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황의 『가례』 연구와 전승

        이봉규 ( Lee Bong-kyoo ) 퇴계학연구원 2020 退溪學報 Vol.147 No.-

        선초 왕실에서 『가례』를 이용하여 국가 의례를 보완하였던 것과 『가례』와 『소학』에 대한 학습을 소과복시의 자격요건으로 규정한 것은 16세기 이르러 『가례』에 대한 학문적 연구를 심화시키는데 기여하였다. 이황은 『주자서절요』(1561/1567)를 편찬할 때, 예설에 대한 주희의 정론을 채록해놓고, 『가례』의 규정들을 수정하고 보완하는 논거로, 그리고 『가례』와 『국조오례의』, 시제와 속제 사이의 차이를 조정하는 논거로 활용하였다. 그런 점에서 『주자서절요』는 주자학으로 이끄는 공부의 지침으로서뿐 아니라 가례에 대한 주자와 퇴계의 정론으로서도 그 의미를 재평가할 필요가 있다. 이황의 『가례』 연구는 ①이황이 가례와 관련하여 문답한 내용을 집록하는 방식(『퇴계선생상제례답문』), ②이황이 만년에 『가례』를 강의한 내용을 기록한 방식(『가례강록』, 『가례주해』), ③이황이 손수 『가례』에 두주의 형태로 적어두었던 내용을 집록한 방식(『가례석의』) 등으로 전승되었다. 이들을 종합해보면, 이황 당시 16세기에 조선에서 『가례』를 연구할 때, 『성리대전』 본 이후 『가례』에 관한 최신의 주석들 이를테면, 구준의 『가례의절』, 馮善의 『家禮集說』 등과 더불어 필자가 알려지지 않은 『性理群書輯覽補註』 등을 참고하였다. 전승된 기록들 사이에는 서로 보완적인 것과 동시에 차이가 나는 것도 함께 있어, 이황의 예설을 전체적으로 파악하기 위해서는 전승된 기록들을 통합하여 비교해서 재조명하는 것이 필요하다. From the early period Joseon government used Jia Li (家禮) as a basis for royal rites, and made various efforts to spread Jia Li among people such as assigning it as a an examination subject for Sheng Yuan (生員) and Jin Shi (進士). In his study of Jia Li Lee Hwang (李滉) succeeded to the discussions of government. It is also confirmed that he exchanged discussions with Lee Hyun-bo (李賢輔) on family and local community rituals such as the ancestral ritual formalities and the manual of banquet ceremonies. However, most of all, Lee Hwang’s study of Jia Li was further intensified by the process of establishing Zhu Xi (朱熹)’s final opinion on family rituals through detailed reading of his works. In particular, he discovered in Zhu Xi’s letters the reason for revising or supplementing the rules of Jia Li, and compiled the part he considered to be Zhu Xi’s final opinions into Zhu Zi Shu Jie Yao (朱子書節要). In the discussion with friends and students, he presented his position on the rite in accordance with Zhu Xi’s these final opinions. Thus, we know Yi Hwang found out how to solve the problem of differences in rules between the national code, customary practices, ancient three books of the rite and Jia Li, not only through exploring the ancient regulations, but also by reading the writtings of Zhu Xi in detail. In this regard, Zhu Zi Shu Jie Yao is a guide, not only to Zhu Xi’s studies, but also to Zhu Xi’s final opinions on the rite that supplement the regulations of Jia Li. Since the 17th century in Joseon, the regulations of Jia Li was supplemented in succession by the study of the ancient books of the rite and also by investigation of the Zhu Xi’s ideas in detail, that is, by using the method of Lee Hwang.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Lee Hwang’s reading of writings of Zhu Xi in detail was also meaningful in the way of study of the rite in late Joseon. Although Lee Hwang did not leave a separate book on the rite, he left a wealth of related talks through dialogues and lectures. Yi Hwang’s talks on the rite were handed down in two directions in later generations: one is by compiling and re-examining the related explanations scattered in the collection of his works such as Tui Xi Xian Sheng Sang Ji Li Da Wen (退溪先生喪祭禮答問), the other is by collecting explanatory notes on Jia Li. In the former case, there are also talks of Lee Hwang, which are not confirmed at the current collection of his works, which makes it necessary to recollect these data in the future. In the latter case, in addition to Jia Li Jiang Lu (家禮講錄) and Jia Li Zhu Jie (家禮註解) compiled by the students in his later days, there is Jia Li Shi Yi (家禮釋義) in which Son Yeo-je (孫汝齊) reunited the comments that Lee Hwang wrote down in his Jia Li in the 18th century. Comparing the data, Jia Li Shi Yi is the most abundant, but there is a difference in expression between the duplicate contents, so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data of these three books together in order to clarify Lee Hwang’s explanation. The original form of Lee Hwang’s annotations, which were reintroduced in various books since the 17th century, can be found in these three books. Also, there are Lee Hwang’s explanatory notes which were cited in the books of the rite, such as Jia Li Ji Lan (家禮輯覽), but not in these three books, so we need to consider them as well when collecting Lee Hwang’s explanatory notes of Jia Li in the future. In his study of Jia Li, Lee Hwang used not only Zhu Xi’s writings, but also the ancient books of the rite, Chinese and Joseon codes, and the commentaries of the day. Jia Li in Xing Li Qun Shu Ji Lan (性理群書集覽) which Lee Hwang used in the emendation and annotation of Jia Li in Xing Li Da Quan (性理大全) is an edition different from Jia Li in Xing Li Qun Shu Ji Lan included in Si Ku Quan Shu Cun Mu (四庫全書存目). This Jia Li edition contains supplemental notes that are not known to the author, and some of the comments require a separate study because the errors are corrected as compared to the Song dynasty version.

