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구성주의 프로젝트 기반 학습 미술프로그램 연구 : 2015 개정 미술교육과정 중학교 중심

        황현정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기본적인 미술교육의 목적들 중 교사의 입장에서 사회적 요구를 반영한다고 볼 수 있는 2015학년 개정교육안 중학교 미술교과에 기반을 둔 미술수업 프로그램을 연구하였다. 새롭게 개정된 교육안을 토대로 앞으로 미술수업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미술교과 역량을 바탕으로 한 창의 융합형 인재 육성을 위한 수업모형을 제시하였다. 미술과 교과 역량 요소를 살펴보면 역량요소는 미적감수성, 시각적 소통능력, 창의 융합능력, 미술문화 이해능력, 자기 주도적 미술 학습 능력이다. 이와 같은 역량을 기르면서 미술의 체험, 표현, 감상 3가지 영역이 분리되지 않고 서로 연결되는 통합적인 교육을 강조한다. 본연구는 이를 위해 시각적 소통능력과 미적감수성, 자기주도적 미술 학습능력이 동시에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학습모형을 고려하였다. 프로그램 주제는 시각미술을 통한 삶을 변화 시킬 수 있는 벽화제작 미술수업과 연계였다. 벽화는 매일 보거나 관심 없던 장소를 시각적으로 아름답게, 의미있게 구성하여 미적 감수성을 함양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커뮤니티 아트로 학급의 공동체 구성원들이 예술을 창작을 진행했다. 공공미술의 성격을 이해하고 시각문화로 삶을 변화시키면서 주체적으로 창작활동에 참여해 자기 주도적 미술 학습능력을 보였다. 표현매체가 벽화였다면 이를 위한 학습 모형은 구성주의를 기반으로 둔 프로젝트 기반 학습을 진행했다. 학습자간의 소통을 통해 함께 문제를 발견하고 계획하며 그림을 그리면서 실행, 평가 하는 과정을 거치면서 주도성 및 아이디어 실현 방안을 구체화 하며 표현활동을 진행했다. 수업지도안에서는 벽화의 주제를 선정하는데 있어 우리 학급의 지역적 특성이나 상징을 표현한다. 본 연구가 창의성을 중시하는 만큼 아이디어의 선정과정에서 아이디어 발상법을 활용해 브레인스토밍과 마인드맵을 활용하였다. 선행 논문은 협동학습에서 집단 창의성 발휘가 높은 그룹은 자기효능감과 수업 참여 태도 역시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고 제시하였다. 그렇기에 프로젝트기반 학습을 진행하면서 집단창의성이 발휘되도록 교사가 집단창의성의 주요 특성을 인지하고 주변환경을 조절이 필요했다. 학습 동기와 창의성을 불러일으키도록 학습을 유도하는 교사의 역할이 중요한 것으로 고찰되었다. 마지막 서로 다른 특징을 가진 표현유형별 인원구성은 매차시 작업하면서 다양한 표현의도와 제작방법에 대해 이야기 나눌 수 있었다. STAD 모형 조별 구성으로 다양한 타인의 생각과 표현 방법을 알고 조형 요소와 원리를 학습하게 되었다. 미술의 중영역인 발상과 표현 방안에 대해 이해하고 창작한 결과물을 통해 학습자는 감성과 비평을 진행했다.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중시한 미술영역의 종합적 교육과 미술교과 역량을 함께 이룰 수 있었다.

      • 김동인 소설의 여성인물 연구

        황현정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김동인은 한국 근대소설사에 큰 영향을 미친 작가이다. 전근대에 대한 반발로 근대문학을 추구하며 단편소설에 뛰어난 능력을 보여준 동인에 관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졌다. 그 중 본고에서 논하고 있는 여성인물들에 대한 연구는 여성들의 윤리면에 비중을 둔 부정적인 견해가 대부분이었다. 그것은 시대적 상황과 여성들에 대한 기존 보수적 관점에 의해 구명되었기 때문이라 할 수 있다. 본고는 이런 논의에서 다루지 못한 여성들의 자아발견과 자기정립과정에 대해 보다 면밀히 살펴보았다. 우선 동인이 작품에서 보여준 여성관이 그가 생전에 경험한 여성들과 시대적, 사회적으로 관련이 있다고 보고 그의 생애와 시대적 상황을 알아보았다. 그리고 다음으로 작품들을 분석하여 여성들이 근대적 주체로서 자아를 찾아가는 모습이 어떻게 이루어지는가를 알아보았다. 동인이 작품활동을 시작한 시기는 우리나라의 근대문학이 시작된 시기라 할 수 있다. 동인은 전시대의 계몽적인 문학에서 벗어나 새로운 근대적 문학을 추구하고자 노력했다. 서구문명의 전래와 여성 스스로의 각성에 의해 여성들에게 많은 변화가 일어나기 시작했다. 그러나 변화하는 여성들의 모습은 기존 사회의 관습, 제도에서 벗어나는 행동, 사고로 인해 바라보는 시각은 대부분 부정적이었다. 원만하지 못한 가정생활, 그리고 여성 편력으로 인해 동인의 여성관은 전근대적 성향을 벗어나지 못했다. 동인소설에 나타난 여성인물들의 자아발견의 모습을 알아보기 위해 「감자」. 「눈을 겨우 들 때」. 「곰네」. 「김연실전」. 「약한 자의 슬픔」. 「거치른 터」를 대상으로 분석했다. 여성인물들은 자신의 내면에 있는 자신의 모습을 느껴가는 데서 자아찾기를 시작한다. 그리고 관습, 제도의 억압과 개인의 욕망 사이에서 심한 혼란을 겪는다. '엘리자베트, 영애, 복녀, 금패, 연실'은 전근대적인 관습을 부정하며 자신의 삶을 찾으려고 한다. 그런 과정을 거치면서 자아를 발견하려 하지만 현실의 벽에 부딪치게 된다. 사회 현실은 여전히 전근대적인 경향을 벗어나지 못했고, 여성들의 미성숙함에서 오는 실수로 인해 사회적인 비판을 받았기 때문이다. 「눈을 겨우 뜰 때」의 '금패' 「약한 자의 슬픔」의 '엘리자베트' 「거치른 터」의 '영애'는 전근대적 관습, 제도에서 벗어나 내면의 본능적 욕망을 추구하며 현실과 갈등을 한다. 「감자」의 '복녀'는 기존 관습을 부정하고 자기 나름대로 규율을 만들어보려고 했지만 이루지 못했다. 