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Proposal of Flavihumibacter fluvii sp. nov. as a replacement name for the effectively published but invalidated epithet Flavihumibacter fluminis Park et al. 2022

        Park Miri S.,Sa Hyeonuk,Kang Ilnam,Cho Jang-Cheon 한국미생물학회 2023 The journal of microbiology Vol.61 No.6

        The name Flavihumibacter fluminis Park et al. 2022, which was effectively published but invalidated, is an illegitimate homonymic epithet of Flavihumibacter fluminis Guo et al. 2023. The low 16S rRNA gene sequence similarity and genomic relatedness between the type strains IMCC34837T and RY-1T of the two homonymic species indicated that they are different species. To avoid further confusion, we propose a new name Flavihumibacter fluvii sp. nov. to replace the effectively published but invalidated homonymic epithet Flavihumibacter fluminis Park et al. 2022.

      • KCI등재후보

        국립공원 내 백두대간 보전과 지속가능한 이용을 위한 정책연구

        허학영(Hag Young Heo),조우(Woo Sho),전근철(Geuncheol Jeon),최윤호(Yoonho Choi),유병혁(ByeongHyeok Yu),김미리(Miri Kim),심규원(Kyuwon Shim),장진(Jin Jang),박준효(Joonhyo Park),윤주웅(Juung Yun),박홍철(Hongcheol Park),남승민(Seungmin Na 국립공원연구원 2022 국립공원연구지 Vol.13 No.1

        본 연구는 국립공원 내 백두대간의 효과적 보전 및 탐방체계 개선을 위한 정책 방안을 도출하기 위해, 국립공원 내 백두대간 관련 논의 및 정책 동향 분석, 마루금 통제구간에 대한 현장 조사, 대국민 인식조사 및 관련 사례 고찰을 수행하였다. 대중의 관심 추세를 파악하기 위한 신문기사(1991-2019)와 검색량(2004-2019)을 분석한 결과 백두대간을 언급한 기사는 총 38,358건이었으며, 종주를 함께 언급한 기사는 1,413건(4%정도)이었다. 검색량에 있어서 2010년 이후 백두대간과 종주에 대한 검색량이 상대적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백두대간 통제구간을 포함한 연간 종주 인원은 400 여명으로 추정되며, 대국민 인식조사 결과 백두대간에 대한 인지도는 73.5%인반면 백두대간보호지역에 대한 인지도는 42%로 상대적으로 낮은것으로 나타났다. 69.1%의 응답자가 백두대간에 대한 방문 경험이 있으나 종주 목적의 방문은 15.7%로 상대적으로 낮으며, 향후 백두대간 종주 의향이 있는 응답자는 24.8%인 것으로 나타났다. 국립공원 내 백두대간 마루금 통제구간의 보전성⋅안전성을 평가한 결과 4개 공원 11개 구간 모두 전반적으로 보전성이 우수하며, 안전성 측면에서는 전반적으로 위험지역이 다수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국립공원 내 백두대간의 효과적 관리를 위해 적극적인 검토가 필요한 정책으로 ①“백두대간 마루금 종주 탐방문화”의 전환 추진, ②국립공원 내 백두대간 마루금 통제구간 보전 수단 강화, ③“고지대능선부 탐방로의 효과적 관리 방향” 도출을 위한 시범사업 추진, ④통제구역의 효과적 출입 관리를 위한 법적 근거 강화 등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s to derive the policy measures to effectively conserve and sustainable use the Baekdudaegan in National Parks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on policy trends, public awareness survey, on-site survey, and so on. As a trend of public concern, From 1991 to 2019, there were a total of 38,358 articles mentioning Baekdudaegan, and 1,413 articles( 4%) mentioning Jongju(successive climbing) together. In terms of search volume, the volume for Baekdudaegan and Jongju has decreased relatively since 2010. The annual number of visitors including the closed section was estimated to be 400. The public awareness survey showed that the awareness of Baekdudaegan was 73.5%, while the awareness of Baekdudaegan Mountains Reserve was 42%. 69.1% have visited Baekdudaegan, however, only 15.7% aim for Jongju(successive climbing). 24.8% of the respondents are willing to visit Baekdudaegan for Jongju(successive climbing) in the future. As a result of evaluating the conservation and safety of the Baekdudaegan Closed Section, all 11 sections of the park have excellent conservation values overall, and there are many dangerous areas in terms of safet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4 policies were suggested; ①to promote the transition of the “Baekdudaegan Visitation Culture”, ②to strengthen the means of conservation of the Baekdudaegan Closed Section in the National Park, ③to sketch a pilot project to derive “effective management directions of ridge trail” ④to strengthen the legal basis for effective access control of the closed section.

