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 Case Study of a Social Worker`s Permissive Attitude toward the Cursing of Multicultural Children in South Korea

        Kyung Eun Jahng(장경은),Seung Hee Song(송승희) 한국아동복지학회 2013 한국아동복지학 Vol.- No.44

        이 논문은 한국의 지역 복지관의 방과후 학교 프로그램에서 소수민족 학생이 경험하는 언어폭력과 사회복지사의 역할에 대해 논한다. 저자는 결함이론이 다문화가정 아동들에 대한 사회복지사의 관점에 얼마나 깊게 내재해있는가에 대해밝히고 어떻게 결함이론이 사회복지사가 아이들의 언어폭력과 관련된 문제들을 다루는 방식을 지배하는 가에 대해 주목한다. 연구 참여자인 사회복지사는 아이들을 부족하고 불우한 희생자로 보는 경향이 있었으며, 이러한 관점은 아이들이 경험하는 언어폭력에 대한 통제를 약화시켰다. 특히 다문화가정 아동들이 분리된 환경에 놓일 때 사회복지사의 허용적 태도에 의해 구체화된 다문화가정 아동에 대한 결함이론과 또래들의 말과 행동을 모방하려는 아동들의 경향성은 아동들의 언어폭력 경험을 유지시키고 순환시킬 수 있다. 이는 사회복지사들이 부지불식간에 아동들의 욕구와 정서적 안전을 도외시할 수 있는 위험에 놓이게 한다. 본 논문은 이러한 사례연구를 통해서 결함이론의 관점에 의해서 다문화가정 아동들의 가능성을 제한하기 보다는 그들의 장점과 가능성 및 잠재력에 초점을 맞추는 관점의 중요성을 강조하고자 한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examine multicultural children`s experiences of verbal violence and the role of social workers in an afterschool program at a social welfare center in South Korea. The researcher found the deficit theory to be deeply embedded in the social worker`s view of multicultural children. The researcher highlighted how it governed her ways of dealing with the issues of children`s verbal violence. As the social worker viewed multicultural children as victims who are deficient and deprived, their verbal violence were not constrained. Therefore, the conjunction of the deficit construction of multicultural children, embodied in a social worker`s permissive style, and children`s behavioral tendency to imitate how their peers talk and what they do maintains and circulates children`s verbal violence. This also puts social workers at risk of unwittingly neglecting children`s needs and emotional security. Therefore, this case study points out the importance of focusing on the strengths, possibilities, and potentials that multicultural children possess, rather than limiting their possibilities through the lens of deficit theory.

      • KCI등재

        Race, Society, and Power: Children‘s Peer Culture as a Site of Social Inequality Reproduction

        Kyung Eun Jahng 한국유아교육학회 2011 INTERNATIONAL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Vol.17 No.1

        Problematizing prevalent psychological/behavioral- and/or interpersonal-level discussions of race in early childhood, this paper investigates how race plays out in young American childrens peer culture and reproduces the adults world. Drawing on Foucaultian conceptual tools, the paper employs critical discourse analysis to analyze childrens conversations for a period of six months and addresses how race functions as part of the grid of intelligibility. I view childrens peer culture as a site where social inequality is reproduced through the function of a performative race. The paper concludes with suggestion of a strategic use of race, pointing out how simple avoidance or repression of race could perpetuate this racialized society by making its discursive power more invisible.

      • KCI등재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책임감 예측요인에 관한 연구

        장경은 ( Kyung Eun Jahng ),임효진 ( Hyo Jin Lim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5 유아교육연구 Vol.35 No.2

