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현행 가산세 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이전오 한국공법학회 2010 공법연구 Vol.39 No.1

        Additional tax is the amount collected in addition to the amount of tax calculated in accordance with the tax law, for the purpose of assuring the faithful fulfillment of duties provided by the tax law. The current provisions on additional tax holds several problems and should be revised as follows. First, in addition to the Framework Act on National Taxes, which provides the common ground for additional tax, individual tax laws also have various provisions concerning additional tax, as is in the case of Income Tax Law, Corporation Tax Law, Value Added Tax Law, Inheritance Tax and Gift Tax Law, Restriction of Special Taxation Law, or Local Tax Law. However, the grounds for and rates of additional tax is so varied and different for each individual laws that it is difficult even for a tax-specialist to fully understand their contents. At this point, it is doubtful whether it is reasonable or appropriate to inflict the legal punishment of additional tax upon a taxpayer for neglecting his or her duty. Therefore, provisions on additional tax should be reviewed in general and provisions that need to be abolished should be done so, while the remaining provisions should be revised so that they would be applied equally on possibly all tax items. Second, when a taxpayer does not pay his or her national tax by the deadline, the person is levied additional dues. Then, it is doubtful whether the system of Additional Tax on Insincere Payment is really necessary, in addition to the already levied additional dues. When a taxpayer practices non-filing or under-reported return, Insincere Payment, or non-payment or under-payment, is only the natural and inevitable outcome that follows and does not require a separate action by the taxpayer. Then, it is illogical to levy Additional Tax on Insincere Payment in addition to the additional tax on non-filing or under-reported return, when there was no separate or additional action by the taxpayer. Therefore, the system of Additional Tax on Insincere Payment should be abolished and should be merged into the system of additional dues. Also, even in the case when Additional Tax on Insincere Payment should stay in force, the current calculation rate of 10.95% per year should be lowered, as it is excessively high compared to bank interest rates. Third, it is ideal that fixed additional taxes provided by the Framework Act on National Taxes has an upper limit of 100 million won by the type of violation concerned. Nevertheless, there should be an additional provision stating that the sum of every type of additional taxes cannot surpass beyond a certain rate of the original amount of tax to be collected, the desirable rate being perhaps 50%. Fourth, while individual tax laws have various types of additional tax, there are several provisions which raise the doubt of double-punishment for actions that violate the duty of tax. For example, if a person or a corporation liable to withholding fails to pay the amount of tax collected or to be collected, or has paid it insufficiently, the person or the corporation is charged additional tax. Also, when any person or corporation liable to submitting a payment record fails to submit the relevant payment records, additional tax is levied. However, when most of those who are liable to withholding under Income Tax Law or Corporation Tax Law also carry the duty to submit payment records, it is only natural that when a person or a corporation fails to pay the withholding tax, the person or the corporation cannot submit the relevant payment records as well. Then, it is unfair to the taxpayer to pay both of Additional Tax for Unfaithfulness in Withholding, Collection and Payment, and additional tax on failing to submit a payment report, which are separately provided by Income Tax Law and Coportaion Tax Law. Therefore, the provision should be revised so that only the larger amount of the two is levied on the taxpayer. In general, the current additional tax system is too sever... 가산세란 세법에서 규정하는 의무의 성실한 이행을 확보하기 위하여 세법에 따라 산출한 세액에 가산하여 징수하는 금액을 말한다. 가산세는 세법상의 의무이행을 간접적으로 강제하는 유효한 수단이지만, 현행 가산세 규정은 여러 가지 문제점을 안고 있으므로 다음과 같이 고쳐야 한다. 첫째, 가산세에 공통된 사유를 규정한 「국세기본법」규정 이외에, 각 개별세법에서 수많은 가산세 관련 규정을 두고 있다. 그런데 개별세법마다 가산세 부과사유와 가산세율이 구구각각이라서 세무전문가라 할지라도 그 내용을 파악하기 어렵다. 이런 상태에서 납세자가 의무를 게을리하였다고 하여 제재를 가하는 것이 과연 타당한지 의문이다. 전체적으로 가산세 규정들을 재검토하여 폐지할 것은 폐지하고 남은 것들은 가능한한 모든 세목에 공통되게 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둘째, 국세를 납부기한까지 납부하지 아니한 경우에는 「국세징수법」에 따라 가산금이 징수되는데, 가산금 외에 납부불성실 가산세 제도를 추가로 둘 필요가 있는지 의문이다. 납세자의 무신고나 과소신고가 있게 되면 납부불성실 즉 무납부 또는 과소납부는 필연적으로 따라오는 결과이지 납세자의 별도 행위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납세자의 별개 행위가 따로 없는데도 신고불성실 가산세 외에 납부불성실 가산세를 추가로 부과하는 것은 타당하지 않다. 따라서, 납부불성실 가산세는 폐지하고 이것을 가산금에 통합시키는 것이 옳다고 생각하며, 납부불성실 가산세를 그대로 두는 경우에도 현재의 계산비율(연 10.95%)은 은행 금리에 비추어 보면 지나치게 높으므로 이를 낮추어야 한다. 셋째, 「국세기본법」 제49조가 일정한 가산세에 대하여 의무위반의 종류별로 1억원의 한도를 설정한 것은 바람직하나, 이것 이외에 모든 종류의 가산세를 합산한 금액이 원래 납부하여야 할 세액의 특정 비율(가령 50%)을 넘을 수 없다는 한도 규정을 둘 필요가 있다. 넷째, 개별세법에는 여러 가지 종류의 가산세가 있는데 그 중에는 같은 의무위반 행위에 대하여 중복 제재를 가하는 게 아닌가 하는 의심이 드는 규정들이 있다. 예컨대, 「소득세법」과 「법인세법」에서 원천징수의무 불이행 가산세와 지급명세서 부제출 가산세를 별도로 규정하고 있기 때문에 두 가지 가산세를 모두 부과하는 데 이것은 중복과세로서 불합리하다. 둘 중에서 큰 금액에 해당하는 가산세만 적용하도록 법을 고쳐야 한다. 결론적으로, 현재의 가산세 제도는 지나치게 혼란스럽고 또 가혹하므로 현행 가산세 규정 중에서 너무 불합리한 것은 폐지하고, 수정하거나 보완할 규정들은 하루 속히 정비하여야 할 것이다.

