이 4.19의 시인인데서 멈추지 않고 제국적 질서에 대응하는 세계시민의 모습을 보이고 있다는 점. 이것은 그의 시의 역사적 층위이다. 2) 식민주의 체제에 대한 대응으로 망각이 아니라 개별자들의 소규모적 실천으로 실현하는 민주주의의 담론을 주장하고 있다는 점. 이것은 그의 시의 정치적 층위이다. 이는 당대 한국문학의 윤리에 대한 확인이기도 한데, 이 논문은 이 윤리가 당대의 베트남 전쟁과 관련되어 있음을 살폈다. There have already been many discussions about the fact that the central theme of Kim Soo-young’s poetry has changed since 1964.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Kim Soo-young’s literature and Vietnam. 1964 and 1965 were the times when the historical facts of the Korea-Japan agreement and the decision to dispatch troops to Vietnam were confirmed. Although the academic community has already given the name ‘65-year system’, it can be seen that there are not many discussions in Korean literature on this topic. This means that our own perception of the 65-year system is not very deep. Bringing this issue to Soo-young Kim, we confirmed the following: 1) In the sense that the Korea-Japan agreement and the dispatch of troops to Vietnam are linked to the East Asian system of the time, Kim Soo-young’s memory and reaction to the modern colonial system and post-war democracy are analyzed. Kim Soo-young does not stop as a poet of 4.19 rather shows the image of a global citizen responding to the imperial order. This is the historical layer of his poetry. 2) The point is that it insists on the discourse of democracy that realizes the response to the colonial system through small-scale practice of individuals rather than oblivion. This is the political layer of his poetry. This is also a confirmation of the ethics of contemporary Korean literature, and this thesis examines that this ethics is related to the contemporary Vietnam War.

      • KCI등재

        성폭력 피해자의 목소리 되살리기 : 박지원의 「함양(咸陽) 장수원(張水元) 의옥(疑獄)에 대해 순찰사에게 답한 편지」 연구

        황정수 ( Hwang Jeong-soo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21 민족문학사연구 Vol.77 No.-

        본고는 연암(燕巖) 박지원(朴趾源, 1737∼1805)의 「함양(咸陽) 장수원(張水元) 의옥(疑獄)에 대해 순찰사에게 답한 편지」를 분석함으로써 박지원이 하층 여성 대상 성폭력 사건의 심리에서 어떠한 점을 중시했는지를 살펴보았다. 본고는 작품 분석에서 다음의 측면에 유의하였다. 첫째, 성폭력 사건 판결에서 중시되어야 할 피해자의 목소리를 박지원이 어떻게 담아냈는지 주목하였다. 둘째, 이 작품은 문학사, 생활사, 법제사가 교차하는 텍스트로서, 학제적 방법론을 바탕으로 심층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 작품에서 박지원은 성폭력 피해자 한조롱이 자살하기 전 남긴 머리카락에 주목하였다. 한조롱의 머리카락은 피해 사실을 증언하고자 한 한조롱의 목소리를 상징한다. 머리카락의 의미를 서술함으로써 박지원은 성폭력 피해자를 위한 ‘대신 말하기’의 책무를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박지원은 피해자를 비난하며 사건을 왜곡하려던 가해자의 시도를 차단하였으며, 공적 담론에서 소홀히 다루어졌던 피해 여성의 감정과 목소리를 표면화하였다. 피해자의 목소리를 중시해야 한다는 박지원의 지향은 그의 법적 판단에도 일관되게 적용되었다. 박지원은 『대명률』의 위핍인치사 조에 따라 가해자 장수원을 사형에 처해야 한다고 생각하면서도, 현실적으로는 성폭력 사건에서 위핍인치사 조 적용에 보수적이었던 정조의 입장을 의식할 수밖에 없었다. 당대의 사법 관행을 염두에 두면서 피해자의 입장이 최대한 반영될 수 있도록 박지원은 위핍인치사에 버금가는 강간 미수의 죄율을 적용하자는 결론을 내렸다. 이러한 결론은 머리카락에 담긴 한조롱의 목소리에 근거한 것으로, 성폭력 피해자의 고통에 대한 박지원의 예민한 감수성을 보여 준다. This article examines Yeon-am(燕巖) Park Ji-won(朴趾源, 1737∼1805)’s perspective on sexual violence toward low class women by analyzing The Letter to Sunchal-sa(巡察使) on Hamyang Jang Soo-won’s Case. The analysis of this prose pays particular attention to the following aspects. First, how Park Ji-won expressed the victim’s voice in this letter, which is a crucial element in the case of a sexual violence. Second, taking an interdisciplinary approach to this work, since it is a literary, life history, as well as a legal history text. In this work, Park Ji-won paid attention to the sexual violence victim Han Jo-rong’s hair, which she left before committing suicide. Han Jo-rong’s hair represents Han’s voice and desire to testify her pain as a victim of sexual violence. Through narrating the meaning of her hair, Park Ji-won carried out his responsibility for ‘speaking for the other.’ It blocked the assailant’s attempt to blame the victim and distort the truth and allowed the female victim’s voice heard, which was often neglected in public discourse. Park Ji-won’s belief that the victim’s voice should be regarded important was also reflected in his legal judgment of this case. Though he thought that the assailant Jang Soo-won should be executed according to wee-peep-in-chi-sa(威逼人致死: harassment leading to death) clause of The Great Ming Code(大明律), Park practically had to consider Jung-jo’s conservative attitude in applying this clause to sexual violence cases. Park tried to consider the position of the victim as much as possible when determining Jang’s sentence, while keeping in mind the judicial practice of the time. Therefore, he concluded Jang should be punished for attempted rape, which was second in severity to the wee-peep-in-chi-sa crime. His conclusion was based on the voice of Han Jo-rong which was implied in her hair, and it shows his keen sensitivity to the pain of the sexual violence victim.