또한 '곰네'는 자신을 희생하며 가정을 지키려고 인내하는 전통적 여성상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동인작품의 여성인물들은 전근대적 관습에서 벗어나 여성으로서가 아닌 한 인간으로서 자신의 세계를 구축하려고 노력했다. 그러나 이들 여성들은 사회적인 제약, 미성숙한 사고, 시작하는 단계에서 오는 미숙함으로 인해 자신을 중심으로 모든 상황을 이해, 판단, 행동했기에 외부 현실과 부딪치면서 비극적인 결말을 맞는다. 그리고 동인 자신도 '곰네'하는 전통적 여성의 모습을 통해 그의 보수적 여성관의 한계를 드러냈다. 그러나 동인 여성인물들이 보여주는 자아발견의 모습은 자신의 생각에 정직하며 변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Kim, Dong in is a writer who had great influence on the modern novel history of Korea. Dong In who tried to seek modern literature as the opposition against premodern times showed the excellent ability in short story, especially. The study about the short story of Kim, Dong In was made much. As for the studies on female characters that this researcher is discussing in this thesis out of them, negative view was most by emphasizing the moral side of women. It can be said that it is because it was looked from the existing conservative viewpoint about time situation and women. In this thesis, this researcher examined the self-discovery and self-establishment-course of women which failed to be handled in this discussion. First, by considering that the view of women that Dongin showed in his works has relation with the women whom he experienced during his lifetime from the viewpoint of time and society, this researcher examined his lifetime and time situation. And, next, this researcher examined how the form that women find themselves as modern subjects appears by analyzing works. So as to examine the form of self-discovery of women charaters which showed in Dongin novel, this researcher analyzed on the subject of [potato], [in opening eyes with difficulty], [bear family], [life of Kim, Yeon Sill, [sorrow of the weak], and [wild site]. Female characters start to find themselves in feeling their form in their side. And, they feel confusion between the oppression of custom and system and the desire of individual. Elizabeth, Youngae, Bokneo, Keumpe, and Yeonsil try to fine their life, denying premodern custom. They try to find themselves through such course, but they run against the wall of actuality. These could not throw away premodern custom easily and accept modern civilization easily. Because society actuality failed to get out of premodern tendency still and they were criticized socially due to the mistake from the immaturity of women. The female characters of Dongin work made efforts so as to establish their own work as one human being who is not a woman by getting out of premodern custom. But, as these women understood and judged all the situations and acted centering around them selves due to the social restriction, the immature thinking, and the immaturity from starting stage, they run against outside actuality and show tragic end. And, Dongin, himself revealed the limit of his conservative view of women through the form of traditional woman to be bear family. However, the form of self discovery that the women characters of Dongin show is showing the modern from of self-discovery, recognizing that they are frank to their thought and they are human beings.