      • KCI등재

        2015년 조세법 중요 판례

        이전오 대한변호사협회 2016 人權과 正義 : 大韓辯護士協會誌 Vol.- No.456

        This article aims to review the contents and meanings of some important tax decisions which were decided in the Supreme Court in 2015. Some important tax decisions are as follows: Firstly, 2014du12062 decided on February 26, 2015: this decision ruled that the second redundant tax audit in relation to the remaining issues in the same tax period and the same tax item after the first tax audit was done in relation to a particular tax period and a particular tax item is illegal. The decision respects due process of law in the realm of tax audit, Secondly, 2014du5514 decided on July 16, 2015: this decision ruled that tax authority can not impose income tax on the bribe amount where the bribe amount was confiscated by prosecution as an additional collection money. Since the tax authority can not impose tax where is no ability to pay, this decision is reasonable. Thirdly, 2012du7608 decided on January 15, 2015: this decision ruled that a rebate paid by pharmaceutical companies to pharmacies according to sales figure can not be included in the deductible expenses because it contradicts to the public order. The decision leaves for doubts. Expanding the application of tax law by keeping such costs occurred in the course of trade or business from being included in deductible expenses is far beyond the nature of tax, I think. Fourth, 2013du19615 decided on October 15, 2015: this decision ruled that shareholder of a profit corporation is not liable to a gift tax when the related parties donate properties to the corporation. The decision clarifies the relationship between Inheritance Tax and Gift Tax article 2, paragraph 3 and individual calculation articles of the law and restricts the arbitrary application of unlimited inclusive tax system of gift tax. This decision respects the legal stability of taxpayers and ensures the trust to legal system. Sixth, 2013du23195 decided on June 24, 2015: this decision viewed that the donated property amount whose period of exclusion for tax imposition has expired can not be added to the after donated property amount. This decision interprets tax law in harmony with constitution law and emphasizes legal stability. 2015년에 대법원에서 선고된 조세 판례 중 중요한 몇 가지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15. 2. 26. 선고 2014두12062 판결은 중복세무조사와 관련하여, 특정세목·특정 과세기간의 일부항목에 대하여 세무조사를 한 후에 같은 세목·같은 과세기간의 나머지 항목에 대하여 재조사를 하는 것은위법하다고 판시하였다. 세무조사의 절차적 적법성을 매우 엄격하게 요구하는 판결이다. 둘째, 2015. 7. 16. 선고 2014두5514 전원합의체 판결은 뇌물로 받은 금액에 대하여 추징을 선고받아 추징금을 납부한 이후에는 소득세를 부과할 수 없다고 판시하였다. 뇌물을 추징당한 경우에도 뇌물을 임의반환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담세력이 사라진다는 점을 생각할 때 타당한 판결이다. 셋째, 2015. 1. 15. 선고 2012두7608 판결은 제약회사가 매출실적에 따라 약국 등에 지급한 사례금(리베이트)은 사회질서에 위반하여 지출된 비용이므로 손금에 산입할 수 없다고 판시하였다. 사업과 관련하여지출한 비용의 손금산입을 무리하게 제한하는 방향으로 세법을 확대적용하여 의약품의 거래질서를 바로잡으려 하는 것은 조세의 본질을 훨씬 벗어난 것이 아닌가 생각한다. 이 사건 판결의 결론에 반대한다. 넷째, 2015. 12. 23. 선고 2013두19615판결은 이동통신사업자가 이동통신가입자에게 지원한 단말기 구입보조금은, 이동통신사업자의 대리점에 대한 부가가치세 과세표준에서 제외되는 에누리액에 해당한다고판시하였다. 거래의 형식보다 실질을 중시한 판결이다. 다섯째, 2015. 10. 15. 선고 2013두13266 판결은 흑자법인 주주의 특수관계인이 흑자법인에 부동산을 증여한 경우에 주주에게 증여세를 부과할 수 없다고 판시하였다. 상속세 및 증여세법 제2조 제3항과 개별가액산정규정 간의 관계를 명백히 밝히면서 증여세 완전포괄주의의 자의적인 적용에 제동을 건 매우 의미 있고 중요한 판결이다. 납세자의 법적 안정성과 법체계에 대한 신뢰 보장 측면을 중시한 판결이다. 여섯째, 2015. 6. 24. 선고 2013두23195 판결은 부과제척기간이 만료한 종전 증여의 증여재산가액을 재차증여의 증여세 과세가액에 가산할 수 없다고 판시하였다. 헌법과 조세법을 조화롭게 해석하면서 법적 안정성을 중시한 타당한 판결이다.