      • KCI등재

        발전사의 시야에서 본 이이(李珥)의 이(理) 개념

        이봉규(LEE Bong-kyoo)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2021 泰東古典硏究 Vol.47 No.-

        정이는 성을 산출자가 아닌 소이(所以)로서 정의하여 이학이 본체론으로 발전하게 추동하였다. 이이는 이(理)가 소이(所以)로서 형이상자이고, 동시에 이통(理通)의 맥락에서 기(氣)의 주재자가 된다는 것을 명확히 밝혔다. 이것은 이정과 주희의 견해를 본체론의 관점에서 더욱 명료하게 밝힌 것이다. 그것은 당시 조선과 중국의 이학사에서 형이상자와 관련해서 전개되었던 견해들에 대한 응답이었다. 화담과 제자들이 태허와 태극에 대하여 만물의 산출자로 의미를 부여하였던 것, 사칠론에서 이를 기와 별개의 소종래로 의미를 부여하였던 것, 그리고 나흠순이 이를 기의 조리(條理)로서만 설정하였던 것 등이 모두 본체론의 관점에서 이를 이해하는 것과 차이가 있음을 발견하고, 형이상 개념의 맥락을 새롭게 해명한 것이었다. 이후 조선 이학사에서 이이의 관점은 산출자가 아닌 본체의 맥락에서 형이상자에 대한 개념을 설명하는 방향으로 이학이 전개되는 기반이 되었다. 그것은 이후 동아시아 학술사에서 이의 본체론적 위상을 약화시켜갔던 방향과는 상반된 것이었다. Cheng Yi defined Taiji, Li or Nature as what makes something such and such, not as the generator of all things, driving Neo-Confucianism to develop into a correlative understanding of the world between root-oneness and function-diversity. Yi Yi made it clear that Li is a metaphysical thing that makes something be such and such, and he also insisted that Li is the root identifier that makes diver things having one identity in the context of oneness which is penetrated through all things. This was a more lucid articulation of Cheng Yi and Zhu Xi s views from a ontological perspective. Yi Yi criticized Seo Gyeong-deok and his disciples for giving Taihe and Taiji a meaning as the generator of all things, Yi Hwang s giving a meaning to Li as a generator in relation to the four buds of Goodness, and Na Hum-soon s establishment of Li only as the inherent principle in the concrete world. However, in East Asian history since the 17th century, Yi Yi’s ontological articulation of Li was contrary to the direction that weakened the ontological status from Li.

