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NaOH 첨가에 따른 음식물찌꺼기 고온 혐기성 산발효

        안철우,이철승,서종환,박진식,문추연,장성호,김수생 한국환경농학회 2004 한국환경농학회지 Vol.23 No.4

        본 연구는 음식물찌꺼기의 혐기성 산발효에 있어 여러 조건들 중 온도가 효율적인 가수분해와 산발효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해 고온(55℃)과 중온(35℃)에서 각각 실험을 수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음식물찌꺼기의 혐기성 산발효시 산생성 효율을 높이기 위한 전처리 과정으로 음식물찌꺼기에 NaOH를 투입한 결과 가수분해효율을 표현한 가용화 정도(Solubilization)가 0.01 g NaOH/g TS이하로 투입된 경우 0.01 mgSCOD_(prod)/mgICOD_(inf)이하를 나타내었으나, 0.05 g NaOH/g TS이상을 투입했을 때는 0.07~0.09 mgSCOD_(prod)/mgICOD_(inf)로 나타났다. 따라서 음식물찌꺼기에 NaOH를 투입하여 효율적인 가수분해가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g TS당 0.05 g이상의 NaOH가 투입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음식물찌꺼기를 NaOH로 전처리한 후 고온(55℃) 산발효를 실시했을 때 0.05 g NaOH/g TS 투입시 SCOD의 증가치 3,800 mg/L로 최대의 가용화와 산생성에 효과적인 pH 5.95를 얻을 수 있었다. 0.05 g NaOH/g TS를 투입하여 중온(35℃)에서 산발효를 실시한 경우와 비교하여 SCOD 증가치가 약 5배 정도 높았고, 최대 가용화에 이르는 시간도 중온의 2/3 정도로 짧아 음식물찌꺼기의 가용화에는 고온이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NaOH 0.05 g NaOH/g TS로 전처리된 음식물찌꺼기의 산발효 결과 고온(55℃) 및 중온(35℃)에서 각각 반응시작 후 72시간에 12,600 mg/L, 120tlrksdp 9,800 mg/L의 VFA농도를 나타내어 동일기질을 이용하여 산발효를 실시했을 때 중온보다는 고온에서 미생물의 활성증대와 유기물의 가수분해가 촉진되어 VFA생성이 효율적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고온에서 NaOH에 전처리된 음식물찌꺼기를 산발효 시켰을 때 VFA가 가장 높았던 시점을 기준으로 VFA의 조성을 조사한 결과 acetic acid가 45.9%, butyric acid가 26.7%, propionic acid가 13.9% 등으로 총 유기산 발생량의 86.5%를 차지하였다. This study showed that thermophilic anaerobic acid fermentation of food wastes had an enhanced hydrolysis capability and improvement of acidification efficiency. Influence of pH on the anaerobic hydrolysis and acidogenesis was investigated to determine the proper alkalinity in the thermophilic fermentation of food wastes. The results of putting NaOH as alkali to evaluate hydrolysis and acid fermentation efficiency in acid fermentation process of food wastes showed that the food wastes pretreated with 0.05 g NaOH/g TS had the maximum 12,600 mg/L of VFAs concentration during HRT 3 days in 55℃ hermophilic condition and the maximum 9,700 mg/L of VFAs concentration during HRT 5 days in 35℃ mesophilic condition. The accomplishment of high VFAs concentration resulted from that the main component of food wastes such as cellulose, lignin and etc. is performed active chemical decomposition by alkali in thermophilic condition. The major components of VFAs produced from the thermophilic acid fermentation process of food wastes were the short chain fatty acids such as acetic acid, butyric acid, and propionic acid.

      • KCI등재후보

        병원획득 Klebsiella pneumoniae 균혈증 분석을 통해 본 Ciprofloxacin 내성과 Extended-Spectrum β-Lactamase생성 간의 연관성

        김미영,추은주,곽이경,송문희,나성수,송태준,김성혜,전재범,최상호,정진용,김남중,김양수,우준희,류지소 대한감염학회 2004 감염과 화학요법 Vol.36 No.5

