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위장질환에 따른 H.pylori 감염빈도와 검사방법의 비교분석

        김대현,조재현,금민수,최성곤,이창형,탁원형,권영오,김성국,최용환,정준모 慶北大學校 醫科大學 1997 慶北醫大誌 Vol.38 No.2

        목적 : H. pylori가 위장관 질환의 병인에 깊은 관련이 있어 이의 적절한 진단 및 치료가 중요하게 대두되고 있다. 이에 저자들은 소화기 증상을 주소로 내원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내시경 검사를 실시하여 H. pylori검출을 위한 CLO검사, IgG 항체검사 및 H&E 염색 등을 시행하여 각 질환별로 H. pylori 감염의 양성율을 알아보고 검사법에 따른 민감도 및 특이도를 그 유용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6 4월에서 8월까지 경북대학교병원에 소화기증상을 주소로 내원한 총 313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내시경 검사를 실시하여 H. pylori 검출을 위한 CLO 검사, IgG 항체검사, 조직염색 검사를 실시하였다. 결과 : 전체 대상 환자수는 313명이었고 연령별 분포는 16세부터 80세 까지 다양하였으며 그중40대, 50대, 60대가 각각 69예(22%), 73예(23.3%), 65예(20.8%)로 전체 환자중 66%를 차지하였다. 남녀비는 2.07 대 1로 남자가 많았다. 대상환자의 평균나이는 52±15세였고, 전체 대상환자에서 H. pylori 양성군과 음성군의 평균나이는 각각 50±15세, 54±15세 였고, 궤양환자군에서 H. pylori 양성군과 음성군사이의 평균나이는 각각 49±14.8세, 55±13.8세로 나타났다. 각 질환별분포는 위염이 72명(23%), 십이지장 궤양이 85명(27.2%), 위궤양이 80명(25.6%), 위암이 20명(6.4%), 비궤양성 소화불량이 13명(4.2%), 기타가 43명(13.7%)이었으며, H. pylori 감염 양성율은 위염이 71%, 십이지장 궤양이 86.8%, 위궤양이 58.3%, 위암이 75%, 비궤양성 소화불량이 75%였으며 특히 유문륜 궤양에서는 100%의 양성율을 보였다. 소화성 궤양군과 비궤양군에서의 H. pylori 양성율을 비교해 본 결과 궤양군에서는 73.1%, 비궤양군에서는 72%로 통계학적으로 차이는 없었다(P=0.91). 소화성 궤양환자에서 출혈이 동반된 군과 동반되지 않은 군에서의 H. pylori 양성율을 비교해 본 결과 출혈이 동반된 군에서의 양성율은 54.5%였고, 출혈이 동반되지 않은 군에서는 77.5%의 양성율을 보여 출혈이동반되지 않은 군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P=0.014). 나이에 따른 양성율을 알아본 결과 50세 이하에서는 78.5%였고, 50세 이상에서는 67.5%로서 양성율이 낮았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성은 없었다(P=0.052). 각 검사법에 따른 민감도 및 특이도는 전체 환자중에서는 CLO검사가 88.9%, 96.1%, IgG항체검사 90.8%, 58.5%, H&E 염색검사 86.9%, 79.2%로서 민감도는 비슷하게 나왔으나 CLO검사는 상대적으로 특이도가 다른 검사법에 비해 높았다. 궤양군에서의 CLO검사의 민감도와 특이도는 92.0%, 95.6%였고, 비궤양군에서의 민감도와 특이도는 84.3%, 96.8%로서 비궤양군에서는 CLO검사의 민감도는 약간 낮았다. 나이에 따른 CLO 검사의 민감도 및 특이도는 50세 이하에서는 91.5%, 93.1% 였고, 50세 이상에서는 86.3%, 97.9%로서 50세 이상에서는 상대적으로 CLO검사의 민감도가 낮았다. 결론 : 본 연구에서는 위장질환에 따른 H. pylori 양성율을 알아보았는데, 다른 보고에서 처럼 높게 나왔으며, 진단 방법으로 사용한 CLO검사, IgG항체 검사, 조직염색검사 등은 모두 비교적 높은 예민도를 나타냈고, 그중 CLO검사가 간편하고 경제적이라는 면에서 임상적으로 유용한 검사로 여겨지나 상대적으로 CLO검사의 민감도가 낮은 비궤양성 질환과 50세 이상의 환자군에서는 CLO검사 외에 다른 검사방법을 병행함으로써 H. pylori의 진단율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Background: Gastric colonization by Helicobacter. pylori is common among patients with peptic ulcer and gastritis. And various diagnostic tests are available in confirming H. pylori infection. The aim of this paper is to estimate the prevalence of H. pylori infection in Gastroduodenal disorders and compare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the most widely available tests. Methods: A total of 313 patients were tested for H. pylori infection by IgG Ab, CLO test and H&E stains. Results: The prevalence of H. pylori infec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in duodenal ulcer(86.8%) than in gastric cancer(75%), gastritis(71%) and gastric ulcer(58.3%)(P=0.009).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each test was as follows: CLO test(88.9%, 96.1%), IgG Ab test(90.8%, 58.5%), H&E stain(86.9%, 79.2%). Sensitivity of CLO test in peptic group was 92.0%, whereas in non-peptic group, it was 86.3%. Sensitivity of CLO test in age under 50 was 91.5%, that over 50 it was 86.3%. Conculsions: There is a strong association between H. pylori and gastrointestinal disorders. CLO tests have relatively high sensitivity and specificity, especially in peptic group and younger age(below 50 yr)group. But in those patients in which CLO tests are less sensitive (age>50 or non-peptic group), more than one test may be necessary to diagnose the presence of the organism.

