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서울의 Penicillinase Producing Neisseria Gonorrhoeae 발생빈도(1996)

        김재홍,황동규,전재홍,김윤석,김중환,김용준,이창균,임동진,김현수,조창근,김경문,박상훈,전우형,김희성,이호정,차명수,김갑형,김형석,김석우,황지환,박병순,권오상,이민수,송기훈,성소영,이인섭,부태성 대한화학요법학회 1999 대한화학요법학회지 Vol.17 No.2

        Background : In recent years, gonorrhea has been panedemic and remains one of the most commom STDs in the world, especially in developing countries. Objective & Methods: For the detection of a more effective therapeutic regimen and assessing the prevalence of PPNG, we have been trying to study the patients who have visited the VD Clinic of Choong-Ku Public Health Center in Seoul since 1980 by means of the chromogenic cephalosporin method. Results: In 1996, 139 strains of N. gonorrhoeae were isolated, among which 53(39.0%) were PPNG. Conclusion: Our results suggests that after a peak of 74.3% in 1993, the prevalence of PPNG in Seoul is gradually declining.

      • 서울의 Penicillinase Producing Neisseria gonorrhoeae 발생빈도(1997)

        김재홍,문득곤,김정수,김용준,임동진,박상훈,김희성,이민수,송기훈,김갑형,김형석,성소영,이인섭,김석우,황지환,조창근,김경문,부태성 대한화학요법학회 2000 대한화학요법학회지 Vol.18 No.3

        Background : In recent years, gonorrhea has been pandemic and remains one of the most common STDs in the world, especially in developing countries. Objective & Methods : For the detection of a more effective therapeutic regimen and assessing the prevalence of PPNG, we have been trying to study the patients who have visited the Venereal Disease Clinic of Choong-Ku Public Health Center in Seoul since 1980 by means of the chromogenic cephalosporin method. Results : In 1997. 99 strains of N. gonorrhoeae were isolated, among which 45(45.5%) were PPNG. Conclusion : The prevalence of PPNG in Seoul, which had been decreased to 39% in 1996 after a peak of 74.3% in 1993, is increased to 45.5% in 1997.

      • 조직학적 진단된 chronic necrotizing pulmonary aspergillosis 2예

        김연숙,정숙인,기현균,김춘관,김신우,한정호,김성민,백경란,송재훈 대한화학요법학회 2000 대한화학요법학회지 Vol.18 No.1

        CNPA는 기존의 폐질환 및 폐절제술로 인해 국소방어기전에 저하가 있거나 비특이적 전신면역상태저하를 갖고 있는 환자들에게서 주로 발생하는 만성적인 공동성 폐질환이다. 현재까지 우리나라에서는 CNPA의 보고가 없는 상태이고, 저자들은 최근 조직학적으로 진단된 CNPA 2예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저자들이 경험한 CNPA 환자들은 만성알코올 중독 및 기관지확장증과 같은 기저질환과 폐절제술을 받은 병력이 있었다. Aspergillus가 폐실질을 침윤하고 있는 조직소견과 조직배양에서 Aspergillus가 검출되어 조직학적 진단이 가능하였고, amphotericin B의 정주요법 및 경구 itraconazole 투여와 폐절제술 등으로 성공적으로 치료되었다. 아직 많은 임상의들에게는 낯선 질환인 CNPA의 치료성적은 환자의 동반질환 및 CNPA 자체의 중증도, 진단과 치료 시작의 지연 등에 의해 크게 좌우되므로 만성적으로 진행하는 공동성 폐병변을 갖고 있는 환자에게서 CNPA를 감별하는 것이 중요하다. Chronic necrotizing pulmonary aspergillosis (CNPA) is a chronic cavitary form of pulmonary aspergillosis. Dozens of CNPA cases have been reported in patients with systemic immunologic dysfunction or altered local defense mechanism from preexisting pulmonary disease. Review of literatures revealed that no CNPA cases have been reported in Korea yet. We experienced two cases of CNPA proven by lung biopsy. A 53-year-old alcoholic male in poor nutritional state was admitted with generalized weakness and weight loss. Chest CT revealed a cavitary nodule surrounded with ground-glass attenuation. CT-guided fine needle aspiration and biopsy was done. The biopsy specimen demonstrated dichotomously branching septated hyphae consistent with those of Aspergillus sp. Another case was a 39-year-old man with bronchiectasis who was admitted with persistent hemoptysis. He had a past history of pulmonary tuberculosis. A parahilar lesion with intracavitary soft tissue mass was incidentally detected in high-resolution GT. Left lingular segmentectomy was done due to uncontrolled hemoptysis and CNPA was histologically diagnosed. Both patients were successfully treated with intravenous amphotericin B followed by oral itraconazole. Even though CNPA is unfamiliar to most clinicians, it should be included in differential diagnoses of chronic progressive cavitary pulmonary lesion, especially in patients with immunologic dysfunction.

