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번역과 정통성, 제국의 언어들과 근대 한국어

        황호덕(Hwang Ho Duk),이상현(Lee Sang Hyun)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2011 亞細亞硏究 Vol.54 No.3

        This article is an examination of translating procedure of Korean modern conceptual words following the definite indicator of bilingual dictionary. Particularly, this article concentrates on the pedigree that five different English-Korean dictionaries composed in modern Korea, which shows certain political nature. Unlike a colloquial English-Korean dictionaries that were published for missionary work by Horace Grant Underwood(A Concise Dictionary of the Korean Language, The Fukuin Printing CO., L'T. Yokohama, 1890) and James Scott(English-Corean dictionary : being a vocabulary of Corean colloquial words in common use, Corea:Church of England Mission Press, 1891), the dictionary which was designed by George Heber Jones(An Enlgish-Korean dictionary, Tokyo, Japan : Kyo Bun Kwan, 1914) aimed for educational usage and it can be analyzed as a kind of experiment to find stand-in Korean words for western academic terms. The experiment of Jones that seems to consider the legal authority of the Imperial government was approved in the public sphere of Joseon which was reorganized after 3.1 movement. Taking account of foreign missionaries’ comments on vocabulary arranging work of The Korea Bookman and on Korean modern magazines, modern Japaneseque sino-Korean words that Jones suggested in his experiment were widely used among Koreans after 3.1 movement. In other words, it was Koreans‘ practice of discourse that modern Japanese translated concepts which obtained legality in both educational and administrational areas could achieve ‘legitimacy‘ as Korean language. Ironically, Underwood’s English-Korean dictionary(1925) was published when foreigners no longer catch up Korean’s modern transition with both its impact and speed. The more discourse network between empire and colony and language struggle between oppressor and resisters acute, the more the distance between vocabularies of Japanese and of Korean narrowed. Meanwhile, Foreign missionaries’ translated words were formulated not through the method of reading-collecting-arrangingtranslating but through ‘translating from translation’ of ‘potential Korean’ such as English-Japanese dictionary or Japanese-English dictionary. By now the concept that explaining Korean vocabularies with Korean language also ramified. In modern Korea, therefore, the pedigree of English-Korean dictionaries that was continued with empire-colony relations and was created by inter-formation with foreign languages shows how language’s legitimacy or peculiarity creates, which reflexes truly ‘vernacular’ and inter-national mechanism.

      • KCI등재

        사전과 번역과 현대 한국어문학, 고유한 근대 지성의 출현과 전파 번역의 황혼 - 이광수, 제임스 게일, 윌리엄 커의 근대 한국(어)관, The Korea Bookman을 중심으로 -

