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冠巖 洪敬謨의 中國文人과의 交遊와 그 樣相 : 2차 연행을 중심으로

        이군선 慶北大學校 退溪硏究所 2003 退溪學과 韓國文化 Vol.- No.33

        본고는 관암 홍경모가 2차 연행에서 중국인사들과 교유한 내용을 중심으로 교유의 실상을 살펴보고 연행의 성과에 대하여 검토해 보았다. 조선 후기의 중국문인과의 교유가 조선 측에서 일방적으로 갈구한 듯이 보이지만 연행의 자료들을 꼼꼼히 검토할 때 중국측에도 조선인사와 교류에 심혈을 기울였던 인물이 있음을 알 수 있다. 홍경모는 1차 연행에서 기수유, 진등지, 육경이와 교유하고 2차 연행에서 솔방울, 탁병념, 탁병음, 진근광, 섭지선 등과 교유를 한다. 이들은 주로 시문과 예물을 주고받으며 교유관계를 이어 나가는데 그 중에서도 1차 연행에서 만난 기수유가 가장 오래 교유관계를 이어나가게 된다. 이는 1차 연행에서 맺은 인연이라는 이유도 있겠지만 그 배후에 이계와 기효람에서 이어지는 삼대신교가 자리잡고 있기 때문이다. 홍경모는 이들과 교유한 내용을 모두 기록으로 남기고 있다. 『외사후편』과 『외사속편』에 오고 간 편지가 기록되어 있는데 이는 기록을 중시하는 관암의 사고가 반영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홍경모가 중국인사와의 교유에 열정을 기울인 이유는 첫째, 조부인 이계의 조술을 그 이유로 들 수 있다. 이계는 관암에게 있어 매우 큰 영향을 주고 있으며 관암의 삶이 이계의 조술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만큼 이계의 뒤를 잇는 것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다. 둘째, 이계와 자신의 가문을 중국 문단에 알리기 위함이다. 관암은 만나는 인물들에게 이계와 기효람의 관계를 말하고 이계집을 건네주는 데에서 이러한 것을 알 수 있다. 아울러 숙부인 홍희준의 문집도 함께 중국 문단에 소개하고 있다. 셋째, 자신을 중국 문단에 알리려는 의도에서이다. 이는 자신의 시문집을 중국에서 만난 인물들에게 주며 서문을 받기 위해 노력하는 모습에서 알 수 있다. 중국 인사들의 서문은 조선에 소개되어 자랑거리가 되었던 듯하다. 이러한 이유로 인하여 조선 인사들은 중국 문인들에게 자신의 문집 서문을 받기 위하여 노력한 것으로 보인다. This thesis investigated the reality of companionship centering the details that Kwan-am Hong Gyung-mo kept company with Chinese personages in second trip to Beijing and examinated the results of second trip to Beijing. At a glance, companionship with Chinese literary men of the later of Chosun seems to be demanded by side of Chosun, one-sidedly. But As a result of careful examination of the materials about his second trip to Beijing, we can find that there were some chinese persons who devoted themselves to keep company with Chosun's personages too. Hong Gyung-mo associated with Gi Soo-you, Jin Deng-ji and Yuk Gyung-yi in his first trip to Beijing and associated with Sol Bang-ul, Tak Byung-neam, Tak byung-um, Jin Gen-gwang and Sup Ji-sun in his second trip to Beijing. They usually kept a relation of companionship exchanging a poetry, prose and present. Especially, He kipt the longest relation of companionship with Gi Soo-you who had met in his first trip to Beijing. Because that was not only the ties formed in his first trip to Beijing but also the companionship of three generations linked from Yigye and Gi Hyo-ram at the back of it. Hong Gyung-mo recorded every things which he associated with. In 「Ue-Sa-hu-Pyun」 and 「Ue-Sa-Sok-Pyun」, the letters which he sent and received were recorded.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thinking of Kwan-am regarding records as important was reflected. The first reason that Hong Gyung-mo devoted himself into the companionship with chinese personages was the preachment on classics of grandfather Yigye. Yigye affected Kwan-am deeply and Kwan-am regarded the succession to him as important, as much as no exaggeration to say that the life of Kwan-am was the preachment of Yigye itself. The second reason was in order to inform Yigye and his family to chinese literary world. We can be known from his telling the relation between Yigye and Gi hyo-ram to people he met and giving the collection of Yigye. Besides, He introduced the collection of his uncle Hong Hee-jun to chinese literary world. The third reason was in order to inform himself to chinese literary world. we can recognize it from his efforts to give his own collections of poetry and prose to people he met and to take a preface from them. The preface of chinese personages seemed to be prided by being introduced to Chosun. That was why Chosun's personages tried to receive the prefaces of their prose collections from chinese literary men.