      • “Figur”-Konzeption des späten Rilke als Abstraktion

        Park MiRi(박미리) 한국카프카학회 2009 카프카연구 Vol.0 No.22

        본 논문은 릴케의 ‘형상’ 개념을 다루는 몇몇 오르페우스-소네트의 분석을 통해, 어떻게 후기 릴케의 형상 개념이 추상성의 강령으로서 나타나는지를 증명하려 한다. 그 경우 본고는 릴케의 형상 개념이 지시성의 배제 및 자기관련성을 의미한다는 테제에서 출발한다. 이를 증명하기 위해 오르페우스-소네트 1부 11번째, 12번째 소네트를 살펴보고, 이어서 2부의 18번째 소네트를 『신시집』의 「스페인 무희」와 비교 고찰하겠다. 11번째 소네트에서 형상은 지시대상의 부재를 가리키는 개념으로 등장한다. 왜냐하면 시가 대상으로 삼는 “기수”라는 별자리는 처음부터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기수와 말의 일치에서 생겨나는 별자리 형상 “기수”는 시의 중간에서 환각으로서, 단순한 순간적인 가상으로서 표명된다. 그럼으로써 메타언어적으로 기의와 기표의 일치로부터 성립되는 형상은 허구로서 입증된다. 형상의 본질적 허구성은 시의 마지막에서 인정된다. 요컨대 이 시에서 형상은 어떠한 존재론적인 효용성도 획득하지 못한다. 12번째 소네트에서 형상 개념은 “관련”과 동의어로 사용된다. 즉 우리 인간들의 진정한 실존은 관련 속에 있다는 것이다. 이 관련의 이미지는 대기 중에 눈에 보이지 않게 퍼져있는 전자파들에 의해 결합되는 안테나들의 상을 통해 표현된다. 보이지 않게 대기 중에 있는 관련은 “아득함”에 까지 뻗쳐 있다. “텅 빈 아득함”은 물질로 채워져 있지 않고 그 속에는 보이지 않는 관련들만이 있다. 즉 “아득함”이 지니고 있는 것은 보이지 않는 비물질적인 관련이다. 시는 형상을 구상하는 정신의 칭송으로 시작해서 지상의 찬양으로 끝난다. 앞의 소네트가 형상에 관한 존재론적인 질문에 이어 형상의 허구적 성격을 인정한 후, 이 시에서는 형상의 존재론적인 토대를 자연 속에서 찾으려는 시도가 이루어진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소네트의 형상의 존재론적 상태도 불확실하다. 왜냐하면 여기서 형상은 눈에 보이지 않는 비물질적인 관련들로서 지극히 추상적으로 나타나기 때문이다. 이 추상성이 릴케의 형상 개념의 핵심적인 특징이다. 이처럼 중기 릴케에게서 육체성을 지녔던 사물들은 후기에 이르러 지양되어 추상적 형상으로 된다. 중기의 시 「스페인의 무희」가 하나의 구체적 무희를 춤의 여러 단계에서 제시하고 무희의 많은 세부들을 일컫는 반면, 제2부 18번째 소네트에서 무희는 그녀의 운동으로부터 구별될 수 없다. 그녀의 구체적 형상은 춤의 운동으로 변환되어 나타난다. 형상화되는 것은 무희가 아니라 그녀의 운동의 흔적이고, 문제는 움직이는 육체적 형상이 아니라 운동의 형상이다. 춤도 중기의 시에서처럼 구체적으로 시작, 정점, 끝의 발전과정을 통해 묘사되는 게 아니라 기껏해야 추론될 수 있을 뿐이다. 무희와 춤은 완전히 소네트의 언어운동 속에 동화되어 있다. 「스페인의 무희」에서는 무희가 자신의 춤에 거리를 취하고 바라보는 반면, 이 소네트에서 무희는 춤 속에 포함되어 있다. 즉 춤과 무희는 서로 하나로 융합되어 있다. 또한 이 소네트에서 춤은 「스페인 무희」에서처럼 구체적 움직임들, 몸짓들, 걸음걸이를 통해 묘사되는 게 아니라, 춤과 연결되기에는 대단히 추상적으로 느껴지는 표현들, 예컨대 “운동으로부터의 나무”, “황홀의 나무”, “고요의 우듬지”, “열매”, “항아리”, “화병”에 비유된다. 마지막으로 이 소네트의 추상성은 비유 측면과 사실 측면의, 비본래적인 말과 본래적인 말의 분리될 수 없는 동일성에서 표명된다. 왜냐하면 전통적으로 비유 측면과 사실 측면의 이원성에 토대를 두는 메타퍼는 그럼으로써 이 소네트에서 성립될 수 없기 때문이다. 이 소네트에서는 형상이 메타퍼의 과제를 떠맡는다. 위의 시 분석들은 릴케의 형상 개념이 지시성의 상실을 함축한다는 결론에 이르게 한다. 이는 릴케의 형상이 추상화의 경향에 속한다는 점을 명백히 입증한다. 특히 마지막으로 언급된 소네트는 추상성을 언어적 형상화에서 직접 보여준다.

