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동종 골수이식 후 만성 이식편대숙주질환과 동반된 그레이브스병

        황호인,이제중,조상희,김여경,이병환,정익주,김형준 대한조혈모세포이식학회 2002 대한조혈모세포이식학회지 Vol.7 No.1

        저자들은 중증 재생불량성빈혈로 동종 골수이식 및 추가적인 동종 말초혈액 조혈모세포이식을 시행 받은 후 만성 이식편대숙주질환이 발생하여 면역억제제로 조절되었으나 자가면역성 갑상선기능항진증이 병발한 1예를 경험하였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Chronic graft-versus-host disease (GVHD), which is a frequent complication following bone marrow transplantation (BMT), is characterized by fibrosis of the skin, liver, lungs, and gastrointestinal tract, immunodeficiency, and the production of autoantibodies. Endocrine dysfunction, in particular thyroid disease, has been described following BMT, but this has previously meant hypothyroidism secondary to total body irradiation or transfer of autoimmune hyperthyroidism from a donor with Graves’ disease rather than in association with chronic GVHD. We report a case of a 26-year-old man who developed Graves’ disease eight years after BMT and who had remission of chronic GVHD. He received an allogeneic BMT for severe aplastic anemia. Eighteen months after BMT, diarrhea and chronic GVHD developed and were treated with cyclosporine and steroid. Four years after ceasing the cyclosporine, the patient developed weight loss, palpitations, fever, and anterior neck swelling, and was diagnosed with Graves’ disease based on typical thyroid function tests. The signs and symptoms in the patient improved with propylthiouracil and propranolol.