      • 『목민심서』에 반영된 예제와 실학의 공공성

        이봉규(Lee, Bong-kyoo) 연세대학교 강진다산실학연구원 2018 다산과현대 Vol.11 No.-

        『주례』를 바탕으로 『목민심서』의 체제와 내용을 구성하였던 것은 다산이 서리와 백성을 다스리는 실질적인 통치요령의 차원을 벗어나 왕정(王政)의 청사진을 수립하여 제시하려는 시대적 문제의식에 입각해 있었기 때문이다. 『목민심서』에서 다산은 제사와 빈객의 접대에 소요되는 재정을 적절한 수준에서 절약하기 위하여 등급에 맞게 규모를 조정하면서도 환대의 뜻을 충분히 담아내는 형태로 의절을 구성하여 제시하였다. 사적인 접대나 사적인 제사를 제한시키면서도, 감사 등 외부 관원에 대한 접대나 표류자에 대한 문정(問情) 등에서 예우를 다해야 함을 강조하였다. 사(士)가 중심대상이 되는 향약의 시행에서는 민생의 경제적 안정을 먼저 확립하고 교민(敎民)을 행해야 한다는 율곡의 관점에 따라 토호가 향권을 전단하지 않게 해야 한다는 점을 명시하였는데, 이것은 당시 정조의 관점이기도 하였다. 다산은 지방의 노인들을 대상으로 행하는 서노(庶老)의 의절을 비롯하여, 향음주례와 향고례(饗孤禮) 등의 의절을 제정하여 제시함으로써, 양노의 예에 기반한 공공성을 수령의 목민 수준에서도 실현하는 왕정을 구축하고 있다. 또한 다산은 양노례 등 향례의 의절 구성에서 독약(讀約) 등 상명하달의 타율적 의절 대신 걸언(乞言) 등 “하정상통(下情上通)”의 자율적 의절을 살리고 있다. 경세에 반영된 이런 예제들은 다산이 왕정을 부국보다 안민 관점에서 구성하였음을 말해준다. 다산은 정(政)과 교(敎)의 영역을 구분하면서도 정을 교로 통어하는 예주형보(禮主刑補)의 체제로 경세론을 구성하였다. 그것은 형정의 제도로서 정(政)을 인륜이라는 교(敎)를 실현하는 수단으로 배치하는 것으로 『맹자』 이래 이학과 실학이 공유하는 왕정론이다. 항산을 위해 다산은 법제를 사회적 약자의 생존을 가능하게 해주는 곧 존망계절(存亡繼絶)의 방향에서 구성하였다. 이것은 부국보다 안민을 우선시하는 인정(仁政)의 왕정론이다. 근대 이행기 이래 부국강병의 관점에서 다산을 비롯한 실학자들의 경세론을 설명하였던 것은 경세서에 반영된 예제를 충분히 고려하지 않았던 것과, 법제 구상에 대한 실학자들의 문제의식을 개인의 욕구를 충족시키면서 강국을 만들고자 하는 근대 국민국가의 관념으로 읽었던 것에 기인한 측면이 많다. 이러한 근대론의 독법이 지니는 편향을 넘어서기 위해서는 예제에 대하여 도덕의 차원이 아닌 사회적 공공성의 차원에서 학문적으로 설명하는 시야가 좀 더 상세해질 필요가 있다. Dasan constructed the system and content of Mo-Min-Xin-Shu(牧民心書) based on Zhou-Li(周禮) to present a blueprint for the confucian governance beyond the practical governing skills. Dasan reorganized the rituals of the ceremonies such as commemorative rites and reception in such a way as to fully accommodate the meaning of hospitality, while adjusting the scale to the appropriate level in order to save the finances. Dasan stated that the local powers should not overturn the power according to Yulgok "s view that the economic stability of the people should be established first and the people should be edified. This was also the view of king Jeongjo at the time. Dasan, when reconstructing the rituals of rural rites such as Yanglao(養老) and Xiangyinjiu(鄕飮酒), removed the top-down ritual of reading code(讀約), and instead inserted the autonomous doctrines of the people freely presenting advice on the state(乞言). These rituals indicate that Dasan formed his blueprint for the confucian governance from the point of view of making people live in peace than making the country rich and strong. Dasan, dividing the rule of law and the enlightenment of humanity, constituted the policy of the state administration which is led by enlightment of humanities and helped by the law. It was a policy for monarchy that had been shared by Lixue(理學) and Shixue(實學) since Mengzi. Dasan constituted institutions and laws that enabled the survival of the weak. His blueprint leads the people to practice confucian humanites after they established the conditions for stable living. This is a typical policy which was given priority to the stable survival of the people. Since the modern times, the researchers have explained the national policy of Shixue(實學) including Dasan’s opinion in terms of national prosperity and military power. They understood Dasan’s blueprint for the national management under the concept of the modern nation-state that wants to make a powerful nation while satisfying the individual"s desire. As such, they did not fully take into account the rites system used in national policies. In order to go beyond the bias of this view of modernism, it is necessary to elaborate the view of the ritual system academically from the dimension of social publicness, not the dimension of morality.