        목적 : K. pneumoniae는 ciprofloxacin내성 증가가 전세계적으로 문제가 되고있는 extended-spectrum beta-lactamase (ESBL)를 생성하는 대표적인 세균으로 최근 외국에서 ciprofloxacin 내성과 ESBL 생성사이에 관련이 있다는 2-3편의 보고들이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병원획득 K. pneumoniae 패혈증이 있었던 환자들을 대상으로 ciprofloxacin 내성과 관련된 인자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 2001년 1월 부터 2002년 12월 사이에 2200병상의 3차 의료기관인 한 대학병원에서 입원 후 72시간 이후에 나간 혈액배양에서 K. pneumoniae가 배양된 입원환자를 대상으로 의무기록과 전산기록을 분석하여 환자의 성별, 나이, 병동, 기저질환, 이전의 항생제 사용력, 패혈증 발생당시까지의 재원기간, 이전 입원력, 원인균의ESBL 생성유무 등을 파악하였고 이들 변수가 ciprofloxacin 내성과 관련이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재발성 패혈증의 경우는 첫 번째 경우만을 분석에 포함하였다. 결과 : 연구대상 환자는 총154명이었고 K. pneumoniae의 ciprofloxacin에 대한 내성률은 28.6% (44/154)였다. Ciprofloxacin 내성균주 중 ESBL 생성균주의 비율은 95.5% (42/44)였고 ciprofloxacin 감수성균주에서 ESBL 생성균주의 비율은 24.5% (27/110)였다(P<0.001). ESBL생성외에 단변량 분석에서 유의한 관련을 보인 변수로는 남자, 나이가 많은 경우, 패혈증 당시 중환자실 재원, 기저질환이 고형암, 혈액암, 담도계 질환인 경우, 패혈증 발생이전 1달 이내의 항생제 사용력, 3세대 cephalosporin, metronidazole, fluroquinolone, carbapenem 투여력이 있었다. 다변량 로지스틱 분석을 시행 하였을 때는 나이가 많은 경우(Adjusted odds ratio[A0R]; 1.04, 95%confidence interval[CI]; 1.01-1.06)와 ESBL 생성(AOR; 81.35, 95% CI; 17.76-372.53)이 유의하게 ciprofloxacin 내성과 관련이 있었다. 결론 : 패혈증을 일으킨 병원획득 K. pneumonias에서의 ciprofloxacin 내성은 ESBL 생성과 유의한 관련을 보였고 향후 이에 관련된 원인이나 기전을 분석하기위한 분자역학적·분자생물학적 연구가 필요하겠다. Background : Strains of ciprofloxacin-resistant Klebsiella pneumoniae have emerged worldwide. We investigated the epidemiology of ciprofloxacin resistance and its relationship to ESBL production in nosocomial K. pneumoniae bacteremia. Materials and Methods : Using the computerized database of clinical microbiology, we identified all patients whose blood culture had yielded K. pneumoniae between January 2001 and December 2002 at a 2200-bed university-affiliated tertiary-care hospital. During the study period, total of 392 episodes of K. pneumoniae bacteremia were documented of which 163 episodes were acquired nosocomially. 9 cases of recurrent episodes were excluded. Results : The resistance rates to ciprofloxacin was 28.6% (44/154). ESBL-production was significantly more common in ciprofloxacin-resistant isolates than in ciprofloxacin-susceptible isolates (95.9% [42/44] vs. 24.5% [27/110], P<0.001). In univariate analysis, following factors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resistance to ciprofloxacin: older age, male sex, ICU admission at the time of bacteremia, prior use of antibiotics within 1 month before bacteremia, solid tumor, hematological malignancy, or biliary disease as underlying disease, and ESBL-production. The prior use of 3^(rd)-generation cephalosprins, metronidazole, fluroquinolone, or carbapenem were also risk factors. Independent risk factors for ciprofloxacin resistance were older age (adjusted odds ratio [AOR]; 1.04, 95% confidence interval [CI]; 1.01-1.06) and ESBL production (AOR; 81.35, 95% CI; 17.76-372.53). Conclusion :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ciprofloxacin resistance and ESBL production was documented in nosocomial K. pneumoniae bacteremia. Further epidemiological and molecular studies to determine factors and mechanisms involved in the relationship are needed.