      • 뉴스 노출의 자기보고식 측정 오차에 대한 탐색

        황현정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first step of research on media effects is to operationalize and measure media exposure or use. Although media exposure and use are vital variables in media effects research, researchers have not reached consensus on the operationalization and measurement of these variables. This study points out that measurement of media exposure or news has not discussed enough and attempts to examin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self-reported measurements that have long been used as the primary measures in media effects research. We can evaluate measurements by figuring out the magnitude and direction of the measurement errors. Understanding the cause of measurement errors is also important. If we can determine whether it is a random error without patterns, a systematic error with a pattern, a controllable error that can be reduced or extended, or a predictable error, we can acquire more precise and efficient measurement. The primary goal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type and cause of errors which self-reported measurements produce, in the context of news exposure measurements. The research question that this study aims to answer is what is the predictable error, what kind of biases exists, and what we should be careful when we interpret the self-reported values. There are three reasons for misreporting in self-reported measures of news exposure: first, flawed estimation, second, social desirability, and third, satisficing answers. Among these, satisficing produces random errors which are unpredictable or unpreventable; therefore, this study does not deal with satisficing, but flawed estimation and social desirability. Regarding the errors from flawed estimation, it occurs because people tend to estimate the time or frequency of their media use based on inappropriate references instead of calculating their actual use deliberatively. Meanwhile, social desirability, the tendency to answer socially desirable direction, also generates errors. Since viewing or reading news is considered as a socially desirable behavior, people who tend to describe themselves positively (self-deceptive positivity) and to manage their impression (impression management) are likely to overreport their news exposure. The study attempts to confirm these two hypotheses that flawed estimation and social desirability are causes of self-reported measurement. Furthermore, the effects of several personal and contextual variables on news exposure self-reports are examined. Previous studies claimed that news exposure time was usually overreported in self-reports, and this overreporting tendency would be reduced if the respondents are provided proper references that assist their imperfect estimation. This study regards that the amount of time reduced by the assistant references as the errors derived from flawed estimation. In this study, I provided the average time of news exposure and personal time allocation frame to aid people’s estimation. To answer the research questions, a survey experiment was conducted. A total of 416 samples were assigned into three different conditions according to question types: the usual question ("How many minutes did you view Internet news yesterday?"), the average question ("According to a research conducted in 2018, Korean people view news 28.6 minutes per day. How many minutes did you view Internet news yesterday?"), and the time frame question (After asking minutes used for sleeping, eating, working and using Internet, then ask "How many minutes did you view Internet news yesterday?). Self-reported news exposure in each condition was compared. Analysis of the data shows that the average clue and timeframe clue in self-reporting leads people to report less exposure than the condition without reference clues. The result indicates that the overreport of news exposure is partly due to the flawed estimation. In addition to that, the overreporting is correlated with political interests, subscription of newspapers, the estimation of others' news exposure, the level of multitasking, and the number of routes used for news. The social desirability hypothesis was examined by the same data from the survey experiment. Contrary to previous studies that consider news exposure and use as socially desirable behavior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re are individual differences in the degree of giving socially desirable answers. The social desirability as a personal attribution is a construct that consists of self-deceptive positivity and impression management. Furthermore, the study claims that people perceive news