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CT 유도하의 경피적 폐생검 : 임상적 의의 및 합병증에 관한 연구 A Study of Clinical Significance and Complication

        박재성,백상현,차장규,홍현숙,김대호,박성진,조준희,임한혁,이혜경 순천향의학연구소 2003 Journal of Soonchunhyang Medical Science Vol.9 No.2

        Purpose : To determine the diagnostic accuracy and predicting factor of pneumothorax on CT-guided percutaneous transthoracic needle biopsy. Materials and Methods : Using automated biopsy devices, 107 CT-guided percutaneous needle biopsies of pulmonary lesions were performed. Final diagnosis was made with operation or other methods. We retrospectively analyzed the frequency of complications and diagnostic yields of 107 biopsies. The clinical features, treatment, and courses of complications were reviewed, and risk factors of pneumothorax such as depth and size of lesion, CT emphysema score of whole lung and pathway of needle, and the result of pulmonary function test were analyzed. Result : 96 biopsies(89.7%) yielded sufficient tissue for pathologic evaluation. For cases of malignant and benign disease, sensitivity was 91.5% and 87.5% respectively; the corresponding figures for diagnostic accuracy were 88.1% and 77.1%. So, sensitivity and diagnostic accuracy of percutaneous transthoracic needle biopsy was 89.7% and 83.2%. Eighteen(16.8%) of 107 patients developed pneumothorax and 3 of these required application of chest tube or percutaneous catheter drainage. In the group with pneumonthorax, the lesion was significantly smaller(p=0.029) and higher CT emphysema score of pathway of needle(p=0.032).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with or without pneumothorax) for depth of lesion, pulmonary function test(% predictive value of FEV1 and FEV1/FVC) and CT emphysema score of whole lung. Conclusion : CT-guided transthoracic needle biopsy of the pulmonary lesions is safe and easy method of obtaining specimens of good quality and quantity. It may be an useful procedure in the diagnosis of localized pulmonary lesions. For the prediction of pneumothorax, size of lesion and CT emphysema score of pathway of a needle are significant risk factors.

      • KCI등재

        1960년대의 민속학과 ‘민(民)’

        임장혁(IM, Jang-Hyuk) 한국민속학회 2013 韓國民俗學 Vol.57 No.-

        민속학사에 있어서 1960년대는 문화인류학회, 민속학회, 한국민속학회 등이 창립되어 민속학의 학문적 체계를 갖추고 발전을 모색했던 시기였다. 당시에 민속학계를 주도하던 학자들은 국문학과 출신들로서 설화, 민요의 연구에서 시발하여 독학으로 민속학, 민속학, 인류학 등의 서적을 통해 민속학의 구상하였다. 따라서 학자에 따라 민속학을 독립학문 또는 국문학이나 역사학의 보조학문으로 상정하고 연구하였고 민속의 범위와 분야를 제시하였다. 민속의 개념을 학자에 따라 잔존문화, 민간전승문화, 전통적 지식과 기술 등으로 정립하였다. 한편 ‘민’은 서민, 민간 등으로 규정하여 양반과 천민의 중간계층인 실체적 개념으로 대체로 이해코자하였으며, 미래 전망적 능동적인 민중인 문화적 개념으로서 정립하려는 의견도 있었다. 이러한 학자들 간에 민속학의 성격이나 개념에 관한 이견은 1970년에 ‘한국민속학의 방향’에 관한 학술회의에 논쟁이 되었다. 즉 민속학은 현재학을 토대로 한 사회과 학으로 선회하려는 노력이 강구되었다. In terms of folklore history, the 1960s laid the groundwork for academic development, and various academies, such as the Society for Cultural Anthropology, the Folklore Society, and the Korean Folklore Society, were created. In those days, most leading folklorists had a Korean literature background; therefore, research focused on oral traditions and folksongs. Since then, scholars formulated the Korean Folklore Study based on foreign folklore and anthropology books. As a result of this tendency, some scholars defined folklore as an independent study, whereas others considered it an auxiliary subject to history and / or Korean literature. This difference caused the creation of different scopes and domains of folk culture. Depending on the scholar making the definition, the concept of folk culture had many definitions, including emergent culture, transmitted culture, and traditional knowledge and skills. Moreover, the min (民, literally people) was labeled as ‘common people’, so it was understood that they were middle class, between the yangban (noblemen) and the cheonmin (low class). Also the min was considered an active body participating to the future of culture. These gaps about folklore’s characteristics and concepts were discussed during an academic conference (Korean Folklore’s Way) in the 1970s. In other words, there has been a movement for Korean folklore to return to the social sciences, based on the present study.