      • KCI등재후보

        국내 조혈모세포이식 환자에서 Human Cytomegalovirus gB 유전형의 분포와 질환과의 연관성 : 예비 보고

        최수미,김진희,이동건,박선희,최정현,유진홍,박철민,이종욱,민우성,황응수,신완식,김춘추 대한감염학회 2007 감염과 화학요법 Vol.39 No.2

        목적 : 사람 거대세포바이러스(Human cytomegalovirus, 이하 HCMV) glycoprotein B (gB)는 UL55 유전자에 의해 부호화되는 당단백으로, UL55 유전자의 염기서열변화에 따라 4가지 유전형으로 나뉜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조혈모세포이식 환자들에서 HCMV gB 유전형의 분포와 그 특성을 알아보고, gB 유전형에 따라 특정 HCMV 질환 발생과 연관이 있는지 그 임상적 의미를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 동종 조혈모세포이식 환자 52명의 혈액검체 94개에 대해, Chou 등이 제시한 방법에 따라, 먼저 UL55 유전자 부위를 nested PCR로 증폭한 후, RsaI과HinfI으로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RFLP)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 gB type 1은 73.1% (38/52), gB type 2는 13.5%(7/52), gB type 3는 1.9% (1/52), gB type 1과 type 2에 의한 혼합감염은 9.6% (5/52)로 나타났다. gB type 4는 관찰되지 않았다. 1명(1.9%)에서 gB 유전형을 결정할 수 없었는데, RFLP 패턴으로 보아 Trincado 등이 제시한 gB type 7에 해당하는 것으로 생각되었고, 이 새로운 아형에 대해서는 현재 염기서열 분석 중이다. 52명 중 5명(9.6%)에서 HCMV 질환이 발생하였고, 3명에서 HCMV 폐렴, 1명에서 망막염과 위장관염, 나머지 1명에서 망막염이 발생하였다. 5명 중 HCMV 질환과 관련하여 사망한 예는 없었고, 감염된 HCMV는 모두 gB type 1이었다. HCMV gB유전형과 HCMV 질환 발생 사이에 유의한 연관성은 없었고, 단일 주에 의한 감염과 혼합감염에 따른 HCMV 질환발생 사이에도 유의한 연관성은 관찰되지 않았다. 자료 분석 중 gB type 2에 감염되어 있던 환자에서 gB type 1에 재감염 되면서 발열, 간효소 수치 상승 및 pp65 HCMV 항원혈증이 나타난 예가 있었다. 결론 : 연구결과 gB type 1이 아주 우세하고, gB type 4는 검출되지 않았으며, 혼합감염의 빈도가 비교적 낮은 분포를 보였다. 이는 외국의 보고와는 다른 국내 조혈모세포이식 환자에서의 독톡한 감염 양상으로 추정된다. 본 연구에서 HCMV gB 유전형과 질환 발생과의 연관성을 밝힐 수는 없었으나, HCMV 유전형에 대한 연구는 바이러스 감염의 발병기전이나 전파 경로 및 양식과 같은 역학적 연구에 중요한 자료가 될 것이다. 현재 더 많은 수의 조혈모세포이식 환자를 대상으로 연구가 진행 중에 있으며, 앞으로 다른 질환군의 환자나 건강한 잠복 감염자에서의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 : Human cytomegalovirus (HCMV) glycoprotein B (gB) is the major envelope glycoprotein, encoded by the UL55 gene. Based on sequence variation in the UL55 gene, HCMV can be classified into four gB genotypes. Previous studies have suggested an association between HCMV gB genotypes and clinical outcome in the immunocompromised hosts.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distribution of HCMV gB genotypes and the effect of gB genotype in the developement of HCMV diseases in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 (HSCT) recipients in Korea. Materials and Methods : DNA was extracted from 94 blood specimen of 52 allogeneic HSCT recipients with HCMV infection. HCMV gB genotype was determined using polymerase chain reaction to amplify a region of UL55, followed by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RFLP) analysis based on RsaI and HinfI digestion. Results : The distribution of gB types were as follows: gB1, 73.1% (38/52) of patients; gB2, 13.5% (7/52); gB3, 1.9% (1/52) and mixed infection (gB1 and gB2), 9.6% (5/52). While gB4 was not detected, a new genotype (described as gB7 by Trincado et al, 2000) was identified on the basis of their RFLP pattern. During average 708 days’ follow up period, HCMV diseases developed in 5 patients. All of them had gB1 genotype.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the incidence of HCMV diseases and the gB genotypes. Re-infection with gB1 strain was detected in one patient who had been previously infected with gB2. This episode was associated with fever, elevated liver enzyme and positive antigenemia. Conclusion : HCMV gB1 was the dominant genotype and no gB4 was detected in allogeneic HSCT recipients in Korea, which is an unique pattern compared with the previous reports. Although we can not find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the HCMV diseases and the gB genotypes, genotyping of HCMV will serve in the study of pathogenesis and transmission of this virus in transplant patients. Further study is underway with large study population.

      • 성인 급성 림프구성백혈병 고위험군에서 일차관해시 동종 및 자가 조혈모세포이식의 성적 비교 : 단일기관 치료경험 A Single Center Experience

