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갈륨합금과 고동 아말감 합금의 물리적 성질 비교

        김현철,이희주,허복 大韓齒科保存學會 1998 Restorative Dentistry & Endodontics Vol.2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physical properties between high copper amalgam and gallium restorative material. In this study, the specimens for the 4 experimatal groups(Valiant, Valiant PhD, Gallium Alloy GF Ⅱ, Gallium Alloy GF Ⅱ triturated with some addition of alcohol) were prepared in the manner of which stated in ADA specification No. 1 for amalgam alloy. And then, measured and compared the value of compressive strength, creep, and dimensional change during hardening of each sampl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In the compressive strength, the valiant-lathe cut type high copper amalgam-had the highest value of strength(p<0.05), and the Valiant PhD-admixed type high copper amalgam-showed the higher value of strength than the Gallium Alloy GF Ⅱ(p<0.05) but had no significant difference with Gallium Alloy GF Ⅱ triturated with some addition of alcohol(p>0.05). 2. In the creep, the Valiant PhD showed the highest value of creep(p<0.05),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allium Alloy GF Ⅱ and Valiant(p>0.05). 3. In the dimensional change during hardening, no two group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t the 0.050 level. 4.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allium Alloy GF Ⅱ and the same material which was triturated with some addition of alcohol(p>0.05).

      • KCI등재후보

        법랑질에 대한 total etching과 self-etching 접착제의 산부식 효과와 미세인장결합강도

        오선경,허복,김현철 大韓齒科保存學會 2004 Restorative Dentistry & Endodontics Vol.29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tching effects and bond strength of total etching and self-etching adhesive system on unground enamel using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and microtensile bond strength test. The buccal coronal unground enamel from human extracted molars were prepared using low-speed diamond saw. Scotchbond Multi-Purpose (group SM), Clearfil SE Bond (group SE), or Adper Prompt L-Pop (group LP) were applied to the prepared teeth, and the blocks of resin composite (Filtek Z250) were built up incrementally. Resin tag formation was evaluated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after removal of enamel surface by acid dissolution and dehydration. For microtensile bond strength test, resin-bonded teeth were sectioned to give a bonded surface area of 1㎟. Microtensile bond strength test was perfom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A definite etching pattern was observed in Scotchbond Multi-Purpose group. 2. Self-etching groups were characterized as shallow and irregular etching patterns. 3. The results (mean) of microtensile bond strength were SM; 26.55 MPa, SE; 18.15 MPa, LP; 15.57 MPa. SM had significantly higher microtensile bond strength than SE and PL (p〈0.05),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E and PL.

      • KCI등재

        STRESS DISTRIBUTION OF ENDODONTICALLY TREATED MAXILLARY SECOND PREMOLARS RESTORED WITH DIFFERENT METHODS : THREE-DIMENSIONAL FINITE ELEMENT ANALYSIS