      • KCI등재후보

        2019년 국세기본법 판례 회고

        이전오 한국조세법학회 2021 조세논총 Vol.6 No.1

        This article aims to review the contents and meanings of three tax decisions on the General Law of National Taxes which were decided in the Supreme Court in 2019. Those decisions are as follows: First, the Supreme Court 2017du75873 decision sentenced on January 31, 2019 is a ruling on the extent to which the binding power of a ruling decision extends in the proceedings of objection to taxation disposition, such as requesting a tax trial. This ruling interpreted flexibly “the identity of basic facts” by expanding the scope of the “basic factual relationship” not only to the explicit specific reasons set forth by the tax office as reasons for disposition, but also to the overall factual relationship related thereto. This judgment is meaningful in that it sought relief for the rights and interests of taxpayers. Second, the Supreme Court 2018du36110 decision sentenced on May 16, 2019 ruled that the scope of the secondary tax liability for oligopolistic shareholders under Article 39 of the General Law of National Taxes was limited to primary oligopolistic shareholders and that the secondary oligopoli- stic shareholder was not liable for the tax liability. I agree with the strict interpretation of the judgment, given that the secondary tax obligation of oligopolistic shareholders is a significant exception to the principle of limited liability and infringes on the oligopolistic shareholder’s property rights, and that the scope of its application should be reduced as much as possible. Third, the Supreme Court 2017du68417 decided on July 11, 2019 ruled that in the case where the taxpayer of the gift tax reported the gift tax base and tax amount to the competent tax office within the legal filing deadline, even if the donor is incorrectly reported, it cannot be regarded as non- reporting. Thus, it was judged that it was illegal for the tax authorities to impose an unfair non-report penalty to the taxpayer for the incorrect reporting the donor in an unfair manner to the tax authority. The ruling made it clear that if a taxpayer misstates a donor while reporting or paying the gift tax, for example, if a nominal trustee is listed as a donor, the report and payment are valid and therefore non-reporting tax penalty cannot be imposed. 본 논문은 2019년에 대법원에서 선고된 조세법 총론 분야의 판결 중 세 개를선정하여 평석하였는데, 그 요지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법원 2019. 1. 31. 선고 2017두75873 판결은, 과세처분에 관한 불복절차에서 재결의 기속력이 미치는 범위에 관하여, 종전 판례처럼 ‘기본적 사실관계’의동일성 여부를 기준으로 삼으면서도 ‘기본적 사실관계’의 범위를 과세관청이 명시적으로 내세운 특정사유에 한정시키지 않고 그와 관련된 전체적인 사실관계까지로 넓혀서 유연하게 해석함으로써, 납세자의 권익구제를 꾀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는 판결이다. 둘째, 대법원 2019. 5. 16. 선고 2018두36110 판결은, 국세기본법 제39조의 과점주주의 제2차 납세의무의 범위를 주된 납세의무자의 1차 과점주주에 한정하고, 그1차 과점주주의 과점주주인 2차 과점주주는 1차 과점주주가 주된 국세의 납부를하지 않더라도 그에 대하여 제2차 납세의무를 지지 않는다고 판시하였다. 과점주주의 제2차 납세의무 제도는 주주 유한책임의 원칙에 대한 중대한 예외이고 주요외국에 유사한 입법례가 없으며 위헌성 논란까지 있는 만큼 그 적용범위는 가급적 축소하여야 할 것이라는 점에서 볼 때에, 과점주주의 책임범위를 제한한 대상판결의 엄격한 해석에 찬성한다. 셋째, 대법원 2019. 7. 11. 선고 2017두68417 판결은, 증여세 납세의무자가 법정신고기한 내에 증여세 과세가액 및 과세표준을 관할 세무서장에게 신고한 경우에는 설령 증여자를 잘못 신고하였다 하더라도 이를 무신고로 볼 수는 없으므로, 과세관청이 납세의무자에게 부당 무신고 가산세 부과처분을 한 것은 부당한 방법여부에 대한 판단을 할 필요도 없이 위법하다고 판시하였다. 대상판결은, 납세의무자가 증여세를 신고・납부하면서 증여자를 잘못 기재한 경우에도 그 신고・납부는 유효하다고 판단함으로써, 부정확한 신고에 대하여 관행적으로 무신고 가산세를 부과하던 과세행정에 제동을 걸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후보