        황호덕 ( Ho Duk Hwang ) 반교어문학회 2016 泮橋語文硏究 Vol.0 No.42

        근대형성기의 한국어 정리 사업에 있어 서양 선교사들이 행한 위업은 성경과 한 세트가 된 일련의 이중어사전의 편찬으로 나타난 바 있다. 만약 한국근대 번역사의 세 줄기를 각각 문화 내 번역, 이질 언어간 수용 번역, 전파 번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면, 서양 선교사들은 성경과 전도서, 서양 고전의 번역을그렇다고 할 때 이들의 활동이 1917년을 전후한 시점 특히 1919년을 기점으로 결정적인 변화 국면을 맞게 되었음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총독부 통제 하의 초보적 근대 교육과 일본유학을 통해 성장한 청년 문사들이 대거 등장함으로써, ‘서양 문명’의 번역과 한국어와 세계 여러 언어들을 매개해왔던 서양 선교사들이 권위가 흔들리는 한편, 오히려 변화하는 포교 환경에 대응하기 위해서라도 서양 선교사들이 한국 매체의 비평적 담론들을 ‘리뷰’해야 하는 상황이 연출된 것이다. 예컨대 1917-8년에 들어서면서 이광수는 「신생활론」 등을 비롯한 일련의 평문을 통해 유교와 기독교를 한데 묶는 비판하였고, 제임스 스캇 게일 등의 선교사들은 이광수로 대표되는 새로운 근대 지성의 출현에 민감하게 반응했다.종래의 한국 근대 사전사 연구들에서 서양 선교사 그룹의 영향력이 일부 거론되기는 했으나, 서양 선교사가 개입했던 한국어문학의 주요 국면들에 있어 그 영향력이 차고 기우는 과정에 대해서는 설명이 미진하였다. 필자는 본고의 전반부를 통해 한국어문학 연구에 있어서의 서양 선교사 그룹의 담론적 헤게모니가 축소되어 간 과정을 이광수를 비롯한 고유 지성(vernacular intellectual)의 기독교 비판과 그에 대한 서양 선교사 제임스 스캇 게일의 비상한 주목을 통해 해명하려 했다. 또한 후반부에서는 The Korea Bookman(1920-1925)의 한국 근대 학술/매체에 대한 리뷰들, 특히 윌리엄 커의 한국 근대 매체 리뷰들을 통해 어떻게 근대 한국어가 서양어와 일본어라는 두 축 사이에서 하나의 고유성을 획득해 갔는지를 논증하려 했다. 윌리엄 커는 조선인들의 문예잡지의 생장에 각별히 주목하였고, 사상 술어 해제와 같은 말에 대한 자의식을 지켜보며 일본어식 글쓰기들이 한국의 담론장에서 고유화해가는 흔적들에 대한 상세한 보고를 남겼다. 이는 어떤 의미에서 근대 한국 학술에 있어 서양 선교사들의 헤게모니가 황혼에 이르렀음을 보여주는 역할 변경의 사례라 할 터이나, 보기에 따라서는 상보성의 원리 하에서 국내외 학술이 상호 전이되기 시작했음을 알리는 증표이기도 했다. 복수의 언어와 지식들 사이의 상호 전이(轉移)의 가능성, 상호 적용과 재적용(readaptation)의 순환이 시작되고 있었던 것이다. 이제 한국 근대 어휘들은 이중어사전이라는 형태 속의 틀잡기 외에도, 술어사전이나 단일어 사전과 같은 개별성 하에서도 외부의 지식을지시할 수 있게 될 터였다. The accomplishment of the western missionaries in terms of the Korean language readjustment project during the modern formative period has been discussed, focusing on the missionaries’ publishment of bilingual dictionary as a pair with the Bible. When the history of Korean modern translation is divided into three branches such as the translation between cultures, accepting translation between different languages, and propagating translation, we can call the western missionaries as the propagating translators who contribute to modern Korean literature through their translation of the Bible, the book of Ecclesiastes, and western classics. It is worthy of notice that the missionaries’ performance encounters its watershed point around 1917. In particular, 1919 was the time when the young literary men who grew up with a basic education on modernity under the observation of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and the youth who studied in Japan appeared in the realm of intellectuals. With their appearance, the authority of the western missionaries who were not only in charge of the translation of western civilization but also mediated the Korean language with different languages of the world was dwindling. In order to adjust themselves to the changing missionary environment, the missionaries had to review the discourse of criticism in the Korean medium. As a result, when Yi Kwang-su criticized Confucianism along with Christianity in his essays between 1917 and 1918, such as the essays written in A New Life, the missionaries - for example, James Scarth Gale - sensitively reacted to this emergence of the new modern intellectuals like Yi Kwang-su. Although the influence of the western missionary group has partly addressed in the existing study of the history of Korean modern dictionary, a thorough examination on their significant intervention in the Korean literature was not satisfied. The first half of this paper examines how the discursive hegemony of the western missionary group has been diminishing, focusing on the criticism on Christianity by the vernacular intellectuals, such as Yi Kwang-su, and James Scarth Gale’s particular reaction on the criticism. The latter half of the paper analyzes how the modern Korean language achieves its vernacularity between western languages and the Japanese language, focusing on the Korean Bookman (1920-1925)’s review on the Korean modern scholarship and its medium. In particular, William Kerr’s reviews on the Korean medium need a special attention. He carefully observes the growth of Korean people’s literary magazines and their self-consciousness of words, and leaves a descriptive report on how Japanese style writings become vernacularized in the Korean discursive space. Kerr’s analysis attests that the hegemony of the western missionaries in the modern Korean scholarship reaches its twilight, but at the same time, it proves that the scholarships inside and outside of Korea begin to mutually transfer under the principle of complementarity. In other words, it was the initiation of the possibility of mutual transfer between plural languages and knowledge as well as the circulation of complementary application and readaptation. In this sense, the Korean modern vocabulary becomes enabled to designate the knowledge arrived from outside of Korea beyond its form of bilingual dictionary; it plays its role as an individual form such as a predicate dictionary and monolingual dictionary.

      • KCI등재
      • 엽서의 제국, 전체국가의 공사 개념

        황호덕(Hwang Ho-Duk)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0 로컬리티 인문학 Vol.0 No.4

