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접사의 지배적 기능에 대하여 -접사 결합에 대한 파생어 중심의 이해-

        황화상 국어학회 2018 국어학 Vol.0 No.86

        어근을 중심으로 접사 결합(파생)을 이해한 기존 연구들과 달리 본고에서는 파생어를 중심으로 접사 결합을 이해한다. 곧 기존 연구(‘어근 중심의 접근’)에서는 파생의 과정에서 접사가 어근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어근의 품사를 바꾸는지 바꾸지 못하는지)에 주목했다면, 본고(‘파생어 중심의 접근’)에서는 접사가 파생어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파생어의 품사를 결정하는지 결정하지 못하는지)에 주목한다. 접미 파생의 경우 하나의 접미사가 결합하여 만들어지는 파생어들은 모두 그 품사가 같다. 예를 들어 어떤 종류의 어근이 앞에 오는지에 관계없이 ‘-보’ 파생어(‘X보’)는 모두 명사이다. 이는 접미사 ‘-보’가 때에 따라 어근의 품사를 바꾸기도 하고(‘먹보’의 경우) 바꾸지 못하기도 하는 것(‘겁보’의 경우)이 아니라 어느 경우에나 파생어의 품사를 직접 결정한다는 것을 뜻한다. 본고에서는 이를 접사의 지배적 기능으로 이해한다. 그리고 후핵 언어인 우리말에서 모든 접미사는 파생어의 품사를 결정하는 지배적 기능을 갖는다고 본다. 한편 우리말에서 어근의 앞에 오는 접두사는 원칙적으로 지배적 기능을 갖기 어렵다. 다만 접두사 가운데에는 ‘무-기력(=기력-이 없음)’의 ‘무(無)’, ‘주-일본(=일본-에 머물러 있는)’의 ‘주(駐)’와 같이 그 문법적 기능이 어근의 뒤에서 실현되는 것들이 있다. 본고에서는 이들 한자어 접두사들은 지배적 접사이며, 따라서 파생어의 품사는 이들에 의해 결정된다고 본다. 이들이 지배적 접사이면서 어근의 앞에 결합하는 것은 한자어로서의 어순의 특수성에 따른 것이다.

      • KCI등재

        ‘잘생기다’류 용언의 품사와 활용

        황화상 한국사전학회 2019 한국사전학 Vol.- No.33

        Jalsaenggida type predicates and neulkda type verbs conjugate in the same way when they express the present state. But the word class of Jalsaenggida type predicates is not a verb but an adjective. The reason is as follows. First, apart from neulkda type verbs, Jalsaenggida type predicates always express a state of being. Second, they combine with -eojida to express the change of state. This is the typical characteristic of adjectives. Third, some of them are certainly adjectives. Forth, it is reasonable to assume that they are formed by the need to express a state. Jalsaenggida type predicates are related to verbs. Some of them are derived from verbs. Some of them have verbs as the last constituents. And they express a state as a result of the change of state. So, Jalsaenggida type predicates combine with past tense morpheme -eoss to express the present state.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조사 ‘에’와 ‘에서’의 의미 기능: 소재(所在)와 처소(處所)를 중심으로

        황화상 한국어학회 2011 한국어학 Vol.52 No.-

        Hwang, Hwa-sang. 2011. 08. The Semantic Function of the Locative Case Marker ‘e (에)’ and ‘eseo(에서)’-. Korean Linguistics 52, 295-321.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semantic function of the locative case marker ‘e(에)’ and ‘eseo(에서)’. The semantic function of the case marker ‘e’ and ‘eseo’ is to represent the location. But the semantic function of ‘e’ and ‘eseo’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locative case marker ‘eseo’ represents that the previous noun phrase is the place where an action happens. Also the previous noun phrase of the locative case marker ‘eseo’ represents that the previous noun phrase is the location of the agent in the sentence that expresses the simple activity, and it is the location(source) of the object in the sentence that expresses the move of the location. And the locative case marker ‘e’represents that the previous noun phrase is the location of the object in the sentence that expresses the state. And the locative case marker ‘e’ represents that the previous noun phrase is the location(goal) of the object in the sentence that expresses the move of the location.

      • KCI등재후보

        김희상 문법의 재조명-「울이글틀」의 품사론을 중심으로-

        황화상 우리어문학회 2004 우리어문연구 Vol.22 No.-

        본 연구는 「울이글틀」(1927)의 품사론을 중심으로 한빗 김희상의 문법 연구를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김희상 문법의 품사론은 「朝鮮語典」(1911)에서 ‘詞의 變化’가 추가되고, 「울이글틀」(1927)에서 이것이 다시 ‘詞의 變化’와 ‘詞의 밧구임’으로 나눠지면서 현대 문법의 품사론은 물론 굴절론과 조어론까지 아우르게 되었다. 김희상의 문법은 영문법의 영향을 받았으면서도 단순한 모방이 아닌 국어의 특질을 반영한 독자적인 것이다. 그러나 관형사를 형용사의 범주에 포함시키는 등 영문법의 영향도 적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김희상은 「初等國語語典」에서 「울이글틀」에 이르기까지 줄곧 독자적인 7품사 체계를 유지했다. 詞의 變化는 대체로 현대 문법의 굴절론에 대응하는데, 다른 음으로 변하는 것과 다른 음을 더하여 변하는 것을 모두 變化의 범주로 묶어서 설명한 것은 국어의 교착어적인 특성을 적절하게 반영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자연의 性(sex)과 문법의 性(gender)을 구별하지 않는 등 아쉬움도 눈에 띈다. 詞의 바뀜은 대체로 현대 문법의 조어론에 대응한다. 그런데 명사에 ‘의’가 결합하거나 용언에 ‘은, 는, 을’이 결합하는 것 등을 포함한다는 점에서 현대 문법과는 얼마간 차이를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on Kim, Hee-Sang's grammar centering around his theory on a part of speech in URIGEULTEUL(1927). His theory on a part of speech covers morphology(that is, inflection and word formation) as well as the theory on a part of speech. His Grammar is affected by English grammar, but it is not imitative but independent. He establishes seven morphological words(noun, pronoun, verb, adjective, adverb, exclamation, postposition) which is independent all the time. His theory on the change of a word reflects a characteristic of Korean, it corresponds with inflection of today's Korean morphology. His theory on the conversion of a word also reflects a characteristic of Korean, it corresponds with word formation(derivation) of today's Korean morphology. But his theory on the conversion of a word different from derivation of today's Korean morphology a little, because in his theory a derived word includes a inflectional form of noun, verb, adjective, and so forth.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