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폐암 환자의 활동상태, 불안, 우울, 사회적 지지, 증상경험과 기능적 상태의 관계: 불쾌감이론 기반으로

        김금순 ( Keum Soon Kim ),이명선 ( Myung Sun Yi ),방경숙 ( Kyung Sook Bang ),조용애 ( Young Ae Cho ),이정림 ( Jung Lim Lee ),이은 ( Eun Lee ) 서울대학교 간호과학연구소 2013 간호학의 지평 Vol.10 No.2

        본 연구는 불쾌감 이론을 기반으로 생리적 요인(폐암 병기와 활동상태), 심리적 요인(불안과 우울), 상황적 요인(사회적 지지)과 증상경험 및 기능적 상태와의 관계를 파악하여 폐암 환자의 증상경험을 관리하는 간호실무에 적용하고자 시행되었다. 본 연구에서 대상자가 지각하는 증상경험은 일반 암 관련 증상과 폐암 특이 증상 점수를 합친 것으로 평균 12.62점이었다. 이는 일반 암 관련 증상을 살펴 본 Baek10)의 27.7점과 Lee와 Kim19)의 23.1점과 비교 시 낮았으며, 일반 암 관련 증상과 폐암 특이 증상 점수를 함께 측정한 Lee3)의 평균 17.15점보다 낮은 점수였다. 이러한 차이는 연령과 현재 치료에 의한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70세 미만으로 60대가 50.5%를 차지한 반면에 Baek10)의 연구에서는 60대 이상이 66.5%인 것을 보면 연령이 증가할수록 증상이 심하다는 연구 결과7)를 지지하고 있다. 특히, 폐암은 연령이 증가할수록 발생이 높아져 70대에서의 발생이 34.5%로 가장 높은 것을 볼 때 증상관리에 대한 요구가 높음을 알 수 있다.2) 또한 본 연구에서는 현재 치료를 받고 있는 대상자가 38.6%로 Lee3)의 43.9%와 전체 대상자가 항암화학요법을 받고 있는 Baek10)의 연구와 비교 시 낮았기에 증상경험이 낮은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대상자가 지각하는 영양상태나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증상경험은 낮은 것을 발견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대상자들의 56.4%가 암을 진단받은 지 2년이 경과하였고, 38.6%가 현재 치료를 받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영양상태가 나쁘다고 인지하는 경우는 3.0%였으며 또한 지난 한달 간 4 kg 이상의 체중감소가 있었던 경우도 2.0%에 불과하였다. 또한 대상자의 80.2%가 현재 건강상태를 보통 이상으로 지각하고 있었다. 따라서 추후에 대상자의 영양과 건강상태에 대한 지각이 증상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생리적 요인인 폐암 병기, 활동상태와 증상경험 간의 관계를 살펴보면, 폐암 병기와 증상경험 간에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으나 활동상태와 증상경험 간에는 유의한 중등도의 순상관관계를 보여 활동상태가 저하될수록 증상경험이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폐암 환자에 있어서 병기는 치료의 방향을 결정하는데 중요한 변수이나 대상자가 경험하는 증상과는 유의한 관계를 보이지 않았고, 오히려 병기와 상관없이 현재 항암화학요법과 같은 치료 중에 있는 대상자의 증상경험이 더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3,19)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항암화학요법을 받고 있는 대상자의 증상점수가 그렇지 않은 대상자보다 높았지만 유의한 차이는 아니었기에, 질병 관련 생리적 요인에 대한 추가적인 탐색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본 연구는 외래를 방문하는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활동상태가 ECOG PS 0에서 2단계로 활동상태가 저하될수록 증상경험은 유의하게 높았고, 이는 선행연구의 결과를 뒷받침하고 있다.3,10,11) 심리적 요인인 불안, 우울과 증상경험 간의 관계를 살펴보면, 불안과 우울 모두 증상경험과 유의한 중등도의 순상관관계를 보여 불안, 우울과 같은 심리적 디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증상경험이 심하게 나타난다는 선행연구의 결과와 일치한다.20,21) Lee3)의 연구에서 비소세포폐암 환자들이 지각하는 불안과 우울과 같은 디스트레스는 증상경험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며, 증상경험을 통해 삶의 질에 매우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NCCN (National Comprehensive Cancer Network)의 권고와 같이 암의 진행단계마다 대상자의 불안과 우울을 평가하여 필요시 적절한 도움을 제공해야 하며,22) 이때 환자의 내적 능력인 극복력의 개념을 도입하는 것은 Lee3)의 연구에서 입증하였듯이 유용한 간호접근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상황적 요인인 사회적 지지와 증상경험 간에는 유의한 상관 관계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이는 사회적 지지와 증상 간에 유의한 직접적인 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던 선행연구와 일치하였다.3,23) 그러나 Lee3)의 연구에서 사회적 지지는 극복력을 매개로 디 스트레스에 영향을 줌으로써 증상부담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본 연구의 대상자가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를 살펴보면, 20점 만점에 가족지지는 평균 17.69점, 친구지지는 13.63점, 의료인지지는 10.26점으로, 의료인 지지가 가장 낮으며, 이는 선행연구의 결과와 유사하였다.3,10) 이는 직접간호제공자일 뿐 아니라 옹호자, 지지자로서의 간호사의 역할 수행에 대한 도전적인 결과라 할 수 있다. 