        조선어학회사건(1942)은 식민지기 최후의 민족운동으로 북한을 포함한 한일 양국에서 독립운동사의 일부로서 언급되어 왔다. 그러나 치안유지법 구성을 위한 3단 논법인 조선어연구, 민족의식함양, 조선독립기도라는 정치적 독해에 의해 과영결정된 이 사건이 함경도 함흥의 한 여학생의 일기 혹은 편지로부터 촉발되었음에 주의한 연구는 그간에 거의 없다시피 했다. 나는 이 글을 통해 편지 혹은 일기의 절취에 의해 시작된 이 사건의 발단에 주목하였으며, 모든 사적 서신과 문서를 열람하고 해석할 수 있는 경찰력과 사법권에 의존한 제국 일본의 과잉된 공공성에 대해 해명하려 하였다. 근대의 사적 공간은 통신의 비밀, 양심의 자유를 기본으로 한다. 하지만, 전시 하의 제국일본은 메이지헌법이 ‘비밀을 침해하지 않는다’고 규정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어떤 비밀도 허락하지 않는 완전한 공공성의 실현, 즉 사적 영역의 해소를 통해 치안과 국민정신의 일체성을 함께 담보하려 하였다. 비밀이 있다는 것은 공공 화될 수 없는 지식과 의도를 소유하고 있음을 뜻하는 불온한 상태로 간주되었다. 이러한 국가에서는 모든 사적인 것이 공적인 것과 뒤섞이게 되는데, 따라서 모든 문서는 일종의 열람가능한 ‘엽서’가 된다. 사적 공간의 극한점인 비밀의 장악을 목표로 한상시적인 검문과 검속은 모든 문서들을 공적으로 반쯤 열린 ‘엽서’로 전화시켰다. 우편과 교통의 장악에 의해 모든 사문서는 공문서와 동일한‘열림’을 강요받게 되며, 따라서 모든 문서는‘내면’이 제거된 동질적인 메시지들로 들어차게 된다. 미디어의 장악은 메시지의 단일화로 유도 되였다. 그런 의미에서 조선어학회사건은 공적 미디어 뿐 아니라 연애편지와 일기까지도 전국적인 사건으로 변환시거는 정치성 과잉의 시공간을 우리 앞에 펼쳐 보이는 데, 이 공간이란 모든 내면을 제거해버린 파시즘의 실현에 다름 아닌 것이다. 왜냐하면 파시즘이란 잘 실현된 전면적 동조의 체계가 아니라 내면 자체의 최종적인 제거를 목표로 하기 때문이다. 중앙으로부터 가장 먼 곳에서 발생한 하나의 사건이 전국화ㆍ중앙화되는 과정이 우리에게 알려주는 것은 무엇인가. 지역과 중앙사이, 사적 영역과 공적 영역의 사이에서 우편, 미디어, 교통의 장악을 완전히 실현한 전체국가는 해석적 교권의 독점을 통해 사적 영역의 완전한 공공화, 모든 장소의 균질화라는 파시즘 궁극의 상태를 실현해 보이기에 이른다. 이것이야말로 파시즘이 근대의 충격적인완성인 이유일 것이다. 'The Korean Language Society Affair'(l942) which is the last resistance movement during colonial period has been addressed as a part of independence movement by both Korea(including North Korea) and Japan. Nonetheless, the event of 1942 has been described with overabundance through the political appreciation based on the syllogism of the study of Korean, fostering of national consciousness, and enterprise of Colonial Korea's independence. The researches which has been continued so far has overlooked the fact that the affair of 1942 was motivated from one diary(or love letter) of a female student from Hamheung, Hamgyung-do. Therefore, this article tries to elucidate the excessive publicness of the Japanese Empire, which is dependent both on police force and on judicial power for reading and interpreting all of private letters and documents, paying attention to the beginning of the Korean Language Society Affair originated from the torn journal(or letter) of one girl. The regular inspection and restriction of Japan under the period of war transformed almost all documents into 'postcards' which are half opened by official power because authorities aimed at seizing all confidentialities with the pretext of war. Everywhere could be a public sphere under the Japanese rule. With the circumstances, publicness should be nothing but be reduced for the maintenance of security; thus, every private note is forced to be 'discloser' as similar level of official letter under the whole control of mail services and transports by the government authorities. Consequently, all letters consist of homogeneous messages whose 'inner' are eliminated; that is, having full powers of media causes the unification of all messages. Hence, the 'Korean Language Society' Affair shows us the superfluous time-space converting not only public media but also love letters and private journals into the national events; the time-space would be illustrated as the sphere of fascism annihilating all the inside of individuals. The fundamental target of fascism is not on the well aligned sympathy but on the perfect exclusion of individuals' inner worlds.

