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서울 새남굿 도령돌기의 의미와 위상

        김형근(Kim Hyungkun) 한국무속학회 2012 한국무속학 Vol.0 No.24

        이 글은 서울 새남굿 도령돌기의 의미 규명을 위한 목적으로 쓰여진다. 죽은 망자를 좋은 곳으로 천도한다는 무속의 의례를 통칭 ‘오구굿’이라고 한다. 서울굿에서는 다양하게 오구굿의 분화되어 있고, 그중 굿의 규모가 큰 것을 가리켜 새남굿이라 말한다. 굿은 여러 굿거리들로 구성되어서 어느 굿거리도 중요치 않은 것이 없겠지만, 도령돌기는 가장 의례적으로 핵심적인 굿거리라 할 수 있다. 이런 도령돌기의 의미를 밝히는 것은 곧 서울 새남굿에 투영된 세계관, 직접적으로 죽음의 세계관을 밝힐 수 있는 단서가 된다. 아울러 이런 서울 새남굿의 사례가 한국의 오구굿에서 특수한 것인지 보편적인 것인지 전라남도, 동해안, 남해안의 오구굿과 비교를 한다. 한국의 오구굿은 보편적인 구조를 취하고 있지만, 각 지역마다 독자성들을 갖는다. 이때 서울 새남굿의 독자성이 바로 ‘도령돌기’에서 나타난다. 도령돌기는 행위로 표현되는 반면, 이에 앞서 바리공주 무가를 구송하는 말미는 구송으로 표현된다. 이렇게 신화와 의례 세트화되어 있는 것은 서울굿에서만 존재한다-다른 지역은 신화만 존재하곤 한다-그러면서 서울 새남굿의 천도 주체는 곧 ‘바리공주’라는 확실한 정리를 하고 있는 것이다. 도령돌기가 있음으로 해서 서울굿은 한국 무속의 저승 내지는 죽음관을 가장 치밀하게 보여주는 대표형이 되는 것이다. This article is prepared to identify the meaning of the Saenamgut Doryeongdolgi of Seoul. This shamanistic ritual, which is known to lead the dead to heaven, is generally called “Ogugut”. In the Seoul gut, Ogugut has been diversified in various ways, and, among others, one on a bigger scale is called Saenamgut. Gut is composed of diverse gutgeori. Any one gutgeori is not important, but still Doryeongdolgi may be the most ceremonial and key gutgeori. The identification of the meaning of such Doryeongdolgi becomes a clue to reveal the world view reflected in the Saenamgut of Seoul and the world view of death directly. Furthermore, the article carries out a comparison of the Saenamgut of Seoul with the Oguguts of Jeollanam-do, the Eastern coast, and the Southern coast to see whether the case of the Saenamgul ot Seoul is special or universal in Ogugut. The Ogugut of Korea has a universal structure, yet, it has originalities according to region. The originality of the Saenamgut of Seoul only appears as “Doryeongdolgi”. While Doryeongdolgi is expressed with some actions, the malmi that recites the myth of the Bari princess ahead of this is expressed as a recitation. As such, gut that is usually in combination of rituals and myth exists only in the Seoul gut. For other regions, only myth exists in their guts. Meanwhile, it clearly summarizes that the leader who leads the dead to heaven in the Saenamgut of Seoul is the “Bari princess”. With the existence of Doryeongdolgi, the Seoul gut becomes a representative gut that shows most acutely the next world of Korean shamanism or the view of death.

