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제2형 당뇨병환자에서 ApoB/ApoA-I Ratio와 대사증후군 및 대사증후군 각 요소와의 관계

        김정은 ( Jung Eun Kim ),김화영 ( Wha Young Kim ),이윤정 ( Yoon Jung Lee ),박지은 ( Ji Eun Park ),최영주 ( Young Ju Choi ),허갑범 ( Kap Bum Huh ),황지윤 ( Ji Yun Hwang ) 대한당뇨병학회 2009 Diabetes and Metabolism Journal Vol.33 No.2

        연구배경: Apolipoprotein B/apolipoprotein A-I 비율(ApoB/ApoA-I)은 대사증후군의 중요한 임상적 지표이다. 하지만, 한국인 제2형 당뇨병환자들을 대상으로 ApoB/ApoA-I과 대사증후군의 관련성을 살펴본 연구는 미미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ApoB/ApoA-I과 ApoB/ApoA-I 사분위에 따른 대사증후군 및 대사증후군 각 요소별 위험도를 보았다. 방법: 대상자는 서울의 당뇨병 전문 클리닉 허내과를 방문한 제2형 당뇨병환자 812명 (남자 424명, 여자 388명)이다. 이들을 성별로 ApoB/ApoA-I의 사분위에 따라 네 군으로 나누었다(가장 낮은 군:Q1-가장 높은 군:Q4). 체위, 혈액성상 및 식품섭취 빈도조사지를 통한 식이섭취량이 측정되었다. 결과: 대사증후군의 유병률은 남자 47.9%, 여자 66.5%였다. 대사증후군과 대사증후군의 각 위험요소에 대한 OR은 남녀 모두 ApoB/ApoA-I의 Q2에서 Q4로 갈수록 유의하게 증가했다(남자: OR=5.37; 95% CI=2.98-9.65 and OR=7.41; 95% CI=4.04-13.6; 여자: OR=2.57; 95% CI=1.28-5.15 and OR=8.49; 95% CI=4.28-16.8). 이러한 경향은 남녀 모두에서 연령, 당뇨 유병기간, 공복 혈당, 대량영양소를 보정한 후에도 변하지 않았다(남자: OR=5.24; 95% CI=2.80-9.24 and OR=7.98; 95% CI=4.09-15.6; 여자: OR=3.54; 95% CI=1.84-6.81, OR=4.41; 95% CI=2.26-8.61, and OR=8.29; 95% CI=3.85-17.8). 결론: 본 연구에서는 당뇨병환자에서 가장 중요한 인자 중 하나인 다량 영양소 섭취량을 포함한 대사증후군의 위험요인을 보정하기 전과 후 모두 ApoB/ApoA-I이 증가 할수록 대사증후군 및 대사증후군 각 요소의 위험도가 증가했다. 향후, ApoB/ApoA-I 증가와 대사증후군 및 대사증후군 각 요소의 위험도에 대한 정확한 평가를 위해 ApoB/ApoA-I과 관련한 식이위험요인에 대한 전향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Background: The Apolipoprotein B/apolipoprotein A-I ratio (apoB/apoA-I) is a powerful clinical indicator of metabolic syndrome. However, few studies have searched for an association between ApoB/ApoA-I and metabolic syndrome in Korea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We investigated the relation between ApoB/ApoA-I and the risk of metabolic syndrome and its components. Methods: Subjects were 812 (424 males and 388 females) Korean patients who were being treated for type 2 diabetes at Huh`s Diabetes Center in Seoul. The patients were classified into quartiles (lowest:Q1- highest:Q4) of ApoB/ApoA-I by gender. Anthropometric and hematological characteristics and dietary intake using a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were assessed. Results: The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in our sample was 47.9% in males and 66.5% in females. The odds ratios (OR) for metabolic syndrome and for having its component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from Q2 to Q4 quartiles of ApoB/ApoA-I in males (OR = 5.37; 95% CI = 2.98-9.65 and OR = 7.41; 95% CI = 4.04-13.6) and females (OR = 2.57; 95% CI = 1.28-5.15 and OR = 8.49; 95% CI = 4.28-16.8). These trends withstood adjustment for age, duration of type 2 diabetes, fasting blood glucose levels, and macronutrient intake both in males (OR = 5.24; 95% CI = 2.80-9.24 and OR = 7.98; 95% CI = 4.09-15.6) and in females (OR=4.41; 95% CI = 2.26-8.61 and OR = 8.29; 95% CI = 3.85-17.8). Conclusion: ApoB/ApoA-I appeared to be independently associated with risk of having metabolic syndrome and its components in Korea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after adjustment for putative risk factors including macronutrient intake, a particularly important lifestyle factor for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A follow-up study of this population should evaluate the mechanisms underlying the relation between ApoB/ApoA-I and metabolic syndrome and its components. (Korean Diabetes J 33:143-154, 2009)