      • 항암화학요법 중 호중구감소증이 발생한 저위험군 발열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경구 항균제 요법의 임상적 유용성 및 안정성에 대한 연구

        김연숙,이혁,기현균,김춘관,김신우,김성민,백경란,김원석,윤성수,이홍기,강원기,박찬형,박근칠,송재훈 대한화학요법학회 2000 대한화학요법학회지 Vol.18 No.1

        목적 : 항암화학요법 중 호중구감소증을 동반한 발열이 발생하는 암환자들을 치료하기 위한 다양한 항균제와 여러 가지 방법들이 시도되고 있는 가운데, 합병증과 사망률의 발생가능성이 적은 저위험군 환자들을 대상으로 초기 72시간동안 정주 항균제를 투여한 이후 경구 항균제로 전환하는 요법의 유용성과 안정성을 평가해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 1998년 2월부터 1999년 9월까지 본원에서 항암화학요법 중 호중구감소증과 발열이 발생한 환자들 가운데 기저 암질환이 고형암이거나 림프종이고, 입원당시 패혈증의 증후가 없으며 입원 72시간이내에 해열되고 백혈구수치가 증가 추세인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72시간 동안 정주 항균제를 투여한 이후 경우 ciprofloxacin 750㎎을 하루 2회씩 투여하여 총 4일간 투여하였다. 모든 환자들은 열이 떨어지고 호중구감소증이 회복될 때까지 입원하도록 하였다. 결과 : 총 38명 환자의 40예가 등록이 되었고, 환자들의 기저암 질환은 고형함이 72.5%, 림프종이 27.5%였다. 입원당시 평균 호중구치수는 156/㎕였고, 호중구수치가 100/㎕미만인 경우는 65%였으며, 호중구감소증이 지속된 기간의 평균은 2.4일이었다. 40예 중 39예가 항균제의 변형이나 추가 없이 호중구감소증과 발열로부터 회복이 되어 97.5%의 성공율(95% 신뢰구간: 86.8-99.9%)을 보였다. 부작용으로 피부발진이 있었던 경우가 한 예 있었는데, 증상이 경하여 경구 항균제를 지속할 수 있었다. 심와부의 동통으로 복용을 지속할 수 없어서 대상에서 제외된 예가 또 한 예 있었다. 결론 : 항암요법 중 호중구감소증과 발열을 동반한 환자들 가운데 저위험군 환자들에서 항균제 72시간정주 이후 경구 항균제로의 전환요법은 효과적이고도 안전한 치료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Background : Oral antibiotic therapy following empirical intravenous antibiotics may be effective and safe for febrile neutropenic patients with lowrisk for complications. Methods : We conducted a prospective clinical trial of oral antibiotic therapy in the patients with neutropenia and fever during chemotherapy for cancer. Underlying malignancies were solid tumor or lymphoma with short duration of neurtropenia and the patients had no evidence of clinically or microbiologically documented infections. Oral ciprofloxacin was given to the patients who lacked signs of sepsis on admission, had a rising tendency of neutrophil count (ANC >100 /㎕ ) at 72 hours, and were afebrile at 72 hours. All patients were hospitalized until neutropenia and fever resolved. Results : A total of 40 episodes of 38 patients were enrolled from February 1998 to September 1999. The mean neutrophil counts on admission were 156/㎕ and the mean duration of neutropenia was 2.4 days. The episodes which had neutrophil count below 100 /㎕ were 26 (65%). Treatment was successful in 39 of 40 episodes (97.5% : 95 % confidence interval, 86.8% to 99.9%). Adverse reactions of oral ciprofloxacin were skin rash and epigastric soreness in two cases, respectively. There were no deaths during the study. Conclusions : For low-risk febrile patients with neutropenia during cancer chemotherapy, switch therapy to oral ciprofloxacin at 72 hours following intravenous broad-spectrum antibiotics is effective and safe,