      • KCI등재

        남해안 오귀새남굿의 비교 연구

        김형근(Kim Hyungkun) 한국무속학회 2010 한국무속학 Vol.0 No.20

        이 논문은 거제와 통영을 중심으로 히는 남해안굿을 그 인접 지역인 동해안, 전라남도와 비교한 것이다. 굿의 종류가 많지만 본고에서는 오구굿을 중심으로 하였고, 오구굿 중 구조와 연행요소인 무기와 무구를 중심으로 비교를 하였다. 남해안 오귀새남굿을 제목으로 내걸었지만 결국 동해안, 전라남도, 남해안 오구굿의 보편성과 독자성 양상을 밝히는 것이 주목적이라 할 수 있다. 망자의 영혼을 불러놓고 무속 의례를 통해 이상적인 공간으로 보내는 기능을 보편적으로 갖기에 세 지역 오구굿에서 많은 공통점들을 발견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무엇을 강조하는지에 따라 특수성을 확인할 수 있다. 그래서 단순히 한 지역에서 다른 지역으로의 일방향 영향이라고 말할 수 없을 정도로 공통성과 차별성을 가지고 있음이 명확해졌다. 결과적으로 각 지역 오구굿이 독자적으로 가지고 있는 특징만으로 표현해 본다면 동해안의 오구굿은 망자와의 대화를 간절히 원해 적극적으로 시도하는 눈물의 굿이다. 남해안의 오귀새남굿은 다소 유식하다고 느껴지는 염불의 적극적 차용으로 여러 축원의 무기들이 강조되며, 특히 손굿을 중심으로 큰굿이 중심이 되는 굿이다. 전라남도 씻김굿은 유려한 소리맛과 고풀이를 통해 망자와 가족들의 맺힌 것들을 풀어내는 시각적 표현을 하고 있다. This study compared the gut (exorcism) of south coast areas designated centering on Geoje and Tongyeong to that of their neighboring area of east coast and Jeollanam-do. There are many kinds of guts; therefore, this study focused on Ogu-gut and compared the structure to the performance elements such as shamanistic songs and shamanistic tools. The universality of Ogu-gut found in the three areas showed the common elements in the time-oriented procedures or meaning-based content according to the purposes held as a function of inviting the dead and seeing them off into an ideal place through shamanism; however,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re were distinct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what they emphasized, Namely, it has been clear that they had both common and distinct elements so that the influences were not conveyed simply from an area to other areas. As a result, if only looking at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Ogu-gut in each area, Ogu-gut in east coast was that of tears, which desperately longed for the conversation with the dead and attempted to do it actively. Oguisaenam-gut of south coast was actively borrowed from Buddhist praying that was thought to be somehow knowledgeable; thus, various shamanistic songs for praying were emphasized and large-scale guts based especially on Son-gut were the center of this ritual. Sitkim-gut of Jeollanam-do relieved the deep grudge of the dead and their family members through elegant taste of songs and Gopuri (a process of relieving the grudge of the dead and sending them to their last journey).

