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진도 민요의 문화적 특질과 위상

        이옥희 한국민요학회 2008 한국민요학 Vol.22 No.-

        Cultural traditions is not formed within a short time, but formed for a long time by creating and preserving culture. Jindo has secured tradition as Yulhyang, that is, the hometown of melody and rhythm for a long time, and Jindo folk song is based on the tradition of Yulhyang, which are distinctive cultural characteristics from other regions. Although it is true that Folksong is a kind of art containing locality, it is difficult to find out unique aesthetic characteristics distinct from other regions. Nevertheless, a distinctive element can be found when considering the entire Jindo Folksongs, whose aesthetic characteristic is ‘amusement’. In addition, the unique characteristic of Jindo people is extraordinary affection for songs. They love songs, so they voluntarily invite a teacher to learn songs and the teacher teaches songs for free of charge. Both the teacher and the learners do this because they are pleasant. The characteristics of Jindo people who have overcome sorrow and hardship of life with amusement and songs accord with ‘Wiping away Tears with a Laugh’ proposed as the characteristic of the Korean culture by Kim Dae-haeng. ‘Wiping away Tears with a Laugh’ is meaningful in a sense that sadness is blocked and further transformed into a new situation through causing a laugh in a sad situation by intentional linguistic efforts. Lastly, another characteristic of Jindo Folksong is that it is transmitted as a living reality culture in the lives of the local people, not as a remaining culture. This is because Jindo people recreated Jindo Folksong according to changes in reality. In order for Jindo to function as the ethos of the region, it should be firmly secure the status as an owner of Folksong by enriching own life more valuably through Folksong like a traditional way, not being led by cultural properties or sticking to a power struggle focusing on cultural properties.

      • 물대기와 관련한 전통적 농업기술과 농경문화의 양상-무등산 일원을 중심으로-

        이옥희 국립무형유산원 2018 무형유산 Vol.- No.4

        In the article, we looked at the system of using water of people who live on Mudeungsan Mountain. This lead to identify an environmentally adaptive system of using water, an ecological perception ofwater, and a non-identical order of the community using water. Traditionally, farmers at Mudeungsan Mountain used water from a valley to lead it to the irrigationditch. The first part of the irrigation ditch is the Simmujigi Waterfall and the Madang Rock Waterfall,which are located about 700 meters above sea level, halfway up the Mudeungsan Mountain. Througha massive collaborative effort, the irrigation ditch, a farming channel, was created, allowing water toflow into Daranginon which is at about 300 to 400 meters above sea level. The people at Mudeungsan Mountain wanted nature and humans to coexist in harmony withoutconflict, while using the water from the valley at Mudeungsan Mountain for farming. There are manyoral heritages concerning Simmujigi Waterfall, Yongso and Yongdang Cave. These oral heritagesreflect the perception that one cannot freely destroy nature for the convenience and profit of humanbeings. Through the recognition of points that are out of the human domain, we can see that thepeople at Mudeungsan Mountain had an ecological perception to be compatible with nature. Farmers have established an autonomous rule for the construction and operation of the irrigationditch within the limits of their rural order. And they managed and operated it depending on this rule. In order to make and manage the irrigation ditch, a united effort by the community was needed. This community is different from the order of the ordinary communities. It is an equal and flexiblecommunity. Even if it is a homogeneous village, it cannot claim the degree of kinship and socialauthority when it comes to irrigation. If we apply the normal order, people with low degrees ofkinship or low power cannot irrigate properly so they can spoil farming. It seeks to share the system of using water which is compatible with the natural environment andidentified by the traditional irrigation, ecological perception of water, and consciousness toward anequal community with the public. 이 글에서는 무등산 일원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의 수리체계(水利體系)를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환경적응적인 수리체계와 물에 대한 생태적 인식, 수리공동체의 비일상적인 질서를 확인할 수 있었다. 전통적으로 무등산 일원에서 농사를 짓는 사람들은 계곡물을 봇도랑으로 끌어내 농업용수로 이용했다. 봇도랑의 수원(水源)이 되는 장소는 무등산(해발 1187m)의 중턱(해발 700m)에 있는 시무지기폭포와 마당바위폭포이다. 주민들은 대규모 협동노동을 통해 농수로인 봇도랑을 만들어 해발 300~400m에 위치한 다랑이논에 물을 대 벼농사를 지었다. 무등산 일원 사람들은 무등산의 계곡물을 농사에 이용하면서도 자연과 인간이 갈등하지 않고 조화롭게공존하기를 바랐다. 시무지기폭포, 용소, 용당굴과 관련된 여러 구비전승에는 인간의 편리함과 이익을 위해자연을 함부로 훼손할 수 없다는 인식이 투영되어 있다. 또한 인간의 영역을 벗어난 지점에 대한 인정을 통해 자연과 조화를 이루려는 생태적 인식을 갖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농민들은 촌락 질서에 방해가 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보의 축조와 운영에 관한 자율적 규약을 만들고 이에 따라서 보를 관리하고 운영해 왔다. 봇도랑을 만들고 관리하기 위해서는 공동체의 단합된 힘이 필요했다. 수리(水利) 공동체는 일상적인 공동체의 사회적 질서를 벗어나 탄력적으로 운영되었다. 예를 들어 동성으로이루어진 자작일촌(自作一村)이라고 하더라도 물대기에 있어서는 촌수 또는 문중에서의 위계를 주장할 수없으며, 또한 사회적 신분의 높고 낮음을 적용할 수 없다. 일상적인 질서를 적용하면 촌수가 낮거나 권세나힘이 약한 사람들은 물을 제대로 대지 못해 농사를 망칠 수 있기 때문이다. 전통적인 물대기에서 확인되는 자연 환경과 조화를 이루는 수리체계, 물에 대한 생태적 인식, 평등한 공동체를 지향하는 의식을 현대를 살아가는 시민들과 공유할 수 있는 방안들이 모색되어야 한다.