      • 요로감염에서 대장균의 항생제 저항성 변화에 대한 고찰

        허정식,윤여민,홍정연 제주대학교 생명과학연구소 2003 제주생명과학연구 Vol.6 No.1

        Purpose: Escherichia coli is the most frequent pathogenic agent of urinary tract infection, causing a wide spectrum of clinical syndromes from asymptomatic cystitis to pyelonephritis or sepsis. We studied the changes of antibiotic sensitivity to E.coli of urinary tract infection for alternative years in order to give some useful informations about the choice of adequate drug in the treatment of UTI. causing E.coli. Materials and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hospital charts of 185 cases with causative E.coli of urinary tract infection, who were admitted to or visited the hospital and had more than 10^(5)cfu/ml on urine culture in 1998, 2000, 2001 and 2002. Results: In E.coli isolates, resistance to six antibiotics changed significantly: ampicillin(57.14%, 84.38%, 85.07%, 55.10%), amoxacillin+clavulate(44.44%, 16,42%, 4.17%), ticacillin(84.62%, 75%, 86.67%, 51.14%), ticacillin-clavulate (0%, 51.35%, 11.94%, 4.08%), and trimethoprim(0%, 75%, 59.62%, 28.57%). Conclusion: Using ampicillin, trimethoprim/sulfamethoxazole as the first choice in the treatment of UTI should be reconsidered in Jeju.

      • KCI등재

        변연골 흡수가 내측연결 임플란트 매식체의 응력분포에 미치는 영향

        윤미정,윤민철,엄태관,허중보,정창모 대한치과보철학회 2012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50 No.2

        Purpose: The change of the marginal bone around dental implants have significance not only for the functional maintenance but also for the esthetic success of the implan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load transfer of internal conical joint type implant according to marginal bone resorption by using the three-dimensional finite element analysis model. Materials and methods: The internal conical joint type system was selected as an experimental model. Finite element models of bone/implant/prosthesis complex were constructed. A load of 300 N was applied vertically beside 3 mm of implant axis. Results: The pattern of stress distribution according to marginal bone resorption was similar. The maximum equivalent stress of implant was increase according to marginal bone resorption and the largest maximum equivalent stress was shown at model of 1 mm marginal bone resorption. Although marginal bone loss more than 1mm was occurred increasing of stress, the width of the stress increase was decreasing. Conclusion: According to these results, the exposure of thin neck portion of internal conical joint type implant is most important factor in stress increasing. 연구 목적: 지금까지 성공적인 임플란트 치료를 위해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며, 임플란트 주변 골 흡수 현상에 대한 연구는 매우 관심이 높은 분야 중 하나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삼차원 유한요소응력분석을 이용하여 변연골 흡수가 내측연결 임플란트 매식체의 기계적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간접적으로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 재료 및 방법: 악골에 식립된 내측연결 형태의 임플란트 매식체에 티타늄 소재의 임플란트 지대주를 지대주 나사로 연결하고 상부에 금합금관을 장착하는 삼차원 유한요소모형을 설계하였다. 0, 1, 2, 3 mm의 변연골 흡수 상태를 적용하고, 교합면 중심에서부터 3 mm 편측에 300 N의 수직 하중을 가하여 임플란트 매식체에 발생하는 최대 주응력을 계산하였다. 결과: 유한요소분석결과 변연골 흡수에 따른 임플란트 매식체의 최대 주응력 분포는 유사한 양상을 보였으며, 임플란트 매식체 상단에서 가장 높은 응력 집중이 나타났다. 최대 주응력은 처음 1 mm 변연골 흡수를 가정하였을 때 가장 크게 증가하였고, 이후 변연골 흡수가 증가할수록 응력은 증가하였지만 응력 증가의 폭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결론: 이러한 결과로부터 내측연결 임플란트에서 매식체 두께가 얇은 경부의 노출은 변연골 흡수로 인한 응력 증가에 가장 큰 원인임을 알 수 있었으며, 매식체의 변형, 균열 및 파절 등의 기계적 실패를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이에 대한 외과적, 보철적 고려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 SCIESCOPUSKCI등재
      • KCI등재