      • Microorganism-ionizing respirator with reduced breathing resistance suitable for removing airborne bacteria

        Park, Miri,Son, Ahjeong,Chua, Beelee Elsevier 2018 Sensors and actuators. B, Chemical Vol.276 No.-

        <P><B>Abstract</B></P> <P>In this paper, we have demonstrated the feasibility of using microorganism-ionizing respirators with reduced breathing resistance to remove airborne bacteria. Using a miniaturized corona ionizer and two pairs of separator electrodes, airborne bacteria were ionized and removed from the airflow. Two microorganism-ionizing respirator designs were experimentally evaluated with flow rates ranging from ∼10 to 20 L/min and yielded airborne bacterial removal efficiencies of ∼75%–100%. Further, they were in close agreement with the analytical airborne particle removal efficiencies, at a similar range of flow rates. These flow rates also correspond to the breathing rates of standing and walking adults. More importantly, the breathing resistance could be reduced by more than 50% for flow rates of ∼200 L/min. Using manganese (IV) oxide coated mesh, the ozone concentration in the air outflow was reduced to less than 0.1 ppm, at a flow rate of ∼20 L/min, thus enabling safe use. The power consumption was less than 1 W.</P> <P><B>Highlights</B></P> <P> <UL> <LI> We demonstrated the ability of microorganisms ionizing respirator to remove airborne bacteria. </LI> <LI> It uses miniaturized corona ionizer and separator electrodes. </LI> <LI> Airborne bacteria was electrically charged and removed from air flow. </LI> <LI> Its breathing resistance was less than that of commercial N95 respirator. </LI> <LI> Contributes to the comfort and ease of breathing of the wearer. </LI> </UL> </P> <P><B>Graphical abstract</B></P> <P>[DISPLAY OMISSION]</P>

      • KCI등재

        농촌지역의 사회적ㆍ환경적 특성을 반영한 재난관리 대책 방안 연구

        Miri Park,Young-Kune Lee 한국재난정보학회 2017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Vol.13 No.4

        본 연구에서는 농촌의 맞춤형 재난관리 역량 강화를 위한 재난대책 방안을 연구하였다. 이 를 위해 농촌의 사회적, 환경적 특성을 검토하여 농촌의 재난관점 특성을 도출하였다. 사회 적 특성으로는 농촌의 인구변화 추이, 재난피해를 입은 주민 인터뷰 등을 통한 재난의 직간 접적인 피해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환경적 특성의 경우 농촌의 지리․지형적 특성을 중심으로 농촌지역 내에 안전을 위협하는 요소 도출을 실시하였으며, 도시와 비교하여 재 난 대응 인프라의 차이가 어느 정도인지에 대해 정량적인 분석을 실시하였다. 해당 특성 분석을 통해 농촌지역에 특성에 맞는 재난대책 방안을 도출하였으며, 향후 이를 적용하기 에 앞서 재난 대책의 우선순위 선정 등의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In this study, a research on disaster countermeasures to strengthen the disaster management field of rural area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asures to cope with the disaster in order to enhance the rural disaster management capacity. For this purpose, social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the rural area were examined and the characteristics of rural disaster perspective were derived. As for social characteristics, we analyzed the direct and indirect damage of disaster through interviews with residents affected by disaster. In the case of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the factors that threaten the safety in the rural area were extracted based on the geographical and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the rural area and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difference of the disaster response infrastructure compared with the city was conducted.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further study the priority of disaster prevention in order to apply the disaster prevention method to rural areas.

      • Antibacterial activity of [10]-gingerol and [12]-gingerol isolated from ginger rhizome against periodontal bacteria

        Park, Miri,Bae, Jungdon,Lee, Dae-Sil John Wiley Sons, Ltd. 2008 Phytotherapy research Vol.22 No.11