따라서 간호사의 지지를 증진시킬 수 있는 방법들에 대한 적극적인 모색이 필요하며, 아울러 증상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상황적 요인들에 대한 추가적인 파악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증상경험과 증상경험의 결과, 즉 기능적 상태와의 관계를 살펴보면, 유의하게 높은 역상관관계를 보여 증상경험이 심할수록 기능적 상태는 저하됨을 보여주고 있다. 이는 다발성 증상군의 경증군은 중증군에 비해 기능이 더 좋았다는 Lee와 Park4)의 연구결과와 호흡곤란 증상이 심할수록 기능상태는 저하되었다는 Mohan 등13)의 연구결과와 일치하였다. 또한 부작용 증상을 심하게 호소할수록 기능적 상태가 저하되었다는 Baek10)의 연구결과를 뒷받침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폐암 환자가 지각하는 증상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심리적 요인(불안과 우울), 생리적 요인(활동상태), 상황적 요인(사회적 지지)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요인들은 증상경험의 57.8%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우울에 의해 증상경험이 43.4% 설명되었으며, 우울과 불안에 의해서는 50.7%설명되었다. 이는 Lee3)의 연구에서 폐암 환자를 대상으로 불안과 우울로 측정한 디 스트레스에 의해 증상부담이 62.8% 설명되었다는 결과보다는 낮았지만, 두 연구결과 모두 불안과 우울이 증상경험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큼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활동상태가 증상경험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활동상태가 매우 저하된 중증의 환자에서의 반복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또한 간호사는 폐암 환자의 증상에 대한 주기적인 평가를 기반으로 체계적인 관리를 제공함으로써 기능상태를 증진시키고 나아가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하는데 주도적인 역할을 담당해야 한다. 폐암 환자가 지각하는 증상경험, 영향요인들과 증상경험 간의 관계, 증상경험과 기능적 상태 간의 관계를 종합해 볼 때, 불쾌감 이론은 폐암 환자의 증상경험을 설명하는데 적합함을 알 수 있었다. 폐암 환자의 증상경험을 적절히 관리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불안과 우울과 같은 심리적 요인들에 대한 평가와 환자상태에 맞는 간호접근이 선행되어야 하며, 이러한 과정에 간호사가 적극적으로 개입함으로써 환자 지지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또한 불쾌감 이론과 같은 중범위 이론의 간호실무 적용이 더욱 활성화된다면 이론과 실무의 차이를 줄이고 간호실무가 과학적인 배경을 가지고 더욱 발전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of activity status, anxiety, depression, social support, symptom experience, and functional status in patients with lung cancer based on the theory of unpleasant symptoms. Methods: The participants for this study were 101 lung cancer patients who visited the outpatient department for treatment or follow-up at one hospital in Seoul. Data were collected from January 1 to February 8, 2013 using self-reported questionnaires and clinical records. To measure variables, the functional scale and symptom scale of the European Organization for Research and Treatment of Cancer (EORTC) Quality of Life Questionnaire-Core 30, EORTC QLQ-Lung Cancer 13, Eastern Cooperative Oncology Group Performance Status, Hospital Anxiety and Depression Scale, and Multidimensional Scale of Perceived Social Support were used in this study.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19.0 software for Windows. Results: The symptom experience showed more severity in patients with lower activity status, higher anxiety and depression. With lower activity status and social support, functional status was lower. When anxiety, depression, and symptom experience were higher, functional status was also lower. The significant factors predicting symptom experience were depression, anxiety, activity status, and social support, which explained 57.8% of the variance.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psychological factors such as anxiety and depression had a negative influence on the symptom experience of lung cancer patients. Therefore, providing emotional support based on the patients` needs prior to providing symptom management could be a useful strategy for improving symptom experience and functional status.

