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충북지역 고려고분 연구

        이수정 숭실대학교 일반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1839

        The goal of the study is to observe the transitions of tomb style of Koryo Dynasty by analyzing their structure having found around the Chungbuk province that includes Cheongju and Chungju. For analytical purposes, after dividing the tomb remains into three according to the region, we will then set the period through seriation method after form classification based on the porcelain, earthenware, and metal artifact, which enable us to figure out chronology. Based on such analysis, we analyze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stone lined tomb and pit tomb belong to each sub-periods from the 1st and the 3rd. Lastly, the transitional process and characteristic of grave good for the stone lined tombs and pit tombs were analyzed. The result of analysis reveals that the 1st period start from the 10th century and stone lined tomb prevail. The grave goods include porcelain, like haemuri gup-wan (bowl with a halo shape), plate and flat-bottle. There are a few pit tombs found from this period. The 2nd period starts from the 11th century, during which the number of both stone lined tombs and pit tombs increases and the structural change occurs in niche and yogaeng (the structure formed by inserting artifacts or broken stone under the small hall made on the floor of pit tombs). Various types of porcelain like bowl, plate, and bottle accompanied with many metal artifacts are found in those tombs. Although there are no differences between the quality of the artifacts found from the two forms of tombs, pit tombs contain more grave goods. From the start of the 3rd period, beginning from the 13th century, the number of both types of the tombs rapidly decreases. Stone lined tombs continue to be simplified, to decline and ultimately disappear. On the other hand, pit tomb continues to exist and its tradition remains through Chosun dynasty to the present. The abundance and variety of the grave goods decrease compared to the former period, and more goods are found in pit tombs than in stone lined tombs. The origin of the stone lined tomb of Koryo Dynasty found in Chungbuk province is found in Yong-am Historic Preservation in Cheongju, where all the constructional modes of stone lined tombs of the dynasty has been confirmed. However, in case of the pit tomb, it is hard to follow the origin since no pit tomb of the previous period has been found, although it is known to be built from the prehistoric era. So far, through the analysis of the old tombs built in Chungbuk province during Koryo dynasty, we have been followed the transitional process in which the stone lined tomb prevailed in the 1st period was gradually replaced by pit tomb and ultimately disappears. We expect more study results to provide further information about the structure of graves of Koryo Dynasty from Chungbuk province. 본고의 목적은 청주와 충주를 중심으로 하는 충북지방에서 그동안 보고된 고려 시대 고분의 구조적인 특징을 파악하여 시기별 변천 과정을 살펴보는 것이다. 논문 전개를 위하여 충북지방의 고려시대 고분 출토 유적을 전체 3지역으로 나누었다. 그리고 확인된 유적의 부장품 중 편년 파악 가능한 도자기와 토기 및 금속유물을 중심으로 형식 분류하여 순서배열법을 통하여 분기 설정을 하였다. 이를 기본으로 1기부터 3기까지 각 분기별 석곽묘와 토광묘가 갖는 구조적 특징을 찾아보고, 마지막으로 석곽묘와 토광묘의 변천과정과 부장품의 특징을 파악하는 순서로 작성되었다. 그 결과 충북의 고려고분은 전 시기인 통일신라시대 고분과 비교하여 동일한 축조수법과 유사한 부장 양상을 찾아보니, 충북의 고려고분의 기원은 충북의 통일신라고분으로부터 발견할 수 있었다. 이는 특히 석곽묘에 한한 것으로 10세기 전반부터 11세기 전반까지 통일신라시대 전통을 이어받은 석곽묘 위주로 조성되며 해무리굽청자완을 중심으로 접시+편병+가랑비녀 등 간단한 공반 유물양상을 성립하는 시기이다. 11세기 후반 경부터 고분이 수적으로 급증하는 시기로 특히, 토광묘의 조성이 매우 활발해진다. 부장품은 해무리굽완 대신 발을 기본으로 반상기 조합양상을 전 시기에 이어 유지하고, 숟가락+가위+동경+동전+가랑비녀 등 다종다량의 금속 유물이 추가되어 전반적으로 후장(厚葬) 성격이 강하다. 이후 13세기 후반 경부터는 고분 조성이 줄어들면서 석곽묘보다 토광묘의 비중이 높아진다. 부장 유물은 자기(도기) 또는 청동제의 발+접시+병 조합양상은 기본적으로 유지되나, 금속류의 매납이 현격히 줄어든다. 이 후 조선시대로 넘어가며 석곽묘는 충주 단월동II-6호 석곽묘를 마지막으로 그 존재가 충북에서 사라지게 되며, 토광묘는 조선시대 회곽묘와 함께 가장 일반적이고 보편적인 묘제로 전개되는 과정을 거친다. 이상으로 충북에서 고려시대 고분 연구를 통하여 1기에 석곽묘를 중심으로 축조되었다가 점차 토광묘로 대체되며, 석곽묘가 쇠퇴해가는 변천과정을 살펴보았다. 추후 충북지역의 고려고분에 대하여 보다 당시 사람들의 행위와 귀결되는 연구가 진행되기를 바라며, 타지방과의 비교를 통한 충북의 독특한 고려시대 장법에 대한 특징에 대하여 보다 심도 있게 연구되기를 기대해본다.