      • KCI등재

        삼척 붉은띠무당과 굿의 실상

        김형근(Kim Hyungkun) 한국무속학회 2021 한국무속학 Vol.- No.43

        이 글은 강원도 삼척 내륙인 신기, 도계, 미로 등지에서 활동했던 소위 ‘붉은띠무당’들에 대한 최초보고이다. 한 지역의 무속은 매우 입체적이어서 하나로 규정할 수 없으리라 예상되나, 우리가 현재 확인할 수 있는 것은 한 두 가지의 굵직한 사례이다. 그럼에도 이 사례를 들어 그 지역 전체의 무속을 규정하듯 말하곤 한다. 본고의 현장인 강원도 삼척은 해안가 마을의 별신굿을 도맡는 동해안 세습무가 가장 잘 알려진 사례이다. 지금까지의 연구와 조사는 이것에 집중되어 왔다. 그러나 심층적 현장조사를 통해 이들 외에도 다양한 무속이 존재했음을 알 수 있었다. 본고 또한 이런 흐름을 이어 지금까지 그 존재도 몰랐던 삼척 내륙의 ‘붉은띠무당’의 실상을 밝히고자 하는 것이다. 삼척 내륙의 ‘붉은띠무당’은 쾌자에 붉은색 띠를 매는 무당들을 일컫는 명칭이다. 그들 스스로도 그렇게 불렀고, 신앙인들도 그렇게 부르곤 하였다. 해안가 세습무들이 쾌자에 파란띠를 매는 것과 대조적인데, 그들과는 다른 굿법에 대한 자존심의 표현이라 생각된다. 이들은 강신체험을 통해서 된 이들도, 신은 받지 않았지만 배워서 된 이들도 존재한다. 물론 최고의 붉은띠무당은 영력이 뛰어난 이들이지만, 무엇보다 체계적인 굿 학습을 중시여겼다. 지금까지 알려지지 않은 서사형 무가와 다양한 무관, 신관념 등을 보유하고 있어 심층적인 연구가 필요한 존재이다. 그런데 이들은 1990년대 무렵 거의 소멸하다시피 했다. 그래서 본고는 붉은띠무당의 무속을 잘 아는 한 제보자의 증언을 중심으로 현재는 사라진 그들 굿의 실상을 밝히고자 한다. 이를 통해 삼척 지역의 무속이 다양함을 밝히고자 한다. 또한 지금까지 무속 학계에서 포착되지 않았던 강원도와 경상도 내륙의 무속들에 대한 관심을 환기하고자 한다. This article is the first report on the so-called ‘Bulg-eunttimudang’(Red Belt Shaman) who were active in Singi, Dogye, and Miro in Samcheok, Gangwon-do. It is expected that the shamanism of a region cannot be defined as one because it is very three-dimensional, but what we can confirm now are one or two large examples. Nevertheless, this case is often used as if defining the shamanism of the entire region. Samcheok, Gangwon-do, the site of this paper, is the best-known case of Saeseupmu (hereditary shamans) on the east coast. Studies and investigations so far have focused on this. However, through an in-depth field investigation, various other shamans and shamans were discovered. Continuing this trend, this paper also intends to reveal the reality of the ‘Bulg-eunttimudang’ in Samcheok, which was not even known about its existence until now. The ‘Bulg-eunttimudang’ in Samcheok inland is the name of a group of shamans who wear a red belt. They themselves called it that, and the believers used to call it that way too. The ‘Bulg-eunttimudang’ seems to have their own shamanic tradition unlike Saeseupmu that are active in the coastal area of Samcheok, It appears that the Saeseupmu named it the ‘red belt’ to distinguish it from the blue belt tied to clothing. There are those who came through spiritual experience, and those who did not receive God but were learned. Of course, the best ‘Bulg-eunttimudang’ are those with great spiritual power, but above all, they emphasized systematic good learning. It possesses oral myths that have not been known so far, so it is also an existence that requires in-depth research. However, they almost disappeared by the 1990s. Therefore, this paper intends to reveal the reality of the now-disappeared rituals, centering on the testimony of an informant who is well aware of the shamanic shaman of the ‘Bulg-eunttimudang’. Through this, it is intended to reveal the diversity of shamanism in the Samcheok region. Also, I would like to call attention to shamanism in Gangwon-do and Gyeongsang-do, which has not been captured in the shaman world until now.