        이석,민우성,민창기,김동욱,이종욱,김유진,박은정,박윤희,김춘추 대한조혈모세포이식학회 2000 대한조혈모세포이식학회지 Vol.5 No.2

        배경:성인 ALL에서 동종 조혈모세포이식은 전처치요법 및 이식편대백혈병 효과에 의한 효과적인 백혈병세포의 제거가 가능하다는 측면에서 활발히 시행되고 있으나 자가 조혈모세포이식과 화학요법과의 비교 연구에서는 대상환자의 다양성 등으로 인하여 상이한 결과가 보고되었다. 그러나 최근 진단당시 환자의 임상적·세포생물학적 특성 및 관해유도요법 후의 백혈병세포의 제거 속도 등을 기준으로 한 위험인자가 정의되면서 이를 근간으로 위험도에 따른 관해 후 치료방침의 결정이 타당성 있는 접근방법으로 제시되고 있고, 특히 고위험군에서의 동종 조혈모세포이식의 역할이 강조되고 있다. 방법: 성인 ALL 고위험군에서 일차 완전관해시 동종 조혈모세포이식의 역할을 규명하기 위해 최근 5년간 가톨릭의대 조혈모세포이식센터에서 ALL로 진단 후 일차 완전관해 상태에서 동종 및 자가 조혈모세포이식을 시행받고 임상적 특성과 세포면역학적 특성 및 세포유전학적 검사결과가 모두 확인 가능하였던 환자 중 고위험군에 해당된 50례를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고위험군은 진단시 연령이 30세 이상인 경우, 백혈구수가 30,000/μL 이상인 경우, 관해유도기간이 30일 이상 소요된 경우, Ph 혹은 t(4;11)이 동반된 경우 중 하나 이상의 인자를 갖고 있는 경우로 정의하였다. 결과: 대상환자의 중앙연령은 30세(15~43세)이었고, 남녀 비는 27:23이었다. FAB 분류상 L1 29례(58.0%), L2 21례(42.0%)였으며, precursor B-lineage 항원이 양성인 경우는 36례(72.0%), T-세포 항원이 양성인 경우는 9례(18.0%), 골수구계 항원이 동시에 발현된 경우는 5례(10.0%)였다. 세포유전학적 검사상 23례(46.0%)에서 불량한 염색체유형 [Ph 19례, t(4;11) 4례]이 동반되었다. 전체 환자 중 31례에서 동종 조혈모세포이식을 시행하였으며, 19례에서는 자가 조혈모세포이식이 시행되었다. 동종 및 자가 조혈모세포이식 환자군간의 임상적 특성은 양군간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대상환자의 중앙 추적관찰기간은 27개월(7~72개월)이었고, 전체 환자의 2년 무병생존율 및 전체생존율은 각각 59.0±7.6%, 68.2±7.1%이었다. 조혈모세포이식에 따른 치료성적을 비교한 결과 전체생존율은 동종 조혈모세포이식군 71.4±8.6%, 자가 조혈모세포이식군 62.7±12.4%로 양군간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던 반면, 재발율은 동종 조혈모세포이식군에서 유의하게 낮은 빈도를 보였으며(25.8% vs 52.6%, P=0.05), 무병생존율에 있어서도 각각 70.6±9.0%, 42.1±12.2%로 동종 조혈모세포이식군에서 보다 높은 경향을 보였다(P=0.07). 이식 후 생존율에 영향을 주는 위험인자를 분석한 결과, 진단시 연령, 백혈구수, 관해유도기간에 따른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다만 Ph 혹은 t(4;11)이 동반된 경우에서 무병생존율이 동종(28.5±16.0% vs 94.4±5.4%, P=0.0002) 및 자가 조혈모세포이식군(18.1±11.6% vs 80.0±17.8%, P=0.0046) 모두에서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하여 일차관해시 조혈모세포이식을 시행받은 고위험군 성인 ALL에서는 관해 후 치료법으로써 동종 조혈모세포이식이 우선적으로 고려될 수 있는 치료법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추후 국내에서도 보다 장기간의 추적관찰을 통한 전향적 임상연구를 시행하여 보다 정립된 관해 후 치료방침의 결정 필요성을 제시하였다는 측면에서 임상적 의의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Background:Optimal postremission therapy remains controversial in adult patients with acute lymphoblastic leukemia (ALL). In this study, we compared allogeneic bone marrow transplantation (alloBMT) with autologous peripheral blood stem cell transplantation (autoPBSCT) using the result of the human leukocyte antigen typing (HLA). Methods:Patients were eligible if they were in first remission (CR1) and had either: adverse cytogenetics [Philadelphia chromosome (Ph), t(4;11)], age >30 years, required more than 1 induction course to achieve remission (time-to-CR1 >30 days) or presenting WBC >30,000/μL. From July 1994 to June 1999, 50 consecutive adult patients with high-risk ALL underwent HLA-matched alloBMT (n=31) or autoPBSCT (n=19) at the Catholic Hem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Center. Results:There were 27 males and 23 females with median age 30 (range, 15~43) years. The distribution of phenotype was as follows: L1 (n=29), L2 (n=21), precursor B (n=36), T (n=9), myeloid marker coexpression (n=5). Adverse cytogenetic abnormalities at diagnosis were shown in 23 (46.0%) cases. All pretransplant characteristics were well balanced between these two groups. Most patients were treated with total body irradiation containing regimen as part of the conditioning. With a median follow-up of 27 months in both groups, disease-free survival (DFS) and overall survival probabilities at 2 years were 59.0±7.6% and 68.2±7.1%, respectively. The relapse rat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alloBMT and autoPBSCT groups (25.8% vs 52.6%, P=0.0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overall survival between the two groups. However, alloBMT had a trend toward better DFS (70.6±9.0% vs 42.1±12.2%, P=0.07). None of the pretransplant characteristics significantly affected outcome after transplantation, except adverse cytogenetics. Prognosis of ALL with Ph or t(4;11) was significantly poorer than that of the remaining high-risk ALL patients (P<0.01). Conclusion: We conclude that alloBMT appears to be more effective than autoPBSCT in prolonging initial CR for high-risk ALL patients. Prospective studies addressing additional clinical variables are needed to guide clinical decision making about transplant choices for adult patients with ALL. New therapeutic strategies for the management of ALL with adverse cytogenetics will be also required.