      • 傳記資料에 나타난 書名을 중심으로 본 퇴계 학맥의 전개

        이군선 慶北大學校 退溪硏究所 2004 退溪學과 韓國文化 Vol.- No.34

        본고는 퇴계 문인들의 전기자료에 나오는 서명을 중심으로 퇴계 학맥 전개의 한 단면을 살펴본 것이다. 퇴계 문인의 전기자료를 살펴보면 퇴계가 문인들을 가르칠 적에 사용한 교재는 주로 『심경』『근사록』『주자서절요』등의 책이었으며, 퇴계의 문인들이 학문의 요체로 생각했던 책들 역시 마찬가지이다. 본고에서 논의한 내용은 첫째, 퇴계가 문인들에게 교학하며 가장 중요시한 서적이 『심경』과『근사록』이라는 것이다. 『심경』과『근사록』을 공부하는 것이 당시 학문적 성향이기는 하지만 여타의 문하에서는 퇴계 일문에서처럼 집중적인 강의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는 퇴계의 학문성향이 心學(理學)을 위주로 하고 있음을 반영하는 것으로 보인다. 둘째, 퇴계의 문인들이 중시한 서명 역시 『심경』이 주를 이루고 있다는 것이다. 또한 『근사록』과 『주자서절요』역시 많은 문인들이 애독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특히 『주자서절요』는 퇴계에 의해 정리되어 퇴계의 학문체계가 녹아 있는 것으로 퇴계의 문인들은 독실하게 공부하게 되는데 이러한 경향은 퇴계의 학맥이 『심경』과『주자서절요』를 중심으로 心學(理學) 위주로 전개되는 사실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생각된다. 위에서 정리한 퇴계 문인의 전기 자료에 나오는 서명을 토대로 살펴본 퇴계 학맥은 어디까지나 전기자료에 나오는 것을 바탕으로 한 것으로 향후 개별 문집을 통한 정밀한 연구가 요구된다고 하겠다. Through this thesis, a phase of the development of Toegye's scholastic lineage is looked around mainly the titles of books represented on biographic material cf Toegye's disciples Examining biographic material of Toegye's disciples. Toegye used textbooks named 『Simkyung(心經)』『Jujaseojeolyo(朱子書節要』, 『Geunsarok(近思錄)』, etc when taught his disciples, and they regarded the books as the secret of studies, too. The contents of this thesis was argued, above all that Toegye considered 『Simkyung』『Geunsarok』as the most important books while he communicated with his disciples Studying those books was scholastic propensity of those days, but intensive course of lectures as Toegye's family was not accomplished under other instruction. That might show that his scholastic propensity made Simhak(心學)-it is very similar t o psychology- the prime object. Second, the title whose books Toegye's disciples thought to be cardinal was also mainly 『Sixkyung』, Moreover, a lot of disciples were fond of reading 『Geunsarok』. 『Jujaseojeolyo』, as well, 『 Jujaseojeolyo』 was especially organized by Toegye and his disciples learned it enthusiastically because it fused his scholastic system. This propensity was closely connected with the thing which his scholastic lineage was Simhak-centered development like. 『Sixkyung』and『Jujaseojeolyo』. Toegye's scholastic lineage that I previously organized mainly the titles of books stood on just biographic material. Therefore, it needs minute researches through collections of individual works from now on.

      • 관암 홍경모의 평양에 대한 인식 : 고증학적 학문태도와 관련하여 Related to his attitude of study of historical inquiry

        이군선 慶北大學校 退溪硏究所 2004 退溪學과 韓國文化 Vol.- No.35-1

        이 글은 관암 홍경모가 평양에 가서 평양의 승경을 노래하는 한편, 평양의 고대유적에 대하여 의문을 가지고 문헌 고증을 통해 진실을 규명하고자 하는 당시 고증학적 학문 태도의 일 경향을 살펴본 것이다. 관암이 평양의 제일 경관으로 꼽은 것은 연광정이다. 시에서는 평양 승경지의 아름다움을 묘사하며 이 곳의 전설 등을 수용하고 있는 반면, 산문에서는 평양을 조선의 古都와 문명의 고장으로 인식하고 이곳의 유적에 대하여 고증적인 태도로 접근하고 있다. 단군묘와 동명왕묘에 대해서는 이 곳의 전설에 의문을 품고 문헌을 동원하여 고증을 하였다. 기자에 관해서도 우리나라의 문명을 연 인물이라는 점에 있어서는 긍정하고 있지만 정전이 기자의 유적이라는 점에는 의문을 표하며 이를 논리적으로 증명하는 학문 태도를 견지하고 있다. 우리는 이 글을 통하여 당시 고증학이 조선의 학계에 미친 영향을 짐작해 볼 수 있으며, 관암의 문헌을 바탕으로 합리적 인식을 추구하는 문헌 고증학적 태도를 확인해 볼 수 있다. This paper deals with the study of historical inquiry of Gwanam Hong Kyung-mo and takes a glimse of the academic tendency of those days. On the one hand, Gwanam sang the beauty of Pyungyang, on the other he had a doubt on relics in Pyungyang. And through the historical and textual approach he tried to find a truth about them. The most beautiful pavillion for him was the Yungwang Pavillion. In poetry he depicted the beauty of Pyungyang and acknowledged the legends surrounding it. In prose he recognized Pyungyang as a ancient capital city of Chosun but studed these relics by the method of historical inquiry : as for the Tangun Mausoleum and the King Dongmyung Mausoleum, he threw doubt on their legends on the bases of various texts. On Kiza Gwanam admitted him as a founding father who had constructed civilization. But he also had a doubt on the allegedly specific vestige of Kiza's land system, Jingtian.('well field': land in the shape of the character '井') So he proved his doubt om a logical basis. Through Gwanam's argumentation we could estimate that how much the study of historical inquiry influenced on Chosun academy in his days and also make sure of his attitude of study which was pursuing the rational recognition on the basis of tex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