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도시 형태 변화 모니터링을 위한 머신러닝 기법의 가능성 - 보스톤 사례연구를 중심으로 -

        황지은(제1) ( Hwang Jie-eun ),황지은(교신) ( Hwang Jie-eun ) 디자인융복합학회 2017 디자인융복합연구 Vol.16 No.5

        본 연구는 머신러닝의 기법이 도시 형태를 분석 및 추론하는 복잡한 과정에 적용 되었을 때, 도시 공간의 변화를 감지하고 분석하며 예측 할 수 있는 가능성을 사례 연구의 근거를 통해 제시하고자 한다. 사례 연구는 미국 보스톤의 메인 스트리트를 대상으로 도시 형태를 분석하는 과정에 머신러닝의 기법을 적용 실험하여 그 효용성을 예증했던 2006년의 선행 연구의 결과를 2016년 도시 형태와 현상을 비교 재해석하여, 10년간의 변화를 도시적 관점, 정보 환경의 관점, 기술적 관점에서 분석하고 이에 유효한 도시모니터링의 시사점을 도출했다. 먼저, 다중 참여형 정보 수집의 플랫폼이 열리면서 대용량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할 수 있는 기술적으로 가능해졌다. 로봇이나 드론 등 인공지능이 탑재된 기계들을 사용하여 도시 정보를 취득하고 개입할 수 있는 가능성과 신산업의 요구에 맞추어 도시 정보 체계를 바꿀 수 있는 가능성이 열려있다. 결론적으로, 현 도시의 당면 문제에 집중하고 각 지역의 특성에 맞는 모니터링 전략을 세우는 것이 중요하며, 국내에서는 최근 도시 재생의 관점이 강조되고 있으므로 그 실천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This study explores potential capability of a machine learning approach for monitoring urban morphology based on an evident case study. The case study conveys year 2006 investigations on interpreting urban morphology of Boston Main Streets by applying a machine learning approach. From the lesson of the precedent study, in 2016, another field research and interview was conducted to compare changes in urban situation, data commons culture, and technology innovation during the decade. This paper describes open possibilities to advance urban monitoring for morphological changes. Most of all, a multi-participatory data platform enables managing urban data system in real time. Second, collaboration with machines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can intervene the framework of the urban management system as well as transform it through new demands of innovative industries. Recently, urban regeneration became a dominant urban planning strategy in Korean, therefore, urban monitoring is on demand. It is timely important to correspond to in-situ problems based on empirical research.

      • KCI등재후보

        신경과학적 접근을 통한 공간 디자인 연구 방향 탐색

        황지은(Hwang, Jie Eun) 한국디지털디자인협의회 2015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5 No.2

        본 연구는 신경과학 기초이론과 최근 연구들 가운데 공간 지각 및 인지에 관련된 연구들을 고찰하고 그 시사점을 도출하여, 공간 디자인에서 도전해야 할 연구 가설들을 제안하고자 한다. 궁극적으로, 조경, 도시, 건축, 실내 디자인에 이르는 다양한 공간의 맥락에서 인간 본연의 생체적 심리적 속성을 이해하는 새로운 관점으로 신경과학의 연구 성과를 이해하고, 공간 디자인의 고유한 직능에서 발현되는 통합적 사고가 새로운 과학적 탐구대상을 발굴할 수 있는 학술적 기초를 마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를 통해 기존 건축 도시 이론, 환경심리학, 인지과학 측면에서 인간 행태와 공간 디자인을 연관시켜온 연구들의 토대를 점검하고, 신경과학의 기초이론에서 공간 인지에 관여하는 뇌의 기본 영역 및 구조, 감각과 지각, 그리고 다중 감각과 감각연합에 관하여 개괄적으로 고찰한다. 이를 바탕으로 공간 디자인에 시사점을 도출하여 공간에서 기억, 정서, 치유와, 감각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으로 마무리했다. 향후 이 질문들을 기초로 과학과 디자인이 상호 보완적으로 공헌할 수 있는 구체적인 연구 주제를 도출하여 발전시킬 계획이다. This study suggests hypothetical implications of neuroscience for spatial design by reviewing fundamentals and current findings of neuroscience research focusing on multisensory spatial cognition. Ultimately, the new perspective of neuroscience opens a novel context to understand characteristics of human mind and body throughout the entire spectrum of spatial design professions: landscape, urban design, architecture, and interior design. It contributes a multidisciplinary ground of scientific knowledge brought by comprehensive ways of design thinking. First, we conducted a survey od precedent research on environment psychology, cognitive science that conveyed correlated issues of human behavior and environmental design. Secondly, we summarized brain structures that operates spatial cognitions, mechanism of sensation and perception, multisensory perception, and sensory association. Based on the reviews, we concluded in research propositions and hypothesis related to memory, emotion, healing, and sensation of space. For the future study, we will implicit research questions that will derive mutual intellectual interaction of both neuroscience and design.