      • KCI등재후보

        2003년 국내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 진료 현황 및 문제점 분석

        이진수,김은실,정문현,백제중,정선화,안주희,최영화,이선희,고철우,김성범,김민자,박승철,기현균,송재훈,최상호,김양수,이상오,조용균,박영훈,정숙인,김연숙,이흥범,손창희,장성희,정희진,김우주 대한감염학회 2004 감염과 화학요법 Vol.36 No.3

        목적 : 2002년 말 중국에서 SARS가 발생한 이후 국내에서도 2003년 10월까지 총 3명의 추정환자, 17명의 의심환자가 보고되었다. 향후 추가적인 SARS의 유행이 우려되는 상황에서, 그간의 SARS 환자 진료에 있어서의 실질적인 준비사항, 진료 현황 등에 대한 조사를 통해 문제점을 파악하여, 향후 더 나은 대비가 될 수 있도록 개선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 SARS로 의심되는 환자를 진료 경험이 있는 병원의료진을 대상으로 2003년 10월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에는 SARS 환자 진료 시의 실질적인 조치, 진료 현황, 병실, 응급실 및 외래에서의 격리 시설과 준비사항, 보건당국의 관리와 지원에 관한 사항을 포함하였다. 결과 : 대상이 되는 22개 병원 중 17개(17/22, 77.2%) 병원이 설문에 응하였다. SARS 환자를 위한 격리실은 응급실, 외래, 일반병실 및 중환자실에서 각각 9개(9/17, 52.9%), 5개(5/17, 29.4%), 15개(15/16, 93.7%), 4개(4/16, 25%) 병원에서 음압처리가 되어있지 않은 일인실 혹은 다인실이 사용되었고, 1개(1/16, 6.3%) 병원에서만 일반병실에서 음압격리실이 운영되었다. 입원환자의 진찰 시 개인보호구의 착용은 거의 모든 의료기관에서 이루어졌다. 보건당국에서 SARS지정병원의 시설 등을 사전에 확인한 곳은 1곳(1/12, 8.3%)이였고, 14개 병원(14/15, 93.3%)에서는 보건당국에 의뢰한 검사결과를 통하 받지 못하였다. 결론 : 의료기관에서 SARS 환자용 격리실뿐만 아니라 기존의 격리실 설비 등이 미흡하였으며, 특히 중환자실 및 외래의 준비가 더욱 부족하였다. 보건당국의 의료기관에 대한 종합적인 지원이 부족하였고, 병원과의 원활한 연계가 잘 이루어지지 않았다. SARS 만이 아닌 격리를 필요로 하는 질환의 적절한 진료를 위해 향후 병원 시설의 정비와 정부차원에서의 보다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대책마련이 필요하다. Background : There was an worldwide outbreak of the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SARS) originated from China in late 2002. During that period three cases of suspected SARS and 17 cases of probable SARS were reported in Korea. With the concerns about the reemergence of SARS-coV transmission, it is important to be prepared for any possibility. So, this study is aimed to analysis the past measures in managing SARS and propose the amendatory plans to improve the preparedness. Materials & Methods :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mong clinicians with any experience in managing the probable or suspected SARS cases in Oct. 2003. 17 out of 22 hospitals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 The contents in the questionnaire were practical activities, personal equipments, response plans, isolation facilities in emergency centers, outpatient clinics, general wards and intensive care units, and relationship with the public health department. Results : The dedicated isolation rooms in emergency centers, outpatient clinics, general wards, and intensive care units were prepared in 9 (9/17, 52.9%), 5 (5/17, 29.4%), 15 (15/16, 93.7%), and 4 (4/16, 25.0%) hospitals, respectively. Except for one hospital that newly made negative pressure room for SARS, single or multi-bed rooms without airborne infection control were used in all the other hospitals. The personal precaution principles were kept quite well in general wards. Before the designation of SARS hospital by the public health department prior evalution to see if the hospital was suitable for managing SARS was conducted in only 1 (1/12, 8.3%) hospital. The results of laboratory diagnosis were reported back in 1 (1/15, 6.6%) hospital. Conclusions : The isolation facilities which can control airborne infection were almost deficient not only for SARS but also for other respiratory transmissible diseases. For the infection control of transmissible diseases including SARS, more investment is needed on medical facilities and comprehensive support from the public health department required.