      • KCI등재
      • KCI등재

        근대 한문, 동아동맹(東亞同盟)과 혁명의 문자 ― 『판보이쩌우자서전(潘佩珠年表)』으로 본 아시아 혁명의 원천들

        황호덕 ( Hwang Ho-duk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8 大東文化硏究 Vol.104 No.-

        근대 동아시아의 베스트셀러인 량지차오와 판보이쩌우 공편의 <월남망국사>는 동아시아 근대의 지식, 문화, 권력의 교환 및 상호 작용을 이해하는 상징적인 사건 중 하나이다. 이 글에서는 판보이쩌우의 한문본 자서전을 중심으로 동아시아의 근대 지식의 상호작용, 특히 혁명 지식 및 방법론의 순환 문제를 검토한다. 아시아가 연대하여 서양에 맞서자는 기치는, 비록 그것이 수다한 배신과 자가당착적인 광역권 구상들 속에서 부식되었다 하더라도 19세기말부터의 오랜 정치적 이상이자 저항의 ‘방법’ 중 하나였다. 난처한 것은 다케우치 요시미(竹內好)의 악명 높은 명제처럼 “침략과 연대를 구체적 상황에 있어서 구별할 수 없다”는 점, 혹은 그 구별 자체를 행위자도 완전히 알지 못한다는 점이다. 양자를 걸치는 “하나의 경향성” 속에서 연대와 개입이 매순간 간단히 구별될 수 없다고 할 때, 아시아의 일원으로서 아시아에 책임을 지려했던 판보이쩌우의 삶과 문필은 동아시아라는 지식장을 선의의 연대로 해석하며 펼쳐낸 탈식민운동의 가장 인상적인 사례에 해당한다. 이 글을 통해 판보이쩌우와 한국이 맺는 관계의 근원인 熱血 문자 『월남망국사』의 창작 과정을 재평가하는 한편, 『潘佩珠年表』를 통해 동아시아라는 지평에서 한문이 펼쳐보인 근대성의 또 다른 모습을 추적해보려 한다. 이 자서전적 기록은 그간 한국학에서 간과되어 온 저작이나 최근 베트남과의 역사적 관계들에 대한 관심 속에서 새롭게 주목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潘佩珠年表』에 등장하는 량치차오(梁啓超), 오쿠마시게노부(大隈重信), 이누카이 쓰요시(犬養毅), 쑨원(孫文), 미야자키 도텐(宮崎滔天)과의 필담과 교류 및 조소앙, 신규식과의 정치적 연대를 실마리로 하여 筆談媒价를 통해 드러나는 한문의 근대성-매개성, 정치성, 奸智의 측면에 대해 숙고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同文이란 공유하는 과거보다 도래할 혁명을 여는 자리였던 한편, 또한 늘 연대와 함께 배신과 야욕, 자가당착으로 들끓는 격전의 장소였음을 논증하려 한다. The History of the Loss of Vietnam (Viet Nam vong quoc su, 1905), coedited by Liang Qichao and Phan Boi Chau was one of the bestselling books in modern East Asia, reveals the exchanges of knowledge, culture, and power through their interactions. By focusing on Overturned Chariot: The Autobiography of Phan Boi Chau. (Phan Bọi Chau nien biẻu), a sinographic autobiography by Phan, this paper examines the knowledge interaction in modern East Asia, especially the problem of the circulation of knowledge and method of "revolution". Recently, Phan's autobiographical writing has received scholarly attention thanks to the increasing interest in understanding the history of Korean-Vietnamese relations. Although its meaning has been corroded through numerous betrayals and self-contradicting agendas, the banner of "Asian alliance against the West" has been a venerable political ideal and revolutionary method of resistance since the late nineteenth century. The problem is, as Takeuchi Yoshimi’s notoriously states, "in respective situations the invasion and alliance can be hardly differentiated", and even the actors had not been fully aware of such a distinction. Nonetheless, if one acknowledges the "common traits" underlying both, and is aware of the difficulty of differentiating between alliance and intervention in every moment, then the life and writings of Phan Boi Chau, who interpreted the East Asian knowledge network as an alliance of friendliness, becomes the most impressive example of the decolonial movement. This paper revisits the creation process of the History of the Loss of Vietnam, a writing of hot blood, which laid out the foundational connection between Phan Boi Chau and Korea, and traces the yet untold aspect of modernity in sinographic writings on the East Asian horizons reflected in Overturned Chariot. I examine sinographic modernity-its agency, political nature, and tactics-through the analysis of Phan's brush talk (p'ildam) with Chinese and Japanese intellectuals such as Liang Qichao, Okuma Shigenobu, Inukai Tsuyoshi, Sun Yat-sen, and Miyazaki Toten, as well as the clues of Phan's political alliance with Korean nationalists such as Cho Soang and Sin Kyusik.