      • SCIESCOPUSKCI등재

        자궁내막에 발생한 점막 연관 림프조직 (MALT) 림프종 1예

        전균호,조현진,박성균,김천복,김대연,김종혁,김용만,김영탁,목정은,남주현 대한부인종양 콜포스코피학회 2003 Journal of Gynecologic Oncology Vol.14 No.4

        Non-Hodgkin's 림프종의 약 40%는 결절외(extranodal) 림프종으로 대개 위장관에서 발생하며 이들 중 점막 연관 림프조직(mucosa-associated lymphoid tissue: MALT)에서 기원한 림프종은 MALT 림프종으로 분류된다. 위 외의 부위에서 원발성으로 발생하는 MALT 림프종은 매우 드물지만 실제 거의 모든 신체 장기에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가장 흔한 부위인 위 외에도 폐, 갑상선, 침샘, 눈물샘에 발생하고, 드물게 안구, 유방, 방광, 신장, 흉선 등에도 보고된 바 있다. MALT 림프종은 오랜 기간동안 원격 전이하지 않고 국소 병변으로 남아 있는 특징이 있어 치료 방향 또한 국소 병변의 치료에 집중되며, 예후도 림프절 기원의 림프종에 비해 양호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저자 등은 자궁 내막에 원발성으로 발생한 MALT 림프종 1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Mucosa associated lymphoid tissue (MALT) lymphoma can rarely develop primarily in extranodal sites other than stomach which is the most common site for it. Other rare primary sites are small intestine, colorectum, esophagus, lung, thyroid, salivary gland, lacrymal gland, breast and skin. MALT lymphoma represents a distinct clinicopathologic features: it is usually localized to their original site for a long time and shows much more favorable prognosis than lymphoma at other site, but some MALT lymphoma can arise simultaneously or successively in different organ or give rise to another MALT lymphoma of other organ and can be multifocally disseminated or recurred. We report a very rare case of high grade B-cell lymphoma of mucosa associated lymphoid tissue (MALT) of the uterine endometrium, which was confirmed by immunohistochemical assay.