      • SCOPUSKCI등재

        김치유래 젖산균의 균체지방산 분석을 이용한 분류학적 연구

        이정숙,정민철,김우식,이근철,김홍중,박찬선,이헌주,주윤정,이근종,안종석,박완,박용하,민태익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 ( 구 한국산업미생물학회 ) 1996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Vol.24 No.2

        표준균주를 포함한 230여개의 김치유래 젖산균에 대한 균체지방산(FAMEs)을 분석하였다. FAMEs profiles는 Euclidian Distance 17.5에 의해 7개의 Major Cluster와 1개의 Single Cluster로 나뉘어졌다. 이중 A, B, C 및 Cluster는 Leuconostoc속으로 분석되어졌고, F는 Lactobacillus속으로 분석되어졌다. 그리고 E와 G cluster는 두개의 Genus가 혼재되어 나타났으며 보충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앞으로 김치유래 젖산균의 균체지방산 분석결과를 기반으로 한 데이타베이스에 95가지 탄소원을 이용하는 수치분류학적 접근방법 및 Pyrolysis Mass Spectrometry 등의 화학적 분석 방법과 분자친화적 연구를 통한 종합적 분류정보 체계가 갖추어지면 젖산균의 신속, 정확한 동정 및 연구에 활발히 이용되어질 것이다. Two hundreds and thirty lactic acid bacteria, mostly isolated from Kimchi, including type strains were sued for analysis of cellular fatty acids. The 230 test strains were recoverd in 7 major and 1 single clusters defined a Euclidian distance of 17.5. These aggregate taxa were equivalent to the genus Leuconostoc (aggregate group A, B, C and D), and the genera Leuconostoc and Lactobacillus (aggregate group G). It is concluded as evident that FAMEs (Fatty Acid Methyl Esters) profile of cell can be used as a criterion in classification of lactic acid bacterial from kimchi. Additional comparative taxonomic studies need to be carried out on well chosen representative strains to determine the most appropriate methods of value.

      • 콩아이스크림의 상품화를 위한 고정화 효소의 이용

        이숙영,이현옥,노숙령,김기숙,이복희,박미정 중앙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2002 생활과학논집 Vol.15 No.-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unctional properties of soy protein isolate hydrolyzed by immobilized α-chymotrypsin an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soy ice cream made by the soy protein isolate treated with immobilized α-chymotrypsin. Up to the hydrolysis rate of 22.9%, treatement by immobilized α-chymotrypsin costed more time than that of α-chymotrypsin. Foam and emulsion capacity were decreased by the number of repetitive usage. Apparent viscosity and overrun of soy ice cream treated with immobilized α-chymotrypsin and α-chymotrypsin were shown similar tendency. In the sensory characteristics, soy ice cream by enzyme treatment was evaluated as much acceptable than untreacted soy ice cream in the item of beany flavor, icy feel and overall quality. For efficient use of immobilized α-chymotrypsin industrially, α-chymotrypsin immobilized on glass beads can be reused for about 11 times more than α-chymotrypsin.