        서화・골동품 등의 거래로 얻은 이익의 소득구분에 관한 연구

        이전오 한국조세법학회 2019 조세논총 Vol.4 No.1

        Because our income tax law follows the theory of sources of income, not the theory of increase in net assets, no matter what kind of activity or transaction income we obtain, it is not subject to an income tax unless it corresponds to any income prescribed in the Income Tax Law. In addition, income classification is a very important issue in the interpretation and application of the tax law because the size or certification of necessary expenses or income deductions varies depending on which income belongs to the income specified in the Income Tax Law. In this article, we have examined the problem of the income classification issues dividing income obtained by consignment sale of artwork such as calligraphy, antiques, etc. As mentioned above, the transfer of the paintings and antiques carried out by the owner of the paintings and antiques to the auction company corresponds to the consignment sale under the Commercial Act. In this case, the person conducting the trading business is a broker(auction company), but not the entrustor, Therefore, the profits obtained by the owners of the prints and antiques are other income, not business income. Furthermore, in view of the purpose of the legislation and the doctrines and judgments of Japan and the United States, the profits gained by the owner of a painting or antique without being entrusted to an auction company and transferred directly to a third party are not business income. As for this point, it is necessary to clarify income classification by supple- menting the law. On the other hand, the Income Tax Act in Korea refers to ‘profitability’, ‘self-calculation and accountability’ and ‘continuity and redundancy’ as key indicators of business income (Article 19 of the Income Tax Act), but it is questionable whether this alone is sufficient to regulate business income and other income (other income, transfer income, etc.). As a result, the distinction between business income and other income is not easy and there are many disputes in actual application. The precedent stresses “continuity and redundancy” as the nature of business income, but is an excessively abstract criterion. It is necessary to provide more specific and clear criteria for the distinction between business income and other income by referring to Japanese and U.S. precedents. 개인의 경제활동으로 얻은 소득이 종합소득, 퇴직소득, 양도소득 중 어디에 속하는지, 종합소득에 속한다고 하더라도 다시 그중 어느 항목의 소득에 속하는지의 구분은 과세대상 여부 및 과세표준과 세액의 계산방법과 연결되기 때문에 소득구분은 조세법의 해석과 적용에 있어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그런데, 소득구분이 항상 쉽지는 않다. 예컨대, 종합소득 중의 사업소득과 양도소득, 근로소득, 기타소득 중 어디에 속하는지의 구별이 어려운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이 논문은 위와 같은 소득구분 문제 중 하나로 서화・골동품 등의 미술품의 위탁매매로 얻은 소득의 소득구분 문제를 살펴본다. 우선, 서화・골동품의 소유자가 경매회사에 위탁하여 행하는 서화・골동품의 양도는 상법상의 위탁매매에 해당하고, 이 경우 매매업을 영위하는 자는 자신의 명의로 거래행위를 하는 위탁매매인(경매회사)이지 위탁자가 아니므로, 서화・골동품의 소유자가 얻은 이익은 기타소득이지 사업소득이 아니다. 나아가 서화・골동품의 소유자가 경매회사에 위탁하지 않고 직접 제3자에게 양도하여 얻은 이익도 입법연혁 및 일본, 미국 등의 학설과 판례에 비추어 볼 때에 그 횟수 여하에 불구하고 사업소득이 아니라 기타소득이라고 보아야 한다. 이 점에 관해서는 법문을 보완하여 소득구분을 분명히 할 필요가 있다. 한편, 우리나라 소득세법은 사업소득의 핵심적 징표로 ‘영리 목적성’, ‘자기의 계산과 책임’ 및 ‘계속성・반복성’을 들고 있으나, 이것만으로 사업소득을 규정짓기에 충분한지 의문이고 그런 까닭에 사업소득과 다른 소득(기타소득, 양도소득 등)의 구별기준으로는 매우 부족하다. 그 때문에 실제 적용에서는 사업소득과 다른 소득 간의 구별이 쉽지 않고 다툼이 많다. 판례는 사업소득의 속성으로 “계속성・반복성”을 강조하고 있으나 지나치게 추상적인 기준이다. 일본 및 미국의 판례 등을 참조하여 사업소득과 다른 소득 간의 구별기준에 관하여 보다 구체적이고 분명한 기준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2017년 조세법 중요 판례