        금 합금 보철물의 교합면 삭제로 인한 임플란트-골 계면으로의 열전달에 관한 연구

        조재영,강선녀,정창모,윤미정,허중보,전영찬 대한치과보철학회 2012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50 No.1

        연구 목적: 임플란트-골 계면에서 발생하는 과도한 열은 골유착을 저해하여 임플란트의 실패를 유발한다. 이에 이번 연구에서는 임플란트 금 합금 보철물의 교합면 삭제시 임플란트-골 계면으로의 열전달 양상과 냉각 방식의 효율성을 알아 보고자 하였다. 연구 재료 및 방법: 온도 감지 장치 제작을 위하여 Internal cone 연결형태의 임플란트에 16개의K형 열전대를 부착하여 아크릴릭 레진에 포매하였다. 치과용 금 합금과 주조용 abutment를 사용하여 교합면에 3개의 요철을 가지는 시편을 10개 제작하였고, 연결 나사를 이용하여 임플란트와 연결한 뒤 온도 감지 장치를 37℃로 유지되는 수조에 위치시켰다. 저속 핸드피스와 green stone bur를 이용하여 30초 동안 보철물의 요철을 삭제하였는데, 무냉각군, 공기 냉각 군, 물 분사 냉각 군으로 나누어 요철을 삭제하였다. 보철물이 삭제 되는 동안 임플란트의 부위별로 온도가 0.05초 간격으로 기록되었고, 삭제를 멈춘 뒤에도 무 냉각 군의 경우 임계 온도인 47℃ 이하로 온도가 하강할 때까지, 공기 냉각군과 물 분사 냉각군의 경우 삭제 중단 후 30초 동안 추가로 온도를 기록하였다. 냉각 방식에 따른 임플란트-골 계면의 온도를 알아보고, 임플란트의 부위별 온도변화의 유의차를 알아보기 위하여 one-way ANOVA를 실시하였고, Turkey HSD 이용하여 95% 유의수준에서 사후 검증하였다. 결과: 무 냉각 군은 임플란트-골 계면의 온도가 47℃ 이상으로 상승하였으며, 임플란트의 경부에서 유의하게 높은 열이 측정되었다(P>.05). 공기냉각군과 물분사 냉각군은 임플란트-골 계면의 온도가 47℃ 이하로 유지되었다. 무 냉각 군에서 임플란트 경부의 온도가 47℃에 도달되는 데는 약 10.8 ± 1.5초가 소요되었다. 공기 냉각 군과 물 분사 냉각 군 사이에서는 임플란트-골 계면 온도의 유의차가 없었다(P>.05) 결론: 이상의 결과로부터 임플란트 금 합금 보철물의 교합면 삭제 시, 임플란트 주위 조직에 위해를 가할 수 있는 임계 온도 이상의 열이 발생했음을 알 수 있었으며, 냉각방식은 공기 냉각과 물 분사 냉각 모두 효과적이라고 생각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emperature change along the implant-bone interface induced by grinding the occlusal surface of implant gold prosthesis and to compare the temperature generated by grinding of prosthesis with different cooling methods. MATERIALS AND METHODS. The experimental gold prostheses were fabricated with dental gold alloy and castable abutment. The prostheses had 3 cylindrical protrusions on the occlusal surface with 1mm in height. Temperature was measured using 16 thermocouple wires attached to the implant fixture surface and the fixture was embedded in an acrylic resin block inside the 37℃ water bath. Cylinders were grinded for a period of 30 second with a low-speed handpiece with green stone point. One cylindrical protrusion was grinded without cooling, the second one was grinded with air blow, and the third one was grinded with water-spray. RESULTS. The mean maximum temperature was measured more than 47℃ of the implant and the maximum temperature was measured at the cervical portion of the implant in the group without cooling.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 without cooling and the groups with cooling (P<.05).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t all portion of implant in the groups with cooling (P>.05).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pport that the grinding of implant gold prosthesis without cooling may damage the peri-implant tissue. The continuous use of air blow and water-spray adjacent to prosthesis during the grinding of implant gold prosthesis may prove to be beneficial for cooling of the implant.