exposure as a socially desirable behavior in the variable degree, and the extent of this perception would affect measurement errors. The analysis shows that only impression management predicts the amount of news exposure. However, it declined the self-reported news exposure, which is opposite to the hypothesis. The study argues that the self-reported measurement, which has been long used in media effects research, could have produced distorted results due to measurement errors, by examining the self-reports of Internet news exposure time. We found that news exposure time could be biased by political concerns, psychological proximity to the news, or social desirability. Systematic errors with directionality create spurious correlations that could lead to an exaggeration of media effects, and uncontrollable random errors make it difficult to capture existing effects. In this study, we observed a phenomenon in which an error exaggerating an effect and an error blurring the effect exist simultaneously. This study shows that in order to build a more explanatory theory in media effects research, it is necessary to work on improving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measuring media exposure and usage. 미디어 효과 연구의 시작은 미디어에 대한 노출 또는 미디어의 이용을 잘 조작화하여 측정하는데 있다. 미디어 노출과 이용이 미디어 효과 연구의 핵심 변수임에도 불구하고, 연구자들은 이 변수의 조작화와 측정에 대해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 이 연구는 미디어 효과 연구에서 무엇을 어떻게 측정하는 가에 대해 충분한 논의가 이루어지지 못했음을 지적하고, 오랫동안 주요 미디어 노출과 이용의 주요 측정 방식으로 이용되어온 자기보고식 측정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검토하고자 했다. 측정 방식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측정 상의 오류의 양, 즉 오차의 규모와 방향을 파악하고, 오차가 발생하는 이유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규칙성이 없는 무선 오차인지, 패턴을 가진 체계적 오차인지, 줄이거나 늘일 수 있는 통제 가능한 오차인지, 예측 가능한 오차인지 등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의 일차적 목표는 자기보고식 측정이 가진 오차에 대해 검토하는 것이다. 뉴스 노출량 측정의 맥락에서 자기보고식 측정에서 발생하는 오차에 대해 체계적으로 검토해 무엇이 예방 가능한 오차이고, 어떤 식의 편향이 존재하며, 자기보고식으로 측정된 값을 해석할 때 무엇을 주의해야 할지에 대해 답해보고자 한다. 뉴스 노출의 자기보고식 측정에서 오보고가 발생하는 이유는 첫째, 잘못된 추정, 둘째, 사회적 요망성, 셋째, 적당하게 응답하기 전략의 선택 세 가지로 설명할 수 있다. 이 중 적당하기 응답하기 전략을 선택함으로써 나타나는 오류는 예측할 수 없는 무선 오차를 발생시키는 오류이므로, 이 연구에서는 이를 제외한 잘못된 추정의 오류, 사회적 요망성 오류를 검토했다. 잘못된 추정의 오류는 뉴스 노출량을 보고할 때, 개인이 실제 노출 시간을 셈하지 않고, 잘못된 근거를 사용해 뉴스 노출 시간을 추정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오류이다. 사회적 요망성 오류는 뉴스를 보는 것이 사회적으로 바람직하다고 여겨지는 행동이기 때문에, 인상을 관리하거나 자신을 긍정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사실과 다르게 응답하면서 발생하는 오류이다. 이 연구는 잘못된 추정의 오류 및 사회적 요망성 오류, 이 두 가지 오류가 뉴스 노출의 자기보고식 측정에서 오차를 발생시키는지, 또 그 오차는 어떠한 설명 요인들의 영향을 받는지 확인했다. 먼저 예비 관찰과 선행 연구를 근거로 인터넷 뉴스 노출 시간을 보고하는 데에 있어 자기보고식 측정은 과도 보고의 방향으로 오차가 발생한다고 보고 그 오차가 잘못된 추정에 의해 발생하는지 확인했다. 뉴스 노출 시간을 추정할 때 도움을 줄 수 있는 추정의 단서를 제시하면 과도 보고 경향이 교정될 수 있다고 보고, 추정의 단서가 제시됐을 때 줄어드는 인터넷 뉴스 노출 시간이 잘못된 추정 오류에 기인한 오차라고 보았다. 이 연구에서는 추정의 단서로 인구 전체의 평균 인터넷 뉴스 노출 시간 정보와 개인의 하루 시간을 재구성하는 시간틀을 사용했다. 이를 위해 총 416명에게 1주 간격으로 3번 하루의 뉴스 노출 시간을 설문으로 물었다. 추정의 단서가 없는 일반 조건, 인구 평균 단서 조건, 시간틀 단서 조건으로 응답자를 구분하고, 각각의 질문으로 물었을 때 뉴스 노출 시간의 자기보고가 달라지는지 확인했다. 데이터 분석 결과 평균 단서와 시간틀 단서를 제공해서 자기보고식 측정을 하면 별도의 추정 단서없이 일반적인 질문으로 측정했을 때보다 인터넷 뉴스 노출이 시간이 줄어들었다. 잘못된 추정에 의해 과도 보고가 일어나고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 그리고 이 과도 보고 경향은 정치적 관심, 종이신문의 구독 여부, 타인의 뉴스 노출 시간 예측, 멀티태스킹 정도, 뉴스를 보는 데 사용한 경로 수와 상관관계가 있었다. 사회적 요망성 오류에 대해서도 같은 설문 실험을 통해 분석했다. 기존 연구들이 뉴스 노출과 이용을 사회적으로 바람직한 행동으로 간주하고 모든 사람이 과도 보고할 것이라고 예상한 것과 달리 이 연구에서는 개인에 따라 사회적으로 바람직한 방향으로 응답하고자 하는 경향성이 다를 것이라 보았다. 개인의 속성으로서의 사회적 요망성을 자기 기만과 인상 관리 욕구 두 가지로 하위 개념으로 측정하고, 이들 변수들이 뉴스 노출의 자기보고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또, 뉴스 노출을 얼마나 사회적으로 바람직한 행동으로 보는지 정도에 따라서도 자기보고식 측정오차가 발생할 것으로 보고, 이 영향력도 함께 확인했다. 그 결과, 자기 기만과 뉴스의 사회적 요망성 인식은 뉴스 노출의 자기보고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인상 관리 정도는 뉴스 노출 시간의 자기보고량을 줄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미디어 효과 연구들이 오랫동안 사용해 온 자기보고식 측정이 상당 부분 실제 미디어 이용이 아닌 다른 오차에 의해 왜곡되어 왔다는 것을 인터넷 뉴스 노출 시간의 측정을 검토해 밝혔다. 뉴스 노출 시간이 정치적 관심이나 뉴스와의 심리적인 근접성, 사회적 요망성 경향성 등에 의해 편향될 수 있음을 확인했다. 방향성을 가진 체계적 오차는 허위 상관관계를 만들어 미디어 효과의 과장으로 이어질 수 있고, 통제할 수 없는 무선 오차는 존재하는 효과를 포착하기 어렵게 만든다. 이 연구에서는 효과를 과장하는 오차와 효과를 흐리게 하는 오차가 동시에 존재하는 현상을 관찰했다. 이 연구는 미디어와 인간의 상호작용에 대한 보다 설명력 있는 이론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미디어 노출과 이용량의 측정의 타당도와 신뢰도의 제고에 힘쓰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 항산화 활성이 최적화된 통율무와 진피 첨가 커피 개발과 소비자 기호도

        황현정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7631