        임동열,김현철,허복,김광훈,손권,박정길 대한치과보존학회 2009 Restorative Dentistry & Endodontics Vol.34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근관치료 된 치아를 구조와 물성이 다른 post와 core 그리고 전장관으로 수복한 후 과도한 교합하중을 가했을 때 치아에 나타나는 응력분포를 조사하기 위함이다. 발치 된 상악 제2소구치를 micro-CT로 단층촬영하고 3D Doctor로 윤곽선을 추출한 다음 HyperMesh Ver. 6으로 삼차원 치아모형을 만들고 다음과 같은 세 가지 방볍으로 수복한 유한요소모형을 제작하였다. 1) 스테인레스 스틸 포스트와 복합레진 코어 그리고 도재소부전장금관으로 수복한 모형 2) fiber 포스트와 복합레전 코어 그리고 전부도재관으로 수복한 모형 . 3)포스트, 코어와 전장관이 일체형인 간접복합레진 EndoCrown으로 수복한 모형. 형성된 모형의 협측 또는 설측교두에 500N의 하중을 가하였으며 하중의 방향은 치아 장축에 대해 45도 이었다. 치관부와 치근부의 von Mises 응력을 ANSYS 9.0 프로그램으로 분석한 결과 포스트와 코어의 형태보다는 전장관 재료의 탄성계수가 근관치료된 상악 소구치의 응력분포를 좌우하였다. 치관부에서는 재료의 탄성계수가 높은 전장관으로 수복한 모형이 낮은 응력분포를 보였다. 치근부에서는 재료의 탄성계수가 낮은 전장관으로 수복한 모형이 낮은 응력분포를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influence of elastic modulus of restorative materials and the number of interfaces of post and core systems on the stress distribution of three differently restored endodontically treatcd maxillary second premolars using 3D FE analysis Model 1, 2 was restored with a stainless steel or glass fiber post and direct composite resin. A PFG or a sintered alumina crown was considered. Model 3 was restored by EndoCrown. An obliquc 500 N was applied on thc buccal (Load A) and palatal (Load B) cusp. The von Mises stresses in the coronal and root structure of each model were analyzed using ANSYS. The elastic modulus of the definitive restorations rather than the type of post and core system was thc primary factor that influenced the stress distribution of endodontically treated maxillary premolars. The stress concentration at thc coronal structure could be lowered through the use of definitive restoration of high elastic modulus The stress concentration at the root structure could be lowered through the use of definitive restoration of low elastic modulus.

      • KCI등재

        EFFECT OF RESTORATION TYPE ON THE STRESS DISTRIBUTION OF ENDODONTICALLY TREATED MAXILLARY PREMOLARS : THREE-DIMENSIONAL FINITE ELEMENT STUDY

        정현숙,김현철,허복,김광훈,손권,박정길 대한치과보존학회 2009 Restorative Dentistry & Endodontics Vol.34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다양한 교합하중 조건하에서 아말감, 복합레진, 세라믹 인레이, 그리고 금 인레이로 수복한 근관 치료된 상악 제2소구치의 응력분포를 3차원 유한요소법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발치된 상악 제2소구치를 이용하여 근관 치료된 3차원 유한요소모형을 제작하였다. 제작된 소구치 모형의 근관와동을 위 4가지 재료로 각각 수복한 후, 협측교두 (Load-1) 또는 설측교두 (Load-2)에 500 N의 하중을, 설측교두와 근심변연에 총 170 N의 하중 (Load-3)을 가하였다. 세 가지의 하중조건 하에서 각 수복물에 따른 협측과 설측의 치경부 그리고 교합면의 정중구에서 나타나는 인장응력의 분포양상을 ANSYS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모든 수복물의 경우에서 Load-1에서는 설측의 치경부, Load-2에서는 협측의 치경부에서 높은 응력이 관찰되었고, 수복물 종류에 따른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2.모든 수복물의 경우에서 교합면의 하중점 근처와 정중구를 따라 높은 응력이 관찰되었고, 수복물 종류에 따라 약간 의 차이가 관찰되었다. 3.모든 수복물의 경우에서 Load-3에서는 하중점 근처에서 높은 응력이 관찰되었고, 수복물 종류에 따른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four restorative materials under various oclusal loading conditions on the stress distribution at the CEJ of buccal. palatal surface and central groove of occlusal surface of endodontically treated maxillary second premolar, using a 3D finte element analysis A 3D finite element model of human maxillary second premolar was endodontically treated. After endodontic treatment, access cavity was filled with Amalgam, resin, ceramic or gold of different mechanical properties A static 500N forces were applied at the buccal (Load-1) and palatal cusp (Load-2) and a static 170N forces were applied at the mesial marginal ridge and palatal cusp simultaneously as centric occlusion (Load-3). Under 3-type Loading condition, the value of tensile stress was analyzed after 4-type restoration at the CEJ of buccal and palatal surface and central groove of occlusal surface Excessive high tensile stresses were observed along the palatal CEJ in Load-1 case and buccal CEJ in Load-2 in all of the restorations. There was no difference in magnitude of stress in relation to the type of restorations. Heavy tensile stress concentrations were observed around the loading point and along the central groove of occlusal surface in all of the restorations. There was slight difference in magnitude of stress between different types of restorations. High tensile stress concentrations around the loading points were observed and there was no difference in magnitude of stress between different types of restorations in Load- 3.