      • KCI등재
      • KCI등재

        산화(散花),직심(直心),좌주(座主)의 개념과 <도솔가(兜率歌)> 관련설화의 의미 고찰

        황병익 ( Byeong Ik Hwang ) 한국고시가문화학회(구 한국고시가문학회) 2015 한국시가문화연구 Vol.0 No.35

        <도솔가>를 하늘에 해가 2개 나타난 괴변을 없애기 위한 의식에서 부른 주술적 향가로 이해한 것이 보편적이다. 해가 둘이 나타난 것은 정치적 현상의 암시인데, ‘해’는 왕을 뜻하므로 현재의 왕에게 도전하는 반역세력이 등장했음을 뜻한다고 이해한 것이다. 그 결과 <도솔가>를 왕권에 도전하는 세력들로 인한 사회적 혼란을 막으려는 정치적 의도를 담은 작품으로 결론짓는다. 여기서 과연 한 시대의 왕이 왕권에 도전하는 세력으로 인한 정치적·현실적 어려움을 미륵불을 청해 기원하는 의식으로 극복하는 것이 최선이었을까 하는 의문이 생긴다. 이에 본고는 <도솔가>의 의례가 “누구를 향해”, “무엇 때문에”, “어떤 방식으로 치러진” 것인지, <도솔가>는 어떤 성격을 가진 노래인지를 명확히 하기 위해, 먼저 산화(散花)·직심(直心)·좌주(座主)의 개념을 밝히는데 집중하여, <도솔가>는 당시 환일(幻日)이라는 실제의 천문 현상을 정치현실의 긴장요소로 이해하여, 동요하는 민심을 안정시키려는 의도를 가지고 창작한 노래로 이해했다. 천변(天變)에 대하여 호국 경전의 가르침에 따라 허공에 꽃을 뿌려서 미륵불이 내려와 앉을 중앙의 높은 자리를 만들고, 구세주인 미륵불에게 설법을 청함으로써 혹 닥쳐올지 모르는 국가적 재난을 미연에 방지하려 한 것이다. 즉, <도솔가>는 경덕왕 당시 2개의 해가 불러올 수 있는 변고를 예방하기 위해 행해진 법요(法要)에서 다른 불·보살들은 주변에 늘어서게 하고 가운데 놓은 고좌(高座)에 미륵불을 모시어 국가적인 안녕과 무사를 기원하는 신라인의 집단적 염원을 담은 공양문(供養文)이다. 여기서 꽃은 주물(呪物)의 의미보다는 향(香)·등(燈)·차(茶)·과(果)와 함께 5대 공양 가운데 하나로 바친 것이다. 이상을 반영하여 <도솔가>를 풀이하고 의역하면, “오늘 이 자리에서 <산화가>를 부르면서,/(미륵불을 향해) 다급하게 사뢰는 (供養에 쓰인) 꽃이여! 너는,/(우리의) 진실 되고 곧은 마음의 청을 들어,/(華臺를 만들어) 미륵불을 (가운데에) 뫼시고 서 있으라!”와 같은 불교적 기원문이 된다. It has been common understanding that <Dosolga> was a ritualistic old korean folk song sung in the ceremony to remove strange incident of two sons appeared in the sky. Two sons are implications of a political phenomenon. The son means a king so it`s been understood that rebel forces to challenge the king appeared. As a result, <Dosolga> was concluded as the work containing political intent to prevent social unrest caused by forces to challenge the throne. Here question comes to mind that it was indeed the best way for the king of an area to surmount political and real difficulties caused by forces to challenge the throne by the ceremony of seeking and praying to the Maitreya Buddha. Hereupon, this paper is first focused on clarifying the concept of ‘sanhwa(散花)’, ‘jiksim(直心)’ and ‘jwaju(座主)’ to definitize “for whom”, “for what” and “how” the rite of <Dosolga> was held, and what kind of intent it had. According to it, <Dosolga> was understood as a written song with a intention to stabilize public unrest interpreting the real astronomical phenomenon of mock sun as the tensions of political realities. When there were extraordinary phenomena in the heavens, they made the high place in the middle that the Maitreya Buddha could settle strewing flowers into the air and asked the Maitreya Buddha`s sermon according to the teaching of the Patriots Scriptures. In other words, <Dosolga> was a Buddhist service oration to put the collective aspitations of people of Silla into for praying for national stability and safety with the Maitreya Budda in the high place of the center and other Buddhist saints arraying around when a Buddhist service to prevent