      • 골수염의 진단에 있어서의 Tc-99m Hexamethylpropylene amine oxime 백혈구 스캔의 임상적 유용성

        최상호,김양수,정준원,정진원,추은주,서동대,배인규,양승오,우준희,류지소 대한화학요법학회 2001 대한화학요법학회지 Vol.19 No.1

        배경 : 골수염의 진단에 있어 Technetium-99m을 이용한 삼상 골스캔(Tc-99m MDP스캔)은 단순방사선 검사상 정상소견을 보이는 경우에 쓰이는 1차적 검사로 매우 높은 민감도를 보인다. 그러나 Tc-99m MDP 스캔은 골절이나, 정형외과적 삽입물, 신경병적 관절병변과 같이 뼈의 재형성이 증가되는 상황에서도 양성소견을 보여 특이도가 낮은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고자 골수염의 진단에 있어 Tc-99m HMPAO 백혈구 스캔의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골수염이 의심되어 Tc-99m HMPAO 백혈구 스캔을 시행했던 15명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골수염의 확진은 임상관찰 소견과 배양검사 결과와 병리소견을 기준으로 하였다. 결과 : 골수염의 진단에 있어 Tc-99m HMPAO 백혈구 스캔의 민감도와 특이도는 각각 100%와 78%였고 Tc-99m HMPAO 스캔의 경우는 100%와 18%였다. 가장 흔한 원인균은 methicillin-resistant S. aureus였다. Tc-99m MDP 스캔에서 양성소견을 보였던 환자중 3명의 환자가 Tc-99m HMPAO 백혈구 스캔에서 음성 소견을 보였으며 이 환자들은 추적관찰상 골수염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 Tc-99m HMPAO 백혈구 스캔은 골수염의 존재를 진단하는데 있어 민감도와 특이도가 높으며, 특히 뼈의 재형성이 증가되어 Tc-99m MDP 스캔의 특이도가 낮게 나타나는 상황에서 유용하리라 사료된다. Background Three phase bone scintigraphy, performed with technetium-labeled diphosphonates (Tc-99m MDP scan), is the very sensitive radionuclide procedure of choice for diagnosing osteomyelitis. But, Tc-99m MDP scan is less specific when bone remodeling is increased. To overcome this limitation, we evaluated the diagnostic value of technetium-99m hexamethylpropyleneamine oxime (HMPAO) labeled leukocyte scan in osteomyelitis. Methods : We retrospectively reviewed 15 patients with suspected osteomyelitis who performed Tc-99m HMPAO labeled leukocyte scan. The diagnosis of osteomyelitis was based on clinical course and bacterial culture, and pathologic findings. Results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Tc-99m HMPAO leukocyte scan was 100% and 78%, and those of Tc-99m MDP scan was 100% and 18%, respectively. The most common organism was Methicilein-Resistant S. aureus. Among the patients that showed persistent accumulation on Tc-99m MDP scan, three patients showed no uptake on Tc-99m HMPAO leukocyte scan and these patients were confirmed that had no osteomyelitis. Conclusion : Tc-99m HMPAO leukocyte scan is a useful test for determin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osteomyelitis, especially under condition that bone remodelin is increased.