      • KCI등재

        학생들이 사용한 엔진 구동형 Ni-Ti file systems의 근관 성형 효율 비교

        강문성,김현철,허복,박정길 大韓齒科保存學會 2006 Restorative Dentistry & Endodontics Vol.3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학생들이 사용한 세 가지 Ni-Ti 파일의 성형효율을 비교하고, 각 파일의 사용 경험 유무에 따른 차이를 비교하여 치과대학생을 위한 교육에 적합한 종류를 선택하는데 도움을 얻고자하는 것이다. Ni-Ti 파일 사용 경험이 없는 학생 50명과 Ni-Ti 파일을 사용한 근관치료 경력이 2년 이상인 경험자 10명이 세 종류의 Ni-Ti file - ProFile^(®) (PF), HeroShaper^(®) (HS), K3™ (K3) -을 사용하여 180개의 근관 모형을 성형하였다. 근관성형 시간 및 기구 변형, 근관 이형성을 조사하고 성형 전후 상을 중첩하여 근관 삭제폭, 근관변위량과 중심변위율을 1, 3, 5 ㎜에서 분석하였다. 1. 근관 성형시간은 HS군이 가장 빨랐으며, 총 삭제량은 모든 지점에서 K3군이 다른 군보다 컸다 (P<0.05). 2. 세 군 모두 1, 3 ㎜에서 외측 변이를 보였고, 1 ㎜ 지점에서 PF군이 가장 안정적이었다 (P< 0.05). 3. 중심변위율은 1, 3 ㎜에서 HS, PF군이 K3군보다 작았다. 5 ㎜ 지점에서 PF군이 가장 작았고, PF군 3 ㎜에서 학생은 경험자보다 유의하게 작았다 (P < 0.0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shaping ability of three Ni-Ti file systems used by dental students or the experts and consequently to aid in choosing a proper systems for educational courses of dental students and beginners. Fifty students and ten dentists who have clinical experience over two years prepared 180 simulated root canals in resin blocks with three Ni-Ti systems: ProFile^(®) (PF), HeroShaper^(®) (HS), K3™ (K3). After preparation, the Ni-Ti files were evaluated for distortion and canal preparation time was recorded. The images of pre- and post-instrumented canals were scanned and superimposed. Amounts of increased canal widths,deviation, and centering ratio were calculated at apical 1, 3 and 5 ㎜ levels and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HS showed the shortest preparation time and instrumented canal width in K3 was significantly larger than other groups (P< 0.05). 2. At 1 and 3 ㎜ levels, all groups had outward deviation. In student group, at the 1 ㎜ level, PF had the least deviation (P< 0.05). 3. In the centering ratio, the PF had the best centering ability compared to the others at 5 ㎜ level. At 1 and 3 ㎜ level, HS and PF had better abilities than K3. Student group had better ratio than the expert at 3 ㎜ level with PF (P<0.05). Based on the results, it is surmised that the ProFile^(®) is the safest and most ideal instrument for students and beginners.〔J Kor Acad Cons Dent 31(1):1-10, 2006〕