a mishap that two sons could cause in an ere of King Gyeongdeok. Here flowers are offered as one of five offerings including incense, lamp, tea and fruits rather than offerings for service. Reflecting this and interpreting and paraphrasing <Dosolga>, it becomes Buddhist optative sentences like “Singing <Dosolga> right here today,/ you (to the Maitreya Buddha) hurriedly informing flowers (for offerings)./ Listing to (our) request of true and right-hearted mind /(making altar) stand with the Maitreya Buddha (in the center)!”

      • KCI등재후보

        글쓰기의 필요성에 대한 통시적 고찰

        황병익(Hwang, Byeong-Ik) 경성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8 인문학논총 Vol.46 No.-

        흔히 기술이 발전하면서 글쓰기의 필요성은 줄어들 것이라고 생각했지만, 주변을 둘러보면 글을 써야 할 필요성은 갈수록 커지고 있다. 보고서, 편지글, e메일, 제안서 등, 책임 있는 자리로 갈수록 훨씬 더 많은 글을 쓰게 된다. 글쓰기는 의사전달, 소통 등 작은 효용성부터 “글쓰기가 깊이 있는 생각을 바탕으로, 지식과 지식 간의 결합을 이루어내고, 그로써 완전히 새로운 생산물을 산생”하는 큰 쓰임까지 다양한 가치를 가진다. 이 글은 우리에게 글쓰기가 어떤 효용성을 가져왔는지를 통시적으로 살펴, 그간의 변화 과정을 거쳐 더 필요해지거나 덜 필요해진 쓰임새는 어떤 것인지를 알아보았다. 이를 통해 향후 글쓰기나 글쓰기 교육이 지향해야 할 방향성을 가늠해보았다. 현대에 와서는 감정과 정서를 표현하는 문예 취향의 글쓰기가 현저하게 줄고, 주장과 설득, 심병의 치유, 소통과 공감, 비즈니스 글쓰기는 여전히 그 필요성을 유지하고 있다. 문예 취향의 글쓰기는 SNS상 소통과 공감을 위한 도구로 활용하는 경향이 강하다. 통시적으로 글쓰기는 비슷한 효용을 가졌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현대의 글쓰기가 더욱 다양화·다변화한 것은 사실이지만, 급속도로 발전한 소통 문명사회에서 도리어 과거의 글쓰기 전례를 거울삼아야 하는 경우도 있다. We ordinary thought that the necessity of writing would continue to decline as technology advanced, But looking around us, it is on the rise. Taking on a position of responsibility, we should write a lot more including report, letter, e-mail, memorandum etc. Writing has various values from little usefulness including opinion expression, communication and the like to a lot of use "which unites different knowledge based on thoughtful thinking and produces entirely new products," This study will make it possible for us to study diachronically what utility writing brought and know which one is more useful or not in the process of change so far. This will help us weigh up direction writing or writing education should aim at from now on. Nowadays, writing as intention for arts that expresses feeling and emotion are noticeably diminishing but writing for opinion and persuasion, anxiety cure, communication, sympathy and business is keeping their necessity. Writing as intention for arts has a strong tendency to be used as tools for communication and sympathy online. It was confirmed that writing has had similar utility diachronically. Though it is true that writing of our time is diversified, there are many cases of taking lessons from the writing of past in the rapidly advanced civilized society of communication. As this is a field of study needed to investigate the history of writing, know real value and establish writing attitude for future, continuous research is demanded.