      • KCI등재후보

        ‘그리스도로 옷 입음’의 아담 기독론적 이해 : 갈라디아서 3:27-28절을 중심으로

        이옥희 순천대학교 인문학술원 2022 인문학술 Vol.9 No.-

        This study began with the question of what kind of clothes believers in God should be wearing according to Paul’s advic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eal the Adamic Christological perspective on the topic ‘Clothed with Christ’ of the saints who experienced regeneration. The theoretical study gave the following insights. The symbol of being clothed with Christ means that the saints, who have become one with Christ through faith and by baptism, are united in Christ’s death and resurrection, cast off the body of sin, death, and are transformed into new beings. It also means that humankind, who lost the garment of God’s glory and was naked as a result of the sinful Adam, became a human being who regained God’s image by belonging to the new Adam, Christ, and clothed with Christ. Due to the difference in the ontological values and actions of Adam and the new Adam Jesus, the impact on mankind has created a larger gap. Therefore, those who are clothed with Christ must replace the nature of Adam with the nature of the new Adam, move from the realm of Adam, where sin reigns as the power of death, to the realm of Jesus, where righteousness reigns as eternal life, and experience freedom, and through the work of the indwelling Holy Spirit, a new life (that transforms into the image of Jesus which is the new character) is required. Paul compared the past and present lives of the saints and their result of life based on the Adamic Christology through three couples: the old man and the new man, the old master and the new master, and the old husband and the new husband. 의복은 시대를 반영하기 때문에 어떤 개인이나 민족 혹은 특정한 문화를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를 제공한다. 성서에도 옷에 관한 기록들을 볼 수있는데, 특히 신약의 서신서에서 바울 사도는 하나님의 백성 된 자들에게‘그리스도로 옷 입으라’고 반복하여 권고하고 있다. 본 연구는 하나님을 믿는 자들이 바울의 권고에 따라 어떤 옷을 입어야 하는가에 대한 질문으로시작하였고, 연구의 목적은 중생을 경험한 성도들의 ‘그리스도로 옷 입음’ 에 대한 아담 기독론적 관점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론적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통찰을 얻게 되었다. 그리스도로 옷 입음의 상징은 세례를 통해 믿음으로 그리스도와 하나된 성도가 그리스도의 죽으심과 부활 안에 연합되며 죄의 몸인 죽음을 벗고 새로운 존재로의 변화됨을 의미한다. 또한 범죄 한 아담에게 속하여 하나님의 영광의 옷을 상실하고 벌거벗은 상태에 있는 인류가 새 아담, 그리스도에 속하여 그리스도로 옷 입음으로 하나님의 형상을 회복한 인류가 되었음을 의미한다. 아담과 새 아담 예수의 존재론적 가치와 행위의 차이로 인하여 인류에게 미친 영향은 더 큰 간극을 만들게 되었다. 