      • KCI등재

        梅軒 朴承稷과 蓮崗 朴斗秉의 生涯와 經營理念

        Sung Soo Kim(金聖壽) 한국경영사학회 2002 經營史學 Vol.28 No.-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lives and management philosophy of Maeheon Seung-Jik Park, the founder of Doosan Group and Yonkang Doo-Byung Park, the first son of him. And the secondary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lives and management philosophy of chairmen Soo-Chang Jung, Yong-Kan Park and Yong-Oh Park. Maeheon Seung-Jik Park is both a self-made and national entrepreneur who has constructed the foundation of establishment and development of Doosan Group, The commercial capItal that he has accomplished has been capitalized industrially by his son Doo-Byung Park to build Doosan Group. Doosan has been the root that has led the Korean business history of the last century and contributed to the formation of Korean national capital and economic development. In 1896, Maeheon Seung-Jik Park has started “Park Seung-Jik Sang lum”, from which the Korea first century-long enterprise has been grown by the active management activities of his son Doo-Byung Park, a professional manager Soo-Chang Jung, his grandsons Yang-Ken Park and Yong-Oh Park until 2000. Like this, Doosan could have grown during 100 years because of the unique management ideology and philosophy of the founder Maeheon Seung-Jik Park and Yonkang Doo-Byung Park, and the prominent entrepreneurial spirit from a professional manager Soo-Chang Jung to the third generations of Yong-Kon Park and Yong-Oh Park. First, that was the commercial spirit of Seung-Jik Park who has opened the founding period of Doosan, which has been based on the spirits of harmony among men, thrift and diligence, compromise, and national self-reliance. Furthermore, the management philosophy including harmony-first, thrift and diligence, honesty, cedit, royalty and filial piety, and Confucianism that has attached much importance to family line has been the final chance to achieve the management results. Second, the Chairman Yonkang Doo-Byung Park has succeeded in establishing the modern management system and changing the commercial capital into the industrial capital by following the will of his father, and contributed greatly to the construction of modern industrial foundation by establishing Doosan Group and dividing into capital and management. His management philosophy has been established into management of harmony among men, thrift and saving, honest management, creditable management, labor-employer harmony, customer satisfaction, and responsible management. Third, this has been supported by the management philosophy of professional manager Soo-Chang Jung, the third generation entrepreneur and chairman Yong-Kong Park, and the chairman Yong-Oh Park who has enforced restructuring successfully in entering upon the centennial anniversary of Doosan foundation. That is the very management principles of Doosan, which has become the 21st century management philosophy of Doosan; (1) Enterprise winning the love of customer, (2) Enterprise serving nation and people, (3) Enterprise fulfilling its social responsibility and (4) Enterprise with pride and self-confid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