      • KCI등재

        수종의 상아질 접착시스템이 즉시 및 지연 상아질 봉쇄의 미세인장결합강도에 미치는 영향

        하진희,김현철,허복,박정길 大韓齒科保存學會 2008 Restorative Dentistry & Endodontics Vol.33 No.6

        이 연구의 목적은 수종의 상아질 접착시스템이 즉시 및 지연 상아질 봉쇄에서 미세인장결합강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것이었다. 18개의 발거된 대구치를 사용하여 지연 상아질 봉쇄그룹은 노출된 상아질면을 임시수복하였으며, 1주간 보관 후, 접착제에 따라 3개의 소그룹으로 나누어 도포하였다; SB 그룹 (3단계 산 부식 접착제), SE그룹 (2단계 자가 부식 접착제), XE그룹 (1단계 자가 부식 접착제). 즉시 상아질 봉쇄그룹은 3개의 소그룹으로 나누어 접착제를 도포하고 임시수복 후 1주간 보관하였다. 모든 시편은 간접 복합레진과 레진 시멘트로 합착하고 미세인장결합강도를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즉시 상아질 봉쇄그룹은 지연 상아질 봉쇄그룹에 비해 3단계 산 부식과 2단계 자가 부식 접착제에서 높은 미세인장결합강도를 보였다 (p<0.05). 2. 즉시 및 지연 상아질 봉쇄그룹 모두 미세인장결합강도는 3단계 산 부식, 2단계 자가 부식, 1단계 자가 부식 접착제순으로 감소하였고, 즉시 상아질 봉쇄그룹에서는 1단계 자가 부식 접착제와 다른 소그룹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p<0.05), 지연 상아질 봉쇄 그룹에서는 모든 소그룹간 유의 한 차이가 있었다 (p<0.05). 3. 파절 양상은 대부분 혼합성 파절을 보였으며, 1단계 자가 부식 접착제에서만 접착성 파절을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effect of various dentin bonding systems on microtensile bond strength of immediate dentin sealing (IDS) and delayed dentin sealing (DDS). Eighteen extracted permanent molars were used in this study. The teeth for DDS group were restored with a provisional restorations, and immersed in saline solution for 1 week, and divided into 3 subgroups according to various dentin bonding adhesives; SB subgroup (3 step total-etch adhesive), SE subgroup (2 step self-etch adhe-give), XE subgroup (1 step self-etch adhesive), In IDS group, the teeth were divided into 3 subgroups, and applied with bonding adhesives as in DDS group. The teeth were restored with provisional restorations, and immersed in saline solution for 1 week. Indirect composite disc was cemented with resin cement, and all specimens were subjected to microtensile bond strength. The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with one-way ANOVA and Student t-tes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IDS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TBS than DDS group in 3 step total-etch and 2 step Self-etch adhesive (p<0.05). 2. In IDS and DDS group, 3 step total-etch adhesive showed the highest ?TBS value, followed by 2 step self-etch, and 1 step self-etch adhesive, In IDS group, the ?TBS value for 1 step self-etch adhesiv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ose of the other subgroups (p<0.05), and in DDS group, there were sta-tistical differences in all subgroup (p<0.05). 3. Failure modes of tested dentin bonding adhesives were mostly mixed failure and only 1 step self-etch adhesive showed adhesive failure.

