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Effects of epigallocatechin gallate on CoCl_(2)-induced apoptosis in PC12 cells

        Yang, Kyu-Ho,Mo, Hyun-Chul,Choi, Nam-Ki,Kim, Seon-Mi,Kim,Won-Jae 大韓小兒齒科學會 2006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3 No.1

        Neuronal apoptotic events, consequently resulting in neuronal cell death, are occurred in hypoxic/ischemic condition. This cell death has been shown to be accompanied with the produc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ROS), which can attack cellular components such as nucleic acids, proteins and phospholipid. However, the underlying mechanisms of apoptosis induced in hypoxic/ischemic condition and its treatment methods are unsettled. Cobalt chloride (CoCl_(2)) has been known to mimic hypoxic condition including the production of ROS. Epigallocatechin gallate (EGCG). a green tea polyphenol, has diverse pharmacologial activities in cell growth and death. This study was aimed to investigate the apoptotic mechanism by CoCl_(2) and effects of EGCG on CoCl_(2)-induced apoptosis in PC12 cells. Administration of CoCl_(2) decreased cell survival in dose- and time-dependent manners and induced genomic DNA fragmentation. Treatment with 100 µM EGCG for 30 min before PC12 cells were exposed to 150 µM CoCl_(2), being resulted in the cell viability and DNA fragmentation being rescued. CoCl_(2) caused morphologic changes such as cell swelling and condensed nuclei, whereas EGCG attenuated morphologic changes by CoCl_(2). EGCG suppressed the apoptotic peak and a loss of Δψ_(m) induced by CoCl_(2). CoCl_(2) decreased Bcl-2 expression but Bax expression was not changed in CoCl_(2)-treated cells. EGCG attenuated the Bcl-2 underexpression by CoCl_(2). CoCl_(2) augumented the cytochrome c release from mitochondria into cytoplasm and increased caspase-8, -9 and caspase-3 activity, a marker of the apoptotic executing stage. EGCG ameliorated the incruement in caspase-8, -9 and -3 activity, and cytochrome c release by CoCl_(2). NAC (N-acetyl-cysteine), a scavenger of ROS, attenuated CoCl_(2)-induced apoptosis in consistent with those of EGCG. These results suggest, that CoCl_(2) induces apoptotic cell death through both mitochondria- and death receptor-dependent pathway and EGCG has neuroprotective effects against CoCl_(2)-induced apoptosis in PC12 cells. 신경세포자멸사는 저산소 및 허혈환경에서 일어나며 이러한 세포죽은 reactive oxidant species (ROS) 생성을 동반함이 알려져있다. 그러나, 저산소 및 허혈환경에서 일어나는 세포자멸사의 기전 및 그 치료방법은 아직 정립되어 있지 않다. CoCl_(2)는 ROS를 생성하는 등 저산소환경과 유사한 조건을 초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Epigallocatechin gallate (EGCG)는 녹차의 polyphenol 성분으로서 세포성장과 죽음에 다양한 약리학적 효과를 나타냄이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PC12 세포에서 CoCl_(2)에 의한 세포자멸사기전을 밝히고 이에 미치는 EGCG의 효과를 조사하는데 목적이 있다. Cell viability는 MTT 측정으로 조사되었고, DNA fragmentation은 DNA laddering으로 조사되었다. Bcl-2와 Bax발현 정도는 RT-PCR로, caspase-3와 -9의 활성은 spectrophotometer, caspase-8의 활성은 flow cytometry에 의해 측정되었다. 미토콘드리아에서 세포질로 분비된 cytochrome c는 western blot으로, 분해된 DNA 양과 미토콘드리아 세포막전위 (Δψ_(m))는 FACScan으로 조사되었다. CoCl_(2)투여로 PC12 세포수는 용량 및 시간 의존형태로 감소하였고, genomic DNA fragmentation이 발생하였다. CoCl_(2)투여로 야기된 cell viability의 감소와 DNA fragmentation은 EGCG 전처치에 의해 억제되었다. CoCl_(2)은 세포용적팽창과 condensed nuclei 같은 형태적 변화를 일으켰으며, apoptotic peak, Δψ_(m)감소 및 cytochrome c 유리를 야기하였다. EGCG는 CoCl_(2)에 의한 세포형태변화, apoptotic peak, Δψ_(m)소실 및 cytochrome c 유리를 억제시켰다. CoCl_(2)는 Bcl-2 발현을 감소시켰지만, Bax 발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EGCG는 CoCl_(2)에 의해 야기된 Bcl-2 발현 감소를 억제시켰다. CoCl_(2)는 caspase-3, -8, 그리고 -9의 활성을 증가시켰으며, EGCG는 CoCl_(2)에 의한 세포자멸사를 억제시켰다. 본 실험결과는 PC12 세포에서 CoCl_(2)가 미토콘드리아 의존 및 death receptor의존 기전으로 세포자멸사를 일으키며, EGCG는 세포자멸사기전을 억세지킴으로 신경보호기능을 가짐을 시사하였다.