      • 중증 재생불량성빈혈에서 타인 혹은 HLA 불일치 혈연간 골수이식을 위한 cyclophosphamide와 antithymocyte globulin전처치 요법

        이정희,이제환,김신,설미이,이정신,김우건,김상희,지현숙,박찬정,이규형 대한조혈모세포이식학회 2001 대한조혈모세포이식학회지 Vol.6 No.1

        배경: Cyclophosphamide와 ATG의 전처치 요법은 HLA가 일치하는 형제간 골수이식에서는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타인 혹은 HLA 불일치 혈연간 골수이식에서는 전처치 요법으로서 불충분한 것으로 보고되었는데, 주요 문제는 착상 부전이었다. 우리나라를 포함하는 극동아시아 지역의 국가들에서 발표되는 보고에 의하면 타인이식을 포함하여 골수이식 후 착상 부전과 이식편대숙주질환의 발생이 서구 국가들로부터의 보고에서보다 적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저자 등은 6예의 중증 재생불량성빈혈 환자들에서 질병 초기에 Cyclophosphamide와 ATG만을 이용하여 전처치를 한 후에 타인 혹은 HLA 불일치 혈연간 골수이식을 시행하였다. 방법: 1999년 5월부터 2000년 4월까지 서울중앙병원에서 타인 혹은 HLA 불일치 혈연간 골수이식을 시행 받은 성인 중증 재생불량성빈혈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골수이식을 위한 전처치 요법으로 cyclophosphamide (50 mg/kg/d x 4)와 ATG (30 mg/kg/d x 3)를 투여하였는데, 골수이식 전에 ATG에 대하여 과민 반응을 보였던 한 예 (UPN 120)에서는 ATG 대신에 fludarabine (30 mg/m2/d x 3)을 투여하였다. 이식편대숙주질환의 예방을 위하여 cyclosporine과 methotrexate를 투여하였다. 결과: 연구 기간 중에 모두 6예가 타인 혹은 HLA 불일치 혈연간 골수이식을 시행 받았는데, 5예는 타인으로부터 골수를 공여 받았으며, 1예는 HLA의 표현형이 하나의 유전자좌에서 일치하지 않는 형제로부터 골수를 공여 받았다. 타인 골수이식을 받은 5예 중에서 3예의 공여자는 HLA의 표현형이 일치하였으며, 1예는 하나의 유전자좌가 major mismatch였고, 1예는 하나의 유전자좌가 minor mismatch였다. 추적기간의 중앙값은 406일 (범위, 328-643일)인데, 6예 모두에서 착상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생존해있다. 2예에서 3도의 급성 이식편대숙주질환과 전신성 만성 이식편대숙주질환이 발생하였다. 결론: Cyclophosphamide와 ATG의 전처치 요법은 재생불량성빈혈의 초기에 타인 혹은 HLA 불일치 혈연간 골수이식을 시행 받은 한국인 환자들에서 충분히 착상을 가져올 수 있는 요법으로 생각된다. 비록 본 연구의 대상 환자 수가 적지만 결과는 매우 고무적이다. HLA가 일치하는 형제가 없는 중증 재생불량성빈혈 환자의 경우에 타인 골수 공여자에 대한 검색을 조기에 시행해야 하며, 타인 혹은 HLA 불일치 혈연간 골수이식을 질병 초기에 적극적으로 고려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 Cyclophosphamide (CY) and ATG regimen was reported to be insufficient for alternative donor BMT in SAA patients due to high incidence of graft rejection. The rates of graft rejection and GVHD after allogeneic BMT including unrelated donor transplants seemed to be lower in reports from Asian countries of Far East. We applied CY/ATG regimen to six patients with early stage of SAA transplanted with marrow from alternative donors other than HLA-identical siblings. Methods: Three patients were transplanted from HLA-phenotypically identical unrelated donors, two from one-locus mismatched unrelated donors, and one from an one-locus mismatched sibling donor. Four patients received no previous therapy for SAA, and two received one course of immunosuppressive therapy with ATG. Preparative regimen was CY (200 mg/kg) plus ATG (90 mg/kg) in all patients except one who had had an anaphylactic reaction to ATG prior to BMT and received fludarabine (90 mg/m2) in place of ATG. Cyclosporine plus methotrexate were given for GVHD prophylaxis. Results: All six patients engrafted and all are alive with durable engraftment at a median follow-up of 406 days (range, 328 to 643). Two patients developed grade III acute GVHD and extensive chronic GVHD. Conclusions: CY/ATG regimen may be sufficient in Korean patients with early stage of SAA transplanted with marrow from alternative donors. Although the number of patients in present study is small, results are encouraging. Stem cell transplantation using alternative donors may be considered at early stage of aplastic anemia.