      • 현대소설의 일탈적 인물화 연구 : 1920~30년대 단편소설을 중심으로

        이수정 서강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박사

        RANK : 1839

        본고는 1920-30년대 한국 현대 단편소설에 나타나는 일탈적 인물화의 양상과 서사적 기능에 대해 살펴보고, 나아가 일탈의 상상력과 문학적 근대성의 상관관계를 고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미 이전의 문학 속에서도 외형이나 속성, 행위나 능력 면에서 비정상적이고 왜곡된 인물들이 많이 있어 왔지만, 문학의 교훈주의가 퇴조하고 현실에 대한 사실주의적인 관점과 개체의식이 중시되던 이 시기에 이런 일탈적 인물화 현상이 많이 나타나는 것은 문학적 관심의 대상이 저변화되고 주변화 됨을 드러내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일탈이 문학적 근대성의 한 특성이 됨을 가정해 볼 수 있다. 또한 이 시기는 일제에 의한 기형적인 식민지 상황이었고, 타율적 힘에 의해 근대가 주도되었으므로 지배규범과 제도에 대한 부정의식과 자기정체성의 혼란이 일탈의 욕망과 상상력을 더욱 고무시켰으리라 생각된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이런 일탈의 상상력을 통해 현실의 모순 됨을 비판할 수 있고, 배제되고 억압되었던 가치나 이미지들에 대해서도 개방적일 수 있으므로 보다 다양하고 역동적인 문학의 근대성을 확립할 수 있다. 실제로 이 시기에는 다양한 성격의 문학적 시도들이 이루어지면서 현실을 비판적으로 진단하려는 모색이 활발하였는데, 경향문학, 사실적 문학, 반사실적 문학, 낭만적 문학들이 대표적이다. 그리고 이들의 변천과정은 서로가 유기적이고 도전적인 영향력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각각 확고한 세계관과 특성을 구축하고 있다. 따라서 각 담화양상에 따라 인물의 특색도 구별되고 언술, 플롯, 현실대응양상도 차이를 보인다. 경향문학은 근대 자본주의 제도의 반명제로서 계급 이데올로기의 고취와 투쟁을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주인공의 이념적 성찰이 일탈의 원인이 된다. 그런데 이념적 성찰에 의한 모든 행위가 일탈로 규정되는 것은 아니다. 주인공의 확고한 이념적 의지에 의지에서 행한 대응행위가 아니라, 개인적인 원한에 의한 폭력과 광적 행태로 치달을 경우는 이념적 기준에서나 일반적인 판단에서 정당화되기 어려우므로 일탈로 볼 수 있다. 그리고 실제 많은 작품들에서 착취자의 탐욕과 피착취자의 굴욕적인 상황이 비하된 동물 이미지로 비유되고 있다. 예로 박영희의 <사냥개>와 이기영의 <쥐 이야기>에서는 탐욕스런 착취자의 모습이 ‘개’와 ‘쥐’의 이미지로 묘사되고 있고, 김기진의 <붉은 쥐>에서는 피착취자의 굴욕적인 상황이 ‘쥐’의 이미지로 묘사되고 있다. 그밖에도 최서해의 <기아와 살육>과 <박돌의 죽음>에서는 기아와 멸시에 의한 분노가 인간의 야수적인 폭력행위로 나타나고 있다. 이것은 인간의 獸性化된 전락상을 표현한 것이며, 저항의 심각성을 드러내는 효과를 지닌다. 그리고 적극적으로 외현화되는 저항을 이끌기 위해 갈등이 누적되고 이념적 각성이 이루어지는 과정이 순차적인 플롯의 양상을 띤다. 이는 이념적 각성의 필연성과 당위성을 확보하는 데 유용한 전개방식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전향적이고 점진적인 플롯의 성격을 지닌다. 언술 면에서도 경향문학은 근대 자본주의의 물질적 탐욕과 결핍을 비판하고 계급이념과 논리를 설득력있게 전개시켜야 하기 때문에 기존의 논리를 보다 강력하게 전복시킬 수 있는 반논리적(anti-logic)인 성격을 띤다. 하지만 대부분의 작품들에서는 온전한 경향소설로서의 내용과 형식을 구현하기에 미숙했고, 개인적인 체험에 의한 객관성의 상실 때문에 인물들의 언술에 신빙성이 의심된다. 현실에 대한 비판의식을 적극적인 실천행위로 드러내지는 않지만, 사회의 모순과 인간의 왜곡된 실상을 진실하게 드러내는 사실주의 계열의 작품은 일탈화된 인물이 주로 희화적이거나 기괴하게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김유정의 작품들과 채만식의 <치숙>에서 보이는 카니발적인 유쾌함과 현진건의 <고향>에 나타나는 그로테스크한 섬�함은 인습화된 가치규범과 부정적 현실을 전도시킬 수 있다. 플롯은 이런 기묘한 인물이 현실을 헤쳐나가는 모습을 중심으로 전개되고 전반과 후반의 입장과 상황이 전도되는 구성으로 주로 이루어진다. 이는 전향적이고 전도된 플롯양상이라 할 수 있다. 희화되고 과장된 인물에 의한 언술 역시 과장되고 모욕적인 카니발적인 언어가 많이 나타난다. 육체적인 표현, 구어체적 표현(욕설, 상소리, 저주, 방언), 장광설 등. 이는 현실의 모순을 반어적으로 지적하거나 풍자적으로 공격하려는 의도가 내재해 있기 때문이다. 반사실적인 문학은 현실 속에서 소외되고 분열되고 정체성이 상실된 인간의 내면세계를 주로 주관적인 시점으로 성찰하고 묘사하고 있다. 이상의 <날개>와 <지주회시>, 최명익의 <비오는 길>과 <폐어인>의 등장인물들은 일상세계를 살아가지만, 내면적으로는 매우 불안정하고 분열되어 있으며 심지어는 유아기적으로 퇴행한 인물들이다. 이는 다양한 가치가 혼재하는 현대사회 속에서 고정된 신념을 갖지 못하고, 불안정한 정체성과 양가적인 반응을 보이며 살아가는 현대인의 사회병리적인 면을 상징하는 것이다. 따라서 서사도 불연속적이고, 반복과 가치들의 대비에 의해 자아를 탐색하는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그러므로 전향적인 플롯이 아니라, 현재의 자기모습을 진단하고 확인하려는 반복과 인접된 에피소드로 구성된 후향적인 대비의 플롯양상을 띠고 있다. 언술 면에서도 자신을 진단하기 위한 양가적 가치의 대비는 다양한 시점의 병치와 이중적인 목소리의 교합으로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언술적인 면에서도 불확실한 인물의 내면이 드러나며, 독자는 인물들 서로간의 사고가 침투하고 변형되는 모습을 입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자기만의 독특한 예술적·종교적 세계에 기대어 현실에 대한 강한 부정과 초극을 보여주는 초탈적 일탈이 있다. 김동인의 <광화사>, 김동리의 <바위>와 <황토기>에는 인물들이 현실적인 우울과 환멸을 현실도피적인 공상으로 대치하고, 그들만의 논리로 자신을 합리화시킨다. 그러므로 비정상적이고 기이하고 광기어린 일탈의 모습으로 비춰지는 것이다. 따라서 이들은 자신들만의 절대논리로 스스로에게 주술을 걸고 정당화하는 편집증적인 언술의 특징을 갖고 있다. 하지만 이는 비일상적이고 비논리적이고 불투명한 서술이기 때문에 신빙성이 없는 자기중심적인 언술로 볼 수 있다. 플롯도 인물이 희구하고 믿는 초월적 대상이 인물의 결핍상태와 더불어 서사 초반부에 제시되어 있다. 따라서 이후에 이어지는 사건들은 그 자체가 초월적 동경의 세계로 귀속될 수 밖에 없는 부연이 되고, 플롯은 후향적이고 순환적인 성격을 띠게 된다. 지금까지의 논의에서 알 수 있듯이 일탈적 인물화는 근대문학으로의 전환 속에서 새롭게 현실을 묘사하고 비판하는 전략으로 다양하게 실험되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는 이전의 문학과 지속선상에 있으면서도 근대문학적인 변모와 특성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일탈적 인물화는 근대문학의 중요한 특성으로 자리매김 될 수 있으며, 근대문학의 위상을 한 단계 끌어올렸다고 볼 수 있다. 또한 보다 다양하고 개성적인 인간의 삶을 다루는 현대문학과의 맥락에서 보더라도 일탈적 인물화는 그 양상과 유형이 얼마든지 보완되고 의미의 비중도 더욱 커져갈 수 있는 발전가능성도 예측해 볼 수 있다. 따라서 본고는 그러한 연구들에 대한 문제 제기로서 의의를 갖고자 한다. This dissertation intends to examine the aspects of transgressive characterization and narrative function in Korean modern short stories in 1920-30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ransgressive imagination and literary modernity. The previous literature had shown abnormal and distorted characters in shape, disposition, behavior, and competence. However, the emergence of the transgressive characters in this period when the enlightenment function in literature were on the ebb and the realistic viewpoint toward the world and consciousness of the individual arised implies the characteristics of literary modernity which had a tendency of taking the marginalized objects. This period was a colonial situation ruled by Japan and modernity was led by the heteronomous power. It is presumed that the negative consciousness against the control and institution and the disorder of self-identity gave rise to the desire and imagination of transgression. Meanwhile, through this transgressive imagination, more diverse and dynamic modernity was formed, by criticizing the absurdity of reality and being opened to the excluded and repressed values and images. There were a variety of literary attempts to criticize the reality, such as roman a these, realistic literature, modernistic literature and romantic literature. These trends have different characterizations, utterances, plots and the real confront modes respectively, based on different viewpoints. Roman a these tries to instill class ideology and struggle as an antithesis of capitalism and the ideological reflection of main characters becomes the cause of transgression. Not all behaviors by ideological reflections are transgressions, but the violence by personal enmity and insane behavior are seen as transgressions. In many works, the greed of exploiting class and the humiliating situation of the exploited class are compared to the depreciated animal images. For example, in Sanyanggae(A Hunting Dog) by Bak Yeonghui, the greedy exploiting class is described as a dog and in Bulgeun jwi(A Red Rat) by Gim Gijin, the humiliating situation of the exploited class is described as a rat. In Gia-wa salyuk(Starvation and Slaughter), Baktol-eui Jugeum(Baktol's Death) by Choe Seohae, the anger caused by starvation and disdain is presented as violent acts revealing human frantic brutality. It is the expression of the beastly downfallen figure revealing the seriousness of resistance. To externalize the resistance actively, the accumulation of conflicts and ideological awakenings take a sequential plot, which is available to acquire the necessity of ideological awakening. Therefore, it is called as anaphoric-gradual progressive plot. The discourse of roman a these is anti-logic because it criticizes the material greed of modern capitalism, subverts the existing logic and delivers class ideology. However, most of the works are not successful to embody the form and contents as roman a these and the characters' discourses are suspected of the reliability because of the loss of objectivity by individual experience. The realistic works which reveal the social absurdity and distorted images of humanbeings show the transgressive characters as comic and outrageous, though they do not present the critical view of reality through practical behavior. The carnivalisque cheerfulness in Gim Yujeong's novels and Chae Mansik's Chisuk(A Foolish Uncle) and grotesque fear in Hyeon Jin-geon's Gohyang(The Hometown) can subvert the conventionalized value norm and negative reality. Plot is developed focusing on the outrageous characters who face with reality and composing the inversion of situation between former and latter part. It is called as anaphoric-inverted plot. The discourse by the comic and exaggerated characters contain the exaggerated, contemptuous, and carnivalisque language, which are physical and colloquial expressions, such as abusive language, curses, dialects, and verbosity. These intend to point out the absurdity of reality in an ironical way and satirize it. The modernistic works describe the internal world of humans who lose self-identity, being isolated and split in life with a subjective perspective. The characters of Nalgae(The Wings), Jijuhoesi(Spiders Meet Pigs) by Yi Sang and Bi-oneun Gil(A Rainy Road), Pye-eo-in(A Lungfish Man) by Choe Myeong-ik are retrogressive characters who have unstable inner states in a daily life. These characters symbolize the pathological symptoms of the moderns who show unsteady identity and ambivalent value in a modern society where diverse values conexist and conflict. Therefore, the narrative presents the process seeking for self by repetition and contrast of values. It is called as cataphoric-contrast plot which consists of repetitive and contiguous episodes trying to diagnose and affirm the present self-image. The contrast of ambivalent values to diagnose themselves in discourse is presented as the juxtaposition of various viewpoints and dual voice, implying the inner state of uncertain character. The readers can see the ideas of characters permeated and transformed. Lastly, there is transcendental transgression which shows the strong refusal against the reality depending on the peculiar artistic and religious world. In Gwanghwasa(A Lunatic Painter) by Gim Dong-in, Bawi(A Rock) and Hwangtogi(Tales of Yellow Earth) by Gim Dong-ri, the characters show depression and disillusion through the real escapism fancy and justify themselves with their own logics. Therefore, they are presented as abnormal, extraordinary, and insane transgression. However, their paranoid discourses are unusual, illogical, and ambiguous narrations called as unreliable egocentrical utterances. In plot, the transcendental object the character adores and believes and the deficient character are presented in the opening part of the narrative. The subsequent incidents are the expatiations which belong to the world of transcendental adoration and the plot is called as cataphoric-recurring. As mentioned above, the transgressive characterization is seen as an experimental strategy which describes and criticizes the reality in a change into modern literature. It succeeds to the tradition of the previous literature, but shows the variation and characteristics of modern literature. Therefore, the transgressive characterization establishes itself as a crucial characteristic of modern literature and upgrades the phase of modern literature. The aspects and types of transgressive characterization are presumed to be more supplemented in modern literature which deals with diverse and individual human life after this.