      • KCI등재후보

        호중구 감소성 발열환자에게 경험적으로 투여한 Teicoplanin의 효과

        이동건,임동석,최수미,박선희,유진홍,최정현,민우성,신완식,김춘추 대한감염학회 2004 감염과 화학요법 Vol.36 No.2

        목적 : 호중구감소성 발열 환자에게 경험적으로 teicoplanin을 투여할 때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 2003년 7월부터 12월까지 가톨릭조혈모세포이식센터에 입원하여 항암치료 혹은 조혈모세포이식을 시행하고 호중구감소성 발열이 있는 환자 중 초기 항균요법에 반응이 없어 경험적 teicoplanin 투여가 필요한 49명을 대상으로 A, B 제조회사에서 제공한 teicoplanin을 무작위로 어느 한 쪽 치료군에 배정하여 투여하였다. 용량은 첫날 400㎎ 부하용량을 정맥내 bolus로 투여하고 매 24시간마다 200㎎ 유지용량을 투여하였다. 결과 : A군 27명, B군 22명이 연구에 참여하였고 대부분의 환자가 신독성이 있는 약제를 병용하고 있었다. A군 8명, B군 7명에서 그람양성균이 동정되었고, teicoplanin에 대한 내성률은 A군 22.2%, B군 28.6%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1.00; 0.61<95%CI<1.95). 미생물학적 확인 감염이 있었던 환자 중 평균 53.3%에서 완치 혹은 개선의 반응이 있었고 양 군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A군 4명 [50.0%], B군 4명 [57.1%], P=1.00; 0.29<95%CI<2.60). 미생물학적 제거율은 평균 62.5% (A군 55.6%, B군 71.4%)이었고 그 외 미생물학적 효과는 A군에서 제거 후 재발 2명(22.2%), 내성 2명(22.2%)이었고 B군에서 각각 0명(0.0%), 2명(28.6%)이었으며 양 군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28). 발열기간(P=0.89), teicoplanin 사용기간(P=0.47) 및 전체적인 사망률(P=1.00; 0.78<95%CI<1.24)도 양 군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이상반응 중 신독성은 16.3% (A군 18.5%, B군 13.6%)에서 나타났고 양 군에 차이는 없었으며(P=0.72; 0.39<95%CI<3.51), 신기능 이상과 관련있는 약제를 적어도 2개 이상 병용하고 있었다. 피부발진은 A군에서 1명, B군에서 3명 발생하였다(P=0.31; 0.93<95%CI<1.34). 결론 : 호중구감소성 발열환자에게 teicoplanin을 투여하였을 때 임상적 반응률은 평균 53.3%(A군 50.5%, B군 57.1%), 미생물학적 제거율은 평균 62.5%(A군 55.6%, B군 71.4%)이었고 두 제조회사간 차이가 없었고 이상반응도 양 군간 차이가 없었다. 앞으로 국내 호중구감소증 환자에서의 teicoplanin의 적정 용량, 용법 등을 알기 위한 집단 약동학 등의 연구를 시행할 예정이다. Background : This study was done to elucidate the efficacy of teicoplanin as the empirical treatment for febrile neutropenia. Methods : Patients were randomized to two groups according to pharmaceutical company (company A or B). Total of 49 patients (A, 27; B, 22) with neutropenic fever were studied prospectively for 6 months (Jul. 2003-Dec. 2003). Patients received 400 mg i.v. once, then 200 mg i.v. once daily. Results : Groups were matched for all demographic variables. Most of the patients were concurrently receiving nephrotoxic drugs. Gram positive microorganisms were isolated in 8 patients for A and 7 patients for B. Resistance rate against teicoplanin was 22.2% in A and 28.6% in B (P=1.0; 0.61 < 95% confidence interval [Cl] < 1.95). Among the patients with microbiologically documented infection, clinical cure or improvement was seen in 4 (50%) of 8 patients for A and 4 (57.1%) of 7 patients for B (P=1.00; 0.29 <95%CI <2.60). Bacteriologic efficacy was assessed as follows; elimination in 5 (55.6%), elimination with relapse in 2 (22.2%), resistance in 2 (22.2%) out of 9 gram-positive bacteria for A and 5 (51.4%), 0 (0.0%), 2 (28.6%) out of 7 bacteria for B, respectively (P=Q.28).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duration of fever, duration of use of teicoplanin, and overall mortality. The incidence of nephrotoxicity and ototoxicity was not significant. Conclusion : For using teicoplanin as the empirical therapy for febrile neutropenia, the rate of clinical, microbiological response, and nephrotoxicity was 53.3%, 62.5%, and 16.3% respectively with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2 preparations of teicoplanin. Supplementary evaluation on the adequate dose and duration of teicoplanin may be required.