      • KCI등재

        Characterization of Cement Solidification for Enhancement of Cesium Leaching Resistance

        Gi Yong Kim,Won-Hyuk Jang,Sung-Chan Jang,Junhyuck Im,Dae Seok Hong,Chel Gyo Seo,Jong Sik Shon 한국방사성폐기물학회 2018 방사성폐기물학회지 Vol.16 No.2

        Currently, the Korea Atomic Energy Research Institute (KAERI) is planning to build the Ki-Jang Research Reactor (KJRR) in Ki-Jang, Busan. It is important to safely dispose of low-level radioactive waste from the operation of the reactor. The most efficient way to treat radioactive waste is cement solidification. For a radioactive waste disposal facility, cement solidification is performed based on specific waste acceptance criteria such as compressive strength, free-standing water, immersion and leaching tests. Above all, the leaching test is important to final disposal. The leakage of radioactive waste such as 137Cs causes not only regional problems but also serious global ones. The cement solidification method is simple, and cheaper than other solidification methods, but has a lower leaching resistance. Thus, this study was focused on the development of cement solidification for an enhancement of cesium leaching resistance. We used Zeolite and Loess to improve the cesium leaching resistance of KJRR cement solidification containing simulated KJRR liquid waste. Based on an SEM-EDS spectrum analysis, we confirmed that Zeolite and Loess successfully isolated KJRR cement solidification. A leaching test was carried out according to the ANS 16.1 test method. The ANS 16.1 test is performed to analyze cesium ion concentration in leachate of KJRR cement for 90 days. Thus, a leaching test was carried out using simulated KJRR liquid waste containing 3000 mg·L-1 of cesium for 90 days. KJRR cement solidification with Zeolite and Loess led to cesium leaching resistance values that were 27.90% and 21.08% higher than the control values. In addition, in several tests such as free-standing water, compressive strength, immersion, and leaching tests, all KJRR cement solidification met the waste acceptance or satisfied the waste acceptance criteria for final disposal.

      • KCI등재

        일본 물질문화 관련 학문의 방법론의 의의와 과제

        임장혁(Im, Jang-Hyuk) 비교민속학회 2017 비교민속학 Vol.0 No.62

        일본민속학은 초기에 연구대상으로 물질문화를 포함하여 민속학의 한 갈래로서 이를 ‘민구론’이라 하였다. 그러나 1980년대에 민구(民具)에 관한 연구는 민구학으로 독립하여 민중이 생산 · 생활하는 데 사용하는 도구의 제작기술을 해명하고 문화의 시원 · 보급 · 정착 · 복합하는 추구하며 인간을 생태학적으로 연구하는 학문으로 전개하였다. 민구학은 역사민속학과 생태민속학의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성과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전통도구를 주요 연구대상으로 하는 민구학은 현대인의 생활도구의 연구에는 한계성을 갖고 있다. 즉 역사적 또는 생태학적인 방법론은 도구의 제작기술과 소재의 변화과정을 연구하기에 유효하나 현대의 공산품인 생활도구가 유통민구이기에 기존의 방법론으로 적용할 수 없다. 현대물질문화에 대해 연구하는 학문으로서 고현학과 생활학은 현대인의 의식주생활을 중심으로 유행의 과학 또는 일상성을 대상화하고 연구비판하는 학문으로 등장하였다. 고현학은 고고학에 대응하는 학문으로 시작하여 1920년대 서양의 복식이 일본에 수용되면서 나타난 유행의 변화 과정을 과학적으로 측정하기 위해 기상학의 방법을 응용하였다. 또한 현대인의 의식주생활의 변화과정이나 풍경을 민속지가 아닌 스케치나 조감도로 기록화 하였다. 고현학은 현대인의 유행의 변화를 이해하는데 유익하지만 복잡한 현대인의 소비생활구조를 학문으로 접근하는 데 한계성을 나타내고 있다. 한편 생활학은 주거공간과 가족구성원과 생활도구나 용품의 관계를 해명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물건이나 도구는 공간을 차지하고 있으며 사용자나 관리자의 행동범위 내에 자리를 잡고 있기 마련이다. 즉 생활학은 인간과 공간 그리고 물품과의 관계를 과학적으로 연구하는 의미가 있다. 민구학이 민중이 생산생활에 중점을 두었다면 고현학과 생활학은 소비생활을 연구하는 차이를 나타낸다. 즉 물질문화의 연구에 있어 전통사회에는 생산생활이 현대에는 소비생활이 주요 관점이 되고 있다. 물질문화연구에 있어 소비와 생산에 대한 균형적 관점에서 연구방법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An academic subject is recognized for independent research when it has own research targets, methodology, and objectives. Japanese folklore was initially called mingu-ron (material culture theory) as a branch of folklore because it included material culture as a research subject. In the 1980s, the mingu-ron was independent, but it has evolved into a science of human ecological research that explains the techniques of tool making and the establishment and diffusion of culture. However, it is difficult to study the tools of modern people. In other words, historical or ecological methodology is effective in studying the process of making tools and the changing materials, but this conventional methodology cannot be applied because modern tools are mostly industrial products. As a study of contemporary material culture, modernology (考現學) and lifeology have emerged to study trends and critique the everydayness of modern lifestyles including food, clothes, and housing. Modernology started alongside archeology and adopted the meteorological methods to measure the changes in fashion as Western clothes were accepted into Japan in 1920s. In addition, it recorded the process and landscape of modern people with a picture or a bird’s eye view. Modernology is useful for understanding the changes of modern trends, but it also shows limitations in approaching the complicated contemporary consumer life structure. On the other hand, lifeology is aimed at elucidating the relationships among residential space, family members, and lifestyle supplies. Objects or tools occupy space and are positioned within the behavior of the users. In other words, lifeology is meaningful to study scientifically the relationship between man, space and goods. If mingu study is focused on production process, modernology and lifeology differ by studying consumers’ lives. In the study of material culture, the production life is emphasized in traditional society, and consumer life in the modern society. Research methodologies should be balanced between consumption and production.