      • KCI등재

        사서(四書) 해석을 통해 본 정약용의 정치론

        이봉규 ( Bong Kyoo Lee ) 다산학술문화재단 2005 다산학 Vol.- No.7

        In recent days two arguments that Tasan`s political ideas intend to reinforceing the sovereign power have been suggested. One justifies it by analysing Tasan`s ideas about the sovereignty reflected in his discourse on Li(禮). The other justifies it by re-interpretating Dasan`s political idea reflected in his discourse on the reformation of ruling system as a type of positive kingly rule. These two arguments have something in common in reading the indications of modernity from the Tasan`s political ideas. This essay is a counterargument against these two assertions. In reconstructing a Confucian theory of ruling system, Tasan eliminates the non-Confucian and anti-practical ideas that Chu Hsi employed in order to construct Neo-Confucian theory from Buddhism and Taoism. When Tasan criticizes the interpretation of Chu Hsi on the concept of `doing nothing`(無爲), and reinterpretates the concept of `the central kingship`(洪範), Tasan`s interest is not in strengthening the sovereign power, but in making Confucian theory of ruling system more practical. Tasan`s discourse on the controversial issues of `Rites Debates`(禮訟) shows that he justifies his argument according to `the confucian principle of community construction`(宗法). All of these points have nothing to do with the concept of modernity. Therefore, Tasan`s political idea of ruling system should be re-examined and researched further in relation to the context of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East-Asian thoughts instead of the preconception of the step to modernity.

      • KCI등재
      • KCI등재

        동서의 지적 교착(交錯) : 『천주실의』의 이(理) 해석과 그 반향

        이봉규 ( Bong Kyoo Lee )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16 동방학지 Vol.175 No.-