      • KCI등재

        일반논문 : 한국근대문학과 싸움 -싸움과 살림, 박태원의 식민지말 사소설 3부작과 정치적 낭만의 종언-

        황호덕 ( Ho Duk Hwang ) 반교어문학회 2015 泮橋語文硏究 Vol.0 No.41

        근대 문인의 전형적인 표상은 술 먹는 사람, 취해 말로 도발하는 사람이라고 할 수 있다. 오랫동안 유지되어 온 진실과 법의 담론을 분열시켜, 말과 글을 통하여 새로운 진실을 제기하는 사람이야말로 근대 문인의 한 존재태였다. 적과 동지를 분할하는 물리적 전쟁과 정치적 전선을 문면(文面) 안에 억제하여 담론과 논쟁-논전(論戰)의 형태로 표현하는 근대 문인의 존재는, 흔히 술과 그에 이어진 논쟁, 도취에 이어지는 완력 싸움과 신체적 결투를 통해 이미지화되곤 한다. 말과 싸움을 연결하는 ``술``은 법과 질서를 균열시켜 새로운 (문)법과 진실을 제기토록 하는 해방적 매개였다. 문단 혹은 살롱이란 그런 의미에서 글감의 생산 및 유통지인 한편, 완력의 무대이자 분열과 광태가 상존하는 담론적 전선이라고 할 수 있다. 이 글은 술과 싸움의 일화로 점철된 구인회의 정치적.문학적 성격을 바로 그 일화들의 자리―즉, "술 먹고 싸우는 문인"에 대한 그들 자신의 표상으로부터 도출해보자는 문제의식에서 시작되었다. 구체적으로는 "술과 싸움"에 관한 이상, 김유정, 박태원의 작품 간의 상호텍스트성에 주목했으며, 이 싸움의 소멸 지점(1940-1941) 혹은 충격적 완성의 순간에 발표된 박태원의 사소설 3부작(「淫雨」, 「債家」, 「偸盜」)을 대상으로 하여 정치적 낭만을 내장한 전위적 싸움의 종언과 정치적 사실주의가 개시되는 순간의 ``공포``를 다루었다. ``산책과 술과 싸움에서 집과 살림과 사(私)적인 것으로의 후퇴``라는 박태원의 소설적 변화에 천착하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게 되었다. 한국근대문학과 술, 문인과 싸움의 문제는 범용한 도덕을 넘은 윤리 속에 존재하는 낭만적 영웅, 혹은 (새로운) 법정립적 폭력의 잠재성을 보존하고 있는 전위주의자의 형상과 관련되어 있다. 술 먹고 싸움하는 구인회의 사람들, 이를 기록하는 박태원의 존재를 통해 보자면, 현대사회의 전위적 예술가란 무정부적인 자기감정과 극단적 교제욕으로 나타나는 주관화된 기연주의(機緣主義, occasionalism)에 그 거처를 갖는다. 하지만 이상과 김유정의 서거 및 그에 연속된 중일전쟁의 발발 이후, 박태원 등의 전위주의자들의 ``싸움``은 이른바 ``정치적 사실``로서의 전쟁에 수렴되어 버린다. 박태원의 사소설 3부작은 정치적 ``사실``이 담론적 적대와 논의의 전선 그 자체를 결정하는 상황에서 발표되었다. 모든 싸움을 삼켜버린 전쟁, 그로부터의 도피에도 불구하고 박태원의 정치에의 공포는 장마, 도둑, 채무라는 형태로 소설 속에서 재귀하고 있었다. 싸움이 아니라 ``안전``이 논제화되기 시작한 것이다. One of archetypal representations of modern writers is a person who drinks or a drunken person who provokes others with his words. This drunken person is the one who breaks the long-maintained truth and the discourse of law with his words and writings, thus proposing a new truth. The modern writers stifle their emotions and ideas against physical wars and political lines that distinguish friends and foes into their writings, by leading their discourse to arguments or battles of words. These writers are represented with liquor followed by their arguments, which often times end up with physical fights. Here ``liquor`` is a liberating medium that dissembles law and order, thus suggesting a new (literary) rule and truth. In this sense, a literary circle or salon is the realm of production/distribution of writing materials, and at the same time, it is the frontier of discourse where physical fight, lunatic behavior, and mental break-up coexist. This paper is motivated by the representation of "drinking and fighting writers" of Guinhoi, because these images not only dominate their episodes but also explain the circle`s political and literary characteristics. In particular, I focus on the intertextuality between the works of Lee Sang, Kim You-Jeong, and Park Tae Won in terms of "liquor and fight." Furthermore, with Park Tae Won`s I-novel trilogy - Dark Rain(淫雨), House of Debt(債家), Burglary(偸盜)- that were published between 1940 and 1941 when the fights between the writers became dissipated, I examine the moment of ``fear`` when physical fights that embed political romanticism finally end, thus beginning political realism. In other words, the transition within Park Tae Won`s trilogy means his retreat from his themes of walk, liquor, and fight to the topics of his private space such as home and household. In conclusion, the issues of writers, liquor, fights, and Korean modern literature relate to the image of romantic heroes who exist within the realm of ethics beyond the space of moral or the images of avant-gardists who obtain the potentiality of (new) law-founding violence. Through the images of the Guinhoi members, who drink and fight, and the existence of Park Tae Won who records these images, we can conclude that the avant-garde artists in the modern Korean society reside in the sense of subjectified occasionalism, which their anarchic emotions and obsessive desire for sociality resulted in. However, with the deaths of Lee Sang and Kim You-Jeong and the outbreak of the Sino-Japanese War, the fights between these avant-gardists, including Park Tae Won, are overwhelmed by political facts. Park`s I-novel trilogy was published on the context in which political facts decided the discourse of antipathy and the frontier of discussion itself. Despite Park`s escape from the war that devoured all fights, his fear of politics still lurks in his novels and is represented as rainy season, thief, and debt. Now the discourse of security, rather than fights, emerges.