      • 유아의 텃밭 가꾸기 경험 탐구

        이수정 안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183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nsider the value of gardening experience by exploring young children's gardening experience. The young children experienced ‘garden is my friend’, ‘precious garden plants and animals’, ‘garden that protects my body’, and ‘beautiful garden’. The research questions set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How is the experience of gardening for young children? This study was conducted twice a week from August to October 2022 on a total of 13 children aged 4-5 years old (nine children aged 4 years, 4 children aged 5 years) and one teacher at a public daycare center in S city. Participant observation and interviews were conducted. A total of 15 participatory observations and 10 interviews were conducted during the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rough children's gardening, the children experienced ‘garden is my friend', ‘precious garden plants and animals', ‘garden that protects my body', and ‘beautiful garden'. In the case of ‘garden is my friend’, the children showed the experience of becoming familiar with nature. children showed continuous curiosity and interest in the garden like a friend, gave it a name, worried about the situation in the garden, and experienced taking care of it. In the case of ‘precious garden plants and animals’, children showed interest in the plants and animals living in the garden and showed respect for life. In the case of ‘garden that protects my body’, the children experienced healthy taste by growing and harvesting healthy plants and making delicious food to eat. The children enjoyed harvesting the crops as the process of seeds became fruits, and showed interest in proper eating habits by talking about the experiences of eating the harvested fruits in connection with their families. In the case of ‘beautiful garden’, children showed ecological sensitivity of feeling the beauty of plants and animals in the process of gardening. The young children was able to feel the beauty of nature by observing various colors of flowers and insects blooming from crops in the garden. In this study, young children became friendly with nature and respected life through the experience of gardening, and changes in eating habits were made through healthy food. Through the encounter of various plants and animals in the garden, a continuous interest in nature can be cultivated by understanding the mutually beneficial relationship with nature.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a free gardening experience led by young children will be realized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rather than gardening centered on one-time activities.