        마테오 리치가 “이(理)”를 속성의 범주로 재배치하고, “주재(主宰)” 개념을 상제에게 부여 하여 전지전능한 창조주의 주재를 정당화하면서, 이학에서 천(天)을 이로 재해석하여 천 또는 상제의 만물에 대한 주재를 탈인격화시켰던 맥락과, 존재를 체와 용 또는 소이(所以)와 작용의 관계에서 설명하였던 이학의 사유문법은 간과 되고 배제되었다. 마테오 리치의 관점은 한편으로 체용론에 입각한 보수적 대응을 야기하였을 뿐 아니라, 또 한편으로 유교의 개념체계를 체용의 개념틀에서 벗어나 새롭게 정당화하는 방법으로 활용되었다. 후칸사이 하비안(不干齋巴鼻庵)과 하야시 라잔(林羅山), 황정(黃貞)과 적기 (寂基), 안정복 등은 체용론에 기반하여 리치의 주장을 반박하였다. 하비안과 황정은 체용론을 이용하여 불교와 유교의 주장을 결합하였지만, 안정복은 정통론의 입장에서 불교와 그리스도 교를 모두 사의를 추구하는 이단으로 비판하였다. 안정복은 형기로 인해 발생하는 욕망을 적절한 조절을 통해 인간이 스스로 해결할 수 있다는 조선후기 성리학이 도달하였던 절욕론의 관점에 입각해서, 구원론에 맞서 악의 문제를 개인 스스로 해결할 수 있다고 반론하였다. 대진과 정 약용은 모두 육경의 본래 문맥에 의거하여, 이학에서 이, 태극, 성 등 주요 개념에 부여하였던 소 이로서의 체 또는 형이상 개념이 비유교적 개념 이라고 비판하였다. 두 사람은 모두 지각과 추론, 실천적 수행 등 경험적 행위나 그 행위의 결 과와 관련시켜 인의예지와 같은 덕목들의 의미를 부여하였다. 여기에는 속성을 나타내는 개념 들은 그 속성이 의지해 있는 실체에 대하여 지 각하고 추론한 이후에 개념 내용이 성립한다는 논리가 반영되어 있다. 곧 존재방식을 실체와 속 성으로 나누어 그 의미맥락을 이해하는 리치의 관점이 공통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대진과 정약용은 리치가 소개하였던 실체와 속성으로 개념의 존재방식을 이해하는 사유 문법 자체에 대해 서는 아무런 논의를 하지 않았다. 단지 그 논의를 활용하여 이학의 체용론적 개념 체계를 대체 하는 새로운 설명 체계를 수립하였다. 이것은 18~19세기 유교 지식인이 토미즘의 개념 체계를 이용하여 자신의 유교를 새롭게 정당화하는 과정에서 오리엔탈리즘이 발생하는 한 맥락을 보여준다. When Matteo Ricci reassigned “li(理)” to the category of attributes rather than substances and turned the meaning of “zhuzai(主宰)” into “exercizing authority” by”the Lord of Heaven”, the Neo-Confucian way of thinking that categorized beings with “ti(體)” and “yong(用)” or “suoyi(所以: that by which things are so)” and “zhuoyong(作用: having such and such function), by which Neo-Confucianism depersonalized the meaning of “zhuzai(主宰)” by interpreting “Tian(天)” as “li(理)”, was unilaterally excluded. Based on the common “ti(體)” and “yong(用)” systems, Hayashi Razan and Fukansai Habian in Japan, Huang Zhen and Ji Ji in China, and An Jeongbok in Korea refuted Ricci’s view. However, Dai Zhen and Jeong Yakyong criticized the concept of “suoyi(所以)” or “xingershang (形而上)” as non-Confucian notions derived from Buddhism, insisting that when understood in their original context, Confucian virtues such as “renyilizhi(仁義禮智)” could only be realized once concrete activities had taken place in accordance with the Confucian ideas for desirable human relations. Jeong Yakyong reassigned “renyilizhi(仁義禮智)” to the category of “de(德)”, whose acquisition is only possible through assiduous practice. These explanations were based on the category theory introduced by Ricci in the Tianzhushiyi(天主實義), which claimed that the names that belong to the category of attributes can only gain their identity by depending upon concrete things as their substance. This reflects an instance of “Orientalism” that took place in the 18~19th century, as the Confucian intellectuals of East-Asia had recourse to Ricci’s method to issue a new justification for the original context of the Confucian ideas of human virtue.