      • KCI등재

        한문맥(漢文脈)의 근대와 순수언어의 꿈

        황호덕(Hwang Ho-duk) 한국근대문학회 2007 한국근대문학연구 Vol.8 No.2

        오늘의 한국인은 漢‘文’을 사용하고 있지도 않고 한문의 독해 능력을 가진 사람들은 극히 일부에 불과하다. 한문이라는 서기체계écriture 자체는 이미 문헌학적 대상으로 멀어져가고 있다고 말해 틀리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한자어 사용에 있어서 실제로 작용하고 있는 것은 권위의 원천으로서의 한문이라는 상위 언어체계임도 분명하다. 전체가 한문투성이의 한문장으로 작성된 「대한민국헌법전문」은 현대 한국인의 사유를 구성하는 ‘개념’의 질서가 중국과 (특히) 일본을 경유한 어휘들에 구성되어 있음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예컨대, 당대 어휘에 대한 한 보고에 따라면 근대 형성기의 일본계 한자어들 중 82%가 전문어나 학술용어, 정치ㆍ사상 영역의 추상 개념과 같은 사유와 정치의 질서를 직접 구성해 온 언어라는 것이며 무엇보다 이는 한문의 결구력에 의존해 만들어졌다. 나는 이 글에서 근대 개념어=신문명어를 통해 작업했던 두 작가-李人稙과 卞榮晩의 상반된 작업을 비교하는 일을 통해, 근대 개념어가 제기하는 ‘기원’(론)에의 요청과 근대적 언설 공간에 있어서의 ‘효과’의 문제를 다룬다. 우선 이인직의 『血의 淚』의 경우를 통해 나는 이 소설에서 신문명어들만을 추출함으로써 소설의 서사 자체가 짐작 가능함을 보였다. 무엇보다 이 소설은 신문명어들의 연쇄를 통해 일본, 그리고 미국으로 그 공간을 넓혀가는 형식으로 되어 있으며, 이 연쇄는 식민화의 채널을 연상시킨다. 문학의 영역 안에서, 식민주의와 제국주의의 抱合(incorporation)은 창작, 교육, 비평과 관련하여 동기화되었고, 이 자체가 세계사적 과정의 일부였다. 성숙은 문명화와, 문명화는 식민화와 연동되어 있었다. 어떤 의미에서 신문명어는 이 과정을 매개하고 자연화했다. 다음으로 나는 이인직과 대조되는 또 다른 사례, 즉 한글과 국한문체, 한문이라는 다양한 서기체계를 가지고 작업했던 변영만의 어원학적 사고를 논했다. 근대 개념어에 대한 변영만의 생각은 “세계의 何國을 막론하고 절대적의 純土語로만 조직된 국어는 없는 법이다……좀더 ‘어원학적(Etymologically)으로 此를 觀考하’는 일이 필요하다는 주장 속에 그 핵심이 담겨 있다. 일본의 근대 문학ㆍ사상을, 서양이라는 원천과의 모방적 관계(“개인적ㆍ민족적 파산상태”)로 일언이폐지(一言以蔽之)하거나 한국 한문학을 당송팔대가의 복제로서 통박하는 그의 관점은, 동서비교론과 古今文學 비교론 속에서 사산되어 온 번역적 재현의 문제를 다시금 상기시킨다. 어떤 의미에서 일본의 근대 개념사 연구와 달리, 한국의 그것은 생산이나 변용보다는 식민화와 그것을 넘어서려는 순수한 언어≠순수한 민족어를 향한 救濟의 문제와 관련되어 있다. 한국의 근대 개념어는 번역적 재현의 문제보다는, 언어 침식의 문제와 더 갚은 관련을 가진 것처럼도 보인다. 그러나 여기서도 번역의 문제는 여전히 중요한 과제로서 존재한다. 왜냐하면 근대 개념어 연구를 통해 우리는, 근현대 한국어가 지속적으로 갈망해 온 ‘순수 언어’pure language/reine Sprache의 꿈이 결코 한글 안에서는 달성될 수 없는 과제라는 것을 깨달을 수 있기 때문이다. ‘순수 언어’는 한국어 안에서가 아니라 그 밖-그러나 일본어라고도, 한문이라고도, 또 영어라고도 말할 수는 없는 장소에 존재한다. 나는 이 글에서 그러한 전통적 서기체계와 외부성의 개입을 한문맥의 근대라 불렀고, 여기에 구문맥(歐文脈)의 문제를 포함시켜 논했다. 순한글화와 한글로 사유하는 일이라는 과제는 개념의 차원에서는 결코 달성될 수 없는 꿈이며, 오히려 그것이 달성될 수 있다고 믿는 순간 사유는 그 근원을 상실한 채, 근원적 불가능성에 봉착하게 된다. Not only was the Chinese letters being hardly used by the people in Korea, but also there is few people who are able to read the Chinese writing. It might be not an erroneous idea that the écriture itself of Chinese writing is being out of the philological object. It is, however, certain that when using Sino-Korean words, the Chinese letters are the source of authority, being considered to be a superordinate language system. The Preamble of the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which is drawn up with a single sentence full of Chinese letters, symbolizes the order of a 'concept' constituting the thought of the present Korean has been formed by the vocabulary passed through China and (especially) Japan. For example, 82% of Sino-Korean words of Japanese origin, at the time of modernization formation, is a language which forms itself the order of thought and politics such as technical and academic terms, and abstract ideas in the world of thought and politics, according to a report on the vocabulary at that time. Such modern words were made, depending on the construction¬ability of the Chinese letters.