      • KCI등재후보

        삼척 안정사 땅설법의 공연예술 양상과 활용 가능성

        김형근(Kim, Hyungkun) 무형유산학회 2022 무형유산학 Vol.7 No.1

        본고는 불교속강 또는 강창인 삼척 안정사 땅설법의 공연예술 양상을 정리한 글이다. 아울러 그 가치를 말하면서 오늘날의 공연에 활용될만한 지점들을 본 연구자의 관점에서 드러내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땅설법의 공연예술 양상은 크게 두 가지로 준별하였는데 연행방식과 삽입공연이 그것이다. 땅설법은 연행 시간, 즉 하루 중 언제 연행하느냐에 따라 연행방식의 차이가 있다. 그 연행 시간에 따라 낮공연은 그림공연으로, 밤공연은 그림자공연, 영등공연, 그리고 이 둘을 합친 공연으로 연행 가능하다. 땅설법의 공연예술 중 삽입공연으로는 이미 우리가 민속연희의 장르로 인식하는 각각의 것들이다. 인형극, 가면극, 그림자극, 역할극 등이 그것이다. 여기에 새로운 놀이를 창안하여 이를 연희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삼척 안정사의 땅설법은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에서 소중히 여기는 가치, 이른바 ‘문화다양성과 창의성에 기여’할만한 장점들이 매우 많다. 특별히 오늘날 활발하게 시도되는 창작 공연예술, 특히 창작연희에 많은 시사점 내지 원천소스를 준다고 여겨진다. 본 연구자는 이를 여섯 가지로 설명하였다. 1) 전통연희 연구 자료 제공, 2) 그림공연, 3) 팔도유람(천하주유) 서사, 4) 생활도구 활용 아이디어, 5) 즉흥성(improvisation)과 관중 끌어들이기, 6) 관객중심주의, 땅설법의 쎄금이 그것이었다. This article is a summary of the performing arts aspects of the Buddhist Sokgang(佛敎 俗講) or Gangchang(講唱) it is called Ttangseolbeob in south korea. In addi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eal the points that can be used in today’s performances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researcher, speaking of the value as a performing arts aspect. The performance art aspects of Ttangseolbeob are divided into two main categories : the performance method and the insert performance.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way of performing the ground seolbeop(說法) depending on the time of performance, that is, when it is performed during the day. Depending on the performance time, the daytime performance can be performed as a painting performance, and the night performance can be performed as a shadow performance, Yeongdeung(影燈) performance, or a combination of the two. Among the performing arts of Ttangseolbeob, insert performances are each of what we already recognize as a genre of folk performance. These include puppet plays, mask plays, shadow plays, and role plays. Here, a new game was created and used in a playful way. There are many merits that can be called “contributing to cultural diversity and creativity,” a value that is cherished in UNESCO’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Humanity. In particular, it is considered to give many implications or sources to the creative performing arts that are actively attempted toda. This researcher explained this in six ways.

      • KCI등재

        하나의 이름 다양한 얼굴, 한국무속신 군웅

        김형근(Kim, Hyungkun) 한국무속학회 2015 한국무속학 Vol.0 No.30

        본고는 군웅이라는 신격이 전국 무속에서 공통적으로 등장한다는 점에서 착안되었다. 그러나 바로 전국 무속에서의 ‘군웅’ 비교를 하기에는 너무도 복잡한 양상을 보여주는 지역이 있었다. 그것이 ‘서울’이었다. 물론 서울굿 군웅에 대한 선행연구가 있었으나 본 연구자 보기에 보충되어야 할 사항이 있었기에 본고를 마련한 이후에 전국적 군웅신의 비교 연구로 나아가고자 한다. 2장에서는 먼저 옛 기록 속의 군웅 의미를 정리해보았다. 19세기 말로 간행연대가 추정되는 『巫黨來歷』, 1927년 출간된 『朝鮮巫俗考』, 1932년 출간된 『朝鮮の巫覡』,1938년에 출간 『朝鮮巫俗の硏究』에서의 기록들을 통해 다음과 같은 다양한 군웅의 용례들을 정리할 수 있었다. 3장에서는 현행 서울굿에서의 다양한 군웅의 면모들을 살폈다. 굿거리로 독립되어 있느냐 아니냐의 기준으로 1) 다른 굿거리 속에서 이름 지어지는 ‘군웅’과 2) 독립된 굿거리로서의 ‘군웅’으로 나누어 살폈다. 이를 살펴 정리할 수 있는 서울굿 군웅의 성격은 다음의 다섯 가지로 정리할 수 있었다. 1) 신성 공간의 제액 방어, 2) 가신(家神)으로서 제액 방어, 3) 사신(死神)으로서 제액 방어, 4) 동신(洞神)으로서 제액 방어, 5) 호위, 무사 벼슬, 관직과 관련한 조상신이 그것이다. 2장과 3장에서 다양한 용법으로 ‘군웅’이 존재하지만 결국은 ‘군웅’은 무신(武神) 또는 군신(軍神)의 모습으로 제액의 방어, 수호하는 직능에서 달라지지 않음을 4장에서 정리하였다. This thesis was written based on the fact that the divinity of Gunwung appears in shamanism all over the country in common. But there was a region that showed too complicated aspect to compare “Gunwung” in the shamanism all over the country. That was ‘Seoul’. Of course, there was precedent studies on Gunwung of Seoul gut(exorcism), but since I think there should be something that should be supplemented, I plan to proceed into comparative study of Gunwung god nationwide after completing this study. Chapter 2 summarized the meaning of Gunwung in the ancient records including 『History of Shaman(Mudang Naereok)(巫黨來歷)』 estimated to be the end of the 19th century, 『Joseon Musokgo(朝鮮巫俗考)』 published in 1927, 『Shamanism of Joseon(朝鮮の巫覡』 published in 1932 and 『A Study on Joseon Shamanism(朝鮮巫俗の硏究)』 published in 1938. Through these records, various examples of Gunwung could be summarized. Chapter 3 examined various aspects of Gunwung at current Seoul gut(exorcism). Depending on whether it is separated as shaman song or not, it was separated into 1) ‘Gunwung’ named in other shaman songs, 2) ‘Gunwung’ as the independent shaman song, and examined. The nature of Gunwung of Seoul gut(exorcism) can be summarized into 5 as shown below. 1) Defense against bad luck as sacred space, 2) defense against bad luck as the deity of one’s family, 3) defense against bad luck as the god of death, 4) defense against bad luck as village god, 5) ancestor god related to guard, warrior position or public post. Chapter 4 summarized that ‘Gunwung’ was not different from the function of protecting and defending bad luck as the figure of military official or war hero while ‘Gunwung’ existed in various usages in Chapter 2 and 3.