      • 메타버스 플랫폼을 활용한 비교과 프로그램 개발 : 에너지교육을 중심으로

        이수정 동의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1839

        4차 산업관련 기술들과 COVID-19의 영향으로 교육은 더 이상 대면으로만 이루어지지 않고 온라인으로도 이루어지고 있다. 이는 학습자에게 학습동기 및 학력저하를 가져오기도 하였다. 특히 비교과 과목은 학습동기부여 부분이 더욱 절실하다. 본 연구에서 하고자 하는 에너지교육도 비교과과목이다. 기후위기 대처에 대해 ‘인류생존을 위한 전투’라는 강력한 경고와 우려의 목소리를 낸 27차 기후변화협약 당사국회의(COP27)의 말처럼 기후위기에 대한 심각성이 높은 만큼 기후위기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에너지교육 역시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기에 학습자의 학습동기유발이 더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학습동기와 수업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메타버스 플랫폼에서의 비교과 에너지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으로 문헌연구와 교과목 내용을 분석하였으며, 리커트 척도 5점을 기준으로 하는 설문조사를 통해 연구결과를 알아보았다. 프로그램은 학습자들의 학습동기유발을 위해 ARCS전략을 토대로 맵의 이미지와 오브젝트의 기능을 이용하여 메타버스 맵과 학습지도안을 구성하여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메타버스 플랫폼에서의 비교과 프로그램이 비교과 교육으로서의 에너지교육에 얼마만큼 학습동기에 영향을 미쳤는지 초등학교 6학년 6개 반의 140명과의 수업 후 이루어진 만족도 결과를 통해 확인하고자 하였다. 리커트 5점 척도로 조사한 결과 메타버스로 진행하는 수업의 흥미로움(4.76점)과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생김(4.27점), 메타버스 내 소통이 자유로움(4.61점), 메타버스 내 수업자료가 풍부하고 흥미로움(4.66점), 메타버스 수업을 통해 협력할 수 있는 기회가 있음(4.65점), 강사와 소통정도(4.67점), 메타버스에너지 수업의 재참여희망(4.61점)의 결과를 보여주었다. 본 연구에서는 메타버스 플랫폼이 가지는 실재감과 몰입감이 수업의 흥미도에 긍정적인 결과를 보이므로 학습동기를 유발시켰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높은 재참여의지를 통해 수업시간 내 학습동기에 긍정 영향을 미쳤으며, 소통과 협력수업에 대한 만족도를 통해 상호작용에 대해서도 긍정적 결과를 보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메타버스를 활용한 에너지프로그램은 학습동기를 유발시킨 측면에서는 긍정적이나, 메타버스 플랫폼의 에너지프로그램이 계속해서 활용되기 위해서는 비대면 상황에서 수업 진행과 일회성 수업이 아닌 장기적 수업으로 진행하여 학습성취 부분에 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Due to the influence of the 4th industry-related technologies and COVID-19, education is no longer conducted only face-to-face, but also online. This also led to a decrease in learning motivation and academic ability for learners. In particular, the part of motivation for learning is more urgent for Co-Curriculum. Energy education to be conducted in this study is also a Co-Curriculum. As the 27th Conference of the Parties to the Climate Crisis (COP27), which voiced strong warnings and concerns about the "Battle for Human Survival," said, energy education, which is closely related to the climate crisis, is also needed to motivate learners to learn.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Co-Curriculum energy education program on a metaverse platform that can increase learning motivation and class satisfaction. Literature research and subject content were analyzed as a research method, and research results were investigated through a survey based on 5 Likert scales. In order to induce learners' learning motivation, the program was developed by constructing a metaverse map and a learning guidance plan using the functions of images and objects of the map based on the ARCS strategy. We tried to confirm how much the Co-Curriculum program on the metaverse platform developed in this study influenced learning motivation as a comparison education through satisfaction results after class with 140 students in 6 classes in 6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The survey on the Likert 5-point scale showed interest in metaverse classes (4.76 points), new and renewable energy (4.27 points), free communication in metaverse (4.61 points), abundant and interesting class materials in metaverse (4.66 points), opportunities to cooperate through metaverse classes (4.65 points), and participation in metaverse energy (4.67 points) In this study, the sense of reality and immersion of the metaverse platform showed positive results in the interest of the class, so it can be said that learning motivation was induced. In addition, it had a positive effect on learning motivation in class through a high willingness to participate, and showed positive results for interaction through satisfaction with communication and cooperative classes. The energy program using metaverse developed in this study is positive in terms of motivation for learning, but in order to continue to use the metaverse platform energy program, follow-up research on learning achievement is needed by conducting classes in non-face-to-face situations and not one-time classes.

      • Efficacy and safety of herbal medicine (Dangguijagyag-san) for primary dysmenorrhea : A randomized,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parallel-group, multicenter, investigator-initiated clinical trial