        Coffee is one of the most well-known favorite foods which has been enjoyed by the entire world over its long history and contains bitter tastes, astringency, acidic tastes, and goso flavors. The raw material for the coffee consumed in South Korea, the green coffee beans and the roasted coffee beans are entirely dependent on the importation. As the consumption of the coffee increases, the importation volume of such materials is increasing continuously as well. As the consumption of coffee and other beverages increase, the consumers are seeking newer and more diverse choices, while preferring to healthy food products in consideration of the health and the quality of life. For this, it became necessary to develop new beverages that could meet such demands. For this reason, the researcher conducted this study with a view to establishing the roasting condition for the optimized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whole adlay and dried citrus peel, which are South Korean specialty agricultural products and conducted a customer survey on the coffee containing these ingredient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developing a mixed coffee product that could meet both serve the functional and preferential demands. In Part Ⅰ. of this study, the RSM(Response Surface Methodology) was used on the whole adlay and dried citrus peel to establish the roasting condition that could maximize the antioxidant activities. The independent variables of the study were the temperature(X1)and time(X2), which were divided into 13 segments based on the core synthesis plan. After the extraction of the ingredients in hot water, the electron donating ability, total phenolic compound content, total flavonoid content, and hydrox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ere analyzed. The result of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optimal roasting condition for the maximized antioxidant effect was 178.00℃, 9.97 min for the whole adlay and 70.90℃, 9.03 min for the dried citrus peel. In Part Ⅱ, a customer survey and the sensory evaluation were conducted on the coffee containing the whole adlay and the dried citrus peel. Firstly, the whole adlay which was processed under the optimal roasting conditions was added in 5%, 10%, 15%, 20%, and 25% in a blended coffee base composed of coffee beans from Brazil, Sumatra Mandheling, Doi Chang of Thailand, and beans for Ethiopia, so that the flavors of the roasted whole adlay can harmonize with the flavor of the coffee. The dried citrus peel was also roasted under the optimal conditions and was added in 5%, 10%, 15%, 20%, and 25% to the blended coffee base composed of Yirgacheffe and Sidamo, in consideration of the harmonization of the flavors. These sensory attributes of these samples were evaluated and the result showed 26 characteristics, included the nut taste, cacao taste, goso taste, herbal medicine taste, goso flavor, herbal medicine flavor, bitterness, savory taste, and heavy body taste. The analysis on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characteristics showed that the goso taste was closely and positively related to the nut flavor and the nut flavor was positively related to the cacao flavor and the strength of the coffee. On the other hand, the acidic flavor was positively related to the herbal medicine flavor and herbal medicine taste, while negatively related to the goso taste and cacao taste. The PCA(Principal Component Analysis) of the sensory attributes showed that the overall strength of the taste, savory taste, bad smell, acidic taste, food additive taste/flavor, acidic flavor, herbal medicine flavor, and soil flavor were strongly loaded to the positive direction of the primary component. Especially, the sample with 25% dried citrus peel showed the strongest characteristics. The bitter taste, strength, nut flavor/taste, goso flavor, and sweet flavor were strongly loaded to the negative direction of the primary ingredients. In consideration of the positions of the samples, it was determined that these were the commonly existing characteristics in the coffee samples with whole adlay. The customer survey was conducted with a sample group of 90 participants, composed of 15 male and 15 female participants, respectively, from each age group of 20s, 30s, and 40s. The participants were presented with the whole adlay and dried citrus peel coffee samples of different proportions. The survey was conducted as a CATA(check-all-that-apply) method on the preference and the cause of preference or non-preference of the whole adlay and dried citrus peel coffee samples. The result of the survey on the preference showed that the participants in their 20s generally preferred 5% whole adlay samples, while 30s 10% and 40s 15%. As for the dried citrus peel coffee samples, all age groups showed a high preference to the 5% samples as a whole. In the CATA survey, the common preferential factors of the whole adlay coffee were the