      • 대학생들의 떡에 대한 기호도 및 이용현황

        이현옥,노숙령,김기숙,이숙영,이복희,박미정 중앙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2002 생활과학논집 Vol.15 No.-

        The survey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ice cake consumption pattern including the frequency of intake and the degree of preference and the area of improvement for Korean rice cake among college students. About the motive for purchases of rice cake, 'taste is good(43.3%)' was the highest, and 'eat as a snack' the next (42.9%). The reason which does not eat the rice cake frequently was uncomfortable to eat (24.1%), insipid(21.4%), not variously assorted(17.9%) in the order named. The college students surveyed were eating rice cake as a snack mainly. They wanted the rice cake to be charmed and be in pretty shape, and fusion style for gift. And they wanted to be rice cake more sweetened and cool taste like ice cream. Therefore, traditional rice cake is required for further research for the development of product which is more acceptable for the young adults.

      • KCI등재후보

        근로자 건강증진전략을 위한 행동변화에 대한 요구도 평가

        이강숙,임현우,구정완,홍현숙,이정민,이원철,박정일,맹광호,M, O'Donnel 大韓産業醫學會 1999 대한직업환경의학회지 Vol.11 No.4

        Objectives : In order to evaluate the stage of behavior change for health promotion strategy in workplace Methods : Questionnaire survey was carried out for 309 workers who employed in H Electronics company in Kyong-in area from September to October 1998. Results : According to need assessment of four step such as precontemplation stage, contemplation stage, action stage, maintenance stage which were to change of behavior for health promotion, the percent for quitting smoking were observed 48.8%, 43.1%, 8.1%, 0%, and for the restriction of drinking were 29.8%, 10.6%, 9.3%, 5.3%; for fitness 11.1%, 31.0%, 37.3%, 20.6% in male 26.6%, 27.8%, 26.6%, 19.0% in female, for regular diet 26.1%, 19.8%, 38.7%, 15.3% in male, 27.8%, 22.2%, 40.0%, 10.0% in female and for stress management 5.8%, 10.6%, 8.7%, 75.0% in male, 13.6%, 22.7%, 19.7%, 44.0% in female. In heavy smoker(p=0.017) and heavy drinker,(p=0.021) the percent of precontemplation stag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lower drinker and light smoker. Conclusions : This study suggested that company support for health promotion in workplace was and workers of high risk group for smoking and drinking were in precontemplation stage. So before conducting the health promotion program, health risk appraisal and need assessment for stage of behavior change should be taken for the efficient health promotion strategy.

      • 당뇨병과 동반된 화농성 간농양의 임상상 및 예후인자

        오은숙,강무일,이원영,오기원,임동준,이소영,이정민,고승현,김성래,안유배,손현식,윤건호,차봉연,이광우,손호영,강성구 대한당뇨병학회 2000 임상당뇨병 Vol.1 No.1

