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초청논문 : 프랑스의 지역자치회(CDA) -Regies de quartier et de territoire en France-

        ( Hans-h. Munkner ) 한국협동조합학회 2016 韓國協同組合硏究 Vol.34 No.1

        이 논문은 프랑스 사회적 기업의 새로운 유형인 CDA를 다루었다. CDA는 프랑스의 시(市), 구(區),군(郡) 등 지역 주민들의 삶의 향상을 위해 만든 자치적 조직이며, 이는 자조(自助)조직과 사회적 자치회를 혼합한 형태의 사회적 기업이다. 주된 목적은 지리적으로 동일 구역에서의 경제적, 사회적응집력 강화, 소외계층의 사회적 통합과 노동시장 진입 촉진, 지역 서비스 제공을 위한 일자리의 창출과 고용에 의한 지역의 가치 사슬 생성 등이다. CDA의 운영비용은 CDA의 사업을 이용하는 이용자들로부터 받는 서비스료로 충당되며, 지역 종업원들에게는 보조금이 지급되는데 이는 결국 지역 경제에서 소비된다. 이 논문은 이러한 사회적 기업의 구체적 운영전략, 성공의 제 조건, 관련 법규범 등을 주로 프랑스의 자료를 바탕으로 논의하였다. In this paper, a new model of social enterprise in France is presented. CDAs are a hybrid form of social organization between social association and self-help organization at community or district level. Their main objective is to strengthen economic and social cohesion in a geographical area, to promote integration of the disadvantaged into social life and into the labour market, to generate a local value chain by creating employment for offering local services, paid by service charges and subsidies to local employees to be spent in the local economy. Operating strategies, conditions of success and legal framework are discussed, mainly based on French sources.

      • KCI등재
      • KCI등재

        사회적 경제와 촉진 지향적 기업 사회적 경제, 협동조합, 비영리조직의 공통분모를 어떻게 정의할 것인가?

        뭔크너한스 ( Hans H. Munkner ),강일선 ( Il Sun Kang ) 한국협동조합학회 2006 韓國協同組合硏究 Vol.24 No.1

        사회적 경제는 프랑스에서 발원하였다. 이는 1980년대 유럽공동체의 적극적 지원을 받아 전(全)세계적 운동으로 확산되었다. 여기에는 국제협동조합연맹(ICA)이 주도하는 협동조합운동도 일부분 병행되었다. 하지만 이들의 관계는 불명확하다. 이를테면 사회적 경제는 협동조합의 전통적 분야보다 오히려 비영리조직이나 제3섹터에 더 가까운 것이다. 이처럼 불투명한 관계는 조만간 해소될 것으로 보이지 않는다. 달리 말해 이 둘의 운동은 상호 밀접한 관계를 맺거나 또는 공동의 목적을 정립하여 진행되고 있지 않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런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하는 노력도 ICA에서는 나타나지 않고 있다. 사회적 경제와 제3섹터는 경제학자와 법학자보다 사회학자의 관심 영역이 되고 있다. 이에 본문은 비영리조직, 사회적 경제, 협동조합 등 이3조직에는 어떤 공통점과 차이점이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Starting in France, with strong support by the European Commission during the 1980s, the social economy has become a movement spread out worldwide, in some respect parallel to the cooperative movement as represented by the International Co-operative Alliance (ICA), but also part of i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movements remains unclear. On the research side, the social economy has more links to non-profit and the third sector organizations than to the "conventional" cooperative scene. This unclear relationship is not likely to change soon. On the contrary, both sides work without many contacts and without defined common objectives. There seems to be no initiatives on the part of the ICA to clarify this issue. It appears that social economy and third sector studies attract more sociologists than economists and lawyers. From this point of view, it is interesting to define the common elements of and differences between non-profit organizations, enterprises of the social economy and co-operatives.

      • KCI등재
      • KCI등재

        A Study on Raiffeisen`s Ideas and Activities

        ( Yeon Woo Kang ),( Hans H. Munkner ),( Hyeong Soo Jeon ) 한국협동조합학회 2011 韓國協同組合硏究 Vol.29 No.1

        In this survey of the Raiffeisen-Model, its origins, its adjustment to changing conditions and present day`s requirements and its worldwide dissemination, a presentation will be made in three steps. First, some light will be thrown on conditions prevailing at the time and in the area where Raiffeisen developed his concept of organized self-help and on the person of Raiffeisen as one of the founding fathers of the modern co-operative movement and as one of the pioneers of social reforms in the second half of the 19th century. This part will focus on Raiffeisen`s original ideas and their practical application, which constitute the basis of to the "Raiffeisen-Model" as it is internationally known. It will be shown how earlier and contemporary co-operative models influenced Raiffeisen`s thinking and activities. The next chapter deals with the current state of the Raiffeisen-Model in Germany and Europe, followed by an overview of how the Raiffeisen-Model spread in Europe, Asia, Africa, and in the Americas and conclusions.