      • KCI등재

        공유 경쟁: 협력적 도시설계의 새로운 가능성 - 개방형 디자인 공모전 참여자 상호 참고 관계망 기초 분석 -

        황지은(주저자) ( Hwang Jie-eun ),황지은(교신저자) ( Hwang Jie-eun ) 디자인융복합학회 2018 디자인융복합연구 Vol.17 No.2

        본 논문은 실험적인 개방형 공모전의 기획과 진행과정을 소개하고 연관된 다양한 정보를 분석하여 개방형 협력에 대한 해석적 결과를 조명하고자 한다. 기존 공모전과 달리 디자인 과정을 공유하고 과정 중에 개방형 협력을 독려했던 시도가 직접 참가자들의 적극적인 참여로 다양한 방식으로 발현되었다. 특히 공모전을 위해 개발한 개방형 온라인 플랫폼에 기록된 참가자들의 활동 정보 분석을 통해 개방형 협력이 활발히 이루어졌음을 확인할 수 있다. 참가자간 연결망 분석으로 참여의 역할과 협력의 유형을 도출할 수 있었고, 자발적 연합 프로젝트의 등장 등 예상하지 못했던 의미 있는 논의도 진행되었다. 1500건에 달하는 참가자들의 댓글 대화 분석에서 참가자들의 동기부여가 단순히 당선을 위한 경쟁보다는 상호 협력으로 배울 수 있는 공유의 가치에 있었음을 찾아 볼 수 있다. 공모전이라는 특수한 환경이지만, 이를 확장하여 도시계획의 새로운 소통 방식으로 다양한 가능성을 타진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인터넷 기반 온라인 소통이 도시계획 건축설계 분야에서 새로운 협업의 방법론에 대한 단초를 제시한다. This paper introduces an experimental design competition that conveys strongly evident results of open collaboration through analysis of related data of the competition. Unlike conventional design competitions, this experiment encouraged to share the interim results among participants and to collaborate with other competitors, and it turned out various meaningful open collaboration. Especially, this study highlights that the online platform successfully facilitated open collaboration through analysis of archived user activity data during the competition period. The reference network among participants illustrates diverse types and roles of collaboration. Moreover, autonomous project was constructed along with open discussion, which is beyond the expectation. The qualitative analysis over 1521 comments and social dialogues concluded that majority of participants got motivated through sharing experiences rather that exclusive competition. Despite of the hypothetical situation as a design competition, this result opens new potentials of communicative methods of urban design and architectural design. This research proposes the new discourse of collective learning process as open collaboration in these domains.

      • 사용자 참여형 모바일 증강현실 콘텐츠 제작 체계에 대한 기초 연구 : 정동길 증강현실 콘텐츠 제작 사례의 사용자 경험을 중심으로

        황지은(Jie-Eun Hwang),이상희(Sanghee Lee),김한결(Hangeol Kim),서지원(Jiwon Seo),민준기(Junki Min) 한국HCI학회 2012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2 No.1

        스마트폰 등 모바일 기기의 사용이 급증하고, 사용자 제작 콘텐츠 유통구조가 보편화되면서, 다양한 매체로 제작된 정보를 현장에서 증강하여 활용하는 서비스 모델이 제시되어 왔다. 본 연구의 목표는 사용자 참여형 모바일 증강현실 콘텐츠 제작 및 활용에 필요 요건과 실증적 한계를 도출하고 사용자 경험적 측면에서 보완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는 데 있다. 원격현장에서는 데스크탑 웹기반 제작 시스템, 현장에서는 모바일 기반 콘텐츠 체험 시스템으로 순환되는 증강현실 콘텐츠의 제작 체계를 정의하고, 이를 바탕으로 사용자 워크샵을 진행하혔다. 서울 정동길의 역사적 사건과 문화적 배경을 대상으로 진행한 워크샵을 통해 콘텐츠 제작과정에서 통합적 사용자 경험를 개선하기 위한 한계와 문제점을 도출하고, 이를 보완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As user-created content deployment system has been generalized with the growing use of mobile devices such as smart phones, a wide range of augmented reality applications displaying real time digital information have been published. Based on user participatory content creation workshop through a platform of web-based augmented reality content authoring and mobile-based application, this study suggests a new approach for a supplementary solution learned from restrictions and problems of the workshop.

      • KCI등재

        현장조사 행위 유형에 대응하는 도시유산 모니터링 모바일 인터페이스 개발 - 한양도성 모바일 모니터링 시스템 계획을 중심으로 -

        황지은(주저자) ( Hwang Jie-eun ),황지은(교신저자) ( Hwang Jie-eun ) 디자인융복합학회 2018 디자인융복합연구 Vol.17 No.2

        본 연구는 대표적인 도시유산인 한양도성의 모니터링 모바일 인터페이스를 제안하여 통합적 정보 시스템으로서 모니터링 업무의 실효성과 새로운 가능성을 탐색한다. 먼저, 모니터링에 관한 연구 및 실무 현황을 고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현장과 조사 대상의 특성과 조사자의 조사 행위에 의거하여 Point Inspection, Node Checking, Route Following으로 유형을 정의한다. 이를 모바일 인터페이스로 시범 구현하여 현장 조사자 중심의 조사의 편의성과 조사 대상의 종합적 이해를 증진할 수 있도록 반영했다. 이는 단순히 현장 조사의 편의성을 목표하는 것이 아니라, 향후 모니터링의 과정이 통합적인 도시 환경 정보시스템의 작동 체계로 발전할 가능성을 시사한다. 도시의 현장에서 조사할 수 있는 지표 정보를 수집하는 업무 뿐 아니라, 도시 정보를 현장에서 확인하고 진단할 수 있으며, 도시 계획과 정책의 수립과 실행에 보다 실용적인 근거를 마련할 수 있다. This study explores feasibility and potential capability of urban monitoring system through demonstrating a urban heritage mobile monitoring interface of Seoul City Wall, one of the most remarkable urban heritage in Seoul. Precedent studies for monitoring of world heritage, city plan, and urban regeneration lead to develop typology of field survey based on characteristics target objects and survey behaviors. Three types of filed survey - Point Inspection, Node Checking, Route Following - were implemented in prototype interface. Mobile monitoring system aims not just for easy usability, but for comprehensive integration of monitoring endeavors into urban information system. This paper concludes with pragmatic evidences of in-situ action of urban monitoring towards ultimate feedback system between planning and field surve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