      • KCI등재

        <도산십이곡(陶山十二曲)>의 의미 재고(再考)

        황병익 ( Byeong Ik Hwang ) 한국고시가문학회 2012 한국시가문화연구 Vol.0 No.29

        그동안 피상적으로 읽은 <도산십이곡>의 구절구절을 다시 살펴본 결과, <도산십이곡>의 언지3의 "순풍(淳風)이 죽다 ㅎ·니 진실로 거즈마리"는 자고로 선비란 벼슬과 관직이 높아지는 것을 다툴 것이 아니라 진정한 학문과 성인의 발자취를 따라야 한다는 당위와 지향점을 제시한 것이고, 언지4의"이듕에 피미일인(彼美一人)를 더욱 닛디 몯□얘"는 주(周) 문왕(文王) 시대를 이상 모델로 삼아, 군주가 어질고 덕을 갖추어 만백성과 신하들의 두터운신망을 얻고 군주와 신하가 서로 의기를 투합해 화합을 이루어 갔으면 하는 정치적 이상과 소망을 담고 있다. 언지6의 "□□며 어약연비(魚躍鳶飛) 운영천광(雲影天光)이아 어늬 그지 이슬고"는 천지자연, 우주의 오묘한 이치와 신비한 근원을 알 수 없으니, 끊임없는 탐구와 성찰을 통해 그 도를 터득하기위해 노력해야 한다는 당위를 강조한 말이다. <도산십이곡> 언학2의 "우리는 이목총명남자(耳目聰明男子)로 농고(聾고)ㄱ·ㄷ디 마로리"가 있다. 소옹(邵雍)의 『격양집(擊壤集)』에 따르면, ``이목총명남자(耳目聰明男子)``란 "오묘한 지식 세계를 깨달을 수 있는 조그만 재주를 부여받은 사람"이란 뜻으로, 지식인으로서의 책무와 사명감을 강조한 말이다. 그러므로 ``농고ㄱ·ㄷ디 마로리``는 꾸준한 학문을 통하여 귀를 밝게 하고눈을 밝게 하지 못한다면 눈 먼 소경과 귀가 먼 귀머거리처럼 될 것이니 자고로 선비란 이를 경계해야 한다는 말이다. 배움에 임하는 자는 끊임없는 탐구와 연마를 통해 진리를 추구해야 한다는 당위성, 항상 자신의 지식 세계를 밝고 지혜롭게 해야 함을 강조한 말이다. 언학5 "우리도 그치디마라 만고상청(萬古常靑)호리라"는 일월성신이나 계절, 천지자연이 변하지 않는 속성을 유지해 나가는 것처럼, 인간도 모름지기 순수하게 부여받은 선한 마음의 본체를 유지하고 추구해야 함을 강조한 말이다. 이에 <도산십이곡> 전6곡 언지는 자연 친화적인 삶 속에서 학문과 자기수양에 힘쓰면서도 덕치나 군신의 조화 등 정치적 이상을 꿈꾸고 오묘한 이치와 도(道)를 위해 정진하는 선비의 지향점을 제시하고, 선비란 벼슬이 앞서가고 관직이 높아지는 것보다는 학문 세계를 깊게 하는 데 주력해야 한다는 당위와 지향을 담고 있다. <도산십이곡> 후6곡 ``언학(言學)``은 "배움·지혜로 움을 향하는 사람이 반드시 가져야 하는 자세, 즉, 선한 본성, 지혜와 깨달음을 추구하는 태도, 꾸준한 정진" 등 학문을 하는 지식인으로서 반드시 견지해야 할 책무와 사명감을 강조하고 있다. Meanwhile read superficially Dosansip-igok`s verses again, results can be summarized like this. Dosansip-igok`s eonji(言志) 3 "to say that the Unsophisticated wind(淳風) died is truly false" contents that "seonbi do not seek a government position, sages of the world should pursue higher studies". Eonji 4 ``I remember leaving for a more beautiful one person`` means that Ideal munwang Zhou era as a model, who has good mind of benefited to the people and the servants are equipped to obtain the trust of the thick of political ideals and hope that holds. Eonji 6 "How much more ``fish jumping kite flies``(魚躍鳶飛), ``heaven shines bright cloud shadows``(天光雲影) emphasis that nature of the earth, and the mysterious origins of the universe to find profound sense, for no continuous inquiry and reflection should strive to learn his way. In Eonhak(言學)2 "We have bright eyes and ears, we should not live as deaf and blind.", the ``bright eyes and ears``(耳目聰明男子) means profound knowledge in the world can realize who has been granted, albeit a small feat"(so-ong(邵雍) "gyeokyangjip(擊壤集), the mission emphasized the responsibility and said as intellectuals. Hence, ``Do not live as deaf and blind`` means that If a person does not work on a regular basis to study and eventually become like blind people say that your long bordered said. In other words, people who want to learning and polishing the endless quest to seek truth through the justification, always bright and wise in his own world of knowledge should be emphasized that the said. Eonhak 5 "we would not be limited time to live greener," the Holy Ghost or the season in January does not change the properties of earth lasting nature, as a purely human being has been granted Generally a good heart that seek to maintain the body is stressed. Generally Dosansip-igok eonji six contains that seonbi ran academic and living eco-friendly life concentrating on self-discipline. Another virtue ruled the world, the king and his servants and political ideals and profound harmony between reason and to try to enlighten the pale scholar awards are presented. In other words, two ahead of a government post office seonbi pursuit higher than two should focus on the academic world to deepen and orientation holds that the Party. After the 6 ``eonhak`` "The man must learn to seek the wisdom to have a position, ie, good nature, an attitude of wisdom and enlightenment, devoted to steady" academic intellectuals as such terms have to be emphasizes responsibility and commitment.

      • KCI등재

        『삼국유사(三國遺事)』 죽지랑조(竹旨郞條)와 『모죽지랑가(慕竹旨郞歌)』의 의미 고찰

        황병익 ( Hwang Byeong-ik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07 어문연구(語文硏究) Vol.35 No.3