      • KCI등재

        독일 협동조합-발전, 현 상태 및 전망

        전형수 ( Hyeong Soo Jeon ),한스뮈크너 ( Hans H. Munkner ),강일선 ( Yeon Woo Kang ) 한독경상학회 2014 經商論叢 Vol.32 No.1

        최근에 시행된 한국의 협동조합기본법은 독립적, 자발적, 자율적 협동조합 촉진 및 보급에 주안점을 두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입법 취지의 실효성 제고를 위해 협동조합의 입법정책이 해결해야 할 문제가 적지 않다. 이를 압축하면 협동조합이 자조(自助)활동을 어떻게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을 것인지의 여부이다. 그 해법을 독일 협동조합의 경험에서 찾아보고자 한다. 이와 관련하여 독일의 협동조합을 발전 과정, 현 상태, 전망 등 3 분야로 나누어 살펴보고자 한다. 이는 한국협동조합의 발전을 위한 대안 제시에 보탬이 될 것이다. 독일 협동조합에서 다단계 협회조직은 아주 오래된 전통이다. 이 협회조직은 여러 다양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를테면 협동, 시너지, 규모의 효과, 다양성, 위험감소 등을 기대할 수 있다. 이는 독일 협동조합이 목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조합원의 지위 향상을 위한 성과 창출의 주요 요소이다. 표현을 달리하면, 다단계 협회시스템으로의 통합은 이 시스템의 주인이며 동시에 고객 및 이용자의 역할을 수행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동일성 논리는 협동조합협회 회원의 이해 증진을 위한 핵심 요소이다. 이러한 점에서 보면 협동조합적 협회 시스템은 모회사와 지회사로 이어지는 콘체른과 달리 밑에서 위로 조직된 구조를 견지하고 있다. 이에 그 특징은 보충(Subsidarity)원칙, 조합원의 자율, 자조 등으로 요약할 수 있다. 보충원칙은 차(次)하위 조직이 할 수 없다든지 혹은 과도한 비용이 소요되는 사업을 차(次)상위 조직이 맡아서 처리하는 것이다. 그리고 조합원 자율은 예컨대 차(次)하위 조직이 할 수 있는 사업에 대해서는 조합원 스스로가 결정하여 수행할 수 있도록 장치를 마련하는 것이다. 이는 조합원의 자조 촉진을 겨냥한 것이다. 이처럼 보충원칙, 조합원의 자율 및 자조는 독일 협동조합을 지탱하는 기둥이다. 이 점에 역점을 두어 독일 협동조합의 특성과 성공 요인을 살펴보고자 한다. Seit kurzem in Korea wurde das Rahmengesetz uber Genossenschaften in Kraft gesetzt, und zwar mit dem Ziel, die unabhangigen, selbstandigen und autonomen Genossenschaften zu fordern und zu verbreiten. Aber die damit verbundene Problematik der genossenschaftlichen Rechtspolitik laßt sich auf die Frage reduzieren, wie die Genossenschaften ihre Selbsthilfeaktivitaten effektiv durchfuhren konnten. Eine sinnvolle Antwort hierauf gibt die Erfahrung der Genossenschaften in Deutschland. In diesem Zusammenhang ist die vorliegende Arbeit in ihrem Inhalt darauf abgezielt, die deutschen Genossenschaften in ihrer Entwicklung und ihrem gegenwartigen Stand sowie ihrer Perspektive zu untersuchen und dadurch Alternative fur die Entwicklung der Genossenschaften in Korea anzudeuten. Eine mehrstufige Verbandsorganisation ist eine lange Tradition des deutschen Genossenschaftswesen. Die Vorteile des Verbandes sind vielfaltig. Die Stichworte Kooperation, Synergie, Großeneffekte, Diversifikation, Risikominderung etc. genannt. Dies besagt, dass die deutschen Genossenschaften ihre mitgliederbezogenen Forderleistungen effektiv schopfen konnen. Anderes gesagt, die Genossenschaften, die sich in das mehrstufige Verbandsystem integrieren, ubernehmen sowohl die Tragerrolle des Verbandsystem als auch seine Nutzer- und Kundenrolle. Die genossenschaftliche Verbandsorganisation ist in ihrer Arbeitsteilung nicht im Sinne eines Konzern, sondern von unten nach oben strukturiert. Der Arbeitsteilung liegt das Subsidiaritatsprinzip zugrunde. Die jeweils ubergeordnete Zentralgenossenschaften (mit relativ hoherer Kompetenz) nur dann zur Mitgliederforderung tatig werden, wenn dies auf Ortsebene (mit relativ geringeren Kompetenz) nicht mehr order nicht mehr effizient genug realisiert werden kann. Dies gilt auch dafur, die Selbstandigkeit der Mitglieder zu wahren und zugleich ihre Selbsthilfeaktivitaten vermehrt zu starken. Gerade darin besteht und bleibt der Ansatzpunkt des deutschen Genossenschaftswesens. In dieser Arbeit sollen die tra- genden Saule der deutschen genossenschaftlichen Verbandarbeit-die Prinzipien der Subsidaritat, der Selbstandigkeit und der Selbsthilfeaktivitaten diskutiert werd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