        이수정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1839

        This study was designed to report the efficacy and safety of the herbal medicine Dangguijagyag-san (DJS) for primary dysmenorrhea compared with another herbal medicine (Gamisoyo-san, GSS) and placebo in Korean women of reproductive age. A randomized,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parallel-group, multicenter, investigator-initiated clinical trial was conducted. Reproductive age women with primary dysmenorrhea whose most severe pain exceeded the 50-mm visual analogue scale (VAS) were included and randomly assigned into three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DJS treatment orally for two menstrual cycles, the active control group received GSS treatment, and the placebo control group received placebo granules for the same period. The primary outcome was the difference in the effective rate between DJS and GSS for non-inferiority comparison and the difference in VAS change between DJS and placebo for superiority comparison. The secondary outcomes were comparison of the scales associated with dysmenorrhea. Follow-up observation was conducted after two menstrual cycles from the end of the intervention. A total of 240 participants were enrolled at five Korean medicine university hospitals in the Republic of Korea. Of the 240 participants, 195 finished the study as planned. Compared to the baseline, each group showed significant pain reduction with regard to VAS score at the end of the intervention (P < 0.001), and the significant effect was sustained until follow-up, except for the GSS group (P = 0.119). In comparison of effective rates between DJS and GSS, the lower bound of the confidence interval met the limit of non-inferiority previously set (95% CI, −0.27, 0.183).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VAS change (P = 0.112), in addition to most of the scores on scales associated with dysmenorrhea, between the DJS and placebo group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groups in the dosage of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s) and occurrence of adverse events. Our results suggested that DJS can alleviate menstrual pain to a significant extent, comparable to GSS, and similar to placebo. The failure to prove the superiority of DJS in this study may be due to the placebo tendency of patients with dysmenorrhea or study design flaws. Further studies that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required. 본 연구는 생식 연령 한국 여성의 원발성 월경통에서 가미소요산(Gamisoyo-san, GSS) 및 위약과 비교한 당귀작약산(Dangguijagyag-san)의 효능 및 안전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무작위 배정, 이중 맹검, 위약 대조, 병행 설계, 다기관, 연구자 주도 임상시험이 수행되었으며 원발성 월경통이 있으면서 가장 심한 통증이 시각 아날로그 척도(Visual analogue scale, VAS)의 50 mm를 초과하는 생식 연령의 여성이 포함되었다. 참가자들은 무작위로 세 그룹으로 분류되었으며 실험군은 두 번의 월경주기 동안 당귀작약산을 경구 복용하였고 같은 기간 동안 활성 대조군은 가미소요산을, 위약 대조군은 위약을 복용하였다. 1차 평가지표로는 비열등성 비교를 위해 실험군과 활성 대조군의 유효율 차이를 평가하였으며 우월성 비교를 위해 실험군과 위약 대조군 사이의 VAS 변화량을 비교 평가하였다. 2차 지표로는 월경통과 관련된 척도들이 포함되었다. 추적 관찰은 중재 종료로부터 두 번의 월경주기 후에 시행되었다. 총 240명의 참가자가 국내 5개 한의과대학 대학병원에서 모집되었으며 그 중 195명이 계획대로 연구에 끝까지 참여하였다. 중재 시행 전의 기준 값과 비교하였을 때 각 군은 중재 종료 시에 VAS 점수에서 유의한 통증 감소를 보였으며 (P<0.001) 가미소요산 군 (P=0.119)을 제외하고는 통증의 호전이 추적 관찰 시까지 지속되었다 (P<0.001). 실험군과 양성 대조군의 유효율 비교에서는 신뢰 구간의 하한이 이전에 설정한 비열등성 한계를 충족하여 비열등성이 확인되었으나 (95% CI, -0.27, 0.183) 실험군과 위약 대조군 사이의 VAS 변화량 비교를 통한 우월성 검정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확인되지 않았다 (P=0.112). 월경통과 관련된 척도의 대부분의 점수에서도 군 간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며 진통제 복용량과 이상반응의 발생에서도 군 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당귀작약산이 가미소요산에 필적할 만 하고 위약과 유사하게 원발성 월경통을 상당히 호전시킬 수 있음을 보여준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위약 대비 당귀작약산의 우월성을 유의하게 입증하지 못함은 월경통 환자에서 나타나는 플라시보 경향 또는 연구 설계의 결함 때문일 수 있다. 향후 본 연구의 한계를 보완한 추가 연구들이 요구된다.

      • 서양화법(西洋畵法)이 반영된 조선시대 후기 회화작품 연구

        이수정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1839

        This research is about Western painting techniques appeared in Korean paintings in the late Chosun Dynasty which was a part of the change happened in the filed of Arts after being introduced Western culture by Yeonhangsa.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have a thorough grasp of its cultural content, historical background, and tendency of the painting circle in the late Chosun period, and to understand the obvious difference between the painting techniques based on respective Korean and Western world view. At the present day, the indiscreet inflow and acceptance of advanced Western culture are becoming problems in traditionally Confucian country, Korea. Therefore, in this research, the predecessor's process of accepting and spreading western culture will be examined carefully, and it will be set as an example for us to rethink about our attitude at accepting Western culture and to seek the better way of it. This research proceeds as follows. In chapter 2, we will find out of the basis which made possible of accepting a new culture which was totally different from the established culture of the period, through studying the historical and cultural content of the late Chosun Dynasty. Based on this historical and cultural content of the period, we will take examples of prevailing Chinese painting techniques of the Southern School among the literary in the late Chosun period before being introduced of Western painting techniques. Besides, we will look into the epoch-making theme expression happened in paintings, such as Real Landscape painting or genre painting, and the unique development of popular art, such as folk painting which was initiated because of aroused national consciousness. In Chapter 3, it is necessary to compare and analyze obvious differences between monism in Korean painting techniques and dualism in Western painting techniques ahead of analyzing Korean paintings in which western painting techniques were used. The definitions and characteristics of these two heterogeneous painting techniques will be compared and read at a glance, so it will be possible to understand each painting techniques clearly. In chapter 4, we will look at the inflow and acceptance of Western painting techniques in the late Chosun Dynasty on a full scale. We will examine first how Western culture was introduced to China- how it was accepted and became popular-before it came to Chosun. In addition, we will find out what kind of meaning and influence that the acceptance of Western painting techniques brought forth. In chapter 5, We will look at some examples of painting works of late Chosun period in which Western painting techniques were used. We will classify paintings into a figure painting, a landscape painting, a documentary painting, a folk painting and etc, and then analyze these paintings according to the artists who were representatives of each genre or the periods of each painting. Through this, we will find out a common pattern in these paintings, even among different genres, because Western painting techniques are somehow reflected in all of these paintings. Usage of the Perspective, Expression of visual depth of an object using shading, elaborate details in depiction etc were the results of adopting Western painting techniques. However, the aspect that our ancestors accepted and re-created Western painting techniques with critical thinking, in connection with Chosun Dynasty traditional aesthetic, instead of imitating Western painting techniques as it is, should not be overlooked. Through this research process, we will understand the basis that enabled the compromise of almost contradictory styles of Korean and Western painting. Then, we will judge the ability of inducing originality of the late Chosun painting circle through bringing up of the development, in the concrete, of realistic description which was generated by induction of Western painting techniques. 본 연구는 조선후기 연행사로부터 서양문물을 받아들이기 시작함으로써 나타나는 예술분야 변화의 한 면인 회화작품에 나타난 서양화법 연구이다. 그리고 작품에 서양화법을 분석하기 이전에 당시 조선후기의 사회양상과 사상적 배경, 화단의 경향을 파악하고 한국과 서양 각각의 세계관에 입각한 화법의 명료한 차이점과 이해를 목적으로 둔다. 현대에 들어서 유교적 전통을 고수한 우리나라에 들어오는 서양의 선진문물은 너무 무분별하게 유입과 수용이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이 논문을 통해 과거 우리나라가 서양문물을 수용하는 과정과 전개된 상황을 살펴보고 이를 귀감으로 반성해보고 앞으로 우리의 자세를 다시 한번 생각하여 발전된 방안을 모색하는데 또 다른 의미를 둔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절차를 따라 진행된다. Ⅱ장에서는 조선후기 당시의 시대적 배경과 사상적 배경을 통해 조선이 과연 어떻게 기존과는 전혀 다른 새로운 문화를 받아들일 수 있었는지 토대를 고찰해 본다. 이러한 시대상황과 사상을 토대로 서양화법을 받아들이기 이전에 당시 조선후기 화단에 중국의 남종화법이 조선 문인들 사이에 유행했던 그 예를 살펴본다. 이와 더불어 진경산수나 풍속화와 같은 당시로서는 굉장히 획기적인 주제표현과 민족의식의 성장으로 인한 민화와 같은 대중예술의 개성적이고 독창적인 발전양상을 살펴본다. Ⅲ장에서는 조선후기에 서양화법이 표현된 작품을 분석하기 이전에 일원론적 한국화법과 이원론적인 서양화법의 명료한 차이점을 비교 분석하는 것이 선행되어야함에 필요성이 있어 이 장에서 논하게 되었다. 이는 이질적인 두 화법의 정의와 특징을 한눈에 비교하여 파악할 수 있어 각 화법의 성격을 명료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Ⅳ장에서는 본격적으로 조선후기 서양화법의 유입과 수용을 살펴본다. 그리고 조선에 반영되기 이전에 서양이 들어올 수 있었던 중국과 서양의 만남을 미리 고찰해보고 중국이 조선에 서양을 소개하게 된 과정과 그 전개를 살펴본다. 이에 덧붙여 서양화법의 수용이 미술사적으로 어떠한 의미와 영향을 지니는지에 대해서도 함께 이해한다. Ⅴ장에서는 서양화법이 반영된 조선후기 회화작품을 구체적으로 제시해본다. 인물화, 산수화, 기록화, 민화 및 기타로 분류하여 각 장르마다 대표하는 작가들, 혹은 시대순으로 작품을 분석한다. 이를 통해서 장르는 다르지만 서양화법을 반영한 작품들이기 때문에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양식을 발견할 수 있다. 투시도법을 활용한 원근법의 사용, 음영법을 이용한 기물(器物)의 입체감, 이전보다는 훨씬 세밀해진 표현 등이 바로 서양화법을 반영한 결과라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이를 서양화법을 그대로 똑같이 모방하기 보다는 조선의 전통적이 미의식과 연관지어 비판적으로 수용하고 재창조했다는 점을 되짚어 볼 필요가 있다. 이러한 연구 진행과정을 거쳐 한국화와 서양화라는 전혀 상반된 이질감 속에서도 서로가 상호 절충하여 소화시킬 수 있었던 배경을 이해한다. 그리고 조선후기 화단에 서양화법의 유입으로 인해 새로운 면모를 창출해낸 사실묘사력의 발전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분석하여 조선풍의 독창성을 이끌어내는 능력을 가늠해볼 수 있을 것이다. 이는 조선후기 화단에 찬란한 업적을 이룬 진경산수나 풍속화, 산수화를 비롯하여 또 하나의 새로운 시대적 미의식을 대표하는 것으로 여겨질 수 있다.