color, goso flavor, burnt flavor, and familiarity and the non-preferential factors were the astringency and bitterness. The common preferential factors of the dried citrus peel coffee samples were the light body taste, smooth swallowing and color, while the non-preferential factors were the acidic taste, and unfamiliarity/strangeness. Also, as the density of the dried citrus peel increased, the frequency of selecting the acidic taste, acidic flavor, strangeness, and herbal medicine flavor as the non-preferential factors increased in all age groups, while the frequency of selecting the uniqueness and impression that the beverage might be good for health as the preferential factors increased. In this study, the possibility of using the whole adlay and the dried citrus peel as a health food material was explored and the optimal conditions for using them were established, while it was confirmed that the age groups and the density of these ingredients affected the level of preference. It is expected that the findings in this study could be used in the development of the healthy, functional coffee beverage for different age groups. 커피는 쓴맛, 떫은맛, 신맛 및 구수한 맛 등이 조화되어 만들어지는 대표적인 기호식품으로 오랫동안 세계인들에게 사랑 받고 있다. 국내에서는 한국전쟁 이후 점차 대중화 되었으며, 특히 2000년 이후 대형 테이크아웃 커피전문점이 생겨나면서 커피 시장은 해마다 고성장을 보이고 있다. 하지만 국내에서 소비되고 있는 커피의 원재료인 생두 및 원두는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며, 소비가 확대됨에 따라 수입량 또한 지속적으로 증가 하고 있다. 반면 현재 쌀을 비롯한 우수한 품질의 국내산 농산물들은 수입 농산물의 가격경쟁력에 밀려 생산량 대비 소비량을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어 이에 대한 정책 마련과 다양한 제품 개발 등의 노력이 필요한 시점이다. 또한 커피를 비롯한 기호음료 소비가 증가하면서 소비자들은 더욱 더 새롭고 다양한 제품을 찾을 뿐만 아니라 삶의 질과 건강을 고려한 기능성 식품을 선호하고 있어 이를 충족 할 수 있는 기호음료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항산화 활성이 최적화 될 수 있는 통율무와 진피의 로스팅 조건을 확립하고 이를 첨가한 커피의 관능적 특성 평가와 소비자 조사 연구를 실시하여 기능성과 기호성을 만족시키는 혼합커피로서의 개발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먼저 Part Ⅰ.에서는 통율무와 진피에 대한 반응표면분석(Response Surface Methodology, RSM)을 실시하여 항산화 활성이 최대로 나타내는 최적화 로스팅 조건을 확립하였으며, 독립변수는 온도(X1)와 시간(X2)으로 설정하고 중심합성계획에 따라 13구간으로 나누어 열수추출 한 후 electron donating ability, total phenolic compound content, total flavonoid content, hydroxyl radical scavenging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통율무의 항산화 활성 최적 로스팅 조건은 178.00℃, 9.97 min, 진피는 70.90℃, 9.03 min으로 분석되었으며, 통율무를 최적 조건으로 로스팅 하였을 때 electron donating ability은 72.09%, total phenolic compound content는 16.00 mg TA/g, total flavonoid content는 122.56 mg QE/100 g, hydroxyl radical scavenging는 53.09%로 예측되었고, 진피를 최종 최적 조건으로 로스팅 한 결과 electron donating ability 72.38%, total phenolic compound content 10.73 mg TA/g, total flavonoid content 105.74 mg QE/100 g, hydrox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60.26%로 예측되었다. 이후 동일조건에서 재실험 하였으며, 실험치를 비교한 결과 값이 95% 신뢰구간(confidence interval, CI)에 속하여 재연성을 검증하였다. Part Ⅱ.에서는 통율무 및 진피 첨가 커피의 관능적 특성 평가 및 소비자 조사를 실시하였다. 우선 최적 조건으로 로스팅 처리 된 통율무는 커피와의 향미가 조화롭게 어우러질 수 있도록 브라질(Brazil), 인도네시아 수마트라 만델링(Indonesia Sumatra Mandheling), 태국 도이창(Doi Chang), 에티오피아 시다모(Ethiopia Sidamo) 원두가 블랜딩 된 커피 베이스에 5%, 10%, 15%, 20%, 25% 씩 첨가하였으며, 진피 역시 최적 조건으로 로스팅 처리 한 후 커피와의 조화로운 향미를 고려하여 에티오피아 예가체프(Ethiopia Yirgacheffe)와 에티오피아 시다모(Ethiopia Sidamo) 원두가 블랜딩 된 커피 베이스에 5%, 10%, 15%, 20%, 25% 씩 첨가하여 시료로 사용하였다. 묘사분석을 통한 관능적 특성 평가 결과, 견과류 향미, 카카오 향미, 고소한 향미, 한약 향미, 고소한 향, 한약 향, 떫음, 감칠맛, 무거운 바디감 등 총 26개의 특성을 도출하였다. 관능적 특성에 대한 주성분 분석(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에서는 전반 맛 강도, 감칠맛, 이취, 신맛, 조미료 향/향미, 신내, 한양 향미, 흙 향 등이 제 1주성분의 양의 방향으로 강하게 부하되었으며, 특히 진피를 첨가한 시료에서 강한 특성을 나타냈다. 쓴맛, 진한 정도, 견과류 향/향미, 고소한 향, 달콤한 향 등과 같은 특성은 제 1 주성분의 음의 방향으로 강하게 부하되었으며, 시료의 위치와 대응하여 보았을 때 통율무를 첨가한 커피 시료에서 전반적으로 나타나는 특성으로 분석되었다. 소비자 조사는 20대, 30대, 40대 남녀 각각 15명씩, 총 90명을 대상으로 진행 하였고 농도별로 첨가한 통율무 커피 및 진피 커피에 대하여 기호도, 강도, 태도, 선호 및 비선호 이유 CATA(Check-all-that-apply)조사를 실시하였다. 기호도 조사 결과 통율무 첨가 커피에 대해서는 20대 소비자는 5% 첨가한 커피, 30대 소비자는 10%, 40대 소비자는 15%를 첨가한 커피를 전반적으로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진피를 첨가한 커피에 대해서는 전 연령대에서 5%를 첨가한 커피의 전반적 기호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CATA(Check-all-that-apply) 조사에서 통율무 첨가 커피의 공통적인 선호요인은 색, 고소한 향과 구운 향, 친숙함 등이 선택되었으며, 비선호 요인에는 떫은 맛과 쓴 맛이 선택되었다. 진피를 첨가한 커피의 공통적 선호요인으로는 가벼운 바디감, 부드러운 목 넘김, 색상을 선택하였고 비선호 요인으로는 신맛, 낯섦/익숙하지 않음을 선택하였다. 또한 진피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전체 소비자에서 비선호 요인으로 신맛, 신내, 낯섦/익숙하지 않음, 한약향의 선택 빈도가 높아졌으며, 선호 요인으로 새로움/독특함, 건강에 좋을 것 같음의 선택 빈도가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통율무 및 진피의 기능성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탐색하고 최적 조건을 확립하였을 뿐만 아니라 이를 첨가한 혼합커피의 농도, 소비자의 연령에 따라 기호도가 달라지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제한점은 소비자 조사의 대상자가 한국인에 국한되어 국가별 소비자에 대한 비교·분석에 한계가 있었다는 것이며, 향후 국가별 소비자 조사 연구 등을 통해 한국형 커피로서의 역수출 가능성에 대한 평가가 필요다고 사료된다.