따라서 그리스도로 옷 입은 자들은 아담의 본성을 새 아담의 본성으로 교체해야 하며, 죄가 죽음의 권세로 다스리는 아담의 영역에서 의가 영생으로 다스리는 예수의 영역으로 이동하여 자유를 경험해야 하고, 내주하는 성령의 사역을 통하여 새로운 성품인 예수의 형상으로 변화하는 새로운 삶이 요구된다. 바울은 인류가 경험할 수 있는두 가지 운명의 관계적인 변화들 즉, 옛 사람과 새 사람, 옛 주인과 새 주인, 옛 남편과새 남편 등 세 쌍을 통하여 성도들의 과거와 현재의 삶과 그 삶의 결과인 열매들을 아담 기독론을 토대로 비교하였다. 인류가 속한 영역의 특징들은 각 영역의 대표자들인아담과 예수의 행위와 존재론적 가치와 그리고 그들의 행위에 따른 하나님의 심판과구원의 행위들의 차이점들과 관련이 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아담 기독론은 바울이 반복하여 권고한 성도들의 ‘그리스도로 옷 입음’에 대한 상징성을 이해하는데 아담과 새 아담 예수의 대조적인 특징들을 통해서 더 선명하게 부각시켜주는 장점이 있다. 아담에게서 새 아담 예수에게로 소속을 변경하여 새로운 삶을살아야할 하나님의 백성이 소유한 존재론적 가치와 행위, 그리고 자유의지에 따른 두가지 운명의 가능성과 열매들을 대조하고 비교하는데 아담 기독론은 명확한 해석학적틀이 될 수 있다는 견해를 밝힌다.

      • KCI등재

        운동선수들의 열량 소비량 측정방법

        이옥희,홍희옥 한국운동영양학회 2001 Physical Activity and Nutrition (Phys Act Nutr) Vol.5 No.1

        There are increasing needs to determine accurate energy expenditure for nutritional assessment and reasonable energy supply. In athletes, the accurate determination of energy expenditure is needed not only for valid energy supply, but also for improvement of exercise performance and fatigue delay. This study reviewed various energy expenditure measurement methods in literature and analyzed their shortcomings and virtue, to find out reasonable method for measuring energy expenditure in competitive athletes. There are recently much advances in the methods of estimating energy expenditure. The known method for measuring energy expenditure are doubly-labelled water method(DLW), physical activity questionnaire method(PAQ), physical activity level method(PAL), heart rate-monitoring method, and indirect calorimetry method. Among them, the heart rate monitoring is recently known as combinient method for using in field for 24-hr, because it is noninvasive to subjects and non-expensive and easy to perform. This mehtod i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oxygen uptake is proportional to heart rate, so regressional equations between them are used in calculation of energy expenditure. Among various equations, the equations based on heart rate-flex method calibrated individually are acknowledged as the most accurate and convenient in measuring the energy expenditure. The equations from heart rate-flex method calibrated individually was validated in many studies with gold standard techniques of DLW and indirect calorimetry. These comparisons suggest that the heart rate-flex method is a useful method for assessing energy expenditure for competitive athletes and provides an accuracy.