        이전오 대한변호사협회 2018 人權과 正義 : 大韓辯護士協會誌 Vol.- No.473

        2017년에 대법원에서 선고된 조세 판례 중 중요한 몇 가지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법원 2017. 1. 25. 선고 2015두3270 판결 및 대법원ᅠ2017. 2. 15. 선고 2015두46963 판결은 국세기본법 제14조 제3항의 적용요건과 관련하여, 여러 단계의 거래를 거친 후의 결과만을 가지고 과세대상으로 삼아서는 아니 되고, 그 거래에 조세부담의 경감 외에 사업상의 필요 등 다른 합리적 이유가 있는지 여부, 다단계 행위 사이의 시간적 간격, 그러한 거래 형식을 취한 데 따른 손실 및 위험부담의 가능성 등 관련 사정을 종합하여 판단하여야 한다고 판시하였다. 우회행위에 대한 실질과세원칙의 적용 요건 및 한계를 구체적으로 제시한 중요한 판결이다. 둘째, 대법원 2017. 3. 16. 선고 2014두8360 판결은 국세청 훈령에 근거한 현지확인도, 세무공무원의 조사행위가 실질적으로 납세자 등으로 하여금 질문에 대답하고 검사를 수인하도록 함으로써 납세자의 영업의 자유 등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에는 재조사가 금지되는 ‘세무조사’에 해당한다고 판시하였다. 세무조사의 절차적 적법성을 강조한 타당한 판결이다. 셋째, 대법원 2017. 9. 7. 선고 2016두35083 판결은 협의이혼 신고를 한 후에 혼인생활을 계속하는 경우에도 1세대 1주택 비과세의 혜택을 받을 수 있다고 판시하였다. 가사법적 해석에 치중한 나머지 1세대 1주택 비과세 규정의 입법취지 및 세법 고유의 시각에 어긋나는 해석이므로 판결의 결론에 반대한다. 넷째, 대법원 2017. 10. 26. 선고 2017두51310 판결은 회사끼리 공사낙찰을 둘러싸고 지급한 담합사례금은 사회질서에 위반하여 지출된 비용이므로 손금에 산입할 수 없다고 판시하였다. 2015. 1. 15. 선고 2012두7608 판결을 따라 위법하게 지출한 비용에 대하여 손금산입을 엄격하게 제한한 판결이라고 평가할 수 있다. 다섯째, 대법원 2017. 5. 18. 선고 2012두22485 전원합의체 판결은 신탁재산의 관리·처분시의 납세의무자는 위탁자가 아니라 수탁자라고 판시하였다. 부가가치세의 본질과 법리에 부합하는 타당한 판결이다. 여섯째, 대법원 2017. 3. 30. 선고 2016두55926 판결은 최대주주 등으로부터 증여받거나 유상으로 취득한 주식에 기초하지 아니하고 또한 증여받은 재산과도 관계없이 인수하거나 배정받은 신주에 의하여 합병에 따른 상장이익을 얻었다 하더라도 증여세를 부과할 수 없다고 판시하였다. 증여세 완전포괄주의의 확대 적용에 제동을 걸면서, 납세자의 법적 안정성과 법체계에 대한 신뢰 보장 측면을 중시한 판결이다. 일곱째, 대법원 2017. 4. 20. 선고 2011두21447 전원합의체 판결은 증여세 부과대상이 되는 공익법인의 주식출연 한도 판단기준에 관하여, 첫째, ‘최대주주’는 주식을 출연한 결과 출연자와 특수관계인(공익재단 포함)이 최대주주가 되는 경우를 의미하고, 둘째, 출연자가 공익재단의 설립 과정에서 출연만하면 특수관계인이 되는 것이 아니고, 나아가 정관작성, 이사선임 등 실질적인 영향력까지 행사하여야 ‘최대주주’가 된다고 판시하였다. 구체적 타당성에 부합하고 정책적으로 의미있는 판결이나, 문언해석의 범위는 벗어난 판결로 보인다. This article aims to review the contents and meanings of some important tax decisions which were decided in the Supreme Court in 2017. Some important tax decisions are as follows: First, Supreme Court 2015du3270 decided on January 25, 2017 and Supreme Court 2015du46963 decided on February 15, 2017 ruled that for applying Article 14, Paragraph 3 of the National Tax Basic Act, it shall not be subject to taxation only with respect to the result after various stages of transaction, but we need to regard the tax burden, whether there are other rational reasons such as business necessity, time interval between multi-stage actions, loss due to such transaction type, and possibility of risk. It is an important ruling that specifically specifies the requirements and limitations of the application of the principle of substance over form taxation on circumvention. Second, Supreme Court 2014du8360 decided on March 16, 2017 ruled that a local confirmation based on the National Tax Service order is a ‘tax investigation’ in which re-examination is prohibited if taxpayers should answer tax officer’s question and endure inspection, thus affects taxpayer's freedom of business. It is a reasonable judgment emphasizing procedural legality of tax investigation Third, Supreme Court 2016du35083 decided on September 7, 2017 declared that capital gain free of taxation for one household-one house is accepted even when continuing marital life after declaring a divorce. I do not agree with the conclusion of the ruling because it is contrary to the purpose of the clause of capital gain free of taxation for one household-one house and the inherent view of the tax law. Fourth, Supreme Court 2017du51310 decided on October 26, 2017 declared that the collusion rewards that were paid for the construction contracts between the companies could not be included in the loss because they were expenses incurred in violation of the social order. It can be evaluated as a ruling that strictly limits the deduction of penalties for costs incurred in violation of the social order following Supreme Court 2012du7608 decided on January 15, 2015. Fifth, Supreme Court 2012du22485 decided on May 18, 2017 declared that taxpayers at the time of management and disposition of trust assets are trustees, not trusters. This decision respects the nature and logic of the VAT law. Sixth, Supreme Court 2016du55926 decided on March 30, 2017 ruled that a gift tax cannot be imposed even if a taxpayer acquires gains through enlisting based on new stocks not acquired or paid by the largest shareholder. This judgment places emphasis on the legal stability of the taxpayer and the trust of the legal system while restraining the extension of the unlimited comprehensive taxation system of gift tax. Seventh, Supreme Court 2011du21447 decided on April 20, 2017 concluded that as the criteria of the limit of share endowment, first, the “maximum shareholder” means that a taxpayer becomes maximum shareholder including an endower and non-profit corporation after the endowment, second, the endower should exercise substantial influence such as writing the articles of incorporation and appointing directors.