      • SCIESCOPUSKCI등재

        자궁경부에 발생한 배아성 횡문근육종 2예

        박정열,조준식,김대연,이동헌,김종혁,김용만,김영탁,목정은,남주현 대한부인종양 콜포스코피학회 2002 Journal of Gynecologic Oncology Vol.13 No.3

        횡문근육종은 소아와 청소년기에 가장 흔한 연부조직 육종이다. 발생 부위는 일반적으로 두부 및 경부, 그 다음으로 비뇨생식계이다 조직학적으로 배아성 횡문근육종, 국화상 육종, 폐포성 횡문근육종, 다형성 횡문근육종으로 나누어진다. 횡문근육종의 약 20%가 비뇨생식기에서 발생하고, 50% 이상이 배아성 횡문근육종이다. 여성 생식기의 배아성 횡문근육종은 드문 악성 종양으로,주로 유소아의 질에서 발생하며, 자궁경부에서 발생하는 횡문근육종은 청소년기에 흔하고, 질에서 기원하는 횡문근육종이 자궁경부에 기원하는 경우보다 5배 정도 많다. 폐경기여성에서는 자궁체부에서 가장 흔히 발생한다. 비뇨생식기의 횡문근육종의 치료는 과거에는 골반장기 적출술만으로 치료를 시도하였으나. 서서히 다중 항암화학요법, 방사선요법, 근치적 절제술을 포함한 병합요법으로 바뀌어가고 있으며, 이에 따라 생존율이 현저하게 향상되었다. 이에 저자들은 최근 본원 산부인과에서 자궁경부에 발생한 배아성 횡문근육종 2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아울러 보고하는 바이다. Rhabdomyosarcoma is the most common soft tissue sarcoma in childhood and young adult. Genitourinary tract is the econd most common site of rhabdomyosarcoma. Rhabdomyosarcoma can be classified into one of four major types; embryonal, alveolar, pleomorphic and undifferentiated. Embryonal rhabdomyosarcoma of the female genital tract is rare malignant tumor and usually occurs during childhood in the vagina. In rare cases, rhabdomyosarcoma can originate in the uterine cervix, with a peak incidence in the second decade. Recently we have experienced two cases of embryonal rhabdomyosarcoma of the uterine cervix. These cases are presented with a brief review of the literature.

      • SCIESCOPUSKCI등재

        자궁내막암 환자에서 복강경하 자궁적출술과 복식 자궁적출술의 비교 연구

        김종혁,이상수,김천복,김대연,김용만,김영탁,목정은,남주현 대한부인종양 콜포스코피학회 2003 Journal of Gynecologic Oncology Vol.14 No.4

        목적 : 자궁내막암 환자에서 시행된 복강경 수술의 임상적 결과를 평가하고 수술적 지표 및 재발률에 대하여 기존의 개복 수술과 비교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 1997년 8월부터 2003년 11월까지 저자들은 임상적 병기 I기인 79명의 자궁내막암 환자에서 복강경하 자궁적출술과 골반 및 부대동맥 림프절 절제술을 시행하였다. 총 79명의 환자 중, 수술적 병기 I기와 II기로 판명된 74명의 환자를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대조군으로는 같은 기간 동안에 개복수술을 시행한 환자중 복강경 수술군과 병기가 같은 168예를 선정하였다. 결과 : 평균 수술 기간, 수혈량은 양군에서 비슷하였으며, 평균 재원 기간은 복강경 수술군에서 유의하게 짧았다. 수술전후 및 만성 합병증의 발생은 개복 수술군에서 유의하게 증가되었으며, 획득한 림프절의 수는 복강경 수술군에서 유의하게 더 많았다. 복강경 수술군에서 1예, 개복 수술군에서는 2예에서 재발하였고, 2년 무병 생존률은 복강경 수술군과 개복 수술군에서 각각 97.5%와 98.6%으로 유의한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 자궁내막암 치료로서 복강경 수술은 기존의 개복술을 대신할 수 있는 안전하고 효과적인 시술 방법이다. 개복 수술과 비교해 볼 때, 재발 및 생존율 면에서 차이가 없었지만, 향후 전향적이고 더 오랜 추적기간을 갖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Objective : To evaluate the outcomes of laparoscopic surgery and to compare surgical parameters and recurrence rate of these with those of conventional abdominal surgery in patients with endometrial cancer. Methods : From August 1997 to November 2003, we have performed 79 cases of LAVH (laparoscopically assisted vaginal hysterectomy) with or without lymph node dissection. Laparoscopic approach was adapted in patients with FIGO clinical stage I by imaging study. Of the 79 patients, 74 patients who were proved to be surgical stage I and II were enrolled in this comparative study. As a control group, We selected 168 cases for the laparotomy group of the same stages. Results : The mean duration of surgery, the amount of blood transfusion and hemoglobin chamges were similar in both the laparoscory and the convertional alparotomy group. The mean duration of hospital stay was significantly shorter in patients treated by laparoscopic surgery (10.2 vs. 15.5 days). The number of lymph node obtained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laparoscopy group. Two year recurrence-free survival rates were 97.5% in laparoscopy group and 98.6% in laparotomy group (p=0.763). Conclusion : Laparoscopic surgery for the treatment of early stage endometrial cancer is safe and effective altematives in terms of perioperative complications. Overall and recurrence-free survival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in both groups however long term risk for recurrence and survival has yet to be defined.