      • KCI등재

        교육과정심의회의 기능 및 역할 재정립을 위한 일고찰

        이옥희,정혜진,박상철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0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9 No.3

        이 연구에서는 지금까지 교육과정심의회와 관련하여 제기된 문제 및 쟁점들을 법적 근거의 문제, 지위와 위상의 문제, 역할 문제, 위원 구성의 문제, 위원의 임기 문제 등 다섯 가지로 범주화하여 고찰하고, 교육과정심의회 기능 및 역할 재정립의 기본 방향을 설정한 후 그 구체적인 재정립 방안을 개략적으로 제시해 보았다. 교육과정심의회는 민주성(교육과정심의회의 조직과 운영은 민주적이어야 한다), 정치적 중립성(교육과정심의회를 포함하여 교육과정 개정 기관 및 기구는 정치적 중립성을 확보할 수 있어야 한다), 다양성(교육과정 개정 과정 전반에 걸쳐 다양성이 확보되어야 한다), 합리성(교육과정 개정 과정은 합리적이어야 한다), 투명성(교육과정 개정 과정은 투명하게 공개되어야 한다)이라는 원칙이 준수되는 방향으로 그 기능과 역할을 재정립하여야 한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방안으로서, 첫째, 교육과정심의회를 교육과학기술부 산하 특별 독립기구로 승격 개편하고, 그 명칭 또한 오해의 여지를 없애기 위해 ‘국가교육과정위원회’(가칭)로 바꿀 필요가 있다. 둘째, ‘국가교육과정위원회’를 국가 교육과정 최고 위원회로 그 위상을 정립하고, 교육과학기술부 장관을 당연직 위원으로 참여시키며, 각계각층의 인사를 참여시킬 필요가 있다. 셋째, ‘국가교육과정위원회’ 운영을 지원하기 위해 교육과학기술부 산하에 사무조직을 두어 운영할 필요가 있다. 넷째, ‘국가교육과정위원회’의 법적 위상 정립을 위해 초·중등교육법 제23조의 개정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examines the problems and controversy regarding the Curriculum Review Committee (CRC) categorizing them into five issues of the legal ground, rank and status, roles, composition, and the terms of the CRC. After determining fundamental principles to guide the reestablishment of the functions and roles of the CRC, this study also suggests more specific plans to do so in a broad perspective. The CRC should reestablish its functions and roles complying the five principles of democracy(the CRC s organization and operation should be democratic), political neutrality (the curriculum revision departments or institutes including the CRC should remain politically neutral), multiplicity (the curriculum revision process should embrace multiplicity), rationality (the curriculum revision process should be rational), and transparency (the curriculum revision process should be open to the public with transparency). More specific plans to do so are as follows: first, the CRC s status should be upgraded to a special independent institute under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and needs to be renamed to the National Curriculum Committee (NCC) to avoid misunderstanding; second, the NCC s status should be established as the number one national curriculum committee by including the Minister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as its mandatory member and broadening its membership to all the spectrum of social status; third, there should be an administrative body under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to support the operation of the NCC; and forth,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Law, Article 23 should be revised in order to establish the legal status of the NCC. Key Words : curriculum review committee, status of and issues on curriculum review committee, reestablishment of the functions and roles of curriculum review committee