      • KCI등재

        Quantitative comparison of mRNA expression of glucosyltransferase(GTF) between xylitol-resistant(X^(R)) and xylitol-sensitive(X^(s)) mutans streptococci

        Kim, Chong-Chul,Lee, Mi-Na,Kim, Young-Jae,Lee, Sung-Hoon 大韓小兒齒科學會 2006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3 No.1

        Since the long-term exposure of mutans streptococci to xylitol is known to select for xylitol-resistant(X^(R)) natural mutants, the occurrence and survival of such X^(R) strains were performed in batch culture methods. The aim of the study was to compare the differentiation and quantification of mRNA expression of the gtf genes of X^(R) and X^(S) mutans streptococci. Using a real-time reverse-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the expression of each gtf was determined. In X^(R) strains, the relative levels of transcription of gtfB and gtfC were decreased while that of gtfD was increased, suggesting the presence of independent promoters. It also suggested that mutation related to production of glucosyltransferase occurred under the exposure of xylitol could explain the caries-preventive mechanisms of xylitol. 자일리톨에 장기간 노출된 mutans streptococci는 자일리톨에 내성이 발현되어 자일리톨 내성균주가 생성된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mutans streptococci에서 자일리톨 내성균주와 감성균주의 gtf 유전자 발현량을 각각의 유전자별로 정량적으로 분석하고 비교하는 것이다. 실시간 역전사 중합효소연쇄반응법을 이용하여 각각의 gtf 발현을 조사한 결과 gtfD는 증가한 반면. gtfB와 gtfC는 감소하였는데 이는 각 유전자의 독립된 조절기전이 존재함을 보여주는 것이다. 또한 자일리톨에 노출된 mutans streptococci에서의 glucosyltransferase와 연관된 유전자변형이 자일리톨의 치아우식증 예방효과의 작용기전 중 하나임을 알 수 있었다.

      • 간세포암과 감별이 어려웠던 악성중피종 치험 1예

        김선문,허원석,채경훈,강윤세,정재훈,김연수,박기오,문희석,이엄석,김석현,성재규,이병석,이헌영,신경숙,조준식,송인상,강대영 충남대학교 의학연구소 2003 충남의대잡지 Vol.30 No.2

        Malignant peritoneal mesothelioma is a rare neoplasm that arises from the mesothelium of a serosal cavity and is a rapidly fatal disease with a median survival of 4 to 12 months for untreated cases. Recently, we experienced a case with malignant peritoneal mesothelioma who was suspected hepatocelluar carcioma by abdominal CT scan and was confirmed by biopsy including immunohistochemical stain(calretinin) after surgery. We performed tumor excisions and wedge resection of the liver(segment Ⅷ)and inserted Tencoff catheter in abdominal cavity at 25th day of post-operation. We treated with intraperitoneal paclitaxel(25mg/m^(2)/day for 5 days) six courses monthly. She was well tolerable and is still living without any evidence of recurrence for 14th month of post-operation.

