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Gilbert 증후군에서 열량 제한 시험과 Phenobarbital 자극 시험의 의의(14예)

        이헌영,채경훈,정재훈,강윤세,김연수,문희석,박기오,이엄석,김선문,김석현,성재규,이병석,이강욱 충남대학교 의학연구소 2003 충남의대잡지 Vol.30 No.2

        Gilbert 증후군은 인구의 7%에서까지 나타날 수 있는 매우 흔한 증후군으로서 비진행성인 양성의 만성적 경과를 치하며, 간질환의 증상과 징후가 없는 경한 비포합형 고빌리루빈혈증이 특징인 일종의 체질적인 증상으로서 혈장 빌리루빈 농도에 대한 사춘기의 영향 때문에 10대와 20대에 자주 진단이 된다. 따라서 임상적인 중요성은 미약하지만 높은 빈도가 예상되는 점에 그 중요성이 부여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적정한 임상적 진단법으로 기왕에 소개된 열량제한 시험과 phenobarbital 유도 시험을 시행하고 이들의 진단적 가치를 알아보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1990년 7월부터 1999년 4월까지 충남대학교병원에 내원하여 HBsAg, IgG anti-HBc 및 anti-HCV가 음성이고, 간 초음파 스캔에서 이상이 없으며, 혈청 AST, ALT 및 AP가 정상인 비음주자에서 경한 비포합형 고빌리루빈혈증이 있는 14예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99m)Tc-DISID 스캔을 시행하였으며, 기저 치 총빌리루빈 및 포합형 빌리루빈 치를 측정한 다음에 하루에 400Kcal로 48시간동안 제한한 열량 제한 시험을 시행하였고, phenobarbital을 하루 60mg씩 5일간 투여한 후에도 각각 총빌리루빈과 포합형 빌리루빈 치를 검사하여 비포합형을 구하였다. 대상 환자들은 모두 14예로서 남자가 11예(78.6%)였고 여자가 3예(21.4%)여서 3.7:1로 남자에서 많았으며, 20대가 6예(42.9%), 30대가 역시 6예(42.9%) 및 40대가 2예(14.2%)로서 2,30대가 대부분(85.8%)이었다. 열량 제한 시험 후의 총빌리루빈 치, 비포합형 및 포합형 빌리루빈 치들은 평균 각각 5.5±2.7, 4.2±2.3 및 1.3±10mg/dL 로서, 시험 전 치들인 3.0±0.8, 2.2±0.8 및 0.7±0.4mg/dL 보다 유의하게(p=0.001, p=0.001, p=0.023) 상승하였다. 포합형 빌리루빈 치도 유의하게 상승하였으나 비포합형의 상승보다는 훨씬 낮아서 주로 비포합형이 증가하였다. phenobarbital 투여 중 설사가 발생하여 중단한 1예를 제외한 13예에서 열량 제한 시험 후에 상승하였던 총, 비포합형 및 포합형 빌리루빈 치가 phenobarbital 유도 시험후에는 2.0±1.1, 1.5±0.8 및 0.5±0.4mg/dL로서 열량 제한 시험 결과보다 유의하게 낮아졌고(p=0.00, p=0.000, p=0.001), 열량 제한 시험 전의 기초치들인 3.0±0.8, 2.2±0.8 및 0.7±0.4mg.dL 보다도 더욱 낮아졌으며 유의한 차이(p=0.001, p=0.02, p=0.005)를 나타내었다. 14예에서 시행한 ^(99m)-Tc DISIDA 스캔에서 9예(64.3%)가 정상이었고, 5예(35.7%)에서는 심장 및 신장으로의 간외 섭취가 3예였고, 60분까지 소장 배출이 없는 배설 지연 예와 담낭 수축 불량 예가 각각 1예 씩 발견되었다. Phenobarbital 투여시험에서 민감도가 열량제한시험에 비해 더 높았다(92.3%와 50.0%). Gilbert 증후군에서 1일 400 Kcal로 48시간의 열량제한 시험과 1일 60mg의 phenobarbital을 5일간 투여하는 유도 시험은 편리하고 유용한 임상적인 진단법으로 이용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열량 제한 시험에서는 증가 기준의 통일이 필요하다고 유추되며 phenobarbital 유도 시험이 민감도가 더 높은 것으로 생각된다. Gilbert's syndrome is very frequent and benign chronic process characterized by mild, intermittent, unconjugated hyperbilirubinemia without any symptom and sign of liver disease. Previously intoduced caloric restriction test and phenobarbital stimulation test as two appropriate clinical tests had been examined and their diagnostic values were reevaluated. Fourteen patients with mild, persistent, unconjugated hyperbilirubinemia were included. Subsequently caloric restriction has been applicated by 400 Kcal/day for 48 hours and phenobarbital has been prescribed by 60 mg/day for 5 days. Therafter serum levels of total and direct bilirubin were measured. Most of the patients were third and fourth decade(85.8%) and male predominant. Each basal serum levels of total, indirect and direct bilirubin were 3.0±0.8, 2.2±0.8 and 0.7±0.4 mg/dL. After caloric restriction test, each levels were increased significantly to 5.5±2.7, 4.2±2.3 and 1.3±1.0 mg/dL(p=0.001, p=0.001, p=0.023). After phenobarbital stimulation test for 13 patients had been practiced, increased levels of each bilirubin after caloric restriction test were decreased significantly to 2.0±1.0, 1.5±0.8 and 0.5±0.4 mg/dL(p=0.000, p=0.000, p=0.001) and these levels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basal levels(p=0.001, p=0.02, p=0.005). The sensitivities of caloric restriction test were 85.7%, 50.0%, and 71.4%, 35.7%(1.0, 1.5 mg increase of total bilirubin and 1.0, 1.5 mg/dL increase of indirect bilirubin). The sensitivities of phenobarbital stimulation test were 93.2% and 92.3% at criteria of 1.5 mg/dL increase of total bilirubin and indirect bilirubin. On the diagnosis of Gilbert syndrome, caloric restriction test and phenobarbital stimulation test are convenient and useful diagnostic tools in clinical face. And also phenobarbital stimulation test has higher sensitivity than caloric restriction test. Furthermore, standardization of bilirubin increment would be necessary in caloric restriction test.