      • KCI등재

        『사의(士儀)』의 체제와 예설의 학파적 성격

        이봉규 ( Lee Bong-kyoo ) 한국실학학회 2021 한국실학연구 Vol.- No.41

        허전이 편성하였던 『사의』의 체제는 1870년에 간행된 목활자본에서 알 수 있다. 허전 사후 1909년에 간행된 목판본 『사의』는 제자와 영남 지역의 유학자들이 함께 활자본에 교정을 가하고 체제를 일부 새로 편성한 것이다. 그러나 목판본은 활자본 이후 허전과 제자들에 의해 가해진 수정을 일부만 반영하였다. 따라서 향후 『사의』의 정본을 편찬할 경우, 두주와 노필연의 「士儀考誤增註」 등을 교감에 반영할 필요가 있다. 조선에서 편찬되는 가례서는 『가례』의 체제를 따르는 유형과, 독자적으로 의절을 수립하고 주석을 부가하는 유형으로 구분된다. 후자의 방식은 이익의 『星湖禮式』에서 시작되었고, 정약용의 『四禮家式』으로 이어졌다. 허전의 『사의』는 고례와 『가례』를 중심으로 의절을 세우고 독자적으로 주석을 부가하면서, 변례와 상관되는 쟁점에 대해서 “辨疑”의 항목을 두어 자신의 견해를 제시하였다. 허전은 사의도(106도)로 가례도(31도)를 대체하였고, 부고전 告廟, 成殯, 계후자에 대한 상복 등 『가례』에 없거나 『가례』와 다른 규정을 의절에 새로 추가하였다. 『사의』는 성호학파의 예학 전통을 계승하면서 당대 중국과 한국에서 논의된 예설까지 수렴하여 서민의 수준에서 가례를 실행할 수 있게 편성한 독자적인 가례서이다. 허전은 예설에서 『星湖禮說類編』의 설을 주로 계승하면서 기호학파와 영남학파의 견해들을 선택적으로 수용하였다. 正體를 후계자가 아닌 부친과 조부에게 해당한다는 것, 적자가 생존해 있으면 적손의 개념은 성립하지 않는다는 것, 그리고 조모나 모친이 생존해 있을 때 승중손의 처가 시조부에 대하여 중복을 하지 못한다는 것은 성호학파의 관점을 수렴하여 제시한 것이다. 반면, 입후한 뒤의 승계에서 계후자의 지위를 우선시하고, 환종을 반대한 것은 이이의 견해를 계승한 것이다. 또한 계후자의 상복을 의복이 아닌 正服으로 규정하면서 이익, 이상정, 권상하, 한원진, 이재 등의 견해를 원용하였다. 허전은 정약용의 『상례사전』의 견해도 선택적으로 수용하였다. The original composition of Shiyi organized by Heo Jeon can be seen in the printed book published in 1870. The woodblock edition was published in 1909 by disciples who gave a proofreading and organized some new compositions. However, the woodblock copy only partially reflected the revisions of Heo and his disciples. Therefore, if the definitive edition of Shiyi is compiled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reflect the Shiyi-Kaowu-Zengzhu(士儀考誤增註) of Noh Pil-yeon and the other documents of proofreading. Books of family rituals, compiled in Joseon, is divided into two types: following the system of Jiali, and establishing and annotating rituals independently. The latter method began with Yi Ik's Xinghulishi(星湖禮式), followed by Jeong Yak-yong's Silijiashi(四禮家式). Heo Jeon established main items of ritual centered around the ancient rites and Jiali and independently annotated it, presenting his views on issues related to the variant li with a “Bianyi(辨疑, Argument on Variant Cases)” item. He replaced Diagram of Jiali(31) with Diagram of Shiyi(106), and added new regulations to the rite, such as ritual to report to the shrine, and morgue installation. The Shiyi is an independent book of family rituals, in which Heo Jeon succeeded the tradition of the Seongho School and discussed releated arguments in China and Korea at that time to practice the ritual at the level of ordinary people. He inherited the opinions of Xinghu-lishuo-leibian(星湖禮說類編) in relation to rituals, selectively accepting the views of the Kiho School and the Yeongnam School. The opinions that “zhengti(正體)” corresponds to the father and grandfather not to the heir, the concept of legal posterity does not exist if the eldest son is alive, and wife of the legal posterity does not three-year mourning to the grandfather when the grandmother or mother is alive, were presented on the tradition of Seongho School. On the other hand, it was Yi Yi's view that after his adopted son was established as his successor, he prioritized the status of successor in succession and opposed the dissolution of adoption. In addition, Yi Ik, Lee Sang-jeong, Kwon Sang-ha, Han Won-jin, and Lee Jae-yi's views were adopted by defining the adopted son's mourning as the one by kinship rather than by duty. Heo Jeon also optionally accepted Jeong Yak-yong's view of Sanglisijian.