        연구배경: 감염질환은 혈관질환과 함께 당뇨병의 중요한 사망원인의 하나이며, 혈당조절이 불량할수록 감염 빈도가 증가됨은 잘 알려져 있다. 간농양의 발생이 있어서도 당뇨병은 중요한 기저질환 중의 하나이다. 일반적으로 간농양의 가장 흔한 원인균은 Escherichi coli라고 알려져 있으나, 최근 당뇨병을 가진 간농양 환자에서 Klesiella pneumoniae의 검출이 증가되고 있다. 또 최근 연구에 의하면 K.pneumonie가 간농양의 가장 흔한 원인균이며, K. pneumoniae에 의한 간농양은 K.pneumoniae 이외의 균주에 의한 간농양보다 당뇨병과 밀접히 관련되어 있다고 보고된 바 있다. 이에 저자들은 간농양 환자를 대상으로 당뇨병환자의 빈도를 알아보고, 그 원인균 및 특징을 비당뇨병 환자들의 경우와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방법: 1992년 1월부터 1999년 6월까지 방사선학적 검사 혹은 수술에 의해 간농양이 확인되거나, 경피적 천자나 수술을 통한 배농액 배양, 혹은 혈액 검사에서 원인균이 증명된 182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임상고찰을 실시하였다. 결과: 화농성 농양을 가진 167명의 환자(남:94명, 여:73명)중 당뇨병을 가진 환자는 54명 (남:30명, 여:24명)으로 32.3%를 차지하였다. 환자의 평균나이는 당뇨군에서 62.1 ± 13.4세, 비당뇨군에서는 55.1 ±15.5세로 당뇨군에서 높았으며(p=0.0021), 남녀간의 평균나이 비교 시 두 군 모두 여성의 나이가 의미있게 높았다. 비당뇨군에 비하여 당뇨군의 경우 저알부민혈증의 빈도와 aspartate transaminase가 증가되어있었다. 원인균주는 K. pneumoniae (당뇨군54%, 비당뇨군 39.1%), E. coli(당뇨군 17.5%, 비당뇨군 18.8%), Pseudomonas aeruginosa, Streptococcus viridans, Enterococcus 순이었으며 두 군간의 의미는 차이는 없었으나 K. pneumoniae의 경우 다른 균종에 비해 단독감염의 빈도가 높았다(82.8%). 사망률은 당뇨군에서 16.7%, 비당뇨군에서 7.1%로 당뇨군에서 의미있게 높았으며(p=0.019), 당뇨군에서의 사망환자는 모두 패혈증이 동반되어 있었다. 당뇨환자의 사망군은 생존군에 비해 당뇨병 이환기간이 길고 혼합감염의 빈도가 높았다(p=0.046). 검사실 소견에서는 총 빌리루빈 및 알카리성 포스파타제의 증가가 관찰되어 있었다. 결론: E. coli가 간농양의 주된 원인균이라는 기존 보고와는 달리 당뇨군과 비당뇨군 모두 K. pneumoniae가 간농양의 주된 원인균이었다. 또한 당뇨 유병기간이 길고 당뇨조절이 불량한 환자에서 혼합감염이며 총 빌리루빈 및 알카리성 포스파타제의 증가등과 같은 위험인자가 존재할 경우 사망률이 증가될 수 있으므로 이들 군에서는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Background: Liver abscesses are commonly associated with underlying disease, particularly diabete mellitus. The number of the liver abscesses caused by Klebslella pneumoniae in diabetic patient has been increased in Korea nowaday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larify the clinical presentation and prognostic factors of pyogenic liver abscesses, especially in diabetic patients and to determine the proportion of K. pneunomiae as a pathogen in liver abscess in Korea. Methods: Medical records of 167 patients treated for pyogenic liver abscess from January, 1992 through June, 1999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in detail. Major Pathogenic organism, clinical manifestations, prognostic factors, the importance of diabetes mellilus as an underlying disease and its effect on clinical features and prognosis were analyzed. Results: Among 167 cases of pyogenic liver abscess, underlying diabetes mellitus was present in 32.3%. The mean age of patients was 62.7 13.4 years in diabetic liver abscess group and 55.1 15.5 years in non-diabetic liver abscess group. Most liver abscesses were cryptogenic in origin or secondary to the billary tree diseases. The clinical presentations among the two group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When compared to patients without diabetes, patients with diabetes had significantly higher proportions of hypoalbuminemia and elevated aspartate transaminase level. The most common organism of the pyogenic abscess was K. pneumoniae in both groups. Percutaneous drainage of the abscess with appropriate antibiotics was the most commonly used therapeutic modality in liver abscess. The mortality rate of diabetic liver abscess is 16.1 % and 7.1% in nondiabetic liver abscess. Complications, especially septicemla, were found more frequently in patients with diabetes than in patients without diabetes (64.8% vs 28.3%, septicemia : 31.5% vs 9.7%). The factors influencing mortality in the diabetic liver abscess were disease duration, mixed infection, presence of septicemia, elevated bilirubin and alkaline phosphatase. Conclusions: In contrast to prior report that the E. coli was the most common pathogen in liver abscess, we found that K. pneumoniae was the most common organism cultured in liver abscess. Diabetic patients have more complications and higher mortality than patients without diabetes. Early detection and proper treatment are needed to improve the outcome for diabetic patient with liver abscess.

