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常用漢字表 通攝韻의 字音 分類

        李京哲,宋在漢 동아시아고대학회 2014 동아시아고대학 Vol.0 No.36

        일본의 常用漢字 중에서 通攝韻에 해당하는 153字 172音을 대상으로, 이를 吳․漢 音 동형, 吳音, 漢音, 唐音, 慣用音으로 분류한 결과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었다. 1) 通攝韻에 해당하는 153字 172音 중에서 吳․漢音 동형이 46音, 漢音이 64音, 吳音이 53音, 慣用音이 9音이라는 분포를 보이고 있다. 이는 李京哲(2013a, 2013b) 와 李京哲․河素偵(2014)에서의 결과와 크게 다르지 않으며, 漢音의 비율이 吳音에 비해 압도적으로 많지는 않다는 결과를 보인다. 2) 開口1等 東韻은 漢音에서는 일괄적으로 -ou/-oku형으로 출현하지만, 吳音에 서는 -ou/-oku형 이외에 -u형․-uu형이 출현하기 때문에 -ou/-oku형에 대해서는 吳音資料를 통해 일일이 확인 작업을 거쳐야 한다. 常用漢字․人名用漢字の漢音․ 吳音對照表(1996)와 많은 漢和辭典에서 [同洞銅胴童瞳動(定d)] 등의 [ドウ]를 慣用 音으로 분류하고 있는데, 이는 陽聲字의 -u형․-uu형만을 吳音으로 인정하고 -ou 형을 吳音으로 인정하지 않았기 때문에 생긴 오류로, -ou형 역시 吳音의 자음형으 로 인정해야 한다. 3) 開口3等 東韻 乙類의 [スウ崇(牀ʤ)]를 佐々木勇(2009b:207)는 漢音의 자음형 으로 인정하고 있으며, 常用漢字․人名用漢字の漢音․吳音對照表(1996)에서는 吳 音으로 분류하고 있는데, 漢音形이라면 [シウ>シュウ]로 나타나야 할 것이다. 이 [スウ崇(牀ʤ)]는 漢音의 [シウ]에서 サ行子音의 口蓋性으로 인한 直拗의 混同으로 출현한 형태라고 볼 수 있다. 4) 開口3等 東韻 甲類의 [シュ․シュウ衆(照tɕ)]는 [シュ]와 [シュウ]가 吳音과 漢音을 구별하는 명확한 기준이 될 수 있는 사항은 아니지만, 吳音이 漢音보다 오 래된 자료가 많고, 역사적으로 오래된 資料에 [シュ]表記가 우세하다는 점으로 인 해, [シュ]를 吳音으로, [シウ>シュウ]를 漢音으로 분류하였다. 5) 合口3等 鍾韻 甲類의 [ロク緑録(來l)]와 [リョク緑(來l)]처럼 來母字에 直音形의 [ロク]와 拗音形의 [リョク]라는 두 가지 자음형이 공존하는데, 시기가 오래된 자료 일수록 拗音形의 미정착으로 인한 直音形의 표기가 출현하며, 주로 吳音資料에서의 출현빈도가 높기 때문에 [ロク]는 吳音으로, [リョク]는 漢音으로 분류하였다. This paper presents a classification of the sounds corresponding to the usual Sino-Japanese characters (2010) into the five types of Go’on, Kan’on, Go’on & Kan’on, To’on, Kan’yo’on, concentrating mainly on the 172 sounds and 153 characters in the groups of Tong (通). 1) As a result of the researh this paper reports on, the 172 sounds in the groups of Tong (通) are seen to contain 64 sounds of Kan'on, 53 sounds of Go'on, 64 sounds of both Go'on and Kan'on, and 9 sounds of Kan'yo'on. The important next step is to classify all the sounds in the group of Tong (通). 2) The rhyme Dong (東) appears as the -ou/-oku type in the Sino-Japanese Kan’on. However, it appears as not only the -ou/-oku type but also the -(u)u type in the Sino-Japanese Go’on. Dou (ドウ) of Dong (同洞銅胴童瞳動) is classified as a Kan’yo’on (慣用音) in Chinese-Japanese Dictionaries because they provide only the -(u)u type as the Sino-Japanese Go’on. Nevertheless, the Dou (ドウ) of Dong (同洞銅胴童瞳動) must be classified as a Go’on-type reading. 3) Suu (崇) is classified as a Sino-Japanese Kan’on by Sasaki (2009b:207), but it is classified as a Sino-Japanese Go’on by Sato (1996). However, Suu (スウ) developed from the Sino-Japanese Kan’on Siu (シウ) because of the palatalized s(サ行) in Japanese. 4) Shu (シュ) and Shuu (シュウ) in the rhyme Dong (東) that contained [i] cannot be the standard of distinguishing the Sino-Japanese Go’on and Kan’on. Nevertheless, Shu (シュ) can be classified as a Go’on and Shuu (シュウ) can be classified as a Kan’on in the same Chinese character because Shu (シュ) occurs in old texts. 5) Roku (ロク) and Ryoku (リョク) in the rhyme Zhong(鍾) that contained [wi] cannot be the standard of distinguishing the Sino-Japanese Go’on and Kan’on. Nevertheless, Roku (ロク) can be classified as a Go’on and Ryoku (リョク) can be classified as a Kan’on in the same Chinese character because Roku (ロク) occurs in old texts.