      • 사회공헌가 안도 다다오(安藤忠雄)의 공간디자인 특성 연구

        이수정 숙명여자대학교 라이프스타일디자인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1839

        본 논문은 안도 다다오의 사회공헌가적 측면과 더불어 그가 설계한 공간디자인의 특성을 밝히고자하는 연구이다. 안도 다다오의 사고가 인간과 공간, 그리고 자연을 중심으로 이루어진다는 이해를 기본으로 두고, 사회공헌가로서 그의 활동과 공간디자인의 세부적인 특성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실제 사례의 해석은 공간의 일반적인 특성과 시퀀스 맵, 그리고 안도 다다오가 지닌 사고의 특성에서 나타난 쌍의 관계성에 대한 분류가 그 토대이다. 이에 본 논문은 「사회공헌가 안도 다다오의 공간디자인 특성 연구」 로 제목하고 제 1장 서론, 제 2,3장의 본론, 제 4장의 결론으로 구성하였다. <제 1장>에서는 본 연구의 배경과 목적, 범위와 방법에 관하여 논하였다. <제 2장>에서는 본 연구의 기초가 되는 인간과 공간, 그리고 자연을 대하는 안도 다다오의 사고에 대한 고찰과 그로 인한 상호 관계적 표현 양상에 대해 정리하였다. 그리고 그의 사고 특성이 반영되어 있는 사회공헌가로서의 면모에 대해서도 고찰하였다. 이러한 과정은 사회 공헌가로서의 안도 다다오를 새롭게 조명하는 시발점이 되기 때문이다. <제 3장>은 2장에서 고찰한 내용을 토대로한 사례조사 및 분석을 그 내용으로 한다. UIA(Union International des Architectes) 2011 TOKYO에서 선정한 안도 다다오의 9개 공간을 직접 조사하여 공간의 개요와 형태적 특성, 재료적 특성, 자연의 도입, 중심 공간이 나타난 일반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그리고 공간을 경험하는 인간의 동선 변화 과정을 시퀀스맵을 통해 해석하였다. 또한 제 2장에서 논한 쌍의 관계성에 대한 분류를 통해 그것의 특성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소결에서는 각 사례 해석을 종합적으로 정리하였다. <제 4장>에서는 전장에서의 연구결과를 종합적으로 정리하고 사회공헌가로서의 안도 다다오와 그의 공간디자인 특성과 의의를 결론으로 맺음한다. This thesis is a study for discovering Tadao Ando as a social contributor and identifying the characteristics of his space design. Tadao Ando's way of thinking is based on the harmony among human, space and nature. With this understanding, Tadao Ando's activities as a social contributor and his detail characteristics will be discovered in this research. This is done through case study about space experiences Tadao Ando designed. Practical case interpretations rely on the categorization of relationships between general characteristics, sequence map, and characteristics of his thinking. For this interpretation focus, I titled this thesis "A study on space characteristics of Tadao Ando as a social contributor". Chapter 1 is introduction. Chapter 2 and 3 are body. Chapter 4 is conclusion. In chapter 1, the background, purpose, and methods of research are discussed. In chapter 2, I summarized the fundamentals of this research such as contemplation about his way of thinking on human, space and nature as well as correlation in expressing them as a result. I review his aspect of a social contributor which reflects his unique characteristics of thinking. At the end of chapter 2, Tadao Ando's idea and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will be summerized comprehensively. In chapter 3, case studies are done with the content of chapter 2. The method of case study is to visit and survey 9 spaces that are selected by UIA(union international des architectes) 2011 Tokyo. space overview, formal characterics, introduction of nature and general characterics of space core are surveyed and after, the flow of human movement is analyzed through sequence map. In addition, characteristics of correlations mentioned in chapter 2 is derived through correlational classification At the end of chapter 3, each case is summerized comprehensively. In chapter 4, with overall conclusion, characterics and meanings from conclusion are identified.