      • 푸드아트테라피를 적용한 중도입국 청소년에 관한 사례연구

        황현정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중도입국 청소년에게 푸드아트테라피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그들에게 어떤 변화가 있었는지 살펴보기 위한 사례 연구로 경기도의 한 중학교의 다문화 예비학교와 특별학급에서 수업 받고 있는 입국 1년 미만의 중도입국 청소년 6명을 연구 참여자로 하였다. 중도입국 청소년의 모국과 한국의 음식을 활용한 푸드아트테라피 프로그램을 구안하여 중도입국 청소년에게 적용하였고 프로그램 활동 후 수업 내용을 기록한 수업일지와 작품, 면담 자료를 통해 연구 참여자들에게 생긴 변화를 분석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아에 대한 긍정적인 변화가 있었다. 중도입국 청소년들이 자신을 이해하고 감정이나 생각을 표현하는데 자신감이 생겼음을 확인하였다. 프로그램 초기에 중도입국 청소년들은 친근한 음식과 재료들을 즐겁게 먹으면서 작품을 완성하는 것에 흥미를 느끼면서도 자신의 현재의 감정 표현 등 자기표현에는 소극적이고 의욕 없는 태도를 보였다. 또한 작품 내용 분석 결과 중도입국 청소년들은 프로그램이 즐겁고 재미있다고는 하였지만 낯선 것으로 부터의 경계심과 자신을 드러내지 않고 보호하고 싶어 하는 방어적 모습도 살펴볼 수 있었다. 그러나 중도입국 청소년들은 프로그램 회기가 지날수록 좀 더 다양한 재료를 사용하고 다채로운 방법으로 표현을 하는 등 서툴고 소극적인 모습에서 자신의 생각을 적극적이고 자신감 있게 표현해감을 확인하였다. 또한 중도입국 청소년들은 프로그램을 통해 생긴 자신에 대한 긍정적 확신과 자신감을 바탕으로 행복한 미래를 꿈꾸고 있었다. 중도입국 청소년들은 긍정적인 기억들을 상기하고 자신을 지켜주는 존재와 장점들을 찾아 꿈을 향해가는 일련의 반복적이고 긍정적인 경험들을 통해 내면의 두려움과 부정적인 감정들은 줄어들고 긍정적인 미래의 확신으로 채워나갔다. 둘째,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감소하였다. 푸드아트테라피 프로그램에 모국의 음식을 활용함으로써 중도입국 청소년들은 모국 문화를 지지받고 모국의 음식을 접하며 떠올리는 행복한 기억으로 자신감을 찾고 있었다. 또한 중도입국 청소년들은 한국의 음식을 매체로 작품을 완성하고 다른 연구 참여자들과 함께 음식을 먹으며 자연스럽게 한국음식 문화를 익히고 공유하며 안정감을 얻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다시 말해, 중도입국 청소년에게 모국과 한국의 음식을 활용한 푸드아트테라피 프로그램을 적용한 결과 중도입국 청소년들의 긍정적 자아 형성으로 자존감이 향상되고 모국과 한국의 이중 문화 적응 기회의 증가로 문화 적응 스트레스의 감소가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는 푸드아트테라피 프로그램을 통해 중도입국 청소년이 긍정적인 자아를 회복하고 형성하는 기회를 갖게 되었다는 것에 의의가 있으나 6명의 연구 참여자의 참여와 7회기의 프로그램을 진행한 것으로 그 결과를 일반화시키기에 한계가 있다. 그러므로 후속 연구에서는 많은 중도입국 청소년과 더 연장된 회기의 프로그램을 통해 연구를 진행 할 필요가 있다. 둘째, 중도입국 청소년은 또래 관계에 영향을 많이 받는 청소년기에 있으므로 후속 연구로 또래 관계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적용을 통한 연구를 제안한다. 셋째, 본 연구는 중도입국 청소년의 모국과 한국의 음식을 매체로 사용하여 중도입국 청소년의 문화 적응에 기여하려는 시도를 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으나 프로그램의 목표에 적절한 음식들을 구성하는데 어려움이 있었으므로 후속 연구에서 푸드아트테라피에 활용 가능한 다양한 나라의 음식들을 연구한다면 중도입국 청소년에게 프로그램을 적용할 때 더욱 효과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주제어: 푸드아트테라피, 중도입국 청소년

      • 효율적인 이상 탐지를 위한 적대적 도메인 적응 기법

        황현정 아주대학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에서는 시계열 특성을 가진 보안 정형 데이터와 도메인 적응(Domain Adaptation)의 결합을 통해 이상 탐지에 효율적인 딥러닝 모델을 제안한다. 제안 모델은 서로 다른 두 개의 보안 도메인 데이터셋에 적용할 수 있으며, 두 도메인 사이의 확률적 데이터의 분포 차이를 최소화 하기 위해 적대적 학습을 사용하여 도메인 이동(Domain Shift)을 최소화하는 장점을 가진다. 본 논문의 실험에 사용된 데이터셋들은 모두 가변적인 길이를 갖고 있는 시스템 콜(System call) 시퀀스(Sequence) 데이터로, 시스템 콜 사이의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찾기 위해 임베딩(Embedding)기법을 적용하는 등 데이터 전처리를 수행하고 다양한 임베딩 차원의 비교 실험을 통해 가장 높은 성능을 보이는 차원 수를 도출 후 입력데이터로 사용하였다. 제안 모델과의 성능 비교를 위해 제안 모델과 동일한 LSTM(Long Short-Term Memory)인코더를 적용하고 도메인 적응을 하지 않은 모델을 사용하였으며, 성능 평가지표를 통해 두 모델의 결과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모델이 도메인 적응을 하지 않은 모델보다 학습시간을 67% 단축하였고 유사한 재현율을 도출하며 효율적인 이상 탐지의 가능성을 보이는 반면, 도메인 적응을 하지 않은 모델은 높은 성능을 보이지만 학습시간이 길게 소요되는 한계점을 보였다. 또한, 본 연구의 모델은 기존 전이 학습(Transfer Learning)의 학습 과정처럼 큰 데이터셋에서 작은 데이터셋으로 전이하지 않아도 도메인 적응 방법을 통해 타겟 데이터가 소스 데이터 보다 상대적으로 매우 큰 경우에도 효과적인 이상 탐지 성능을 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In this paper, we propose a deep learning model that is efficient for anomaly detection through the combination of secure structured data with time series characteristics and domain adaptation. The proposed model can be applied to two different secure domain datasets, and has the advantage of minimizing domain shift by using adversarial learning to minimize the distribution difference of stochastic data between the two domains. The datasets used in this paper are system call sequence data with variable lengths, and data preprocessing such as applying embedding techniques to find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system