      • KCI등재

        韓國漢字音 通攝韻의 母胎별 層位에 대하여 - 日本漢字音과의 比較를 中心으로 -

        이경철,최지수 한국일본학회 2014 日本學報 Vol.98 No.-

        本稿では、通攝韻に於ける韓國漢字音の母胎別層位について、日本吳音及び漢音と比較․考察した。その結果をまとめると以下のようである。1)開口1等東韻は切韻音までの-ʌuŋ/-ʌukを反映しても、秦音の-ouŋ/-oukを反映しても、1音節化による音韻結合の形態である-oŋ/-ok形として現れるしかない。開口1等冬韻も、切韻音までの-ɑuŋ/-ɑukを反映しても、秦音の-ouŋ/-ouk形を反映しても、1音節化による音韻結合の形態である-oŋ/-ok形として現れるしかない。つまり今まで韓国語自体の音韻結合上の問題を見逃して、東韻と冬韻の合流上を通じて韓國漢字音の母胎を論じたのは誤った解釈で、東韻と冬韻の韓國漢字音-oŋ/-ok形は南北朝音、切韻音、秦音のどの層にも該当する可能性があると考えられる。2)開口3等東韻甲乙類は、漢音に於いては、甲乙類共に同じ-iu/-iku形で現れ、秦音に於いて已に乙類が甲類に吸収されていたのを意味するものと考えられる。韓國漢字音に漢音に於いては、乙類は-uŋ/-uk形で、甲類は-juŋ/-juk形で区別しているので、これは、秦音以前の層を母胎にしていると考えられる。3)合口3等鍾韻乙類の韓國漢字音-oŋ/-ok形は、漢音のような合口乙類介音の前舌化が反映されなかったという点で秦音以前の層を母胎にしているのが明確であり、-uoŋ/-uok形の代替形という点で吳音より後期的反映であると言えないので南北朝音と切韻音のどちらも母胎とするという可能性を持つ。甲類の韓國漢字音-joŋ/-jok形は形態上、漢音と同一の母胎の字音形と見られるが、吳音の様々な字音形の出現の背景を通じて、実際には-wioŋ/-wiok形の代替型に見られる。また、乙類では漢音と同じ乙類介音の前舌化傾向が現れないので、鍾韻乙類を-oŋ/-ok形で、甲類を-joŋ/-jok形と区別している韓國漢字音の体系は秦音以前に成立していたと考えられる。

      • KCI등재후보
      • KCI등재

        漢和辭典에 나타나는 漢音規定의 問題點

        이경철,백혜영 한국일본어문학회 2009 日本語文學 Vol.41 No.-

        本研究では、常用漢字1945字の音読み字1902字を対象にして、現用の漢和辭典5種の字音表記の中で、漢音と規定されている字音の問題点について分析した。その結果、漢音については次のような細部規定を定める必要があると考えられる。 1)開口二等の耕韻と庚韻に現れる-au>ou/-aku形と-ei/-eki形は両方共に漢音に分類しなければならない。 2)鼻音韻尾を有する梗攝韻において、明·泥母字を鼻音として表記した字音形は漢音に分類しなければならない。 3)合口三等の文韻に現れる-win>-in形は漢音に分類しなければならない。 4)開口一等の侯韻に現れる-o形も漢音に分類できる。 5)開口一等の豪韻の脣音字は、漢音の古形も「ホウ・ボウ」であるので、古形表記「ハウ・バウ」は省略されなければならない。 6)漢和辭典の編纂にあたっては、韻鏡等による演繹的な解釋を脱皮して、實際の古字音資料による歸納的な字音規定の姿勢が求められる。

      • KCI등재

        日本漢字音의 字音形에 나타나는 拍의 關與에 대해서 -1拍과 2拍의 混在를 중심으로-

        이경철 한국일본어학회 2009 日本語學硏究 Vol.0 No.25

        본고에서는 日本漢字音에서 拍의 개입에 따른 字音形의 出現樣相 및 音韻現象에 나타나는 拍의 개입에 대해 1拍의 字音形과 2拍 의 字音形이 공통으로 출현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각 韻별로 고찰하였다. 그 결과 日本語는 漢字音의 流入段階에서부터 拍이 관여하 고 있었으며, 그 양상에 따라 字音形이 다르게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日本語가 실라빔언어에서 모라언어로 변화한 것 이라고 보기는 어려우며, 漢字音 이식 이전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계속 모라언어였다고 판단된다. 漢字 1자를 대부분 1拍으로 表記 하는 古音의 특성에는 실라빔언어적 경향이 나타난다고 볼 수도 있지만, 이는 漢字音의 移植에 한반도인의 영향이 개입된 결과로 추 측된다. 즉 漢字 1자를 1音節로 받아들인 한반도인의 受容態度가 古音에 영향을 미쳐, 古音에서 1拍表記의 원칙이 나타난 것으로 판 단된다. 吳音 및 漢音의 表記에도 古音의 이러한 전통이 영향을 미쳐 2拍으로 나타나야 할 字音形이 1拍으로 출현하는 예를 볼 수 있 으며, 그러한 경향은 특히 漢音보다는 吳音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즉 같은 韻에서 1拍과 2拍의 字音形이 混在하는 이유는 二重母音 내지 長母音에 해당하는 原音을 日本人이 1拍으로 受容할 것인 가 아니면 2拍으로 受容할 것인가 하는 日本人의 受容態度에 따라 달라진 것이다. 단지 같은 韻의 字音形에서는 2拍의 字音形보다 는 1拍의 字音形이 좀더 전통적이고 보수적인 古層의 字音形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