      • KCI등재
      • KCI등재

        명청조와의 비교를 통해 본 조선시대 『家禮』 연구의 특색과 연구방향

        이봉규 ( Bong Kyoo Lee ) 한국사상사학회 2013 韓國思想史學 Vol.0 No.44

        조선시대 『家禮』 연구는 行禮를 중시하였고, 사대부들은 國典의 개정을 추진하여 일정 부분 성공하였다. 반면 명초 『효자록』에서 개정된 服制 규정은 경학상 전거가 없는 것이었지만, 청말까지 변동없이 국전으로 존재하였고, 개정하려는 어떤 시도도 없었다. 이것은 황권이 강고하였던 사회와 사대부의 정치적 참여가 활발하였던 사회의 차이가 낳은 결과라고 생각된다. 명청교체 이후 조선에서는 尊王과 行王의 문제의식 속에서 『家禮』의 불완전함을 보완해갔고, 변례에 대처하는 해 석적 시야들이 학파적, 정파적 관련 속에서 18-9세기에 변례를 접성한 예서들로 성문화되였다. 중국에서는 명대부터 『가례』를 실행할 수 있도록 간소화하는 경향이 있었고, 청조에 들어서 人情에 부합하는 예를 행하는 차원에시 시속을 적극 수용하는 형태로 『家縮』를 재편하는 활동이 더욱 확대되었는데, 그 배경에 理學의 理가 人情과 괴리되어 있다는 청대 고문경학의 비판이 있었다. 『가례』 연구와 수행이 『가례』를 현실에 실행할 수 있도록 재편해간 점에시 공통적이지만, 명청조의 경우 현실적응적 실용성을 중시하는 경향이 강하였다면, 조선에서는 이 념구현적 실용성을 중시하는 경향이 강하였다고 할 수 있다. 가례 연구는 지배층의 정치적 文飾의 측면에서 상당히 축적되었다. 이제 정치적 폭력들에 대하여 對處하는 방법으로서 예를 제시하고 예제를 수행하였던 맥락에 대하여 살퍼보는 연구가 필요하다. 동시에 조선후기 출현하는 經濟書들은 가례를 수행하는 공동체의 경제적 운영이라는 經濟像을 담고 있다. 가례문화를 연구할 때 儀禮의 치원에서 또는 윤리적 인륜의 차원에서 접근하는 것을 벗어나 家範파 經濟를 함께 고려하여 ‘家政’의 차원에시 접근할 필요가 있다. Annotations and rewritings of Family RituaJs(家禮) through Joseon period were produced in pursuit of practicing Ii (行禮). Confucian literati in Joseon succeeded in amending the related regulations from The Code of National Rituals(國朝五禮儀) in basis of their achievement in practice and theory of li(禮). whereas those confucian literati in Ming-Qing studied Li mainly in pursuit of explaining philological problems and no amending of related regulations is attempted through Ming-Qing period. It can be said that those dissimilar phenomena between both dynasties were resulted from the different structure of sovereignty performance between the ruler-centered and the literati-centered. After the advent of Qing the supplementation of Family Rituals in Joseon was directed twofold: 1) to preserve and transmit the confucian ideal policy(尊王) and, 2) to reconstruct and practice it independently(行王). The supplementation of Family Rituals through Ming-Qing period was directed to reforming the regulations of Family Rituals to fit non-confucian customs in diverse local society. The intensive criticism from Guwen-Jingxue(古文經學) during lhe Qing preiod on the impracticalilY of li (理) promoted the rel``orming activities. Thus it can be said that .loseon Conl``ucian literati considered the practicability of li(禮) in order to realizing the confucian ideal policy. while Ming-Qing Confucian literali were interested in reestablish regulations 0f Ii (禮) more acceptable to non-confucian regions. Previous studies 01`` Family Rituals were oriented to explaining the system``s hierarchical structure, while the ceaseless efforts made by confucian literali to break through lhe limit of ruler-centered policy were overlooked. But the achievements in relation to Family RituaL, produced in Joseon need a new methodological conversion considering lhe confucian idea of human-being. Writings of policy and economy produced in the Late Joseon period considered FallJJjy Rituals as a foundation of the ideal sySlem. Those writings need lo sludy FBmily Ritu"ls not only as a guide of proper ritual but also as a paradigm of family-based administrationUj(家政).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