      • KCI등재

        후발적 경정청구사유에 관한 비판적 고찰

        이전오 한국조세법학회 2022 조세논총 Vol.7 No.4

        It is desirable from the point of view of justice to get back the tax that has been filed and paid incorrectly, whether it is tax return or assessment. However, if the tax system is designed in such a way that any tax wrongly paid can be refunded forever, regardless of the reason or any method, the tax legal relationship will be in an unstable state for a long time, undermining legal stability and putting an excessive burden on tax administration. Therefore, in order to receive various tax benefits under the tax law, not only the requirements set by the tax law must be met, but in many cases, procedural requirements such as reporting within a specified period are required. For the same purpose, an appeal period is set for contesting the validity of a tax disposition, and a period for exercising the right to claim for rectification is set. If so, it should be seen that the grounds for requesting a subsequent rectification can also be limited by law. In light of the text and system of the law, the grounds for requesting subsequent rectification stipulated in Article 45-2 Paragraph 2 of the Frame- work Act on National Taxes and Article 25-2 of the Enforcement Decree of the Framework Act on National Taxes should be regarded as enumerated. Article 45-2, Paragraph 2, Subparagraph 5 of the Framework Act on National Taxes and Article 25-2, Subparagraph 4 of the Enforcement Decree of the Framework Act on National Taxes contain the expression ‘similar grounds’, but the meaning is ‘similar grounds to those listed above’. It doesn’t mean ‘every reason other than those listed above’. Nevertheless, Supreme Court precedents sometimes broadly interpret the grounds stipulated in the statute as illustrative, and sometimes narrowly interpret them as if they were restrictive, in determining the grounds for a subsequent request for rectification. Regarding the argument, the Supreme Court lacks a consis- tent standard, such as overcoming the limitations of the principle of affirming rights and obligations when interpreting broadly, and raising differences between civil and criminal judgments when interpreting narrowly. In conclusion, although there is room for flexible interpretation of the current grounds for the request for rectification, it should be considered to be basically enumerative. Nevertheless, the attitude of forcibly fitting reasons that are not stipulated in the Framework Act on National Taxes to similar to those stipulated in the Act is judicial legislation close to law creation, not law interpretation. For example, it is the right direction to seek legisla- tive improvement measures for issues that require taxpayer relief, such as the inability to collect debts due to the bankruptcy of debtors, changes in legal interpretation, and unconstitutional decisions. 신고납세방식 조세이든 부과과세방식 조세이든 잘못 신고·납부한 조세는 돌려받는 게 정의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그러나, 잘못 낸 세금을 사유가 무엇이든, 어떤 방식으로든, 언제까지나 돌려받을 수 있게 조세제도를 설계한다면, 조세법률관계는 오랫동안 불안정한 상태에 놓이게 되어 법적 안정성이 무너지고 세무행정에도 지나친 부담을 준다. 같은 취지에서 과세처분의 위법성을 다투기 위한 불복기간이 정해져 있고, 경정청구권의 행사기간이 정해져 있다. 그밖의 경우에도 세법상의 각종 조세혜택을 받으려면 세법이 정한 요건을 충족하여야 함은 물론이고, 정해진 기간내의 신고 등의 절차적 요건을 요구하는 경우가 많다. 그렇다면, 후발적 경정청구사유 또한 법률로 제한할 수 있다고 보아야 한다. 최근에 들어 후발적 경정청구사유를 둘러싸고 논란이 많다. 후발적 경정청구사유를 규정한 법 문언(文言)이 일의적이지 않은 까닭에, 특정 경우가 후발적 경정청구사유가 되는지 여부는 최종적으로는 법원의 판단에 맡길 수밖에 없다. 그런데, 대법원은 사안에 따라 어떤 경우에는 후발적 경정청구사유를 확대해석하고, 또 다른 경우에는 후발적 경정청구사유를 축소해석함으로써 판단의 일관성이 결여되어 있다. 이런 태도는 결국 납세자의 법적 안정성을 해치고, 세무행정에 대한 신뢰를 떨어뜨린다. 본 논문은 이런 문제의식을 기초로 하여, 후발적 경정청구사유에 관한 몇몇 중요 판례를 소개한 후에 이를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나아가 그 개선책을 제시하고자 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국세기본법 제45조의2 제2항 및 국세기본법 시행령 제25조의2가 규정하는 후발적 경정청구사유는 법문언 및 체계에 비추어 볼 때에 열거적인 것이라고 보아야 한다. 국세기본법 제45조의2 제2항 제5호 및 국세기본법 시행령 제25조의2 제4호에 ‘유사한 사유’라는 표현이 있지만, 그 의미는 ‘앞에서 열거한 것과 유사한 사유’라는 뜻이지 ‘앞에서 열거한 것 이외의 모든 사유’라는 뜻이 아니다. 그럼에도 대법원 판례는 후발적 경정청구 사유를 판단함에 있어, 때로는 법령에 규정된 사유가 예시적인 양 넓게 해석하고, 때로는 그것이 제한적인 것인 양 좁게 해석한다. 그 논거와 관련하여 대법원은 넓게 해석할 때에는 권리의무확정주의의 한계 극복 등을 들고, 좁게 해석할 때에는 민사판결과 형사판결의 차이를 드는 등 일관된 기준이 부족하다. 결론적으로, 현행 후발적 경정청구 사유는 유연한 해석의 여지는 있지만, 기본적으로 열거적인 것이라고 보아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세기본법령에 전혀 규정되어 있지 않은 사유를 법령에 규정되어 있는 사유와 유사하다고 억지로 꿰맞추는 태도는 법해석이 아니라 법창조에 가까운 사법입법이다. 예컨대, 채무자의 도산으로 인한 채권 회수 불능, 법률해석 변경, 위헌결정처럼 납세자의 구제가 필요한 사안에 대하여는 입법적 개선책을 도모하는 것이 올바른 방향이다.