      • KCI등재

        Continuous wave of obturation technique에서 플러거의 다양한 적용 깊이에 따른 근단부 폐쇄효율 비교

        이상진,박정길,허복,김현철 大韓齒科保存學會 2007 Restorative Dentistry & Endodontics Vol.32 No.6

        이 연구와 목적은 continuous wave of obturation technique으로 근관 충전을 할 때, 다양한 heat source plugger의 깊이에 따른 근단부 근관 폐쇄능력을 비교하는 것이었다. 직전 형태 발거 소구치를 #35/.06크기까지 니켈티타늄 파일을 사용하여 성형 및 세정하였다. 성형과 세정이 완료된 치아를 heat source plugger의 적용 깊이에 따라 15개씩 5군으로 분류하였다: 3 mm, 4 mm, 5 mm, 6 mm, 7 mm. 양성 대조군을 제외한 모든 근관은 E&Q plus (Meta Biomed Co., Chungju, Korea)를 사용하여 #35/.06 gutta-percha cone으로 충전하였다. 모든 치아의 근첨공 주변 1 mm를 제외하고 nail varnish를 도포하였고 음성 대조군은 근첨공을 포함하여 전체 면을 도포하였다. 모든 시편을 1% 메틸렌블루 용액에 72시간 동안 보관한 다음 치근첨으로부터 1, 2, 3 mm 높이에서 수평으로 절단하였다. 각 단면을 12.5 x 2.5배 현미경하에서 관찰하고 디지털 카메라로 촬영하였다. 염색제 누출 평가를 위해 five-degree scoring system을 사용하였다. 각 절단면에서의 점수를 모두 합하여 한 시편의 점수로 사용하고 통계학적 분석을 하였다. 이 실험 조건하에서, 3 - 7 mm 까지의 heat source plugger의 적용 깊이는 근단부 폐쇄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5 - 7 mm의 Buchanan's protocol을 포함한 3 - 7 mm를 모두 임상 적용에서 받아들여질 만하다고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apical sealing ability of continuous wave canal filling technique according to various heat source plugging depths. Eighty one extracted human premolars with straight root were cleaned and shaped to size 35 using .06 taper rotaiy NiTi file. After cleansing and shaping, the teeth were divided into 5 groups following the heat source probing depths from the apex ; 3, 4, 5, 6 and 7 mm. All specimens were filled using E&Q Plus with #35/.06 tapered gutta-percha cone. The positive control teeth were not filled. All teeth were coated with nail varnish except the apical 1 mm around the apical foramen. Negative control teeth were completely sealed include the apical foramen. All specimens were immersed in 1% methylene blue solution for 72 hours. Then the specimens were sectioned horizontally at 1, 2 and 3 mm from the root apex. Each sectioned surface was photographed using a digital camera attached to the stereomicroscope at 12.5 x 2.5 fold magnification. All points at 1, 2 and 3 mm were summed as final score of one specimen. Statistical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was performed. Under the condition of this stud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heat source plugging depths of 3, 4, 5, 6 and 7 mm in apical sealing ability. All of apical heat source plugging depth from 3 to 7 mm including Buchanan's protocol -from 5 to 7 mm- seems to be acceptable in clinical application.

      • KCI등재

        ProTaper의 세가지 사용방식에 따른 성형능역 비교

        김소연,박정길,허복,김현철 大韓齒科保存學會 2005 Restorative Dentistry & Endodontics Vol.30 No.1

        이 연구의 목적은 만곡이 삼한 근관에서 ProTaper(R)를 수동으로 사용하는 방법, 엔진 구동으로 사용하는 방법, 그리고, 치관부는 엔진 구동으로 치근단부는 수동으로 사용하는 세 가지 방법의 근관 성형 능력을 비교하기 위한 것이다. 근관 길이가 170mm이고 근관 입구에서 10mm 떨어진 부위에서 만곡이 시작되며 평균 40도의 단일 만곡을 가지는 투명한 레진 블락 30개를 사용하였다. 각 군당 10개의 레진 블락을 사용하였으며, 수동형 ProTaper(R)로 전체근관을 성형한 군형 M군, 엔진 구동형 ProTaper(R)로 전체근관을 성형한 군을 R군, 근단부는 수동형 ProTaper(R)를, 치관부는 엔진 구동형 ProTaper(R)를 사용하여 성형한 군을 H군으로 하였다. 각각의 블락을 성형하고 각 군별 근관 성형시간을 기록하였다. 근관 성형전과 후의 이미지를 중첩하여 근단공으로부터의 수직 이동 거리 1, 2, 3, 4, 5 그리고 6 mm 위치에서 수평선을 긋고 총 근관폭경, 근관 만곡 내외측 삭제량, 근관의 변위, 중심 이동률을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근관 성형시간은 R군, H군, M군 순으로 짧았고, 세 군 사이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 < 0.05). 2. R군이 전체적으로 삭제량이 많은 경향을 보였으나, 1, 3 mm를 제외하고는 차이가 없었다(p > 0.05). 3. 만곡내측 삭제량에 있어서는 1 mm 지점에서는 R군이, 6 mm 지점에서는 H군이 컸지만 (p < 0.05), 나머지 지점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만곡외측 삭제량은 1 mm 지점에서만 R군이 컸다 (p > 0.05). 4. H군, R군은 1, 2, 3 mm 지점, M군은 1, 2 mm 지점에서 만곡외측으로의 변위를 보였고, 그 외의 지점에서는 내측변위를 보였다. 각 군 간의 변위차이는 6 mm 지점에서 H군이 컸다(p < 0.05). 5. 근관의 중심 이동률은 6 mm 지점에서 H군이 R군에 비해 유의하게 컸지만 다른 모든 위치에서는 차이가 없었다(p < 0.05). 본 실험결과를 토대로 할 때, 각 평가 항목에서 측정 위치에 따라 약간씩 차이가 있었으나, 중심 이동률은 대부분의 위치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만곡 근관을 성형시에는 세 가지 방법 중 어느 것이 더 유용하다고 보기 어렵다고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shaping ability of the three ProTaper instrumentation techniques in simulated canals. Thirty resin blocks were divided into 3 groups with 10 canals each. Each group was instrumented with manual ProTaper (Group M), rotary ProTaper (Group R), and hybrid technique (Group H). Canal preparation time was recorded. The images of pre- and post-instrumented root canals were scanned and superimposed. The amounts of canal deviation, total canal width, inner canal width, outer canal width and centering ratio were measured at apical 1, 2, 3, 4, 5 and 6 mm levels. 1. Canal preparation time was the shortest in R group (p <0.05). 2. The amounts of total canal width in R group was generally larger than the other groups,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except at the 1, 3 mm levels (p ) 0.05). 3. The amounts of inner canal width in R group was larger than M group at the 1 mm level and H group was larger than R group at the 6 mm level (p < 0.05). The amounts of outer canal width in R group was larger than H group only at the 1 mm level (p <0.05). 4. The direction of canal deviation in H, R group at the 1, 2, 3 mm levels was outward and that in M group at the I, 2 mm levels was inward. The amounts of canal deviation in H group was larger than R group at the 6 mm level (p <0.05). 5. The amounts of centering ratio in H group was larger than R group at the 6 mm level (p <0.05).