      • KCI등재후보

        국내 혈액질환 환자에서 침습성 진균 감염의 구제치료로서 Caspofungin의 효과와 안전성

        최수미,박선희,이동건,최정현,유진홍,민우성,신완식,김춘추 대한감염학회 2005 감염과 화학요법 Vol.37 No.5

        목적 : 본 연구에서는 국내 혈액질환 환자들에서 일차 항진균제를 부작용으로 인해 투여할 수 없거나, 일차 항진균제에 반응이 없는 침습성 진균 감염증의 구제치료로서 caspofungin의 효과와 이상반응에 대한 임상 경험을 소개하고, 예후인자를 분석해 보았다. 재료 및 방법 : Caspofungin은 첫날 70 mg, 이틀째 부터 50 mg을 하루 일회 투여하였고, caspofungin 종료시 그리고 종료 4주 후 반응을 평가하였다. 결과 : 총 55명의 환자가 분석에 포함되었고, 남자 32명, 여자 23명, 평균 나이는 38.2세(16-65세)였다. 기저 질환은 급성 백혈병 33명, 골수이형성 증후군 12명, 만성 백혈병 3명, 기타 7명이었다. 진균 감염은 확진 1명, 가능 5명, 추정 47명, 불확실 2명이었고, 감염 장소는 폐를 침범한 경우가 49명, 파종감염 6명이었다. 전체적으로 41.8% 환자에서 양호한 반응을 보였으며, 치료군, 치료후 기저질환의 상태, 침습성 진균 감염 진단시 호중구 감소증 여부, 스테로이드 등 면역억제제 사용 여부가 유의한 예후인자였다. 약제관련 이상반응은 14.5%에서 관찰되었고, 발열, 피부 발진, 간기능 저하 등으로 나타났다. 이중 4명에서 이상반응과 관련하여 투약을 중지하였고, 약제 중단 후 증상은 모두 호전되었다. Caspofungin 관련 신독성은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 Caspofungin은 국내 혈액질환 환자에서 침습성 진균 감염증의 구제치료에 효과적으로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겠다. 최근 여러 항진균제들이 개발되어 임상에 도입되고 있는 바, 항진균 작용 범위, 독성, 약역동학적 특성, 비용-효과면 등을 고려하여 환자별로 직절한 항진균제를 선택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Background : Invasive fungal infection (IFI) is an important cause of morbidity and mortality in patients with hematologic malignancy. Patients with IFI who fail to standard therapy have poor prognoses. We investigated the efficacy and safety of caspofungin (CAS) in Korean adults with hematologic diseases and IFI who did not respond to the conventional antifungal therapy. Materials and Methods : Patients with IFI refractory or intolerant to standard antifungal therapy received CAS 50 mg IV daily after 70 mg loading dose on day 1. Efficacy and safety of CAS were assessed in patients who received more than one dose. Favorable response [complete (CR) or partial (PR)] was defined as significant improvement of all clinical symptoms, signs, and radiologic abnormalities. Results : From Feb. 2004 to Feb. 2005, 55 patients who met the inclusion criteria were enrolled. There were 32 male and 23 female patients with mean age of 38.2 years (range, 16-65). Underlying diseases were acute leukemia (33 cases), myelodysplastic syndrome (12 cases), chronic myelogenous leukemia (3 cases), and other hematologic diseases (7 cases). Thirty-six patients were receiving chemotherapy and 13 patients were under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HSCT). The number of proven, probable, possible, and indeterminate IFI cases was 1, 5, 47, and 2, respectively. Conventional amphotericin B, intravenous itraconazole, and liposomal amphotericin B were administered for average of 14.9 days prior to administering CAS. Mean duration of CAS therapy was 12.8 days (range, 1-45). Twenty-three patients (41.8%) showed favorable responses (CR : PR=8 : 15) at the end of CAS therapy. Chemotherapy group, neutropenic state, remitted state of underlying disease, and no steroid therapy were significant prognostic factors for favorable response. Eight (14.5%) patients developed drug-related adverse events such as fever, skin eruption, and hepatic dysfunction which were reversible after discontinuation of CAS. Drug-related nephrotoxicity was not observed. Conclusion : On the basis of our investigation, CAS was effective and safe as a salvage therapy of refractory IFI or as an alternative for patients intolerant to standard antifungal agents.

      • KCI등재후보

        조혈모세포이식 환자에서 발생한 Cytomegalovirus 질환의 특징 : 일개 대학변원에서 최근 10년간의 경험

        최수미,이동건,박선희,김시현,김유진,민창기,김희제,이석,최정현,유진홍,김동욱,이종욱,민우성,신완식,김춘추 대한감염학회 2009 감염과 화학요법 Vol.41 No.1

        Background : Studies on cytomegalovirus (CMV) diseases in Korean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 (HSCT) recipients are lacking and do not reflect the recent trends of advances and changes. Therefore, we tried to analyze the clinical features of CMV diseases in HSCT recipients over the past 10 years at a tertiary university hospital in Korea. Methods : Retrospective review of medical records was done for all adult HSCT patients who received transplant at the Catholic HSCT Center from January 1998 to January 2008. Results : Forty-four cases (2.2%) of CMV diseases were identified. CMV pneumonia was diagnosed in 17 patients, retinitis in 16 patients, enterocolitis in 7 patients, esophagitis 1 patient, gastritis in 1 patient, duodenitis in 1 patient, and hepatitis in 1 patient. The median onset of symptom was 90 days after transplantation. Late CMV diseases accounted for 47.7%. CMV related death varied from 0 to 58.8% according to the involved organ. CMV retinitis was diagnosed relatively later in the course of transplantation mostly in patients who had chronic graft versus host disease (GVHD). On the contrary, CMV enterocolitis mainly occurred in patients who suffered from acute GVHD. The overall concurrent CMV reactivation was documented to be 63.6%: the concurrent CMV reactivation was observed only in 37.5% of patients with retinitis. Conclusions : We observed some differences in the pattern of CMV disease manifestation according to the involved organ and reconfirmed the fact that CMV pneumonia is the most common and fatal disease in HSCT recipients. Additionally, CMV retinitis was not uncommon in HSCT recipients. Since specific marker does not exist in predicting retinitis, regular ocular examination should be done thoroughly, especially in patients with chronic GVHD.