      • KCI등재

        유구치 I급 와동에서 와동벽 위치와 중합광원에 따른 Microtensile Bond Strength 비교 연구

        이현헌,장철호,김영재,김정욱,장기택 대한소아치과학회 2007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4 No.1

        이번 실험에서는 중합수축 응력이 가장 크게 나타나는 유구치 I급 와동에서 와동벽의 위치와 중합광원의 변화에 의해 다르게 나타나는 응력의 차이를 microtensile bond strength (MTBS)를 이용하여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교합면 법랑질을 제거한 하악 제 2유구치 30개를 준비하여 I급 와동을 형성하였다. 제조사의 지시에 따라 상아질 접착제를 도포 후 3가지 중합광원: 할로겐 램프, 플라즈마,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하여 10개씩 광중합하였다. 복합레진을 한꺼번에 충전 후 각각의 중합기로 광중합하였다. 동일 치아에서 각각 치수벽과 축벽의 MTBS 측정용 시편을 제작하고 각 군을 중합광원과 와동벽 위치에 따라 할로겐 램프-축군, 할로겐 램프-치수벽군, 플라즈마-축벽군, 플라즈마-치수벽군, 발광다이오드-축벽군, 발광다이오드-치수벽군의 6개 군으로 분류하였다. 만능시험기에서 MTBS를 측정하고 파절편과 와동의 단면을 SEM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동일 중합광원에서 와동벽 간 비교는 T-test, 동일 와동벽에서 중합광원 간 비교는 One-way ANOVA와 Tukey's post hoc test를 이용하였고 Weibull 분포분석을 하였다. 동일 중합광원 군간 비교에서 모두 치수벽 시편의 접착강도가 축벽 시편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으며 동일 와동벽 군간 비교에서 모두 중합광원에 따른 접착강도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축벽 시편이 치수벽 시편보다 낮은 Weibull 변수(m)를 나타내었고 SEM 관찰 결과 축벽 시편에서 보다 더 불균일한 접착이 이루어진 것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present study was to determine whether different kinds of curing lights can alter microtensile bond strength(MTBS) of class I cavity pulpal and axial wall specimens in primary molar. Thirty clean mandibular 2nd primary molar's occlusal enamel were removed and class I cavity, size of 2×4×2 mm was prepared. Dentin bonding agent was applied according to manufacturer' s manual. Each group was cured with Halogen Curing Unit, Plasma Curing Unit and LED Curing Unit. Composite resin was bulk filled and photo cured with same curing unit. MTBS specimens which size is 0.7×0.7×4 mm were prepared with low speed saw. Specimens were coded by their curing lights and wall positions (Halogen - Axial wall group, Halogen - Pulpal wall group, Plasma - Axial wall group, Plasma - Pulpal wall group, LED - Axial wall group, LED - Pulpal wall group). MTBS were tested at 1 mm/min cross Head speed by Universal Testing Machine. Fractured surface and bonding surface was observed with SEM. T-test between axial and pulpal specimens in each curing lights, one-way ANOVA among different curing light specimens in each wall positions were done. Weibull distribution analysis was don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Mean MTBS of pulpal wall specimens were significantly greater than that of axial wall specimens at each curing units(p<.0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TBS among three curing units at axial wall and pulpal wall. In Weibull distribution, pulpal wall specimens were more homogeneous than axial wall specimens.