        <P>Ginger (Zingiber officinale Roscoe) has been used widely as a food spice and an herbal medicine. In particular, its gingerol-related components have been reported to possess antimicrobial and antifungal properties, as well as several pharmaceutical properties. However, the effective ginger constituents that inhibit the growth of oral bacteria associated with periodontitis in the human oral cavity have not been elucidated.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ethanol and n-hexane extracts of ginger exhibited antibacterial activities against three anaerobic Gram-negative bacteria, Porphyromonas gingivalis ATCC 53978, Porphyromonas endodontalis ATCC 35406 and Prevotella intermedia ATCC 25611, causing periodontal diseases. Thereafter, five ginger constituents were isolated by a preparative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ic method from the active silica-gel column chromatography fractions, elucidated their structures by nuclear magnetic resonance spectroscopy and electrospray ionization mass spectrometry and their antibacterial activity evaluated. In conclusion, two highly alkylated gingerols, [10]-gingerol and [12]-gingerol effectively inhibited the growth of these oral pathogens at a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range of 6–30 µg/mL. These ginger compounds also killed the oral pathogens at a minimum bactericidal concentration (MBC) range of 4–20 µg/mL, but not the other ginger compounds 5-acetoxy-[6]-gingerol, 3,5-diacetoxy-[6]-gingerdiol and galanolactone. Copyright © 2008 John Wiley & Sons, Ltd.</P>

      • KCI등재

        Flavihumibacter fluminis sp. nov. and Flavihumibacter rivuli sp. nov., isolated from a freshwater stream

        Miri S. Park,Hyeonuk Sa,Ilnam Kang,Jang-Cheon Cho 한국미생물학회 2022 The journal of microbiology Vol.60 No.8

        Two Gram-stain-positive, aerobic, chemoheterotrophic, nonmotile, rod-shaped, and yellow-pigmented bacterial strains, designated IMCC34837T and IMCC34838T, were isolated from a freshwater stream. Results of 16S rRNA gene-based phylogenetic analyses showed that strains IMCC34837T and IMCC- 34838T shared 96.3% sequence similarity and were most closely related to Flavihumibacter profundi Chu64-6-1T (99.6%) and Flavihumibacter cheonanensis WS16T (96.4%), respectively. Complete whole-genome sequences of strains IMCC- 34837T and IMCC34838T were 5.0 Mbp and 4.3 Mbp of genome size with 44.5% and 47.9% of DNA G + C contents, respectively. Average nucleotide identity (ANI) and digital DNA- DNA hybridization (dDDH) values between the two strains were 70.0% and 17.9%, repectively, revealing that they are independent species. The two strains showed ≤ 75.2% ANI and ≤ 19.3% dDDH values to each closely related species of the genus Flavihumibacter, indicating that the two strains represent each novel species. Major fatty acid constituents of strain IMCC34837T were iso-C15:0, iso-C15:1 G and anteiso-C15:0 and those of strain IMCC34838T were iso-C15:0 and iso-C15:1 G. The predominant isoprenoid quinone detected in both strains was menaquinone-7 (MK-7). Major polar lipids of both strains were phosphatidylethanolamine, aminolipids, and glycolipids. Based on the phylogenetic and phenotypic characterization, strains IMCC34837T and IMCC34838T were considered to represent two novel species within the genus Flavihumibacter, for which the names Flavihumibacter fluminis sp. nov. and Flavihumibacter rivuli sp. nov. are proposed with IMCC34837T (= KACC 21752T = NBRC 115292T) and IMCC34838T (= KACC 21753T = NBRC 115293T) as the type strains, respectively.

      • KCI등재

        농촌지역의 사회적·환경적 특성을 반영한 재난관리 대책 방안 연구

        Park, Miri,Lee, Young-Kune 한국재난정보학회 2017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Vol.13 No.4

        본 연구에서는 농촌의 맞춤형 재난관리 역량 강화를 위한 재난대책 방안을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농촌의 사회적, 환경적 특성을 검토하여 농촌의 재난관점 특성을 도출하였다. 사회적 특성으로는 농촌의 인구변화 추이, 재난피해를 입은 주민 인터뷰 등을 통한 재난의 직간접적인 피해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환경적 특성의 경우 농촌의 지리 지형적 특성을 중심으로 농촌지역 내에 안전을 위협하는 요소 도출을 실시하였으며, 도시와 비교하여 재난 대응 인프라의 차이가 어느 정도인지에 대해 정량적인 분석을 실시하였다. 해당 특성분석을 통해 농촌지역에 특성에 맞는 재난대책 방안을 도출하였으며, 향후 이를 적용하기에 앞서 재난 대책의 우선순위 선정 등의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In this study, a research on disaster countermeasures to strengthen the disaster management field of rural area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asures to cope with the disaster in order to enhance the rural disaster management capacity. For this purpose, social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the rural area were examined and the characteristics of rural disaster perspective were derived. As for social characteristics, we analyzed the direct and indirect damage of disaster through interviews with residents affected by disaster. In the case of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the factors that threaten the safety in the rural area were extracted based on the geographical and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the rural area and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difference of the disaster response infrastructure compared with the city was conducted.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further study the priority of disaster prevention in order to apply the disaster prevention method to rural area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