      • 흉선종 제거후에 발생한 재생 불량성 빈혈 : 증례보고

        전원선,이상철,김현정,배상병,김찬규,이남수,박노진,이규택,박성규,홍대식,박희숙,원종호 순천향의학연구소 2007 Journal of Soonchunhyang Medical Science Vol.13 No.2

        Thymoma is associated with myasthenia gravis, Pure red cell aplasia, and autoimmune diseases such as autoimmune hemolytic anemia, aplastic anemia, and hypogammaglobulinemia. It's association with aplastic anemia is rare and aplastic anemia appearing after surgical removal of thymoma is especially rare. The authors hereby report a case of aplastic anemia occuring in a patient who was diagnosed with thymoma and myasthenia gravis and had the tumor surgically removed. The patient was treated with anti-thymocyte globulin, cyclosporin, and prednisolone, and showed partial remission with hematologic improvements after 12 months.

      • 마늘 製劑와 메리트靑 處理가 促成栽培 葡萄의 發芽와 成熟에 미치는 影響

        김선규,김승희 충북대학교 한국과학재단 지정 첨단원예기술개발 연구센터 1997 연구보고서 Vol.2 No.-

        마늘즙, 마늘즙의 에탄올 및 에틸 에테르 추출물, 양파즙, 양파즙의 에탄올 추출물, 마늘즙 및 마늘즙 에탄올 추출물과 메리트청 혼합물, 양파즙 및 양파즙 에탄올 추출물과 메리트청 혼합물, 그리고 메리트청 처리가 대봉과 델라웨어 포도의 발아, 개화 및 성숙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발아기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친 처리는 메리트청으로 단용, 혼용 모두 발아 촉진에 효과적이었다. 델라웨어의 조기가온 시험에서는 메리트청 단용처리, 후기가온에서는 메리트청 혼용처리가 발아기와 발아기간의 단축에 효과적이었으나, 발아율은 높지 않았다. 대봉에서도, 메리트청 처리구에서 발아가 일렀고, 2회처리가 1회처리보다 더 효과적이었다.발아율은 조기가온구에서 높았고, 후기가온구에서는 낮았다. 대봉에서는 델라웨어보다 가온 개시기의 차이가 발아에 더 큰 영향을 주었다. 개화기를 보면, 델라웨어에서는 메리트청 단용, 혼용 1, 2회처리가 모두 개화기를 앞당겼으며, 1, 2회의 차이는 크기 않았다. 조기가온에서는 2회처리에서 발아기 차이가 10일이었으며, 1회처리는 7일이었고, 후기가온에서는 1회처리에서 9일, 2회처리에서 6일이었다. 개화기간의 차이는 2-3일 밖에 되지 않았다. 대봉의 조기가온 및 후가가온구에서는 메리트청 혼용구에서, 특히 1회보다 2회처리로 개화기가 더 단축되었다. 개화기간은 2-4일로 길지 않았다. 수확기를 보면, 델라웨어 조기가온구에서 1회처리에서는 메리트청과 마늘즙 혼용구, 2회처리에서 단용구에서 수확기가 대조구보다 각각 13, 11일 단축되었다. 모든 처리구에서 대조구보다 수확이 일렀고, 수확기간은 2-3일이었다. 후기가온에서는 1회처리에서 마늘즙 에탄올 추출물과 메리트청 혼용구에서, 2회처리는 양파즙에서 5일 일렀고, 수확기간은 2일로 짧았다. 대봉 조기가온에서는 1, 2회처리 모두 대조구와 다른 처리구 사이에 큰 차이가 없었으며, 수확기간도 비슷하였다. 후기가온에서는 1, 2회 모두 메리트청 단용 및 혼용 처리구에서 수확기가 일렀으며, 특히 2회처리에서 양파즙 에탄올 추출물과 메리트청 혼용구가 대조구보다 12일 앞당겨진 것이 특징적이었다. 수확기간은 큰 차이가 없었다. Effects of garlic juice(GJ) and the extracts of ethanol(GJAE) and ether(GJEE), onion juice(OJ) and the ethanol extract(OJAE), garlic juice+Merit Blue(GJ+MB), ethanol extract of garlic juice+Merit Blue(GJAE+MB), onion juice+Merit Blue(OJ+MB), ethanol extract of onion+Merit Blue(OJAE+MB), and Merit Blue(MB) on budbreak, flowering, and maturity of Delaware and Daebong grapes were studied. MB alone or in combination was most effective for dormancy breaking. MB alone and in combination were effective for hastening the budbreak in respective early and late forcing culture in Delaware. But % budbreak was decreased by the treatments. In Daebong grapes, MB also hastened the budbreak, and double application was more effective. Percent budbreak was higher in early forcing than late forcing. And the beginning of the heating was more crucial for budbreak in Daebong than in Delaware. Flowering in Delaware was hastened by single or double application of MB. Differences in flowering date for early and late forcing were 10 and 6 days in double application, and 9 days in single application, respectively. In early and late forcing of Daebong grapes, the double application of MB in combination was most effective for hastening flowering. Harvest date of early forcing Delaware was hastened by all treatments, and single application of GJ+MB and double application of MB were more effective with respective hastening of 13 and 11 days. For late forcing, single application of GJAE+MB and double application of OJ were effective. Although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harvest date among treatments and number of applications in early forcing of Daebong, single and double applications of MB alone and in combination, especially double application of OJAE+MB hastened the harvest date in late forcing culture.