        죽지랑이 득오를 찾은 것은 부하에 대한 ‘온정’, 牟粱部의 동정을 살펴 왕권을 안정시키려는 ‘충정’ 때문이었다. ‘去隱春’은 ‘작년 봄’을 뜻하고, ‘皆理米’는 ‘구제하다, 도우다’의 뜻인 ‘거리매(拯, , 濟)’로 죽지랑이 베푼 온정을 회고한 말이다. ‘心未行乎尸道尸’은 마음으로 바라는 수행 활동, ‘墮支行齊’는 죽지의 죽음을 뜻한다. ‘宿夜’는 ‘大夜, 逮夜, 贈別夜’처럼 茶毘 전날 밤이다. 「모죽지랑가」는 “작년 봄, 보살펴주실 적엔/함께 지낼 수 없어 시름하며 울었었는데,/아름답고 정정하시던/낭께서 세월이 흘러 (이젠) 돌아가시었구나./짧은 시간 안에야/어찌 만나 뵐 수 있으랴./낭을 추모하는 수행 길,/쑥 우거진 구렁에서 宿夜儀禮 행하리.”란 뜻이다. 高齡의 몸으로 아랫사람에게 온정을 쏟고 왕권보호를 위해 충심을 다하던 죽지와의 추억을 회고하고, 그의 죽음을 아쉬워하며 다비의례를 준비하는 숙연한 심정을 노래한 追慕의 노래이다. Jukjirang was born around A.C 620 and seems to be old in the days of the king, Hyoso. The reason why he look for Deugo is that he has a warm heart toward his men and intends to stabilize royal authority observing Moryang-bu. ‘去隱春’ is last spring such as last year(去年) or yesterday(去日), and ‘皆理米’, which means “save or help” is the recollection of the days when Jukjirang bestows a favor. ‘心未行乎尸道尸’ means ascetic exercises longing for deep in mind and '墮支行齊‘ means the death of Jukjirang. ‘宿夜’ is the day before cremation such as ‘大夜, 逮夜’. “Mo-Jukjirang-ga” means “Last spring when you looked after me,/I cried in worry because of not being with him,/He who was handsome and vigorous,/after many days have passed,/dead in the end./in the near future,/how can I meet him?/in the path of cherishing the memory/I will do midnight ceremony in the hollow place full of wormwood”, which is the song of cherishing the memory recollecting Jukjirang that poured a warm heart into his men in spite of being old and devoted himself to protecting royal authority and preparing for cremation ceremony solemnly.

      • KCI등재
      • KCI등재

        『삼국유사』 양지사석(良志使錫) 조와 <풍요(風謠)>의 의미 고찰

        황병익 ( Hwang Byeong-ik ) 한국시가문화학회(구 한국고시가문화학회) 2017 한국시가문화연구 Vol.0 No.39

        <풍요>에서 5번이나 반복되는 “오다(來如)”는 1차적으로는 불상을 조상(造像)하는 공덕을 행하라는 말이지만, 궁극적으로는 불교에 귀의하라는 의미이다. 2구와 3구의 슬픔은 단순히 “일하면서 사는 신세의 서러움, 원하지 않은 노동에 동원되는 괴로움을 하소연”한 것이 아니다. 슬픔은 “인간은 늘 굶주림·목마름·추위·더위에서 자유롭지 못하고, 생로병사를 두려워하면서도 또 그 업을 짓고, 애착·이별의 대상에게 괴로움을 당하면서도 그 대상을 끊어내지 못하는” 등, 살면서 생기는 지속적이고 근원적인 감정이다. 4구는 슬픔에서 벗어날 수 있는 유일한 길로서 `공덕(功德)`을 닦을 것을 강조한다. 영묘사에 와서 흙을 나르는 일 또한 조상(造像)의 공덕이지만, 지속적으로 공덕을 쌓아 지옥, 아귀, 축생을 되풀이하는 3도(途)의 윤회에서 벗어나 불법(佛法)을 듣고 진리를 깨달아 극락정토에 이르기를 희망하는 말이다. <풍요>는 더 많은 사람들이 삼보에 귀의하여 공덕을 닦음으로써, 업인(業因)과 과보(果報)의 슬픈 고리를 끊고, 깨달음을 얻어 열반을 성취하기를 바라는 마음을 담은 작품이다. “Oda”repeated five times in Pungyo is a word that one should do ancestors` good deeds firstly but the one that one should embrace Buddhism ultimately. The sorrows of the second and third phrase are simply not the kind of things that “complain about the sadness of working and living life or the sufferings of undesirable mobilized labor.” Sorrows are persistent and fundamental feelings durante vita such as “Humans are not always free from hunger, thirsty, cold and the heat. Afraid of the four phases of life, they karma. And suffering from those who they loved or broke up with, they can`t cut off them, etc.” The fourth phrase underlines the practice of good deeds as the only way to escape from sorrows. It hopes that though coming to Yeongmyo Temple and carrying soil is also ancestors` good deeds, humans will get to land of happiness hearing the law of Buddha and realizing truth after practicing good deeds continuously and getting out of the River Styx of hell, starving demon and animals. Pungyo is a literary work which contains the hope of cutting off the sad link between karma and retribution and entering into Nirvana after finding enlightenment as more people are converted to three treasures and practice good deeds.