      • 조세의 징표로서의 담세력

        이전오 한국조세법학회 2016 조세논총 Vol.1 No.1

        In most cases, taxation aims to serve as a source of government revenue for running a country. Here, the subject of taxation is the ‘ability-to-pay’, such as income, consumption, and properties. Taxation may also be imposed for the purpose of government policies, such as business cycle policy, encouraging or discouraging economic activity, and redistribution of wealth. In such cases where taxation is imposed for the purpose of certain economic or social policies, can taxation be imposed regardless of the ability-to-pay? The answer is no. The ability-to-pay is the minimum necessary standard of taxation and therefore, taxation in our constitutional system should not be imposed to those without the ability-to-pay. Any taxation, regardless of whether the purpose is in creating government revenues or not, should be based on the ability-to-pay. Imposing taxes for the purpose of regulating or punishing a certain action to taxpayers without the ability-to-pay and thereby placing them at a disadvantage in their ownership or exercise of properties, should not be allowed. Strong needs in taxation policy does not justify the establishment of a tax system that is against the constitution or the principle of taxation. The nature of taxation does not lie in the regulation or punishment of unethical or antisocial actions. Therefore, however fair the purpose of legislation for achieving policy goals may be, the form or contents of tax laws used in the process should not be against the constitutional ideology or the principle of taxation. 조세는 국가의 구성원인 국민이 그 대표자를 통하여 국회에서 만든 법률에 따라서 국가의 유지・활동에 필요한 비용을 스스로 공평하게 납부하는 것이다. 대부분의 경우 조세는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가 그 운영에 필요한 재정 수입을 얻을 목적으로 부과된다. 이 때 조세의 부과대상이 되는 것은 소득・소비・재산 등의 담세력이다. 나아가 조세는 경기조절, 경제활동의 조장 또는 억제, 부의 재분배 등의 정책적 목적을 위하여 부과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조세가 경제적・사회적 특수정책의 실현을 위하여 부과될 때에는 담세력과 무관하게, 즉 담세력이 없더라도 부과될 수 있을까? 그렇지 않다. 담세력은 조세의 최소한의 징표이므로, 담세력이 전혀 없는 곳에 조세를 부과하는 것은 우리 헌법체계에서는 허용하여서는 아니된다. 조세는 재정수입 목적을 위한 것이든 아니든간에 모두 담세력을 기초로 하여야 한다. 담세력이 없는데도 특정행위를 제재 내지 처벌하기 위하여 조세라는 이름으로 납세자에게 재산상 불이익을 가하여서는 아니 된다. 조세는 어디까지나 중립성을 유지하면서 재정수입의 충족이라는 고전적 사명에 충실하는 것이 옳다고 생각한다. 조세정책적인 조세가 불가피한 경우에도 정책적인 목적은 부수적인 데에 머무르는 게 좋다고 생각한다. 아울러, 재정적인 목적은 전혀 없이 즉, 담세력과의 최소한의 연관성도 없이 오로지 정책적인 목적만으로 부과되는 조세는 명칭만 조세일뿐 헌법상 허용될 수 없다고 할 것이다. 요컨대, 조세정책상의 필요가 절실하다고 하여 헌법 및 조세법의 원리나 체계에 어긋나는 조세제도를 창출할 수는 없다. 조세의 본질이 비윤리적・반사회적 행위에 대한 제재나 처벌이 아닌 만큼, 정책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입법취지가 아무리 정당하다고 하더라도 그것을 실천하기 위한 조세법률의 형식이나 내용이 헌법 이념 및 조세법 원리에 어긋나서는 아니된다.