        Using the second-year data of Panel Study of Korean Children (PSKC), this article examines the variables predicting mothers’ parenting responsibility (measured by the priority of mothers on child rearing over their individual happiness). Cross tabulation was used to examine the relations between mothers’ parenting responsibility and sociodemographic variables, and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among sociodemographic variables, which were found to b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mothers’ parenting responsibility and mothers’ parenting-related variables. Logistic regression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 between a mother’s priority on child rearing and its predicting variabl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When emotional value of child is raised by one unit, the odds ratio of the outcome (a mother’s priority on child rearing) occurring is 1.088 times as large. As instrumental value of child is raised by one unit, the odds ratio of the outcome occurring is 1.113 times as large. Likewise, when instrumental parenting style is raised by one unit, the odds ratio of the outcome occurring is 1.119 times as large. However, when a mother’s level of education is raised by one unit, the odds ratio of the outcome occurring is 0.840 times as large. This indicates that it is significant for mothers to change their perceptions of child value and to acquire affectionate and responsive parenting styles for the purpose of promoting their parenting responsibility and thereby handling the issues related to low-birth rates. This study shows that it is necessary to reconstruct social structures as childcare-friendly environments and to seek practical ways of treating low fertility rates through microscopic approaches to mothers with infants. 본 연구는 한국아동패널 제2차년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2008년 의료기관에서 출생한 전국의 신생아 가구 중에서 1,882명의 어머니들을 대상으로 개인의 행복보다 자녀양육에 대한 부모 의무감을 우선시하는 경우 이를 예측하는 변인들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교차분석을 실시하여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들의 양육책임감과 사회인구학적 변인들 간의 연관성을 알아보고, 교차분석 결과 유의미하게 나온 사회인구학적 변인과 어머니의 양육변인 및 양육책임감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또한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자녀가치, 양육스타일, 양육지식, 양육스트레스 등을 포함한 어머니의 양육책임감 관련 변인들을 통해서 어머니의 양육책임감을 예측하는 변인을 알아보았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자녀에 대한 정서적 가치가 한 단위 증가할 때, 개인에 대한 행복추구보다는 자녀 양육에 대한 의무감을 가진 승산이 1.088배 높고 자녀에 대한 도구적 가치가 한 단위 증가하면 어머니의 양육책임감이 1.113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어머니의 도구적 양육스타일의 긍정성이 한 단위 증가할 때, 어머니가 양육책임감을 가질 승산은 1.119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어머니의 교육수준이 한 단위 증가할 때마다 어머니가 양육책임감을 가질 승산은 1.160배 감소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어머니의 자녀가치 인식이 변화하고 온정적이고 반응적인 양육방식을 습득하는 것이 어머니의 양육책임감을 높이고 나아가 저출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중요한 과제임을 시사 한다. 본 연구에서는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들을 대상으로 미시적 접근을 통한 저출산 문제 해결에 있어서 실천적인 방안 모색과 양육친화적인 사회구조 정립이 필요함을 보여준다.

      • KCI등재

        관계중심의 유아 인성교육

        장경은(Jahng Kyung Eun),송승희(Song Seung Hee)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16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20 No.1

        본 연구에서는 Nel Noddings(1984)의 ‘배려’ 개념을 이용해서 관계중심의 유아 인성교육을 위한 기초적인 단계로서 교사가 유아들을 대상으로 실천한 배려행동 경험과 그 경험의 의미가 무엇인지 알아보았다. 연구참여자는 서울시와 경기도 및 경상북도에 위치한 어린이집과 유치원 등의 교육현장에 재원 중인 만 5세 유아들과 그들의 교사들을 연구 참여자로 모집하여서, 6주에서 8주 간의 연구기간 동안 교사들은 자신들의 경험을 바탕으로 총 15-18회의 일지를 작성하였다. 필요한 경우 인터뷰를 추가로 실시하였고, 일지를 통해 수집된 자료는 코딩과 범주화 등의 질적자료 분석방법을 통해서 분석하고 하나의 연구문제당 4개의 주제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 따르면 교사들은 배려행동을 제각기 다른 방식으로 이해하고 실천하였으나 공통적으로 발견된 배려행동 경험은 두 가지로 나뉠 수 있다. 유아의 입장에서 생각하고 정서를 공감하는 보다 자연스러운 행동을 배려경험으로 실천한 경우와 유아의 자율성을 강조하며 친절과 칭찬으로 유아를 격려하는 기술적인 방법으로 경험한 경우였다. 교사의 배려행동 경험의 의미에 관해서 교사들은 그들의 배려행동이 자기반성의 통로, 배려에 대한 재고, 유아와의 라포 형성, 유아를 변화시키는 원동력의 의미를 지닌다고 보았다. 본 연구결과는 교사들은 유아들을 배려하기 위해서 어떠한 기술과 전략을 사용해야 하는지에 대해서 고민할 것이 아니라 타인을 돌보려는 자연적인 성향과 사랑을 함양할필요가 있다는 점과 교사교육을 통한 교사 배려교육이 유아인성교육의 출발점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Based on the concept of ‘caring’ developed by Nel Noddings (1984), this study examined teachers’ experiences of caring behavior for young children and its meanings as a basic step for relationship-based character education for children. The researcher recruited 5-year-old children and their teachers as research participants who attended or worked in child care centers and kindergartens located in the city of Seoul and the provinces of Kyonggi and northern Kyungsang. The participants completed 15-18 journals based on their caring experiences during the period of 6-8 weeks. When necessary, interviews were conducted. Data derived from the journals and interviews were analyzed by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such as coding and categorizing, which resulted in four themes per research question. According to the study, the teachers’ understanding of caring behavior varied, however, the common experiences that they had can include the following: Teachers were able to think from the point of view of a child and to have empathy for children’s feelings whereas some teachers emphasized children’s autonomy and employed techniques such as kindness and praise in order to care for children. In regard to the meanings of caring behavior which teachers constructed, they viewed caring behavior as the route to self-reflection, reconsideration of caring, formation of rapport with children, and dynamics for changing children. The finding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it is necessary for teachers to cultivate their love and natural inclination for caring others rather than to think about what techniques and strategies they should use, and that educating teachers about caring through teacher education could be the starting point of character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 KCI등재