      • KCI등재

        효성왕(孝成王) 대의 정치 현실과 <원가(怨歌)>의 의미 고찰

        황병익 ( Byeong Ik Hwang ) 한국고시가문학회 2014 한국시가문화연구 Vol.0 No.33

        <怨歌>는 향가 가운데서도 해독에 어려움이 많은 작품이다. "흐르는 물결의 모래"는 논자마다 특히 많은 견해차를 보인다. 이에 본고는 <원가> 창작의 정치적 배경을 살피고, 그 바탕 위에 판단 근거가 되는 자료를 더하여 좀 더 실증적인 논증을 시도했다. <원가> 1구~8구의 내용이 주로 정치 현실의 문제, 처량한 마음으로 은둔한 슬픔을 담았으니 망실한 후구 9·10구는 현실의 국면 전환을 기원을 담았을 것이다. 이는 전제 정치에 힘을 싣고, 외척 세력인 김순원 일파가 세력화하는 정계 구도에 변화를 촉구하는 메시지로 통했을 것이다. 잣나무에 <원가>를 붙이자 곧 나무가 누렇게 말랐다가 신충에게 벼슬을 주고 난 다음 다시 소생하였으니, 당시 조정에서는 이러한 목이 현상으로써 정계 구도 재편의 구실로 삼았을 것이다. 이런 점에서 <원가>는 현실적 목적성이 강한 작품이다. <원가>는 원망의 노래라기보다는 자기 신세를 탄식하는 원모와 슬픔의 노래이다. 자기감정을 솔직하게 드러냄으로써 수목의 정령을 움직여 명분을 얻고 뜻을 이루었으니 천지 귀신과 감통하는 마력의 언어로 여겨졌을 것이다. 마지막에 세상 모든 일을 떠날 듯 은둔을 말한 것은 역설적으로 세상에 대한 아쉬움과 미련을 뜻한다. 그간 다양하게 해석해 왔던 구절인 "녈 믌겨랏 몰애"에 화자의 마음이 잘 담겨 있는데, 이 비유는 당시에 신충이 "자기 뜻에 따라 주체적으로 살지 못하고 외부 환경에 따라 휩쓸리면서, 자신을 감당하고 가눌 수 없을 만큼 극심한 공격이나 비방에 시달리는 처지"였음을 말해준다. There are a lot of difficulties in interpreting <Wonga> in Hyanga, old Korean folk. Especially, “flowing waving sand” has been in the middle of much controversy. Thus, this study focused on the political background of the writing of <Wonga>, on the base of which was materials that could be grounds of judgement added, attempting to demonstrate this phase with more actual proof. <Wonga> is a message for Sinchung(信忠) to demand the change of the political world characterized by coming to power of maternal relatives, Kim Sunwon(金順元) faction. When <Wonga> was put up on a Korean nut pine, it was withered yellowish, which revived when Shin chung obtained a government position. Therefore, it is probable that the Royal Court would justify itself with this strange phenomenon which had happened to the tree, appeal to public sentiment and try to reorganize the political world under the pretense of it. Judging from this point of view, <Wonga> is an actual and purposeful work. The first to eighth lines mainly include political realities and sorrow in seclusion with a feeling of wretchedness. So the last lines of ninth to tenth lines are likely to include pray for the turnover of the situations at that time. <Wonga> isn`t a song of a grudge but of forethought and grief that lament his misfortune. Revealing his feeling frankly, he justifies himself and dreams a dream moving the spirit of a tree, thereby it will be regarded as the words with magical powers responding to the spirits of heaven and earth. Telling about seclusion like renouncing this world in the last part of this song paradoxically means that Shinchung has much yearning, affection and expectation in this world. The phrase “flowing waving sand” which has been interpreted differently so far includes the water`s mind, which metaphor says that at that time Sinchung was in the circumstances suffering from severe attack or criticism that was beyond his power, not living subjectively according to his will and being swept off by external circumstances.