      • 제Ⅲ급 부정교합자의 안정위시와 /s/발음시 혀의 위치에 관한 두부방사선계측학적 연구

        이기헌,김종철 전남대학교 치과대학 1992 전남치대논문집 Vol.4 No.1

        Tongue posture at rest position of Class Ⅲ malocclusion is very important in malocclusion and phonation. Because Class Ⅲ malocclusion showes low tongue position, speech defect is commonly occured. This study was attempted to evaluate the correlationship between the tongue posture at rest position and during /s/ phonation and facial skeleton in centric occlusion. Thirty subjects with Class Ⅲ malocclusion who had no orofacial defects such as cleft palate, medical history of neurologic pathology, hearing defect and any previous speech therapy were selected. Ninety sheets of lateral cephalometric radiographs taken at rest position, during /s/ phonation and centric occlusion were traced, measured and statistically analysed.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 1. In Class Ⅲ malocclusion, the posture of tongu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position of hyoid body. The hyoid body was positioned anteriorly and inferiorly as the vertical facial skeleton was increased in centric occlusion. 2. In Class Ⅲ malocclusion, the vertical position of tongue tip at rest position was not correlated with facial skeleton in centric occlusion, but the horizontal position had low correlation with mandibular body length, APDI, and ?? to SN. 3. In Class Ⅲ malocclusion, there was the tendency that the dorsal position of the tongue was lowered as the vertical facial skeleton was increased. 4. In Class Ⅲ malocclusion, the vertical and horizontal position of tongue tip during /s/ phonation was not correlated with facial skeleton in centric occlusion.

      • 자율주행 차량의 經路推從에 關한 硏究

        이종성,최군호,조용석,박기헌 成均館大學校 科學技術硏究所 1996 論文集 Vol.47 No.1

        This paper treats the guide path tracking problem of an experimental automated guided vehicle. An experimental guide path is made of aluminium foil which has width of 2[cm]. When a aluminium foil is used as the guide path, this may be less stable than a conservative rail guide path. In this case, it is necessary to control the steering system which influences the system stability. A digital PD(Proportional and Derivative)controller is used to manipulate the steering system and it is verified by laboratory experiments that the designed AGV tracks the guide path within the range of 3.2[cm] deviation. In order to increase accuracy of the guide path tracking, it would be necessary to introduce the constant speed mode and slow-down speed mode according to the state of guide path.

      • SCOPUSSCIEKCI등재

        성견에서 수직적 골결손부에 골이식후 교정력 적용시기에 따른 치주조직의 반응

        이상열,이기헌,황현식 대한치과교정학회 2001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31 No.3