calls is performed, and the number of dimensions with the highest performance is derived and used as input data. To compare the performance with the proposed model, we applied the same Long Short-Term Memory (LSTM) encoder as the proposed model and used a domain-free model, and compared the results of the two models through performance evaluation indicators. As a result, the model proposed in this paper reduced learning time by 67% compared to the model without domain adaptation and derived similar reproducibility and showed the possibility of efficient anomaly detection, while the model without domain adaptation showed high performance but limitation of long learning time. Furthermore, the model of this study shows effective anomaly detection performance even when target data is relatively much larger than source data through domain adaptation methods without transitioning from large to small datasets, such as the learning process of transfer learning.

      • 실리카 다공체의 기공 구조에 따른 열전도 특성에 관한 연구

        황현정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실리카 광물을 출발 원료로 하여 고기공률 실리카 세라믹 다공체를 제작하였다. 제작된 다공체의 기공 구조에 따른 열전도 특성을 파악하고 단열재로의 응용 가능성에 대해 평가하였다. 제작된 다공체를 대상으로 가스흡착법 및 아르키메데스법을 이용하여 벌크 밀도 및 기공 구조를 평가하였다. FE-SEM 사진 및 수은주입법을 이용하여 다공체의 기공 크기를 측정하였다. 제작된 다공체의 전체 기공률이 67.0% 에서 84.8% 까지 증가함에 따라 열린 기공률 및 평균 기공 크기가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제작된 다공체의 열전도율을 보호열판법(Guarded hot plate method)을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기공 구조에 따른 다공체의 유효 열전도율을 예측하였다. 실리카 다공체의 기공률이 증가함에 따라 상온에서의 열전도율은 0.191 W/m·K 에서 0.079 W/m·K 까지 감소하였으며, 이는 유효 열전도율 예측 결과와 유사하였다. 측정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출발 원료 및 기공 내 기체의 열적 특성으로 인해 다공체의 열전도율이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제작된 다공체를 일정 크기로 가공한 후, 시험로에 장착하여 단열재로서의 성능을 평가하였다. 제작된 다공체의 기공률이 68.9%에서 84.8%까지 증가함에 따라, 1 cycle 당 소비되는 전력량은 2.65 kWh에서 1.85 kWh로 감소하였으며, 이는 열전도율 측정 결과와 부합하였다. 기공률 84.8%를 가지는 세라믹폼 단열재를 사용하였을 경우 전력소비량은 섬유형 단열재에 비해 약 10% 감소하였으며, 이를 통해 실리카 다공체의 단열재로의 응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Porous silica ceramics with high porosity were prepared using silica minerals as raw materials. Thermal conductivity characteristics of silica ceramic foams according to pore structures were determined and the applicability of insulation material was evaluated. Bulk density and porosity of silica ceramic foams were evaluated by gas pycnometer and Archimedean method. Pore size of silica ceramic foams were measured by using FE-SEM images and mercury intrusion porosimetry. As total porosity of silica ceramic foams increased from 67.0% to 84.8%, the open porosity and the average pore size increased. Thermal conductivity values of silica ceramic foams were measured by guarded hot plate method and effective thermal conductivity values according to pore structure were predicted using structure models. As total porosity of silica ceramic foams increased, thermal conductivity values at room temperature decreased from 0.191 W/m·K to 0.079 W/m·K, which is similar to the predicted effective thermal conductivity values. As the measurement temperature increased, it was figured out that thermal conductivity of ceramic foams increased due to the thermal properties of raw materials and gas-filled pores. Thermal insulation performance of silica ceramic foam was evaluated. As the porosity of silica ceramic foam increased from 68.9% to 84.8%, the average power consumption per 1 cycle decreased from 2.65 kWh to 1.85 kWh, which was consistent with the measured thermal conductivity values. As the power consumption was reduced by about 10% compared to fiber insulation when ceramic foam with porosity of 84.8% was used, the applicability of using silica ceramic foam as an insulating materials was evalua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