      • KCI등재

        2020년 개정 신탁세제에 대한 평가와 향후 과제

        이전오 한국세무사회 부설 한국조세연구소 2023 세무와 회계 연구 Vol.12 No.3

        While it is unfortunate that the 2011 overhaul of the Trust Act was not accompanied by an overhaul of the trust tax regime, it is commendable that the government has belatedly made significant and sensible changes to the trust tax regime in 2020. Here are some of the key issues with the 2020 revised trust tax system and areas for further improvement. First, while it is reasonable to introduce fiduciary taxation as a corporate tax system in the income tax and corporate tax trust tax system, it is wrong to give taxpayers the option of fiduciary taxation. In addition, there are legislative errors in Article 5 of the Corporate Tax Act and Article 3.2 of the Enforcement Decree of the Corporate Tax Act, which should be corrected as soon as possible. Second, while it is desirable to introduce the taxation of grantor, Article 2(3)(2) of the Income Tax Act and Article 5(3) of the Corporate Tax Act should be amended to tax the trustor rather than the trustee when there is no beneficiary or no beneficiary is specified, and the second requirement of Article 4(2)(4) of the Enforcement Decree of the Income Tax Act and Article 3(2)(2) of the Enforcement Decree of the Corporate Tax Act should be deleted. Third, the choice of the trustee as the VAT payer of the trust is consistent with the nature and jurisprudence of VAT. There are some who would like to see a return to the beneficiary taxation principle, but it is hard to argue in favor. Fourth, with respect to the taxation of a beneficiary continuity trust, the interpretation is that the entire trust estate is subject to inheritance tax upon the death of the grantor, and the entire trust estate is subject to inheritance tax upon the death of the successor beneficiary. However, from a legislative point of view, it is preferable to amend the law so that upon the death of the trustee, the successor beneficiary is liable for tax only to the extent of the beneficial interest he acquired, and the original beneficiary is liable for inheritance tax corresponding to the original beneficial interest. Fifth,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double taxation of income tax and gift tax, the timing of the transfer of beneficial interests in principle should be advanced to the date when the trust agreement becomes effective, and if this is not possible and the framework of the current regulations is maintained, Article 61 of the Enforcement Decree of the Inheritance and Gift Tax Act should be amended to deduct the “income tax equivalent” instead of the “withholding tax equivalent” when assessing trust interests. 2011년에 신탁법이 전면 개정될 때에 신탁세제의 개편이 같이 이루어지지 못한 점은 아쉽지만, 정부가 뒤늦게나마 2020년에 신탁세제를 대폭 합리적으로 개정한 것은 높이 평가할만하다. 2020년 개정 신탁세제에서 핵심적으로 문제되었던 내용과 향후 추가적인 개선이 필요한 부분은 다음과 같다. 첫째, 소득세와 법인세 신탁세제에서 법인과세제도인 수탁자 과세를 도입한 것은 타당하지만, 납세자에게 수탁자 과세에 관한 선택권을 부여한 것은 잘못이다. 또한, 법인세법 제5조와 법인세법 시행령 제3조의2에는 입법오류가 있으므로 빨리 고쳐야 한다. 둘째, 위탁자 과세를 도입한 것은 바람직하지만 수익자가 부존재 또는 불특정인 경우에는 위탁자가 아니라 수탁자에게 과세하는 것으로 소득세법 제2조의3 제2항과 법인세법 제5조 제3항을 개정하여야 하고, 소득세법 시행령 제4조의2 제4항 및 법인세법 시행령 제3조의2 제2항 중 두 번째 요건은 삭제하여야 한다. 셋째, 신탁의 부가가치세 납세의무자를 수탁자로 한 것은 부가가치세의 본질과 법리에 충실한 것으로서 타당하다. 수익자 과세원칙으로 돌아가자는 의견이 있지만 찬성하기 어렵다. 넷째, 수익자연속신탁의 과세문제에 관하여 해석론상으로는 위탁자 사망시에 전체 신탁재산에 대해 선행 수익자에게 상속세를 부과하고, 나중에 선행 수익자 사망시에 다시 후행 수익자에게 전체 신탁재산에 대해 상속세를 부과하는 것으로 새겨야 한다. 그러나, 입법론적으로는 위탁자 사망시에 선행 수익 수익권자는 그가 취득한 수익 수익권의 한도 안에서만 납세의무를 지고, 원본 수익권자가 원본 수익권에 상응하는 상속세 납세의무를 부담하는 것으로 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한다. 다섯째, 소득세와 증여세 이중과세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수익권의 원칙적인 증여시기를 ‘신탁계약이 효력을 발생하는 날’로 앞당길 것과 만약 그렇게 하지 못하고 현행 규정의 틀을 유지한다면, 신탁이익의 평가 시에 ‘원천징수세액 상당액’이 아니라 ‘소득세 상당액’을 차감하는 것으로 「상속세 및 증여세법 시행령」 제61조를 개정하여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