        본 연구는 수직적 골결손부에 골이식을 시행한 후 교정력 적용시기에 따른 치주조직의 반응을 알아보고자 시행하였다. 체중 15 kg 내외의 성견 9마리에서 상악 좌우측 제3절치의 원심 치근면에 수직적 골결손을 형성하고 치주질환을 유발시킨2주 후 치주판막술을 시행하고 골결손 기저부 수준의 치근면에 기준 흠을 형성하였다. 골이식 후 치유기간에 따라 2주군, 4주군, 6주군으로 각각 3마리씩 분류하고 우측 제3절치는 치주판막술만 하는 비이식측으로, 좌측 제3절치는 치주판막술과 골이식을 병용한 이식측으로 설정하여 양측 모두 술후 2주, 4주, 또는 6주부터 120 gm의 교정력을 적용하여8주 동안 치체이동 시킨 후2주간 보정하였다. 이후 동물을 희생시키고 조직표본을 만든 후 치주조직의 반응을 비교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모든 실험동물에서 비이식측에 비해 이식측의 골재생양이 많이 나타났다. 2. 6주군에서는 홈에서 백악-법랑 경계부까지 거리의 1/2이상 치조골과 백악질이 재생되었고 상피의 하방증식없이 결합조직대가 치근면과 부착을 이루었다. 3. 4주군에서는6주군과 유사한 치주조직 재생소견을 보였으나 그 양은 더 적게 나타났다. 4. 2주군의 경우 골재생이 양측 모두 홈에 한정되어 나타났으며 상피의 하방증식이 홈의 기저부까지 연장되고 백악질과 결합조직의 재생은 관찰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는 치주질환에 의한 수직적 골결손 환자에서 치주판막술과 골이식을 시행하고 교정적 치아이동을 할 경우 교정력 적용시기에 따른 치주조직의 반응이 차이가 있음을 시사하였다. (주요 단어 : 수직적 골결손, 골이식, 교정력 적용시기, 치주반응)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riodontal response according to the timing of orthodntic force application after bone graft into the angular bony defect. Nine dog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2, 4, and 6 weeks, according to the timing of orthodontic force application after bone graft. Periodontal angular bony defects were created surgically at the distal aspect of both maxillary third incisors. Two weeks later, flap operation was performed to eliminate inflammation and reference notch was made on the root surface at the level of the bottom of each defect. Demineralized freeze-dried bone was implanted on the left side whereas only debridement was done on the other side. Experimental tooth movement was executed during 8 weeks on both graft and non-graft sides. After 2 weeks of retention period, animals were sacrificed for histologic specimens. The results were obtained as follows : 1.New bone formation was more pronounced in the graft side than in the non-graft side in all experimental animals. 2.In the 6-week group, new bone and cementum formation was observed in more than half from the notch to the cemento-enamel junction, and the zone of connective tissue attachment was found without apical migration of junctional epithelium. 3.In the 4-week group, the amount of new bone formation was smaller than in the 6-week group whereas the overall remodeling pattern was similar. 4.New bone formation was confined to around the notch and the junctional epithelium migrated apically to the level of the notch with no connective tissue attachment and cementum formation in the 2-week group.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suggest that periodontal response may be influenced by the timing of orthodontic force application after bone graft into angular bony defect. Key words : Angular bony defect, Bone graft, Timing, Periodontal response

      • KCI등재

        백서 두개관세포에서 Ipriflavone이 골조직 개조에 미치는 영향

        이용승,김영준,이기헌,황현식 대한치과교정학회 2005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35 No.4

        본 연구는 ipriflavone (isopropoxyisoflavone)의 투여가 백서 두개관세포의 증식과 골조직 개조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시도되었다. 태령 20-21일째의 백서 두개관세포를 분리 배양한 후, 10^(-9) M부터 10^(-5) M까지 농도의 ipriflavone을 투여하고 1일째와 3일째에 MTT 분석을 시행하여 흡광도를 평가한 결과, 모든 농도에서 백서 두개관세포의 증식을 보이지 않았다. 한편 골조직 개조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14일째에 alizarin red염색을 시행하여, 형성된 석회화 결절 면적을 측정하였을 때, 10^(-8) M, 10^(-7) M, 10^(-6) M 농도를 투여한 경우 석회화 결절 형성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골아세포의 분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ipriflavone을 투여하고 7일째와 14일째에 추출한 RNA를 역전사 중합효소 연쇄반응(RT-PCR)을 시켜 bone sialoprotein (BSP), type 1 collagen (COL I), osteocalcin (OCN) 유전자 발현을 관찰한 결과 BSP와 COL I 유전자는 배양 7일째 높은 발현을 보였고, OCN 유전자는 배양 14일째 높은 발현을 보였다. 이상의 연구결과 ipriflavone이 백서 두개관세포에서 석회화를 촉진시키고 골아세포의 분화에 관여하는 BSP, COL I 및 OCN 유전자 발현을 증가시켜 골조직의 개조를 빠르게 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lpriflavone (isoprofoxyisoflavone), a synthetic derivative from soy isoflavone diazein, has been shown to inhibit bone resorption and perhaps stimulate bone formation.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ipriflavone on the proliferation and bone remodeling in rat calvarial cells in vitro. The rat calvarial cells were isolated from fetus aged 20 to 21 days and cultured in BGJb media. The graded concentration of ipriflavone (10^(-9)-10^(-5) M) was administered into cultured cells. When the cell proliferation was estimated through the measurement of MTT assay, there was no increase in cellular proliferation of the rat calvarial cell at any ipriflavone concentration. The cellular activity was evaluated through the formation of mineralized nodules stained by alizarin red. The formation of mineralized nodules significantly increased at concentrations of 10^(-8) M, 10^(-7) M and 10^(-6) M ipriflavone.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 analyses (RT-PCR) were done at 7 and 14 days after culture to detect the expression of Bone Sialoprotein (BSP), Type I collagen (COL I) and Osteocalcin (OCN). As a result, the expressions of BSP and COL I increased of the 7th day of culture and the expression of OCN increased on the 14th day of cultur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ipriflavone facilitates the bone remodeling process by promoting rat calvarial cell differentiation and stimulating mineralization through increased expression of extracellular matrix genes, such as BSP, COL I and OCN.