      • KCI등재

        부가적 부식 과정이 단일 접착 과정 레진 시멘트의 접착 강도에 미치는 영향

        강순일,박정길,허복,김현철 大韓齒科保存學會 2008 Restorative Dentistry & Endodontics Vol.33 No.5

        이 연구의 목적은 단일 접착 과정의 레진 시멘트인 Maxcem을 제조사의 지시대로 사용하는 것과 부가적인 산 부식과정을 추가하여 접착을 시도함에 있어 그 임상적 접작 강도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었다. 치아 우식에 이환되지 않은 120개의 상하악 구치를 사용하여 간접 수복물 제작을 위한 와동을 형성하고 금인레이와 간접복합레진(Synfony) 수복물을 제작하였다. 실험군은 수복물의 종류마다 사용한 시벤트의 종류와 방식에 따라 세 군으로 분류하였다. 최종적으로 102개의 와동 시편에 수복물의 접착을 위해 Maxcem을 사용한 군,인산으로 부가적인 산 부식 후에 Maxcem을 사용한 군,그리고 대조군으로 다단계 전-산부식(total-etching) 시멘트인 Variolink II를 사용하여 접착한 실험군으로 각 군 당 17개씩으로 분류하였다. 자체 제작한 만능시험기로 push-out 접착 강도를 측정하고 와동 접착 표면적으로 나누어 단위 면적당 결합력으로 산출하였다. SPSS 12.0K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one-way ANOVA와 95% 신뢰도의 Scheffe's Test로 각 실험군의 접착력를 비교하였다. 이 실험의 조건하에서는 Maxcem을 사용할 때,간접수복물의 종류에 관계없이,제조사의 지시 외에 부가적인 산부식 과정은 접착 강도를 감소시키는 역효과를 유발하였으며 더욱 강한 접착력을 필요로 하는 경우는 다단계 접작제를 사용하여 산부식 과정과 접착제 적용,시멘트 도포 등을 분리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additional etching procedure prior to Maxcem resin cement application in indirect restoration cementation using push-out bonding strength. One hundred and two extracted human molars were used to make indirect resin restorations of gold inlay and Synfony. These restorations were cemented using Maxcem and Variolink II. Additional etching procedures were done for one group with Maxcem. Three groups have 17 specimens in both restoration types. Push-out bond strength was measured using multi-purpose tester and calculated for bonding strength per sqaure-millimeter area. The mean bonding strength values were compared using SPSS 12.0K program for one-way ANOVA and Scheffe' s Test with 95% significance. Under the condition of this study, the additional etching procedure prior to usage of Maxcem resulted in reduced bond strength for both of restoration types.