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origin (theory) demanded by the modern conceptual words and the matter of 'effects' in the modern space of discourse by comparing the contrary works of In-Jik Lee and Young-Man Byeon, as two writers who considered modern conceptual words as new civilized ones. Firstly, by abstracting the new civilized words only from 『血의 淚』(Hyul-ei-Noo) written by In-Jik Lee, this study presented the possibility of predicting the narrative itself of the novel. The novel unfolds its space to Japan and then to United States through the series of new civilized words, and the series remind us of the channel of colonization. In the field of literature, the incorporation of colonization and imperialism was synchronized, being related with creation, education and criticism, and that was part of the process of the World History. In a sense, our 'maturity' in novels was liked to civilization and the civilization liked to colonization. The new civilized words, it also means modern conceptual words, at some extent, intermediated and naturalized the linking process. And then, this study dealt with the etymological thinking of Young- Man Byeon, as an example contrast with In-Jik Lee, who worked with various systems of écriture, say, Hangeul (Korean letters), Korean letters with Chinese characters and Chinese letters also. He said, defining the modem conceptual words, "no country in the world has the national language composed of its pure words only…… it needs to think them more etymologically." His attitude in which the Japanese modern literature and thought have an imitative relation to the source of the West ("An individual and national state of bankruptcy) and Chinese classics in Korea is copying of the Eight Great Masters during Tang and Song dynasties in China(唐宋八大家) reminds us of the issue of the translational representation as having been scattered in the comparative theories of the East and the West, and the past and the present. The studies on the conceptual history in Korea have been rather connected, to some extent, to the relief which pursues pure language≠pure ethnic language, overcoming the colonization, than production and modification unlike the studies on the modem conceptual history in Japan. The modem conceptual words in Korea appears to have a more considerable relation with the issue of language erosion than the issue of translational representation. The translational issue is, however, existing as a material task also here, for the studies on modem conceptual words make us understand the dream of a pure language (reine Sprache), as desired eagerly by the modem and contemporary Korean language, which will never be achieved within Hangeul. The pure language is existent not inside the Korean language, but outside the language-it, however, exists in another space than Japanese, Chinese and Englis