      • 한국 성인학습자의 영작문과 원어민의 영작문에 나타난 Make 사용에 대한 비교연구 : Corpus-based Analysis

        이수정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1839

        본 연구는 한국 성인 영어학습자와 영어 원어민이 쓴 논쟁적인 영어 에세이로 구성된 두 개의 코퍼스를 조사해 봄으로써 두 코퍼스에 나타난 다빈도 동사 make의 사용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세 가지 연구문제를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첫째, 한국 성인 영어학습자들과 영어 원어민은 논쟁적인 영어 에세이를 쓸 때 얼마나 자주 make 동사를 사용하는가? 둘째, 한국 성인 영어학습자와 영어 원어민이 동사 make가 가지는 다양한 의미들을 어떻게 서로 다르게 사용하는가? 셋째, 한국 성인 영어학습자들이 make 동사를 사용할 때 자주 범하는 오류는 무엇이 있는가? 본 연구를 위해 영어 원어민 에세이의 루베인 코퍼스에서 축출한 미국인 논쟁적 에세이와 한국 성인 영어학습자의 토플 에세이 영작문 샘플을 사용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AntConc 3.2.4w.를 사용하여 make 동사 하위 의미들이 각 의미별로 얼마나 자주 사용되는 지를 살펴보고자 빈도수 조사 중심의 양적 연구 방법론을 채택하였다. 이 양적 연구 방법을 보완하는 질적 연구 방법으로 각각의 코퍼스에 나타난 make 사용의 예시 하나하나를 살펴봄으로써 두 코퍼스 간에 make 동사의 하위의미별 사용의 차이가 도출되었다. 두 코퍼스에서 make 동사 사용의 빈도수를 조사하고, make 동사의 하위 의미들 중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몇 가지 의미의 사용 패턴을 찾아보았다. 아울러, 두 코퍼스 간에 차이는 카이스퀘어 검증을 통하여 유의미한 차이 여부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한국 영어학습자들은 영어 원어민에 비하여 make 동사를 더 빈번히 사용하였고, 이 동사의 하위 의며별 빈도수 조사를 통해 두 코퍼스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세 가지 하위 의미(productive, causative, delexical)를 찾아볼 수 있었다. 한국 영어학습자가 make 동사를 이 세 가지 의미로 사용할 때 발생하는 오류들을 분석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오류들은 상위 수준의 학습자들조차 make 동사가 가지는 기본적인 의미인 ‘만들다’라는 뜻을 지나치게 일반화 하여 사용함으로써 범하는 것으로 보였다. 둘째, 더욱이 영어원어민에 비하여 한국 영어학습자들은 ‘~을 생산해내다(to produce)’ 의미 범주 안에 있는 세부 의미로 ‘돈을 벌다(to earn money)’라는 뜻으로 사용할 때와 ‘약어휘적(delexical)' 의미로 사용할 때 동사의 목적어로 다양항 명사를 사용하지 못한다는 차이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셋째, 특히나 make 동사가 사역동사(causative verb) 의미를 지닐 때 make 동사를 더 오용하는 경향을 보였고, 이는 한국 상황에서의 영어 학습과 관련된 영어교육학적인 이유와 모국어와 관련된 것으로 추측한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make 동사를 가르칠 때 혹은 이 동사가 지니는 다양한 의미별 사용에 대하여 가르칠 때 코퍼스 활용과 관련하여 이것이 지닌 교육학적 영향력의 중요성을 지적하고자 한다. 또한, 한국 영어학습자들이 영어 원어민간 실제 상호작용의 결과물로서 코퍼스에 근거한 유의미한 사실자료들을 학습에 활용할 수 있도록 이끌어져야 한다. 코퍼스에 축출된 유의미한 사실자료들은 정확하고 자연스럽게 일어나고 있는 실제 상호작용의 일부이기 때문이다. 더 나아가 명시적인 원어민 코퍼스 활용지도 방법이 장려되어야 한다. 학습자들이 직접 코퍼스나 콘코던스 프로그램들을 이용할 줄 알게 되면 이를 통하여 코퍼스의 교육학적 혜택을 받게 될 것이다. The present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use of the high frequency verb make in the argumentative essays of English native speakers and Korean adult EFL learners through a corpus-based analysis. This study is guided by three important research questions: firstly, how frequently do English native speakers and Korean EFL adult learners use the verb make?; Secondly, how the categories of meaning differ between Korean adult EFL learners and English native speakers?; And finally, what are the dominant errors made by Korean adult EFL learners when using the verb make? The data used in this study is comprised of American argumentative essays from the Louvain Corpus of Native English Essays (LOCNESS) and samples of Korean adult EFL learners’ TOEFL essay writings. The study adopts a frequency-driven quantitative approach in order to identify frequently used meaning categories of make with the aid of the computer software program AntConc 3.2.4w. The quantitative approach is also supported by further qualitative analysis of the instances of make as presented in each corpus, in which the differences will be delineated with reference to the various categories of meaning of the verb. The first step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frequency of make and patterns of use in the most frequently used categories in the two corpora. These results are then analyzed using statistical procedures and the chi-square test to determine any significant differences. The resultant findings show that Korean EFL learners overuse make compared with their native speaker counterparts. In addition,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top three most frequently intended meanings of make shared by both native and non-native speakers, have been established. The top three meanings are productive, causative, and delexical uses. Following this, a thorough examination of the errors made in these three categories is conducted. The results show that Korean EFL learners, even at an advanced proficiency level, produce many errors as they might overgeneralize the most basic meaning of make, which is to produce or create. The reason for this is that Korean EFL learners may be influenced by the Korean verb, ‘mandeulda’ (to make or to produce something). Moreover, they tend to use a limited range of noun complements when the meaning intended is, ‘to earn money’ in the productive category and ‘delexical’. Furthermore, make is misused more often in the causative category than in any of the other categories of meaning. Thus, the findings seem to be pedagogically relevant in a Korean EFL context and also related to L1. The research findings offer important pedagogical implications regarding the implementation of corpora as an aid in the teaching of the verb make and its uses. Moreover, Korean EFL students need to be encouraged to utilize corpus-based evidence that has been derived from native speaker productions which they in turn serve as authentic and meaningful input. Further explicit native corpus-based instruction would also enable learners to benefit from the use of corpora and concordance tools.