        포스트모던 관점을 통한 한국의 유아 인성교육 담론 분석

        장경은(Jahng, Kyung-Eun)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13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77

        본 논문은 포스트모던 관점에서 한국의 유아 인성교육에 내재되어 있는 담론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교육과학기술부가 2011년에 출간한 『유치원 기본과정 내실화를 위한 인성교육 프로그램』을 분석함으로써, 경험주의, 주지주의, 토대주의, 국가시민성과 세계시민성 등의 담론을 논하였다. 분석 결과, 유아의 발달학적 특성으로 인해 지식 주입식 교육 보다는 경험과 실천을 통한 교육이 효과적일 것이라는 경험주의 담론과 보편적 덕목과 가치를 가르치고자 하는 주지주의 및 토대주의가 유아 인성교육에 내재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국내 유아 인성교육은 국가시민성과 세계시민성간의 중용을 추구하는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지금까지 유아 인성교육에서 주로 도덕적 앎을 강조하였기 때문에 도덕적인 감정과 실천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 교사교육에서 나딩스의 배려 개념과 자기반성이 유아 인성교육 내용에 포함되어야 하겠다. From a postmodern point of view, this paper analyzes discourses embedded in Korean character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The analysis of the National Character Education Program published in 2011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reveals the discourses such as experientalism, intellectualism, foundationalism, national citizenship, and cosmopolitanism. The belief that learning through experiences and practices is better than inculcating knowledge is based on child developmental knowledge. Moreover, character education depending on virtues and universal values reflects intellectualism and foundationalism. Korean character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tend to take the golden mean between national citizenship and cosmopolitanism. Since character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has emphasized moral knowledge,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moral emotions and practices. For this, the contents of character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can include the Noddings’ concept of caring and self-reflections particularly for teacher education.

      • KCI우수등재

        유아교사가 지각하는 사회적지지, 직무스트레스, 교사효능감이 소진 증후군에 미치는 영향의 조절된 매개모델

        장경은(Kyung Eun Jahng),김혜원(Hae Won Kim),최유리(Yu Ri Choi) 한국아동학회 2017 아동학회지 Vol.38 No.4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complicated interrelationships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ived social support, teacher efficacy, job stress, and burnout using a moderated mediation model. Although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on the direct effects among these variables, few studies have examin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se four variables simultaneously. The goal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we intended to understand whether decreasing social support leads to teacher burnout through job stress. This would confirm whether the hypotheses of resources conservations theory are applicable to early childhood teachers in South Korea. Secondly, we aimed to examine whether teacher efficacy as an individual factor has moder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other variables.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118 childcare teachers and 66 kindergarten teachers living in the Seoul and Gyeonggi provinces. Results: The relationship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burnout was found to be completely mediated by job stress. Also,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burnout varied according to the level of teacher efficacy, but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job stress did not change.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childcare centers and kindergartens to enhance social support from colleagues, thereby alleviating teacher job stress and burnout. We also suggest that teacher training be tailored to meet individual needs in strengthening teacher efficacy.