      • KCI등재후보

        조혈모세포이식 환자에서 침습성 진균 감염에 대한 이트라코나졸 액과 플루코나졸 시럽의 예방 효과 : 전향적, 무작위, 비교 임상시험

        최수미,이동건,최정현,박선희,엄기성,김유진,김희제,민창기,유진홍,김동욱,이종욱,민우성,신완식,김춘추 대한감염학회 2005 감염과 화학요법 Vol.37 No.2

        목적 : 조혈모세포이식 환자에서 호중구 감소 기간 동안 이트라코나졸 액(ITZS)과 플루코나졸 시럽(FCZS)의 진균 감염에 대한 예방 효과를 전향적으로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 2001년 8월부터 2002년 6월까지 가톨릭 조혈모세포이식센터에 입원하여 동종 조혈모세포이식을 받은 만 18세 이상의 환자들을 각각 ITZS와 FCZS군으로 무작위 배정하여 침습성 진균 감염 발생과 약제 관련 부작용을 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과 : ITZS군에 40명, FCZS군에 38명이 배정되었고, FCZS군 환자의 평균 나이가 더 많았다. 시험 약제 평균투여기간은 ITZS군 16.4일, FCZS군 21.9일로 ITZS군이 더 짧았다. 이는 ITZS군에서 소화기 부작용으로 인한 약제 중단이 더 많았기 때문으로 보인다. 시험 약제 투여 후 총 빌리루빈 수치의 유의한 증가가 관찰되었으나, 약제 관련 부작용은 모든 환자에서 가역적이었다. 호중구감소 기간동안 표재성 진균 감염은 두 군에서 모두 발생하지 않았고, 침습성 진균 감염은 ITZS군 5명(12.5%), FCZS군 8명(21.1%)으로 FCZS군에서 많았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 않았고, 사망률에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론 : 침습성 진균 감염에 대한 이트라코나졸 액과플루코라졸 시럽의 예방 효과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앞으로 더 많은 환자를 대상으로 잘 짝지어진 대조군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부작용 중 간독성과 관련하여 이식시 투여되는 여러 약제들과의 상호작용에 대한 연구도 필요할 것이다. Background : Though fluconazole is widely used for antifungal prophylaxis, it is ineffective against mould infections including Aspergillus species. Itraconazole has a broader spectrum than fluconazole but the capsule form shows erratic bioavailability in neutropenic patients. In this study, we compared itraconazole oral solution (ITZS) with fluconazole syrup (FCZS) for the prevention of invasive fungal infection (IFI) in allogeneic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 recipients. Materials and Methods : Adults receiving allogeneic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HSCT) from september 2001 to June 2002, were randomly allocated to either the ITZS group or the FCZS group. We prospectively evaluated the safety and efficacy of each drug. Results : Out of 78 patients (40 patients in the ITZS group and 38 patients in the FCZS group) who were eligible for this study, 37 patients completed the course of prophylaxis without any evidence of IFI. The mean duration of prophylaxis was 16.4 days for the ITZS group and 21.9 days for the FCZS group (P<0.006). Drug-related adverse events occurred in 28 patients (70.0%) and 19 patients (50.0%) in the ITZS group and the FCZS group, respectively. Common adverse events of ITZS were nausea, vomiting, and diarrhea. Drug-related reversible hepatotoxicity occurred in 4 patients in the ITZS group. There was a significant elevation of total bilirubin level in the ITZS group. The incidence of suspected IFI occurred in 5 patients (12.5%) who received ITZS, compared with 8 (21.1%) who received FCZS (P=0.372). There were no proven IFIs or superficial (oral/vaginal) fungal infections in both groups. Overall mortality was not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2.5% in the ITZS group versus 5.3% in the FCZS group, P=0.610). Conclusion : ITZS and FCZS showed similar protection against IFI during pre-engraftment period. Poor tolerability due to gastrointestinal troubles of ITZS might limit its success as prophylactic therapy. Well matched controlled study with large number of patients will be required in the future.

      • SCOPUSKCI등재

        간호실무에서 신봉이론(Espoused theories)에 대한 탐색적 연구

        서문자,김혜숙,이은희,박영숙,조경숙,강현숙,임난영,김주현,이소우,조복희,이명하,지성애,하양숙,손영희,권성복,김희진,추진아 성인간호학회 2001 성인간호학회지 Vol.13 No.1

        As a nursing practice involves nurses' actions in a specific context of health care, this study has focused on exploring the espoused theories in nursing practice within the action science perspectives, Espoused theories are the belief, principles, and rationale expressed by the practitioner as guiding her/his actions in a situation of practice. The data were analysed qualitatively and 25 elements of espoused theories of nursing action were identified and clustered into 6 categories. The 25 elements of espoused theories are as follows: The clinical nurse worked in wholistic and individual nursing, focussed on the patient's needed, comfort and supportive nursing (5 theories of nursing goal) ; excellent skills, knowledge based, assessment and data collection, explaining, educating or a scientific basis(6 theories of nursing intervention): advocacy, value oriented, treatment, account- ability and commitment(4 theories of nursing ethics) ; human respect. partnership, trust(3 theories of patient-nurse relationship) : knowledgable, accumulated clinical experiences and personally lived experiences. positive perspectives(4 theories of nurse), role of intervention. rewarding peer relationship(3 theories of situations) The above mentioned espoused theories are similar to that of nursing textbooks which students learned through basic nursing education and almost the same as the Acts ofa Nurse in Korean. However, we are doubtful whether nurses actually do as they think. Therefore. it is recommended to review the theories-in-use in order to and any discrepancies between the espoused theories and the reality of nursing ac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