      • 토끼 수막염 모델을 이용한 다제내성 폐렴구균에 대한 Meropenem의 치료 효과

        김신우,진정화,강수정,정숙인,김연숙,기현균,김춘관,이혁,김성민,백경란,송재훈 대한화학요법학회 2001 대한화학요법학회지 Vol.19 No.1

        목적 : 다제내성 폐렴구균에 의한 수막염은 기존과 단일 항생제로는 근치가 어려워 ceftriaxone과 vancomycin 혹은 rifampin의 병용요법이 권유되고 있다. 다제내성 폐렴구균에 사용할 수 있는 다른 약제 중 meropenem은 시험관내 폐렴구균에 대한 항균력이 좋고 경련 등의 중추신경계 부작용이 거의 없어 다제내성 폐렴구균에 의한 수막염의 치료에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나 이에 대한 자료가 매우 부족한 상태이다. 이에 연자 등은 meropenem과 meropenem+vancomycin의 병용요법이 다제내성 폐렴구균 수막염의 치료에 효과가 있는지를 토끼 수막염 동물 모델을 이용하여 검증하고자 하였다. 방법 : 인체에서 수막염을 일으킨 다제내성 폐렴구균 균주(penicillin MIC 2, ceftriaxone MIC 4, meropenem MIC 0.5㎍/㎖)를 토끼 척수강 내에 직접 주입하여 수막염을 유발한 후 ceftriaxone, vancomycin, rifampin, meropenem의 단일 항균요법, ceftriaxone+vancomycin, ceftriaxone+rifampin, meropenem+vancomycin의 병용요법 간에 치료 효과의 차이를 비교 하였다. 각 치료군은 6 마리의 토끼를 대상으로 하였다. 각각의 항생제는 5 시간 간격으로 2번 정주하였으며, ceftriaxone은 1회 투여하였다. 균주 주입 후 각 치료군이 토끼에서 치료 후 0, 5, 10, 24 시간에 척수액을 채취하여 균주의 수를 측정하여 24시간째의 살균 여부를 최종 치료 효과로 판정하였다. 결과 : meropenem 단독 요법은 10시간째에 모든 균주를 살균하였으나 24시간 째에 다시 균의 성장이 관찰되었으며, meropenem+vancomycin의 병용요법은 단독 약제보다 우수한 살균효과를 보였으나 상승작용은 없었다. 결론 : meropenem+vancomycin의 병용요법은 기존의 ceftriaxone+vancomycin보다 24시간째에 더 큰 균의 감소 경향을 보여(P=0.054) 임상에서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되며 향후 실제 수막염 환자에서의 임상효과를 증명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 : Because antimicrobial monotherapy for pneumococcal meningitis caused by penicillin-resistant strains is not satisfactory, ceftriaxone+vancomycin [C+V] or ceftriaxone+rifampin [C+R] regimens are recommended. Meropenern [M] is one of the monotherapy options for penicillin-resistant pneumococcal meningitis due to good in-vitro activity against pneumococci and rare adverse reactions in CNS. But there have been few reports in the efficacy of meropenern against pneumococcal meningitis. We evaluated therapeutic efficacy of the meropenern and meropenem+vancomycin in a rabbit model of meningitis caused by penicillin-resistant S. pneumoniae (PRSP). Methods : Meningitis was induced by intracistemal inoculation of a pneumococcal strain isolated from a patient with meningitis (MIC; penicillin 2, ceftriaxone 4, meropenem 0.5 g/㎖). Bacterial concentrations in the CSF were measured at 0, 5, 10, and 24 h after therapy was started. Therapeutic efficacy was evaluated by the final bacterial concentration in the CSF at 24 h. Results : C+V cleared the CSF at 10 h, but regrowth of bacteria was noted at 24 h. Meropenem monotherapy resulted in sterilization at 10 h but regrowth at 24 h. M+V was superior to M or V monotherapy but did not show synergism. Therapeutic efficacy of M+V was at least equal or superior to that of C+V (P = 0.054). Conclusion : Meropenem+vancomycin regimen could be one of the useful options in the treatment of PRSP meningitis. Clinical trials to evaluate the M or M +V are warranted in the future.