      • DIF와 시토키닌의 상호작용이 포도의 기내생장에 끼치는 영향

        김선규,김승희,조현정 충북대학교 첨단원예기술개발연구센터 1999 연구보고서 Vol.4 No.-

        주야간 온도 변화(DIF)와 시토키닌의 상호작용이 포도의 기내생장에 끼치는 영향을 구명하여 포도의 기내 대량증식체계를 확립하기 위하여 유럽종 양조용 품종 'Cabernet Sauvignon'과 생식용 구미잡종 'Campbell Early' 포도를 공시하여 metal halide lamp와 형광등으로 210μmolㆍm-2ㆍs-1의 광량자속밀도, 상대습도 70±5%, 16시간 광주기로 조절된 생육상에서 일련의 시험을 수행하였다. 주야간 온도는 25/25, 25/18, 18/25℃로 설정하였고, 시토키닌은 zeatin, kinetin, 2ip, BA및 TDZ를 단용 처리하였다. 모든 시험은 3반복으로 실시하였으며, 4주 후 생장과 분지, 그리고 생체중을 조사하였다. Cabernet Sauvignon 에서는 DIF처리와 상관없이 대조구가 신초의 생장이 가장 좋았는데 -7DIF에서 생장이 전반적으로 나빴다. 그리고 BA와 TDZ처리는 DIF에 영향을 크게 받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0DIF는 시토키닌의 농도가 높을수록 생장이 다소 좋은 경향을 나타냈고, kinetin 10mM은 87mm로 대조구를 제외한 시토키닌 처리구 가운데에서 가장 높았다. Campbell Early 에서 -7DIF에서는 Zeatin 5mM처리가 162mm로 대조구의 112mm 보다 생장이 좋았으며 +7DIF에서 kinetin 5mM처리가 110mm로 가장 좋았다. 0DIF에서는 Zeatin 5mM 처리가 162mm로 대조구보다 약 2배 정도 높은 생장을 보였다. Cabernet Sauvignon에서 분지수는 DIF처리와 관계없이 대조구는 1개가 분지 되었으며 모든 DIF처리에서 신초의 생장이 적었던 BA와 TDZ처리에서 분지가 많았다. 0, +7DIF에서는 BA 10mM처리가 약 4개로 나타났으며 -7DIF처리는 TDZ 5mM처리에서 가장 많았다. Zeatin, 2ip와 kinetin 처리는 분지가 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Campbell Early 에서도 같은 결과였다. 총절편체수는 Cabernet Sauvignon에서는 모든 DIF처리에서 BA 10mM 처리가 가장 많았다. 신초생장이 좋았던 CT와 Zeatin, 2ip, kinetin 보다 생장은 적었지만 분지수가 많았던 BA와 TDZ처리에서 총절편체수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Campbell Early 역시 Cabernet Sauvignon과 비슷한 경향을 나타냈으며, 0DIF처리가 -, +7DIF처리보다는 절편체수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Cabernet Sauvignon에서는 -7DIF처리에서 대체로 200mg 이하로 적었으며 시토키닌의 종류에 차이도 크지 않았다. 0DIF처리는 2ip 10mM 처리가 가장 높았으며, +7DIF에서는 TDZ 5mM이 대조구와 비슷하게 380mg을 나타냈다. Campbell Early는 +7DIF처리에서 BA 5mM을 제외한 나머지 모든 처리구에서 대조구보다 높게 나타났고 2ip 10mM이 410mg으로 가장 높았다. 0DIF처리는 Zeatin 5와 2ip 10mM처리가 900, 840mg으로 대조구의 약 8배에 달했으며, kinetin 10mM처리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7DIF처리에서 모든 처리구가 대조구보다 높았으나 다른 DIF처리보다는 낮았다. Shoot growth, number of shoots and fresh weight of Vitis vinifera L.'Cabernet Sauvignon' and Vitis labruscana B. 