      • KCI등재

        한․일 민속학개론서의 내용과 특징

        임장혁(Im, Jang-Hyuk) 비교민속학회 2016 비교민속학 Vol.0 No.59

        개론서에 대한 평가는 대체로 두 가지 시각에서 논의된다. 첫째는 목차구성을 통해 학문의 범위와 각 장별 중요연구 성과를 집약적으로 정리하여 어떻게 체계화하였는가에 대해 집중된다. 둘째는 여러 성과물을 가운데 어떠한 개념이 선택되어 개론서에 배치되어 집필되고 있는가하는 문제이다. 이 논문은 한국과 일본의 개론서의 통해 양국의 민속학적 경향과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여러 개론서 중에서 한일 양국의 첫 민속학개론서이거나 출판연대가 비슷하고 학계의 의견이 반영되어 비교적 독자층을 확보한 서적 3권을 각각 선택하여 비교하였다. 한일 민속학개론서는 공히 민속학이 과거의 학문인가 현재의 학문인가에 대한 물음과 더불어 과거와 현재가 연속적인 것으로 파악하고 현재중심의 학문이 되어야 한다는 학문적 성격을 명확히 하고 있다. 그러나 한국민속학개론서는 과거중심으로 일상생활을 이해하려는 학문으로 개론서가 집필되고 있다. 또한 다수의 학자가 집필하여 일관성이 결여된다는 지적에 대해 양국의 개론서 공히 자인하고 있으나 불가피한 것으로 여겨진다. 단 각 개론서는 학문적 범위와 성향을 반영하는 길잡이라 한다면 한국의 민속학개론서에는 집필자의 의도를 파악하기 어렵고 연구 성과를 정리한데 그친 아쉬운 면이 있다. 개론서의 목차는 민속의 형성과 각 분야별 연구 성향을 이해하는 좌표이다. 한국의 개론서는 민속을 구비문학, 민간신앙, 의식주생활, 통과의례, 민속예술 등이 공통으로 각 장에서 독립적으로 서술되어 있어 분야별 연구 성과를 잘 정리하고 있으나 각 분야별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어려운 점이 있다. 일본의 개론서의 목차는 민속을 사회적, 경제적, 문화적 측면에서 전승을 논하거나 또는 시간과 공간의 양축으로 민속이 형성되는지를 논하고 있어 각 개론서별 특징이 나타나 있다. 현대에 농촌의 과소화에 따른 도시민속학이나 현대민속학의 필요성도 강조한 점이 일본민속학 개론서의 특징이기도하다. 역사학의 보조학문으로 출발한 일본민속학과 국문학의 보조학문으로 출발한 한국민속학이지만 두 나라의 민속학이지만 독립학문으로 점차 사회에 참여하는 실천민속을 추구하고 있다. 한일 공히 민속학의 개념정립과 더불어 새로운 개론서에 집필방향을 모색할 시기이다.