      • KCI등재

        고전시가에 나타난 술의 문학적 의미 고찰

        황병익 ( Byeong Ik Hwang ) 한국시가문화학회(구 한국고시가문화학회) 2016 한국시가문화연구 Vol.0 No.37

        본고는 고전시가 작품에 등장하는 술의 의미를 심층적으로 살피고, 주제적인 접근까지 시도했다. 음주의 목적과 상황에 따라 술의 종류는 어떻게 다르고, 그 술의 효능과 의미를 어떻게 인식했으며, 작품 내에서 술은 어떤 내포적 의미를 가지는지를 살펴보았다. “겨울 10월 기해일에 성례(成禮)ㆍ낙빈(樂賓)ㆍ연령(延齡)ㆍ영액(靈液)ㆍ옥장(玉漿)ㆍ희빈(喜賓) 등 주점 6개소를 설치하였다.”라고 한 『고려사』성종(成宗) 조의 기록이 술이 가지는 의미를 잘 대변하고 있는데, 고전시가에 등장하는 술의 효용과 의미를 살펴본 결과 신인(神人) 감통(感通) 그리고 인간의 기원, 취흥(醉興)과 어울림, 인생무상과 해우(解憂)와 자기 위안, 벽사(벽邪)와 치병(治病)과 축수(祝壽), 초월의 상상과 신선(神仙) 세계의 구현 등으로 나눌 수 있었다. 신에게 맑을 술을 바치며 구성원의 화합과 단합을 꾀하는 음주, 근심을 내일로 미루고 지금 이 순간의 안일과 즐거움을 만끽하려는 음주, 인생의 무상감에 젖어 자기를 위안하는 음주, 액을 물리치거나 병을 고치려 하고 장수를 기원하는 음주, 신선 세계의 초월과 여유를 모방하려는 음주 등, 그 목적에 따라 선택하는 술의 종류와 제조법이 달랐다. 본고는 전통주의 종류를 구체적으로 알 수 있는 작품에 국한하여 의미를 살폈지만, 한시나 다른 고전까지 연구 대상을 확대한다면 더 많은 술, 더 많은 의미를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향후 우리나라의 음주풍속은 단순히 소재 제재의 측면을 넘어 작품의 주제나 화자의 내면과 연관 지어 고찰해나가야 할 것으로 보인다. In this paper, the meaning of alcohol in classical poetry was tried to study in depth and by thematic approaching. Based on the purposes and situations of alcohol, how the kinds of alcohol were different, how the potency and meaning of alcohol were recognized and what meaning alcohol implied in the works are searched. The meaning of alcohol was presented well in the record of the ear of King Seongjong in “Goryeosa”, which said the bars, ’Seongrye(成禮)’, ’Nakbin(樂賓)’, ‘Yeonryeong(延齡)’, ‘Yeongaek(靈液)’, ‘Okjang(玉漿)’, ‘Heuibin(喜賓)’, etc., were built on the days of Gihae(己亥日), October, in winter. After looking at the potency and meaning of alcohol in classical poetry, themes of classical poetry were divided into sympathy and communication of God and human, praying for good fortune, being excited under the influence of drink, being in harmony with people, vanityof life, relieving anxiety, self-consolation, defeating devil, remedy, hoping for long life, imagination of transcendence, and realization of an immortal world. There were drinking which makes people attempt the unity and concord of their members offering alcohol to gods, enjoys the complacency and pleasure of this moment putting off concerning, comforts his or herself in frailty of human life, cures a disease, prays for longevity, and imitates the transcendence and composure of an immortal world. According to the purpose of alcohol, the way to make alcohol and its kinds were different. In this paper, however, if subjects of studies are extended to Chinese poetry or other classics, more drinks and more meaning will be figuredout. Henceforward, Korean drinking custom should be considered with theme of works and inner side of speaker beyond the aspect of subjectmatt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