      • KCI등재
      • KCI등재

        베틀노래 전승의 통시적 고찰

        이옥희 한국민요학회 2014 한국민요학 Vol.41 No.-

        Loom song is a representative woman folk song. Change of loom song according to change of era is an index to make changes of folk song be known and a valuable material to explore life of the people. When reviewing remaining loom song in diachronic way, it is divided to loom song as work song, loom song as song for play, loom song as popular folk song, and loom song as local cultural resources. Loom song called work song is literary reflection of reality experience. Appearances that can be experienced in the life of women became image by sensitively catching shape of each part in loom, movements of loom during operation, its sound etc. Loom song as song for play is identified in Korean circle dance. Words and rhythm of loom song got to have tendency of entertainment as this changed from work song that one sings alone in sitting posture to song for play that several people sing running and dancing. After Japanese ruling period, a group to enjoy Korean traditional culture performed local folk song as folk cultural activity and was free from culture where a group itself enjoys. A singer group sang as folk cultural activity. The public enjoyed or they themselves performed popular folk song. Thus, culture of the public progressed actively. Loom song as local cultural resources is identified in loom song performed in regional festival and national folk arts competition. Reorganized loom play emphasized performance so that this becomes a performance displayed on stage. This has value as historical material and functions as local cultural resources, and is making new meaning in the modern society. 베틀노래는 대표적인 여성민요이다. 시대의 변화에 따른 베틀노래의 변모는 민요의 변화상을 살필 수 있는 지표이자 민중생활사를 규명할 수 있는 귀중한 자료이다. 베틀노래의 전승양상을 살펴보면 일노래로서의 베틀노래, 놀이노래로서의 베틀노래, 통속민요로서의 베틀노래, 향토문화자원으로서의 베틀노래로 정리된다. 일노래로 불린 베틀노래는 현실체험의 문학적 반영이라고 할 수 있다. 베틀 각 부분의 형태와 베를 짤 때 움직이는 모습, 베를 짤 때 나는 소리 등을 민감하게 포착하여 여성들의 삶에서 경험할 수 있는 모습으로 형상화해낸 것이다. 놀이노래로서의 베틀노래는 강강술래에서 확인된다. 베틀노래의 가사와 음곡은 앉아서 혼자 부르는 일노래에서, 뛰고 춤추며 여럿이 부르는 놀이노래로 바뀌면서 예능화의 경향을 띠게 된다. 베틀노래의 예능화는 일제강점기 이후에 통속민요 혹은 대중가요로 각색된 것에서도 찾을 수 있다. 일제강점기 이후에는 민속문화를 향유하는 집단이 민속문화행위로 향토민요를 연행하고 집단 스스로 향수하는 문화에서 벗어난다. 소리꾼집단이 가창연행 행위로 통속민요를 부르고 대중집단이 향수하거나 민중들 스스로 통속민요를 즐기는 대중문화가 활발하게 전개되었다. 향토문화자원으로서의 베틀노래는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 출전 및 지역축제에서 공연되는 베틀놀이에서 확인된다. 재구성된 베틀놀이는 공연을 염두에 둔 연행물로서 만들어진 민속이라고 할 수 있다. 민속의 변질 혹은 박제화의 우려도 있지만 현대와 과거를 조우하게 하는 향토문화자원이자 민중생활사를 규명할 수 있는 사료로서의 가치를 지니며 현대사회에서 새로운 의미를 만들어가고 있다.

      • KCI등재

        <七大萬法>에 실현된 16세기 후기 동남방언의 표기 및 음운적 특징

        이옥희 우리말학회 2011 우리말연구 Vol.29 No.-

        <七大萬法>은 16세기 후기 동남방언의 방언적 요소와 음운적 특 징을 반영하는 문헌이다. 16세기 후기 국어는 음운사적으로 볼 때, 후기 중세국어에서 근대국어로 넘어가는 과도기적 성격을 지닌 시기로서 국어 의 통시적 음변화를 고찰하는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이러한 사실을 확인하는데 <七大萬法>의 효용 가치가 있다 할 것이다. 이 글에서는 <七大萬法>을 고찰하여 16세기 후기 동남방언의 음운론적 특징을 공시적인 비교와 통시적인 변화의 모습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우선, 공시적으로는 중앙어와의 비교에서 16세기 후기 동남방언의 특 징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시기의 중앙어에서는 ㅸ의 변화형이 w로 나타 나는데 반해 동남방언에서는 ㅸ가 w로 변화한 형태들이 발견됨과 동시에 중앙어의 w에 대당하는 반사형이 ㅂ으로 나타나는 語辭가 발견된다. 또 한 중앙어에서 ㅿ>o로의 변화형이 동남방언에서는 ㅿ>ㅅ 으로 나타나는 데 이는 이 방언의 특징이라 할 수 있다. 한편, 통시적으로는 16세기 후기 국어는 후기 중세국어에 속하지만 근대국어의 요소가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근대국어의 표기법으로 자리 잡은 분철이 이미 16세기 후기 문헌인 <七大萬法>에서 나타나고 있다. 그 밖에 ·의 동요, 어말에서 ㄷ와 ㅅ의 혼기, ㄱ탈락의 혼란, 유기음화의 부분적 실현 등의 특징을 발견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