      • KCI등재

        민속학과 전공 커리큘럼과 학생들의 민속학적 관심

        임장혁(Im Jang-Hyuk) 한국민속학회 2007 韓國民俗學 Vol.46 No.-

        이 논문은 민속학과에서 운영되고 있는 전공 커리큘럼의 분석을 통해서 민속학의 학문적 체계와 연구동향과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또한 민속학과 학생들의 학과 선택동기와 학문적인 관심이 커리큘럼에 반영되어 있는지를 분석하여 전공과목의 교과과정을 개선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학과 선택의 동기에 관해서는 설문조사를 통해서 파악하였다. 또한 학생들의 관심분야는 졸업논문의 주제를 통해 분석을 하였다. 학생들은 대다수가 학문적 관심보다 합격가능성에 중점을 두어 학과를 선택하였으며, 현대민속에 관심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현행 교과과정은 기존의 민속학의 연구 성과를 반영하여 구비문학 등 특정분야에 과목으로 세분화되었으며, 과목의 난이도를 고려하지 않고 편성되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개선된 교과과정을 제시하였다. 교과과정의 편성기준은 유사한 과목은 통폐합하고, 4학년에서는 졸업 후에 사회 진출하여 활용할 수 있는 과목으로 구성하였다. 우선, 전공기초 과목은 학생들이 쉽게 민속학을 이해하고 흥미를 갖도록 편성하였다. 전공과목은 다양한 민속학의 분야를 이해하고, 현대사회의 문화현상을 민속학적 관점에서 접근할 수 있는 과목으로 편성하였다. 이러한 새로운 교과과정을 제시하였으나, 민속학의 연구 성과 없이는 과목개설이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민속학계는 많은 연구서적이 출판되어 교재개발이 되어야 한다. 또한 새로운 과목이 개설된다 하더라도 이를 지도할 수 있는 강사가 확보되어야 한다. 민속학자들이 다양한 분야에 많은 관심을 갖고 연구해야 한다. 특히 현대 민속학의 학문적 진전과 이론 교육이 요구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the academic structure of folklore and research status through analysing academic curriculum of the Folklore department. Moreover this study aims to improve the curriculum by analysing students' intellectual interests and motives when they chose their major. Recent survey was made to find out how the students chose their major, and students' interests were analysed based on thesises of the graduates. Most students chose their major simply to pass the entrance exam in university rather than academic interests, and many students in dept. folklore were interested in contemporary folklore. Present curriculum is specified based on previous researches on folklore such as oral literature, and it consists without regard for the degrees of difficulty. Considering these subjects, new improved curriculum will be suggested in this paper. The main points of organizing new curriculum are to integrate similar courses and to design practical courses for the senior year so they can put knowledge to practical use after graduate. First of all, primary subjects are consisted of instruction to Korean folklore that the 1st year students can understand the major and raise their awareness. Major courses are consisted of various field researches and contemporary folklore studies. Although new curriculum has been suggested, it is impossible to offer new courses without fundamental academic researches on folklore. For this, suitable lecturers for the new courses are essentially required as well as new teaching materials. The folklorist are responsible for researching various field studies, and further studies of contemporary folklore are specially demanded at the present time.

      • KCI등재후보

        부계외혼제사회에서 주자가례의 수용에 의한 혼례의 지속과 변용

        임장혁 ( Im Jang Hyuk ),조이레 ( Jo Ireh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6 韓國思想과 文化 Vol.84 No.-