'Campbell Early' explants under three DIF levels, -7, 0 and +7, 210μmolㆍm-2ㆍs-1 provided by metal halide and fluorescent lamps, under 16hㆍd-1 photoperiod were studied. Basal MS media were supplemented with 5 and 10 mM BA, TDZ, Zeatin, 2ip, kinetin, respectively. In all media, 2.1gㆍL-1 gelite and 3% sucrose were used and cultured for 4 weeks. Shoot growth was significantly increased by control regardless of DIF in Cabernet Sauvignon and was suppressed by -7DIF. Effects of BA and TDZ were not affected by DIF. 0DIF enhanced the growth with increasing cytokinin level. Kinetin at 10 mM was most effective for shoot growth with 87mm among cytokinins used except for control. Zeatin and kinetin each at 5 mM significantly increased shoot growth to respective 162 and 110mm. In 0DIF, double increase of 162 mm was obtained by 5 mM zeatin. In control, no further shoot proliferation was observed in Cabernet Sauvignon regardless of DIF. In 0 and +7DIF, 4 shoots were observed with 10 mM BA. Zeatin, 2ip, and kinetin resulted in poor shoot proliferation. BA at 10 mM resulted in profuse branching in all DIFs.

      • KCI등재

        한국 성장기 아동의 Ⅲ급 부정교합 양상에 관한 두부방사선 계측학적 연구

        양규호,김선희 大韓小兒齒科學會 1995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22 No.1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nalyse the pattern of the Class Ⅲ malocclusion in Korean growing children. The cephlometric radiograms were taken from the growing children at 8 to 12 years old, then 11 items were statistically analy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1. As compared 11 items between Class Ⅲ malocclusion and normal occlusion,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on SNA angle, Maxillary incisor to point A(mm), Maxillary incisor-NA line(angle), Maxillary incisor to NA line(mm), IMPA, Facial angle and Pog to Nasion Perpendicular(mm) between Class Ⅲ malocclusion and onrmal occlusion. 2. The most common Class Ⅲ malocclusion pattern was found that the normal maxilla and madible followed by normal maxilla and prognathic mendible. 3. In vertical component of Class Ⅲ malocclusion, subjects with long lower facial height were 54% of the total but with short lower facial height were 10%.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