      • 고온 초전도체 Y₁Ba₂Cu₃O에서 Y의 Sm 치환 효과

        김채옥,김필수,김의훈,김재욱 漢陽大學校 基礎科學硏究所 1992 基礎科學論文集 Vol.11 No.-

        고온 초전도체 Y₁Ba₂Cu₃O??에서 Y를 Sm으로 치환시켰을 때의 수송 임계 전류밀도와 저항의 측정은 각각 77K와 80-160K범위의 온도에서 조사되었다. 그리고 X-선 회절 분석 및 적외선 투과율 측정은 실온에서 수행되었으며, 시료들은 고상 반응법에 의해서 제조되었다. 한편 치환양이 증가함에 따라서 정상상태에서의 저항값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93K 근처에서 초전도 전이온도 Tc를 갖고 있으며, 치환양에 따라 거의 변화지 않았다. 적외선 투과율 측정결과 날카로운 peak들은 472.78~618.53㎝-1범위에 있었다. 이것은 특이할 정도로의 low-lying plasmalike edge와 낮은 에너지의 전자적인 여기가 존재함을 나타내는 것이다. 수송임계 전류밀도는 43.3~123.9A/㎠ 범위에 있었다. 전이온도 Tc에 상자성 불순물의 영향이 거의 없는 것으로 보아 123phase에서 Y가 고온 초전도성에 주된 역할을 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The measurements of the transport critical current density and resistivity of high Tc superconductor Y₁Ba₂Cu₃O?? were made at 77K and in the range of 80~160K. X-ray pellet diffraction and IR transmittance measurements were carried out at room tempemature. The samples in which Y is replaced by Sm were prepared by solid state reaction. As substitution content increased, the normal state resistivity was increased and the superconducting transition temperature Tc near 93K did not change significantly with the substitution content. From the infrared transmittance measurements many sharp peaks were observed in the range of 472.78~618.53㎝?. It indicates that unusual low-lying plasmalike edge and low energy electronic excitation exist. The values of transport critical current densities were in the range of 43.3~123.9A/㎠. From the observation of no significant change in Tc with mangetic rare earth impurities, it could be concluded that Y plays no crucial role in the high Tc superconduction mechanisms at the 123 phase.

      • KCI등재후보

        Effect of Developmental Lead Exposure on the Expression of Hippocampal NMDA Receptor Subunit mRNA

        Kim, Tae-Wan,Chung, In-Sung,Bae, Jae-Hoon,Shin, Dong-Hoon,Lee, Mi-Young,Kim, Joon-Sik 大韓産業醫學會 2005 대한직업환경의학회지 Vol.17 No.4

        목적: in vivo 및 vitro에서 해마 신경세포의 발생단계별 NMDA 수용체 아단위 mRNA 발현에 대한 연 폭로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흰쥐 해마 신경세포의 발생단계별 NMDA 수용체 NR2A, NR2B 아단위 mRNA 발현에 대한 연의 영향은 정상군과 연 폭로군의 출생 후 7일, 14일, 22일 흰쥐의 해마에서 in situ hybridization으로 mRNA 발현 정도를 densitometer로 측정하여 비교하였고, 연과 NMDA 의 세포독성은 해마 신경세포 일차배양 후 도립현미경을 이용한 형태학적인 관찰과 LDH 활성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결과: 연 과 NMDA 에 의한 세포독성에 대한 in vitro 실험에서 형태학적 소견과 LDH 활성도에서 해마 미성숙 신경세포와 성숙 신경세포사이의 차이가 있었으므로, 연과 NMDA 독성효과는 해마 신경세포의 발달 단계에 따라 차이가 있다. 정상군의 해마에서의 NR2A mRNA 발현은 출생 후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점진적으로 증가하였으나, NR2B mRNA 발현은 출생 후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점진적으로 증가하였으나 NR2B mRNA 발현은 연령의 증가에 따른 변화가 없었다. 연 폭로에 희한 NR2A mRNA 발현은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나(p<0.05), NR2B mRNA 발현은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만성적 연 폭로는 NR2A를 포함하는 NMDA 수용체를 감소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결론: 연은 해마신경세포의 발생단계에서 NMDA 수용체 아단위 특히 NR2A mRNA 발현의 변화를 야기하여 시냅스 신호 전달에 영향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Hippocampus

      • KCI등재

        Prediction of Retained Austenite Fraction in Quenching-and-Partitioning (Q&P) Steels Using the Gibbs Energy Balance Approach

        Seong Hoon Kim,Ji Hoon Kim,Jae Hoon Lee,Dong‑Woo Suh,Jae Sang Lee 대한금속·재료학회 2022 METALS AND MATERIALS International Vol.28 No.9

        Prediction of retained austenite fraction is quite important in designing advanced high strength steels since retained austeniteis the source of transformation-induced plasticity.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s the phase constitution of a medium-carbonQ&P steel by comparing various approaches to the transformation stasis of bainitic ferrite and applying them to the partitioningprocess. Among them, the modified GEB approach gave the best agreement with the experimental observation, includingthe effects of heat-treatment condition and chemical composition on phase constitution. This indicates phase transformationduring partitioning can be effectively described by the physics of Gibbs energy balance approa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