      • KCI등재후보

        항암화학요법 관련 오심과 구토 완화를 위한 비약물요법에 관한 연구동향

        소향숙,최자윤,조인숙,김영재,김지영,김애숙,김옥미,김춘심,김현오,설영애,안정옥,이애리,이영자 성인간호학회 2003 성인간호학회지 Vol.15 No.3

        Purpos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understand the current trends on complementary therapy in relieving chemotherapy-induced nausea and vomiting and to suggest the future research direction. Method: Subjects were selected on CINAHL, MEDLINE, Korean Academy Data Base from 1980 to 2001 which used nausea, vomiting, chemotherapy and complementary therapy as key words in experimental studies. Eight korean articles and twenty-one international articles were analyzed in terms of general characteristics, research methods, and types of complementary therapy. Data were analyzed by using descriptive statistical methods. Result: Since 2000, researchers have more actively used complementary therapy. In subject characteristics, mean age was 35.5 years old, 45% of the researchers were performed with high level of incidence of chemotherapy induced vomiting, 14% of them set limit of consecutive cycle during research, and 65% of them did not comment the selecting criteria of sample. About 60% of them were designed post-test only control group: 35% used INV by Rhodes, 31% used Likert scale, and 24% used VAS for dependent variable. Muscle relaxation therapy was mostly applied for relief of nausea and vomiting. Conclusion: Further studies will be needed to control extrinsic variables affecting nausea and vomiting in research design and to accumulate evidence with studies applying various complementary therapies.

      • 임신중 산전 초음파로 진단된 자궁근종의 임상적 고찰

        서정호,김윤숙,김대원,이동운,최규연,이정재,이임순 순천향의학연구소 2003 Journal of Soonchunhyang Medical Science Vol.9 No.1

        Objectives: To study the clinical manifestations; time, mode of delivery, size of myomas and outcome of pregnancy in cases of myomas that were detected prior to pregnancy or during the antenatal care and after delivery. Methods: We statistically analyzed 76 patients with uterine myomas in pregnancy admitted to Soonchunhyang Seoul Hospital during the period of Jan. 1999 and Dec. 2001. Resul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mean age of patients in the detected group and undetected group were 32.9 years and 32.3 years, respectively.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proportion of primarity between the detected group(98.2%) and the undetected group(79.6%) 2. The most common type of uterine myoma in both groups was intramural myoma (detected group 94.1% vs undetected group 81.3%). The uterine myomas were most commonly located in the anterior portion and fundus(detected group 52.9% and 23.5% respectively vs undetected group 47.4% and 23.7% respectively) and the proportion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Uterine myomas with a diameter of 3cm or more in the detected group were detected by clinical examination and ultrasonogram. Rate of uterine myomas with a diameter of 3cm or more in the detected group is 76.5% and less than 3cm is 54.2% which detected incidentally at delivery. 3. The proportion of term infants were detected group 88.2% vs undetected group 91.5%. 4. The most common indications for cesarean section in both groups were cephalopelvic disproportion and repeated cesarean section (detected group 41.2% and 45.8% respectively vs undetected group 11.8% and 18.6% respectively)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5. Secondary pathologic changes in the all myomectomy specimens were degeneration in both groups but there was no necrosis or sarcomatous change. 6. Antenatal complications were preterm labor, premature repture of membranes, spontaneous abortion, malpresentation, and placenta previa. Intrauterine growth retardation and placental abruption were not seen in both groups. Conclusion: Myoma detected by ultrasonogram before or during pregnancy is not a significant implication of pregnancy outco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