      • KCI등재

        우식이환 상아질에 대한 all-in-one adhesive의 미세인장결합강도

        문지덕,박정길,허복,김현철 大韓齒科保存學會 2005 Restorative Dentistry & Endodontics Vol.30 No.1

        이 연구의 목적은 all-in-one adhesive인 Adper Prompt L-pop과 Xeno(R) III를 우식이환 상아질에 다층 적용했을 때의 효과를 미세인장결합강도의 측정과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한 파절양상의 관찰을 통해 알아보는데 있다. 교합면 우식이 있는 21개의 치아에서 편평한 상아질 면이 노출되도록 하여 감염 상아질을 제거한 후 3개씩 7개의 군으로 분류하였다. SM 군은 Scotehbonnd Multi-purpose를 적용하였다. LP1 군, LP2 군, LP3 군은 Adper Prompt L-POP을 각각 단층, 2층, 3층으로 적용하였다. XN1 군, XN2 군, XN3 군은 Xeno(R)$ III를 각각 단층, 2층. 3층으로 적용하였다. 각각의 상아질 접착제 처리 후, 광중합레진인 Filter Z-250을 10mm 높이로 적층 충전하였다. 각 치아는 가로와 세로의 길이가 각각 1 mm인 막대 모양의 절편이 되도록 수직으로 절단하였다. 그 후 미세인장결합강도를 측정하였다. 측정 후 파절된 시편을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파절양상을 살펴보았다. 각 군의 미세인장결합강도를 one-way ANOVA와 신뢰도의 Scheffe's 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미세인장결합강도를 측정한 결과, SM 군은 14.38±2.01$ MPa, LP1군, LP2 군, LP3 군은 각각 9.15±1.81 MPa, 14.08±1.75 MPa, 14.06±1.45 MPa로 측정되었고, XN1 군, XN2 군, XN3 군은 각각 13.65±1.95 MPa, 13.98±1.60 MPa, 13.88±1.66 MPA로 측정되었다. LP1 군은 다른 모든 군에 비해 낮은 미세인장결합강도를 나타내었고 (p < 0.05). LP1 군을 제외한 다른 모든 군 사이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p > 0.05). 2. 파절양상을 관찰한 결과, LP1 군에서는 접착성 파절이 우세하게 나타났고, LP1 군을 제외한 다른 모든 군에서는 혼합형 파절이 주로 일어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multiple application of all-in-one dentin adhesive system on microtensile bond strength to caries-affected dentin. Twenty one extracted human molars with occlusal caries extending into mid-dentin were prepared by grinding the occlusal surface flat. The carious lesions were excavated with the aid of caries detector dye. The following adhesives were applied to caries-affected dentin according to manufacturer s directions; Scotchbond Multi-Purpose in 8M group. Adper Prompt L-POp 1 coat in LP1 group, 2 coats in LP2 group. 3 coats inLP3 group, Xeno Ⅲ 1 coat in XNl group, 2 coats in XN2 group, and 3 coats in XN3 group. After application of the adhesives. a cylinder of resin-based composite was built up on the occlusal surface. Each tooth was sectioned vertically to obtain the 1 x 1 mm² sticks. The microtensile bond strength was determined. Each specimen was observed under SEM to examine the failure mode. Data were analyzed with one-way ANOVA.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microtensile bond strength values were: 8M <14.38 ± 2.01 MPa) , LP1 (9.15 ± 1.81 MPa). LP2 04.08 ± 1.75 MPa). LP3 04.06 ± 1.45 MPa) , XN1 03.65 ± 1.95 MPa). XN2 03.98 ± 1.60 MPa). XN3 (13.88 ± 1.66 MPa). LP1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other groups in bond strength (p <0.05). All groups except LPI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bond strength (p ) 0.05). 2. In LPI. there were a higher number of specimens showing adhesive failure. Most specimens of all groups except LPI showed mixed fail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