      • Poster Session : PS 0912 ; Lower GI Tract : Clinical and Colonoscopic Characteristics of CMV Colitis According to Underlying Disease

        ( Dae Hyun Tak ),( Jae Kyu Sung ),( Hee Seok Moon ),( Sun Hyung Kang ),( Hyun Yong Jeong ) 대한내과학회 2014 대한내과학회 추계학술대회 Vol.2014 No.1

        Background: CMV colitis is frequently reported in immunocompromised patients and IBD. we divided CMV colitis patients into three groups of IBD patients, immunocompromised non-IBD patients, and immunocompetent non-IBD patients and compared their clinical manifestations, colonoscopic fi ndings, and clinical courses. Methods: Between March 2004 and December 2013, CMV colitis that were diagnosedby colonoscopic biopsy(immunohistochemical stain) from 36 patients were analyzed retrospectively. The CMV colitis patients are classifi ed into three subgroup(IBD, Non- IBD & immunosuppressed, Non-IBD & immunocompetant) by underlying disease. Results: The most frequent CMV colitis-associated symptom in patients with IBD was hematochezia. Immunocompromised non-IBD patients manifested diarrhea and abdominal pain most frequently, and the immunocompetent non-IBD patients` main symptoms were hematochezia and diarrhea. The fi ndings regarding the CMV colitis lesion sites are as follows: CMV colitis lesion was evenly distributed across the entire colon in the immunocompromised non-IBD patients, whereas the immunocompetent non-IBD patients had lesions only in the region distal to the transverse colon. Thecomparison of ulcerative forms of CMV colitis revealed that many cases in the IBD patient group showed large (=1 cm) and geographic-shaped ulcer while immunocompromised non-IBD patients mostly had smaller (<1 cm), round forms and all 14 ulcerative lesions showed well-circumscribed margins. Most patients, including IBD patients, received gancyclovir therapy. And a total of 6 patients, 2 in each of the 3 subgroups, were not treated, of whom 5 showed spontaneous improvement. Conclusions: We have seen that lesion sites are distributed across the entire colon in CMV colitis patients, in particularly, evenly distributed across the entire colon inimmunocompromised non-IBD patients. Therefore, colonoscopic approach has an advantage over sigmoidoscopy. And if colonoscopy performed because of hematochezia or other abdominal symptoms shows abnormal fi ndings, such as colitis or ulcers, CMV colitis may be suspected even in immunocompetent individuals.