      • 내러티브를 활용한 법교육 교재의 구성과 효과 연구

        이수정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1839

        학생들이 법교육을 통하여 기본적인 법 지식을 습득하고 법적 쟁점에 대한 합리적 판단력을 함양하기 위해서는 그에 부합하도록 법교육 교재를 구성하는 일이 중요하다. 특히 학습 내용의 표상과 구성에 있어 학생들의 경험과 이해 수준에 각별한 관심을 두어야 한다. 이러한 요청에 부응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최근 내러티브 접근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하지만 법교육 교재 개발과 관련한 내러티브 연구들은 아직 초기 수준을 벗어나고 있지 못하다. 법교육 교재로서 내러티브의 가능성에 대한 분석적 논의나 내러티브를 활용한 법교육 교재의 구성 원리를 도출하기 위한 논의가 미흡하다. 이러한 대안적 교재가 갖는 교육적 의미와 효과를 검증한 연구 역시 거의 발견되고 있지 않다. 본 연구는 현행의 법교육이 갖는 문제, 특히 교실 수업의 맥락에서 드러나는 문제들을 극복하기 위한 하나의 방안으로 내러티브를 활용한 법교육 교재를 구성하고 그 효과를 알아보는데 기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내러티브 접근이 법교육의 교수-학습 및 교재에 주는 의미를 상황․맥락적 측면, 갈등 구조적 측면, 경험과 가치 교류의 측면에서 검토하였다. 더불어 내러티브 법교육 교재의 개발 방향과 내용을 선정하고, 교재 구성을 위한 원리들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한 내러티브 기반 법교육 교재의 구성 원리는 크게 세 가지였다. 첫째, 맥락화의 원리이다. 법교육의 내용을 이루는 법적 쟁점과 법 지식은 그 본질 상 우리 삶의 구체적 상황과 맥락에서 생성되고 정립된 것이다. 따라서 법 지식이나 법적 쟁점을 구체적인 상황이나 맥락과 접목하여 표상하는 것은 법교육 내용의 본질에 보다 부합하는 일이 된다. 또한 삶의 맥락을 반영할 때 법교육 교재의 내용에 대한 학생들의 감정이입과 몰입이 촉진되고 심도 있는 이해 속에서 법 지식을 오랫동안 기억할 수 있게 된다는 점에서 맥락화의 원리가 설정되었다. 둘째, 인지 불균형화의 원리이다. 구성주의적 관점에 의하면 학습은 인지적 불균형이 발생했을 때 촉발된다. 인지적 평형을 이루려는 인간 사고 과정의 특성 때문이다. 인지적 불균형은 다양한 조건 속에서 이루어지지만, 이와 관련해 내러티브는 독특한 강점을 지닌다. 대립되는 가치를 담고 있는 내러티브를 대조시키거나 갈등 구조를 내포한 내러티브를 제공하는 것은 인지적 불균형을 유발하는데 효과적이며 학생들의 학습 흥미 및 주의력 유지를 도모하는 데에도 기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점에 근거를 두어 내러티브 법교육 교재의 또 하나의 원리로 인지 불균형화를 도출하였다. 셋째, 질문의 원리이다. 자칫 내러티브는 학습 흥미만을 높이거나 텍스트를 읽는 수준에서 멈출 수 있다. 법교육 내러티브를 통하여 법과 관련된 지식과 쟁점을 이해하고 그 과정에서 사고를 확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질문이라는 장치가 중요하다. 맥락화된 지식을 습득하고 연속된 사고의 활성화를 위한 안내의 기제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질문은 이해의 층위에 따라 사실적, 추론적, 비판적 이해를 돕는 질문으로 구성하였다. 이와 같은 교재 구성 원리에 따라 일련의 구체적인 수업자료를 개발한 후, 실제 수업 과정을 통해 대안 교재의 효과를 타진해 보았다. 효과 검토를 위한 수업은 경기도 소재 H중학교 1학년 4개 학급 151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사전 검사를 통해 동질성이 확인된 4개 학급을 무선으로 나누어 내러티브 교재 반과 기존 교과서 반으로 2개씩 구성하였다. 수업은 8차시에 걸쳐 이루어졌으며, 연구자와 동료교사가 내러티브 반과 기존 교과서 반을 각각 한 반씩 맡아 진행함으로써 교사 변인에 의한 차이와 연구자의 편견을 최소화 하도록 하였다. 수업이 진행된 이후 효과 검토는 크게 두 가지 측면에서 이루어졌다. 그 하나는 내러티브 법교육 교재가 학생들의 법적 지식 습득과 파지 및 법적 쟁점 이해 능력 향상에 효과가 있는지를 확인하는 것이었다. 다른 하나는 내러티브 법교육 교재를 통한 수업이 그들의 배움과 관련하여 어떤 의미를 갖는지를 참여 학생들을 대상으로 심층 면접을 통해 알아보는 것이었다. 연구 결과 밝혀진 내러티브 법교육 교재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집단인 내러티브 반의 법적 지식 습득 점수는 비교집단인 기존 교과서 반의 법적 지식 습득 점수보다 통계적으로 p<0.05 수준에서 유의하게 높았다(t=1.92, df=149, p=0.0283). 둘째, 내러티브 반의 1차 파지 검사 점수는 기존 교과서 반의 파지 점수보다 통계적으로 p<0.05 수준에서 유의하게 높았으며(t=1.77, df=149, p=0.0390), 내러티브 반의 2차 파지 검사 점수 역시 기존 교과서 반의 파지 점수보다 통계적으로 p<0.001 수준에서 유의하게 높았다(t=3.17, df=149, p=0.0009). 셋째, 법적 쟁점 이해 능력에 대한 검사 결과 사실적 이해 점수에서는 두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드러나지 않았지만, 추론적 이해의 경우 내러티브 반의 점수가 기존 교과서 반 보다 통계적으로 p<0.05 수준에서 유의하게 높았고(t=1.92, df=149, p=0.03), 비판적 이해 점수 또한 p<0.01 수준에서 유의하게 높았다(t=3.03, df=149, p=0.0014). 넷째, 심층 면접 결과 학생들은 내러티브 교재가 법교육 내용에 대한 이해와 공감의 폭을 넓히고, 법적 쟁점에 대해 자신의 판단을 세울 수 있는 기회를 부여해 줌과 동시에 법적 쟁점을 둘러싸고 동료들과 의견을 교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준다고 평가하였다. 이러한 과정은 학습 내용의 유의미성을 높이고 파지를 돕는다고 말하기도 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되어 실천된 내러티브 교재는 실험적 성격을 지니며, 아직 여러 한계를 지닌 것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의미와 효과에 대한 검토 과정에서 교육적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향후 계속된 관련 연구들을 통해 대안 법교육 교재로서 내러티브 교재의 개발과 실천이 활성화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