      • KCI등재

        한국 아동 복지의 형평성

        장경은(Kyung Eun Jahng) 한국아동복지학회 2012 한국아동복지학 Vol.- No.38

        본 논문은 현행 아동 복지 제도 중 보육정책과 저소득층 아동복지정책을 중심으로 모든 아동의 삶의 질이 복지 사업을 통해서 공평하게 보장받고 있는지를 살펴본다. 현재 시행되고 있는 보편적 보육 정책은 평등한 분배의 원칙에 따른다. 모든 아동들이 건강하게 양육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는 측면에서 잘 의도된 아동 복지 정책이기는 하지만, 자세히 들여다보면 복지의 중요 개념 중 하나인 사회적 위험에 대비한 불평등 완화의 목적에 부합하지 않고 있다. 즉 보편적 복지 추구의 이면에 저소득층 아동들을 위한 지원이 상대적으로 소외되어 있다는 점에서 아동들은 부모의 재산과 사회적 신분 등의 차이에 따라서 사실상 지속적인 불평등을 경험하게 된다. 보육정책을 구성하는 사회경제적 담론들을 알아보고 지역·시설유형별 보육정책과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 차이도 살펴본다. 그리고 시설유형별 보육의 질적 수준 차이와 이에 대한 개선책의 부재 등을 논한다. 또한 저소득층 아동복 지정 책에서 복지서비스의 질적 수준 향상과 종사자의 자질 향상 및 보수교육 강화 등의 필요성도 아동복지의 형평성 문제와 관련 지어 설명한다. 따라서 본 논문은 보육정책과 저소득층 아동들을 위한 복지 프로그램에 관련된 현재의 복지 수준을 논함으로써 아동복지가 단지 평등한 분배원칙이 아닌 형평성의 관점에서 점검해보고자 한다. 이는 평등한 분배라는 그늘에 가려진 아동 복지의 이면을 통해서 현재의 아동복지 정책이 일정수준 소득보장, 사회적 위험에 대비한 불평등 완화 그리고 최상의 서비스 제공이라는 복지의 기본 기능에 얼마나 충실한지 되짚어보기 위함이다. This paper examines whether the quality of life is ensured fairly for every child through the current child welfare policy, particularly focusing on the child care policy and the policy for children from low-income families. The present universal child care policy follows the principle of equal distribution. It is well-intended in that it aims to provide all children with the opportunity to have a healthy and sound development. However, when a close look is taken, the policy reveals that it does not meet the criteria of "welfare" which aims to alleviate the state of inequality to overcome social hazards. In other words, the universal welfare policy puts relatively less weight on supporting children from low-income families. Therefore, low-income children would experience sustained inequality based on the economic and social capital that their parents possess. This paper focuses on the problems of the current child care policy and discusses the child welfare policy in respect to child care and education for children from low-income families. The current discourses constituting the child care policy and the difference in child care quality across different types of child care centers is discussed. The importance of enhancing the quality of the child care programs for children from low-income families is also emphasized in this paper. This leads to the discussion regarding the issue of inequity in child welfare which is hidden by the well-intended principle of equal distribution, Whether the current child welfare policy performs the basic functions of welfare, such as a guarantee of minimum standards, social protection in the event of insecurity, and the provision of services at the best level possible is reexamined.

      • KCI등재

        Process Praise for Enhancing Young Children`s Self-esteem and Prosocial Behavior

        Jung Eun Chang(장정은),Kyung Eun Jahng(장경은) 한국아동복지학회 2014 한국아동복지학 Vol.- No.47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들의 친사회적 행동과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는데 있어서 과정중심 칭찬(process praise)이 일반적인(사람중심) 칭찬(person praise)보다 효과적인지 아닌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 연구를 위해서, 통제집단의 교사는 유아들에게 일반적 칭찬 방식을 사용하고, 실험집단의 교사는 유아들에게 과정중심칭찬을 함으로써 긍정적인 교실 환경을 구성하고자 칭찬활동 프로그램을 시행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에 위치한 유치원에서 임의로 두 학급을 선정하여 각 학급에 재원중인 총 40명의 유아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는 칭찬활동 프로그램에 참여한 아이들의 자아존중감과 친사회적 행동 점수는 향상되었고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사이에 나타난 점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이는 과정중심의 구체적 칭찬이 일반적 칭찬 방식보다 아이들의 친사회적 행동과 자아존중감을 발달시키는 데 더 효과적이라는 것을 시사한다. 그러나 자아존중감과 친사회적 행동에 관한 사전측정 검사에서 특정 점수 이상을 획득한 아이들의 경우, 프로그램 실시 후 측정검사 점수에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본 연구는 ANCOVA를 사용하여 칭찬활동 프로그램 참여에 따른 집단 간 변화된 능력차이를 알아보았고, Johnson-Neyman 분석을 사용하여 과정중심 칭찬의 잠재적인 영향력이 가지는 의미 영역(region of significance)을 살펴보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process praise is more effective than person praise in enhancing children`s prosocial behavior and self-esteem. For this study, teachers of the control group used person praise while teachers of the experimental group implemented a compliment activity program which was intended to construct a positive verbal environment by offering process praise. The study involved 40 5-year-old children in two different classes at a preschool located in Seoul, South Korea. This study used ANCOVA for the analysis of the results and the Johnson-Neyman procedure to provide additional evidence for the region of significance in the potential impact of process praise.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 indicating that process praise was more effective than person praise in developing children`s prosocial behavior and self-esteem. Interestingly, for children who scored above certain points in both self-esteem and prosocial behavior,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were foun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