      • SCOPUSKCI등재

        위장관 ; 위 림프상피종양암종과 위선암종과의 예후비교와 영향을 미치는 인자

        탁대현 ( Dae Hyun Tak ),정현용 ( Hyun Yong Jeong ),성재규 ( Jae Kyu Seong ),문희석 ( Hee Seok Moon ),강선형 ( Sun Hyung Kang ) 대한소화기학회 2013 대한소화기학회지 Vol.62 No.5

        목적: 위 림프상피종양암종은 림프구 침윤이 있는 기질에 미분화된 악성종양세포가 침윤하는 조직형태를 띠면서 그 빈도수가 매우 낮은 암종으로 일반적인 위선암종에 비해서 예후가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 가설의 직접적인 인과관계를 확실히 알기 어렵고 그 기전이 명확하지는 않으므로 이번 연구에서는 위 림프상피종양암종의 임상적 특징을 확인하고 위 림프상피종양암종처럼 분화도가 낮은 저분화성 위선암종환자들과의 비교를 통하여 예후와 이와 관련된 인자들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5년부터 2012년까지 충남대학교병원 소화기내과에서 수술로 절제하고 진단받은 위 림프상피종양암종 환자들 18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동시에 같은 시기에 진단되고 수술로 절제된 후 추적관찰이 되었던 저분화성 위선암종 36명을 연령과 성별을 짝짓기하여 추출하였으며 두 군 간에 특성 및 그 예후를 비교하여 예후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확인하고 누적생존율을 비교하였다. 결과: 추적관찰이 가능했던 17명 중에 1명이 사망, 1명에서 재발한 것을 제외하고 나머지 15명에서는 재발과 전이가 없이 생존하여, 저분화성 위선암종에 비해 재발, 전이 또는 사망은 적었다. 그러나 생존율 분석에서는 위 림프상피종양암종에서 저분화성 위선암종에 비해 높은 경향은 있었으나 유의하지는 않았다. 예후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확인하기 위하여 위림프상피종양암종과 저분화성 위선암종과의 특성을 비교한 결과, 암의 침범 깊이, 육안형이나 발생위치, 림프혈관성 침범 유무 등의 인자들에 있어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위 림프상피종양암종에서 저분화성 위선암종에 비해 진단 당시 전이된 림프절의 수가 유의하게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위 림프상피종양암종이 저분화성 위선암종에 비해 수술 후 재발, 전이 또는 사망은 적었으나, 생존율에 있어서는 유의 하지는 않았다. 예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여겨지는 인자들을 비교한 결과 위 림프상피종양암종에서 저분화성 위선암종에 비해 진단 당시에 전이된 림프절의 수가 더 적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의하였다. 이외의 다른 인자들에 있어서는 두암종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Background/Aims: Gastric lymphoepithelioma-like carcinoma (LLC) is a rare cancer that presents with a unique histologic pattern that is characterized by poorly differentiated malignant cells infiltrating the background stroma along with massive lymphocyte infiltration. Many studies have shown that gastric LLC is associated with better prognosis than other gastric malignancies. However, the reason for better prognosis has not been clarified and the underlying mechanism remains to be elucidated. Therefore, we attempted to determine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gastric LLC and identify its prognostic factors related to improved survival. Methods: A total of 18 patients were diagnosed with gastric LLC after resection from 2005 to 2012 at Department of Gastroenterology i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The data of these patients were compared with 36 age- and sex-matched patients with poorly differentiated gastric adenocarcinoma who also underwent resection during the same study period. Results: Postoperative recurrence or metastasis tended to occur less frequent in gastric LLC than in poorly-differentiated gastric adenocarcinoma. Among prognostic factors, only the number of lymph node metastase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with gastric LLC being associated with a smaller number of lymph node metastases. Regarding the disease free and overall survival rate, both were higher for gastric LLC than for poorly-differentiated gastric adenocarcinoma, albeit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89 and p=0.159, respectively). Conclusions: Poorly differentiated gastric adenocarcinoma was associated with a higher number of lymph node metastases at diagnosis than gastric LCC. Other potential factors affecting prognosi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cancer types. (Korean J Gastroenterol 2013,62:272-277)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