      • KCI등재

        전기도금한 교정용 스테인레스스틸 선재의 세포독성에 관한 연구

        이계형,조진형,이기헌,황현식 대한치과교정학회 2005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35 No.2

        본 연구는 전기도금을 이용하여 교정용 스테인레스스틸 선재의 직경을 증가시킨 후 세포독성을 알아봄으로써 이의 임상적 적용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시행되었다. 시판되고있는 교정용 스테인레스스틸 선재에 전기도금 방법을 이용하여 니켈을 도금한 후, 이를 도금하지 않은 교정용 스테인레스스틸 선재 그리고 티타늄 또는 구리와 비교하기 위하여 이들을 배지에 넣고 72시간 배양하였다. 이 배양액을 금속 유리량 측정을 위해 ICP-AES(inductively coupled plasma atomic emission spectrophotometer) 분석을 시행한 결과 전기도금한 선재에서 많은 양의 니켈 이온이 유리되었으며, 구리에서는 많은 양의 구리 이온이 유리되었다. Microplate에 Balb/c 3T3 mouse fibroblast를 넣고 각 선재를 배양한 배양액을 75%, 50%, 25%로희석시켜 첨가한 후 MTT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 tetrazolium bromide)분석을 시행하여 이를 배지만을 첨가한 경우와 흡광도를 비교하였다. 티타늄은 모든 농도에서 배지만을 첨가한 경우에 비해 흡광도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전기도금한 선재(p<0.001), 스테인레스스틸선재(p<0.05), 구리(p<0.001)는 배지만을 첨가한 경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흡광도 감소를 보였다. ISO 10993, part5에 따라 구리는 "강한 독성"을 보이는 반면 티타늄과 스테인레스스틸 선재는 "무독성", 그리고 전기도금 선재는 "중등도 독성"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는 전기도금을 이용하여 교정용 선재의 직경을 증가시키는 방법이 임상에 적용되기 위해서는 세포독성을 줄이기 위한 추가의 연구가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ytotoxicity of orthodontic wire which had an increased diameter through electroplating, and to evaluate its possoble clinical applications. First nickel plating was carried out on the commercially available stainless steel wire using an electroplating technique. For the comparison of the electroplated wire with ready made stainless steelwire and titanium or copper, each wire was incybated for 72 hours in a medium. The release of the metal ion was measured using ICP-AES(Inductively Coupled Plasma Atomic Emission Spectrophotometer). Balb/c 3T3 mouse fibroblast was put on a microplate and placed in an incubated medium of 75%, 50%, and 20% dilation. An MTT analysis was used to compare with the medium only. The changein absorbency value of each wire group and the difference of absorbency value according to the change of dilution was measured. The results of ICP-AES analysis showed that great amount nickel ion was isolated from electrpolated orthodontic wires and great amount copper ion was isolated from copper.The results of the MTT analysis showed that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absorbency value of titanium at any dilution. However the electroplated wires(p<0.001), the stainless steel wires(p<0.05) and the copper(p<0.001)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medium only at all dilutions. Assessment as per ISO 10993, part5, showed that electroplated wire was alloted to "moderate cytotoxic", the titanium and stainless steel wire were "non-cytotoxic".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electroplated or thodontic wires need additional efforts to dectease cytotoxicity for their clinical applic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