        고대의 혼례에 관한 기록은 그리 많지 않으며 고구려의 서옥(壻屋)에 관한 내용을 바탕으로 모편거주제(matrilocal residence)와 모계사회의 잔존문화로 이해하였다. 여기에는 Morgan의 『고대사회』의 영향을 받은 엥겔스의 이론이 중심에 있다. 여신을 믿는 신앙이나 신화 또는 여왕의 등장이나 왕가의 결혼을 근거로 한국의 고대사회가 모계사회의 영향이 있었음을 주장하는 것이다. 그러나 인류학의 연구성과로 가족집단은 민족에 따라 모계제(matrilineal)에서 부계제(patrilineal)로 진화된 것이 아니며 민족에 따라 쌍계제(dualism), 이중출자(double decent)등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신앙이나 신화가 그 사회를 배경으로 전승되는 것이 아니며 사회제도와는 무관하다는 것이 선행연구의 성과이다. 고대의 가족제도와 혼인제도는 결혼 후에 거처로 구분하기 보다는 자녀의 상속이나 출자(decent)에 의해 결정되는 것으로 부계사회라 할 수 있으며 배우자를 친족 이외 또는 타 거주지의 사람과 혼인을 맺었다. 따라서 부계외혼제가 고대부터 가족제도나 결혼에 지배적인 관행이었음을 알 수 있다. 외혼제는 자유연애와 달리 중매에 의해 결혼하기에 중매자도 있었음이 주몽설화에 반영되어 있다. 북방소수민족은 부계외혼제를 행하고 있으며 대부분 주거공간이 성에 따른 구분이 명확하여 앞과 뒤 또는 좌우로 나누어 남성공간과 여성공간으로 구분된다. 한국의 주거공간은 안채와 바깥채로 나누어져 있다. 4세기의 안악3호 고분을 보면 남녀유별에 의한 공간구분이 있다는 점에서 유교가 도입되기 이전부터 부계외혼제의 사회였음을 알 수 있다. 결혼 후의 남귀여가(男歸女家)는 일정기간 처가에 노동력을 제공하는 기간이기도 했으며 고려시대까지 자녀균등상속의 관행과도 관련이 있다. 유교의 도입으로 조선조에 6례 또는 4례가 도입되며 이를 정착하는문제가 되는 것은 친영의 절차였다. 친영은 실제 혼례를 치루는 의례와 신부와 신랑이 함께 시가로 가는 과정을 말한다. 유교의 절차로 친영은 신랑집에서 혼례를 치루고 시부모에게 인사를 드리는 의례이다. 그러나 유교이전의 남귀여가는 신부집에서 혼례를 하고 일 년이나 일정기간 후에 신부가 시가에서 후례를 올리는 절차이다. 친영(親迎)이 정착되지 않아 대안으로 반친영(半親迎)을 행하여 신부집에서 혼례를 올리고 일정기간이 지난 후에 시가에서 후례를 지냈다. 반친영이 정착여부는 귀족계층에서는 수용되었으나 민간에서는 남귀여가의 관행이 많았다. 따라서 민간에서 ‘해묵이’라 하여 이듬해에 신행을 하든지 또는 ‘달묵이’이라 하여 몇 달이 지난 후에 신행을 하였다. 주자가례의 도입으로 혼례에서 남자가 처가에서 거처하는 기간이 짧아짐에 따라 노동력의 보상은 사라지고 신부 집에 보내는 납폐(納幣)에 예물로 보상하게 되었다. 납폐는 신랑집단으로부터 처가에 보내는 재화나 증물의 총칭으로 혼자(婚資)에 해당되는 것이며, 납폐의 부담이 커진 것은 정신적 경제적 보상이 커진 것으로 유교 정착에 의해 부권이 강화되고 부인의 지위가 종속되어 주변적 존재가 되었음을 알 수 있다. It is very rare to find recordings on ancient wedding customs. According to Seo-ok (壻屋) which was written in Goguryeo period (37 BCE-668 CE), it is understood that matrilocal residences were common. This is based on the theory of Friedrich Engels, who was influenced by Lewis H. Morgan and Morgan’s book, Ancient Society. Ancient Korea was considered a matriarchal society because beliefs or myths on female deities, presence of queens, royal wedding, etc. Thanks to anthropological research, it is well-known that family groups evolved by ethnic groups into dualistic and double-decent groups. In other words, ethnic groups were not a factor in dividing family groups into matrilineal or patrilineal types. Previous studies also found that beliefs or myths were not directly related with social systems. Family systems and marriage in ancient times were defined by descent or inheritance, not by residence styles of married couples. People tended to marry either from outside of relatives or from different area. Therefore, ancient countries in Korea were more patriarchal. Bugyewihonje (paternal exogamy, illegal for marriage between couples with the same surname and from same place of family origin) was a dominant practice. Lover marriages were uncommon as exogamy usually involved matchmakers, and their stories are found in Jumong-seolhwa, tales of the first king of Goguryeo. Northern minority groups also followed bugyewihonje. Most of their residential spaces were divided by gender, with anchae (inner space) for women and bakatchae (outer space) for men. Divided spaces were presented in Anak, a mural painting created in fourth century, well before Confucianism was introduced to the Korean peninsula, which means that paternal exogamy was dominant in Korea for quite some time. In the context of Confucian ritualism, chinyoung refers to the processes in wedding rituals and also means going to the husband’s house to greet parents-in-law on the wedding day. Whereas, namguiyeoga refers to the custom of married couples staying in the bride’s family house for a year (sometimes even longer) and then going to the husband’s house. Namguiyeoga was practiced before Confucianism was introduced. In the early stage of Confucianism, chinyoung was not well accepted, instead Banchinyoung (semi-chinyoung customs) was widely practiced in noble classes, whereas, commoners were more likely to practice namguiyeoga. Commoners usually stayed in the bride’s house after the wedding, where the husband provided labor until the couple moved to the husband’s house. However, with Confucian influences, the duration of the husband staying in the bride’s house decreased, leading to less labor being provided to the wife’s family; instead wedding presents were sent to the bride’s house in the form of nabpye (bride-wealth sent from the groom’s family to the bride’s family). Burden of nabpye increased as it became a larger part of replacing offers of labor. As a result, paternal authority strengthened and the status of wife became more subordinate to men.