      • KCI등재

        임플란트의 collar design이 변연골과 연조직에 미치는 영향

        유현상,강선녀,정창모,윤미정,허중보,전영찬 대한치과보철학회 2012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50 No.1

        연구 목적: 임플란트 경부가 잘 설계된 경우 양호한 연조직 반응을 통해 변연골을 보존하는데 도움이 된다. 본 실험에서는 연, 경조직 경계부에 가장 가까이 위치하는 임플란트의 collar design이 변연골 변화와 연조직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동물실험을 통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재료 및 방법: 2마리의 건강한 Beagle dog에 임플란트 collar design만 다른 두 종류의 임플란트(Neobiotech Co. Seoul, Korea)를 식립하였다. Collar에 bevel 을 부여한 군(Bevel 군)과 "S"자 형태를 부여한 군(Bioseal 군)으로 나누어 마리 당 7개, 군당 7개, 총 14개의 임플란트를 무작위로 식립한 후 Healing abutment를 즉시 체결하였다. 디지털 표준구내 방사선사진을 이용해 4주 간격으로 총 12주간 근원심 변연골 변화를 관찰하였고, 12주에 희생하여 조직학적 분석을 통해 협설 변연골 흡수 및 임플란트 주변 연조직 반응을 평가하였다. Mann-Whitney test를 통해 동일한 방사선 사진 촬영 시점에서 근원심 변연골 변화량 및 조직계측치를 군 간 비교하였고, Kruskal-Wallis test를 통해 방사선 사진상 근원심 변연골 변화량이 시간에 따른 차이가 있는지 군 내 분석 한 후 Duncan test를 통해 사후 검증하였다(α=.05). 결과: 방사선학적 분석 결과 각 촬영 시점에서 두 군간 근원심 변연골 변화량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5). 군 내에서 시간에 따른 근원심 변연골의 흡수량을 분석한 결과 Bevel 군에서는 시간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P>.05), Bioseal 군에서는 시간에 따른 차이를 보였으며, 4주및8주와 비교했을 때 12주에서 변연골의 증가를 보였다(P<.05). 조직학적 분석 결과 협설측 변연골 흡수량에서 두 군간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P>.05), Bevel 군에 비해 Bioseal 군에서 더 견고한 결합조직부착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생물학적 폭경의 값은 두 집단 간 차이를 보이지 않은 반면에 (P>.05), 접합상피부착은 Bevel 군에서 유의하게 길었고, 결합조직부착은 Bioseal 군에서 더 길게 나타났다(P<.05). 결론: Bevel 군에 비해 Bioseal 군에서 결합조직부착은 길게 형성된 반면에 접합상피부착은 더 짧게 나타났으며, 생물학적 폭경과 초기 변연골 흡수에는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연조직 반응의 차이가 실제 기능하중 하에서 변연골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향후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implant collar design on marginal bone change and soft tissue response by an animal test. MATERIALS AND METHODS. Two types of Implant (Neobiotech Co. Seoul, Korea) that only differs in collar design were planted on two healthy Beagle dogs. The impla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he first group with a beveled collar (Bevel Group) and the second group with "S" shaped collar (Bioseal group). Standardized intraoral radiographs were used to investigate the mesio-distal change of the marginal bone. Histological analysis was done to evaluate the bucco-lingual marginal bone resorption and the soft tissue response adjacent to the implant. Mann-Whitney test was done to compare the mesio-distal marginal bone change at equivalent time for taking the radiographs and the tissue measurements between the groups. RESULTS. Radiographic and histological analysis showed that there was no difference in marginal bone change between the two groups (P>.05). Histological analysis showed Bioseal group had more rigid connective tissue attachment than the Bevel group. There was no difference in biological width (P>.05). Bevel group showed significantly longer junctional epithelium attachment and Bioseal group showed longer connective tissue attachment (P<.05). CONCLUSION. For three months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marginal bone change between the Bevel group and the Bioseal group. As for the soft tissue adjacent to the implant, Bioseal group showed longer connective tissue attachment while showing shorter junctional epithelium attachment.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biologic width.