      • KCI등재

        피와 문체, 종이 위의 전쟁

        황호덕(Hwang Ho Duk) 동악어문학회 2010 동악어문학 Vol.54 No.-

        이 글은 1930년대 말 충청도 한 지방의 공립농업실수학교를 다녔던 R의 1939년의 근로일지와 NARA(미국국립문서기록보관청, National Archives and Records Administration) 소재의 한국전쟁 관련 기록물들 중 몇 권의 일기를 대상으로 하여, 근대 한국에 있어서의 이중언어상황이 개인의 일상과 반성 언어 속에서 나타나는 방식을 검토한 것이다. 정화술(正話術)과 자기 교육으로 대변되는 일기 쓰기의 방법을 통해 지배의 테크놀로지가 자기의 테크놀로지로 전화되는 방식을 해명하려 하였다. 개인의 내면을 쓰는 것으로 알려진 일기를 주권 권력의 장소로서 재소환하여, 언어가 가진 반성과 명령의 이중 구조를 개인의 삶과 역사속에서 동시적으로 검토해가는 방법을 모색해보려 하였다. 농업실수학교의 R의 일기는 당시의 고쿠고[國語]로 적혀 있다. 앎과 노동과 시국 언어가 일체화된 이 일기는 일기라는 양식 자체가 언제나 공개 가능성 아래 존재함을 잘 보여준다. R은 일종의 정화술이라는 방법을 통해 지배 언어의 체내화하고 있음을 계속 표시해야만 했다. R의 근미래라고 할 연초경작조합 기수 O의 일기는, 또한 한국전쟁에 UN군의 일원으로 참가한 미군에 의해 압수된 인민군 장교 L의 전투일지이기도 하다. 어떤 경로로, L은 O의 일본어 일기를 입수해, 그 위에 한글로 전투 일지를 써나갔다. O는 젊은 나이에 걸맞지 않는 어색한 국한혼용문으로 ‘국가적 삶’의 감격을 쓰다가는, 어설픈 일본어로 자연의 풍취를 말하기도 한다. O에게 조선어는 일상어이면서 표현에는 불편한 언어이며, 일본어는 시국 언어를 베끼는 받아쓰기 언어이다. 전쟁 상황에 대한 지식과 두려움이 구성했을 O의 내면은 오직 꿈작업 속에서만 출몰할 뿐이 충분히 언어화되지 못한다. 그가 언어화할 수 있는 것은 국가가 허용한 말에 국한된다. 한편 엉성한 조선어로 써나가며 외적 이데올로기를 전선 속에서 확립하는 L에게 언어는 정언 명령이자, 정신 교육을 위한 무기이다. 또한 이러한 종류의 명령을 수행하는 인민군 정훈병 K에게 언어는 교육어인 동시에 자기 구성의 언어이다. K과 L은 외적 언어와 신념 사이의 어떠한 분리도 알지 못하며, 여기서는 실천의 양과 강도만이 ‘반성’의대상이 된다. 이들 일기는 반성이라는 과정이 근본적으로는 지배 언어와 그에 따른 실천의 거리를 재는 과정에 다름 아님을 잘 보여주고 있다. 개인 스스로가 외적 상황에 조응해 진실을 구성하도록 돕는 기술로서의 ‘일기쓰(도록 하)기’는 권력의 절약과 복종을 위한 자기 설득 둘 모두를 위해 이롭다. 또한 그 과정에서 개인은 쓸 수 있는 것과 없는 것을 구별하며, 바르게 쓰는 기술을 통해 바르게 사는 삶을 체내화하게 된다. 물론 쓸 수 있는 것과 쓸 수 없는 것을 분절하는 과정 속에서, 진짜 내면화(the real innernalization)라는 게 아마 존재할 수도 있었을 것이다. 쓸 수 없는 것을 언어와 의식 너머로 봉인하는 결정의 과정 속에서, 앎의 주체, 복종하는 주체, 죄의식을 가진 양심이 하나의 개인안에서 창출된다. 이 덧씌어진 일기들이 말해주는 것은 한국의 이중 언어 상황이 근원적인 수준에서 국가이성과 지배 언어의 영토의 비대화를 초래했으며, 이러한 한계를 모르는 지배 언어의 범위 아래에서, 내면은 오직 ‘쓸 수 없는 것’이라는 한계 개념으로서만 존재가능했다는 사실이다. In recent Studies on Korean modern literature, modern invention arguments became a idiomatic dogma or axiomatic premise like ‘nation (state) as a imagined community.’ But Was nation a imagined community only? Moving away from the political analysis on regimes, praxes and its effects, that is remote controling and covering up the inquiries of sovereign power and linguistic analysis on governtmentality. This article presents the simultaneous constructing process of political order and technologies of the self by the analytic thinking on the a couple of diaries written by Korean, but not written by only Korean language, between the Sino-Japanese War(1937) to the Korean War(1950-1953). One of these is founded in a secondhand bookstore and some documents are archived by NARA(National Archives and Records Administration) as trophies of U.S Army in Korean War. R, O, and K's diaries are that giving prominence to issues of politics of writing on self by innernalization of the political order regardless of these collecting purpose. Especially, two men O and L who are tabacco association subengineer in the colonial Korea and a high officer of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wrote on their everyday lives at same dairy. Like this overwriting, Korean-Chinese Mixied Style, Japanese, Korean in these diaries represent the situation of political rule's complexity and state of Civil War crossing the modern Korea. Usually diary is framed a definition like a technology of individualizing in subjectivization. Dairy is a kind of secret topic or topos. But is it real? Under the possibility of openness, the confession is always never the confessed. Under the unlimited national reason, like the Japanese rule or the state of emergency, all paper was the public documents. Orthologie as the testimony of ideological guiltless was a predominant writing technique among the who had to live and write in this order. From the its origin, order of writing dairy is not only economic method for saving sovereign power but self-persuasion for subjectivization also. By this examination, I criticize ‘the real’ innernalization among the order, self-consideration and discipline can be existed in the decisional process that articulations between the writable and the unwritab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