      • KCI등재후보
      • KCI등재

        논문 : 연화대무의 민속학적 연구

        임장혁 ( Jang Hyuk Im ),이사빈 ( Sa Bin Lee ) 한국무용기록학회 2011 무용역사기록학 Vol.22 No.-

        ``학춤``으로 널리 알려진 연화대는 정재로서 그 기원이나 의의에 대해 무용학계에서 연구되어왔다. 또한 그 기원은 고려사악지의 기록을 수용하여 탁발위에서 전해진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근년 들어 연화대에 관한 연구는 민속학이나 역사학에서 이루어져 왔으며 이를 토대로 정재로서 연화대에 대한 변화과정이나 문화적 의미의 해석을 하였다. 고려시대의 연화대는 학이 등장하지 않았을 가능성이 높으며 연화대에서 두 사람이 등장하며 추었을 것으로 추론된다. 연화대에 학이 등장하는 것은 조선시대부터이며 연화대의 의미는 불교적인 의미로 정토왕생과 깊은 관련이 있다. 유교를 국교로 삼은 조선시대까지 불교적 의미의 정재가 지속적으로 연행된 이유는 민중의 종교가 불교를 기반으로 하고 있었기 때문일 것이다. 그리고 조선시대 왕의 진찬례때 추었던 연화대는 왕권 또는 신권과 밀접한 연관성을 가진다. 또한 학춤은 불교의 정토신앙이 전래되어 나타난 연화화생과는 다른 전파경로를 통해 전래되어 연화대무와 합설되었을 것으로 여겨지며 이는 민속학춤과도 깊은 관련성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금후 이에 대한 보다 심도 있는 연구가 기대된다. Today, Yeonwhadae is also known as Hakchum, the crane dance, and some arguments have been made by scholars of dance regarding its origin and significance. According to Goryesaakji, a historical document from the Goryeo period, Yeonwhadae originated from Takbakwi. In recent years, more attention has been directed towards issues regarding Yeonwhadae in the field of folklore and historical study. Much illustration has been made, pointing out its transformation and translation of cultural symbolic meaning. There is a strong likelihood that the crane portion of this dance did not appear in Yeongwhadae during the Gorye period, but it consisted of only two men dancing instead. Eventually, it was at the beginning of the Joseon period that cranes started to appear in Yeonwhadae. Therefore, the meaning of Yeongwhadae was intimately linked with Jeongtowangsaeng of Buddhism. As we know, Confucianism was the national religion of the Joseon dynasty. However, the dance which was influenced by Buddhism was still performed during this period. The reason for this should be that the major religion of the masses was closely related to Buddhism. Moreover, Yeongwhadae was also performed only during events related to the King in the royal court, showing that the dance had relation to the royal authority or the religious power. Thus, it may be possible that Hakchum was introduced through unlikely paths of Yeonwhawhasang which were strongly influenced by Buddhism. Then Hakchum was joined with Yeonwhadaemu later, and this passage may be similar to Hakchum in folklore. In this sense, there is one further argument that might be considered regarding Yeonwhadae`s origin and significa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