      • KCI등재

        남해안지역 굿놀이의 양상과 비교

        김형근(Kim Hyungkun) 한국무속학회 2010 한국무속학 Vol.0 No.21

        이 글은 남해안굿의 굿놀이 양상을 정리하고, 그중 ‘적덕이놀이굿’을 들어 다른지역의 굿놀이와 비교를 진행한 것이다. 경상남도 통영과 거제를 중심으로 한 남해안굿은 현재 전승이 온전하게 이루어지지 않았고, 그에 대한 자료도 충분치 않다. 특히 굿놀이에 대한 자료는 더욱 부족한 형편이다. 본고에서 중심에 두고 있는 남해안굿 굿놀이 중 ‘적덕이놀이굿’은 부분적으로 남겨진 조각 자료들을 조합하여, 이른바 미루어 짐작할 수밖에 없다. ‘적덕이놀이굿’은 여러 가지로 의문의 대상이다. 등장하는 신격 명칭, 인형이라는 오브제, 악을 징치하는 주체 등 여러 가지가 의문이다. 이런 의문점을 남해안굿 안에서만 풀기는 어려워 주위의 굿, 한국의 굿을 두루 보며 작은 실마리를 삼고자 하였다. 그 과정에서 전라남도 설양굿에서 ‘궁도시’라는 명칭, 허재비, 뒷전 굿놀이라는 공통점을 발견할 수 있어서 비교를 시도하였다. 그리고 이 논의가 장차 한국굿의 뒷전 굿놀이로 확장할 수 있음을 말했다. 그리고 결론적으로 한국굿의 뒷전 굿놀이는 두 가지의 유형으로 존재함을 밝혔다. This study organized aspects of shamanic play of the south coast gut, and by selecting 'Jeokduki play gut' among them, compared shamanic play of other regions. It was difficult to organize the aspects as there was no enough data, and in particular, the content about 'Jeokduki play gut' mixes partially left remains so it cannot but guess that. The understood Jeokduki play gut' is the target for questions diversely. Many things such as the divinity name, the objet called a doll, and the subject naming an evil are questions. Those doubts were so hard to solve only using the south coast gut that the study aimed to get a clue to the questions by looking into Korean gut. During the process, the common things including the name of 'Gungdosi' in Seolyangut of Jeollanam-do, Heojabi, and Duitjeon shamanic play were found so its comparison was attempted. In addition, this discussion said that Korean gut could be expanded to Duitjeon shamanic play. In conclusion, it found out that two kinds of Duitjeon shamanic play of Korean gut exist. The shamanic play is meaningful not only as a fun attracting the audience's interest but also as a method to visualize the god. Didactic gods simply calling gods' names don't touch our heart. It is expressed as paintings of shaman, and shaman narrative songs tell us about the god's life story and who the god is. The fact the god is with me is felt by the experience not by the head because it is a religion, but as not every believer experiences this, so the existence of gods is visualized through various methods. That is the paintings of shaman and shaman narrative songs, and the shamanic play is one of those metho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