      • KCI등재

        임플란트 hexagon 높이에 따른 임플란트와 주위 조직의 응력분포 평가

        박성재,김주현,김소연,윤미정,고석민,허중보 대한치과보철학회 2012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50 No.1

        PURPOSE. To analyze the stress distribution of the implant and its supporting structures through 3D finite elements analysis for implants with different hexagon heights and to make the assessment of the mechanical stability and the effect of the elements. MATERIALS AND METHODS. Infinite elements modeling with CAD data was designed. The modeling was done as follows; an external connection type ∅4.0 mm×11.5 mm OsstemUSII (Osstem Co., Pusan, Korea) implant system was used, the implant was planted in the mandibular first molar region with appropriate prosthetic restoration, the hexagon (implant fixture’s external connection) height of 0.0, 0.7, 1.2, and 1.5 mm were applied. ABAQUS 6.4 (ABAQUS, Inc., Providence, USA) was used to calculate the stress value. The force distribution via color distribution on each experimental group’s implant fixture and titanium screw was studied based on the equivalent stress (von Mises stress). The maximum stress level of each element (crown, implant screw, implant fixture, cortical bone and cancellous bone) was compared. RESULTS. The hexagonal height of the implant with external connection had an influence on the stress distribution of the fixture, screw and upper prosthesis and the surrounding supporting bone. As the hexagon height increased, the stress was well distributed and there was a decrease in the maximum stress value. If the height of the hexagon reached over 1.2 mm, there was no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stress distribution. CONCLUSION. For implants with external connections, a hexagon is vital for stress distribution. As the height of the hexagon increased, the more effective stress distribution was observed. 연구 목적: 본 연구는 hexagon 높이에 따른 임플란트 각 부위와 주위 지지조직의 응력분포를 3차원 유한요소 해석을 통해 평가하여 hexagon 높이가 기계적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시행되었다. 연구 재료 및 방법: 외측 연결 형태의∅L4.0 mm×11.5 mm USII (Osstem Co., Pusan, Korea) 임플란트 시스템을 이용하여 하악 제 1대구치 부위에 임플란트를 식립하여 보철 수복한 경우를 연구 모델로 가정하고 임플란트 고정체의 외측 연결부인 hexagon의 높이를 각각 0.0 mm, 0.7 mm, 1.2 mm, 1.5 mm로 적용한 CAD data를 유한요소 모형화하였다. ABAQUS 6.4 (ABAQUS Inc., Providence, RI, USA)를 이용하여 산출된 응력 값 중에서 등가응력을 기준으로 각 요소(상부 치관, 지대주 나사, 고정체, 치밀골, 해면골)에서 나타나는 최대 응력 값을 비교 하였다. 결과:외측 연결을 갖는 임플란트의 hexagon의 높이는 고정체, 지대주 나사, 상부 보철물 그리고 주위 지지골에 대해 응력 분산에 영향을 주었다. Hexagon의 높이가 증가할 수록 임플란트의 응력 분산은 더 잘 이루어졌으며, 최대 응력 값의 감소를 보였다. Hexagon의 높이가 1.2 mm 이상이 되면 응력 분포에 더 이상 크게 기여하지 않았다. 결론: 외측연결을 갖는 임플란트에서 hexagon은 응력 분산에 필수적인 요소이며 그 높이가 증가할수록 더욱 효과적인 응력의 분산이 나타났다.

      • 고추 탄저병 저항성 중간모본 ‘원예 100005호 ’,‘원예 100006호’ 육성

        양은영,김수,채영,채수영,조명철,문지혜,박태성,이우문,곽정호 忠北大學校 農業科學硏究所 2015 農業科學硏究 Vol.31 No.2

        Owing to frequent heavy rain due to abnormal weather, the occurrence of pepper anthracnose has recently increased, which affects the supply and demand of pepper. As a result, the price of red pepper powder in 2011, for example, increased three times compared to the average year. Although anthracnose of pepper plants has been controlled by fungicides until now, it is important to develop new resistant cultivars because of the reduction of the labor force in rural area and occurrence of new anthracnose strains resistant to fungicides. 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al and Herbal Science developed two pepper lines, ‘Wonye 100005’ and ‘Wonye 100006’ that are resistant to pepper anthracnose. These lines were developed by continuous selection of progenies from a cross between ‘Wonye AR1’, which were developed from interspecific hybridization and ‘TF68’. The anthracnose resistance level of the two lines was higher than that of commercial cultivars and similar to check varieties showing highest level of anthracnose resista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