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동양철학의 시선으로 본 4차 산업혁명의 제 문제

        황종원 ( Hwang Jong-won ) 단국대학교 철학연구소 2019 哲學論考(철학논고) Vol.1 No.-

        이 글은 동양철학의 시야에서 4차 산업혁명의 기술적 특징을 규명하고 그것의 바람직한 발전의 방향을 제시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문에서는 우선 4차 산업혁명의 가장 극단적 이념인 트랜스휴머니즘이 도교의 신선사상과 흡사하고, 인공지능과 인간의 관계에 대한 논의가 중국 전국시대의 인간과 자연의 관계에 관한 논의와 본질적으로 동일함을 밝혔다. 나아가 인공지능이 추구하는 기술적 표준, 즉 골디락스 존(Goldilocks Zone)은 중용 개념과, 인공지능의 자율성은 무위 개념과 각각 흡사함을 밝혔고, 인공지능이 야기하는 윤리적 문제는 관계중심적인 사고에 의해서만 그 해결의 방향이 올바르게 모색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또 초연결사회(Hyper-Connected Society)에서 인간과 사물, 사물과 사물 사이의 커뮤니케이션을 유학의 감통(感通) 개념이나 만물일체(萬物一體)설을 차용해 설명하였고, 가상현실(Virtual Reality)을 불교의 공(空)관의 입장에서 설명해보았다. 이러한 고찰을 토대로, 결론에서는 『중용』의 성(誠)에 관한 논의를 참조하여 4차 산업혁명의 기술이 인간, 인공지능, 자연, 이 삼자사이의 협력성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발전해야 함을 주장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from the perspectives of Eastern philosophy and to present a proper developmental direction. The study revealed first that transhumanism, the most extreme ideology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s similar to the idea of hsien(仙) in Taoism and that discussion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human are essentially identical to discussion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and nature of China's Warring States Period. Further, it revealed that the technological standards pursued by artificial intelligence, or in other words the Goldilocks Zone, is similar to the principles of the doctrine of the mean and the autonomy of artificial intelligence is similar to the concept of Wuwei(無爲), and it argued that the direction of solutions for the ethical problems caused by artificial intelligence can only be properly found through relationship-focused thinking. Also, communication between humans and objects and among objects in a hyper-connected society were explained by borrowing the stimulus-response(感通) theory or all things in a body(萬物一體) theory of Confucianism and virtual reality was explained from the position of Buddhism’s thought of emptiness(空). Based on such examinations, the conclusion referred to discussions regarding sincerity(誠) in the doctrine of the mean(中庸) and arguments were made that the technology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must develop in directions that strengthen the collaboration among huma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nature.

      • 투고눈문 : 최제우와 박은식의 유교개혁 방향, 평등관, 서구 근대문명에 대한 태도

        황종원 ( Jong Won Hwang )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2011 퇴계학과 유교문화 Vol.49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mpare Choe Je-U`s direction of Confucianism reform, idea on equality and attitude towards modern western civilization with those of Park Eun-Sik. Standing at the turning point of modern times, both of the two persons criticized Confucianism, while at the same time, however, inherited some of its core values and pursued its religious movement. Choe Je-U, who declared the end of Confucianism by founding Dong-hak under the doctrine of ``serving God``. emphasized the interiority of God by inheriting Neo-Confucian concept of ``seong(性, nature)`` and ``gi(氣, energy)``, and clarified natural life movements as the ``gihwa(氣化, evaporation)`` of God. In contrast, Park Eun-Sik, who only declared the end of Zhu Xi`s doctrines and asserted the effectiveness of Wang Yangming`s doctrines, tended to seek the religious movement of Confucianism under Wang Yangming`s doctrines. Park Eun-Sik`s direction of Confucianism reform not only reflected his pragmatic judgement on how much Wang Yangming`s doctrines could apply to the popularization and modernization of Confucianism, but also contained his idea that the modernized real world should be overseen by the appropriate universal conscience. Both Choe Je-U`s and Park Eun-Sik`s thought about Confucianism reform had major impacts on the idea on equality and the attitude towards modern western civilization. The idea on equality of Dong-hak, which was formed based on the doctrine of ``serving God``, emphasized on the respect and reverence for others rather than equal rights. Compared to this, although Park Eun-Sik`s Utopian dream. in which conscience was fully realized. seemed similar to Dong-hak, his advocacy of equal rights for small and weak nations was different. What`s more, Choe Je-U, who saw the destructiveness through western modern civilization and showed a very critical attitude towards it, suggested the principle of ``Muwiihwa(無爲而化, the change of non-doing)`` as a countermeasure. By contrast, though Park Eun-Sik sometimes criticized modern western civilization for its destructive nature, he contended that it should he accepted actively, showing a different attitude from Choe Je-U.

      • KCI등재

        유가 문화전통의 시각에서 본 민주정치와 사회주의 - 1930년대 초 양수명(梁漱溟)의 비판적 사유를 중심으로 -

        황종원 ( Hwang¸ Jong-won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20 儒學硏究 Vol.53 No.-

        이 글은 1930년대 초에 양수명이 유가 문화전통의 시각에서 서구 근대 민주정치와 사회주의를 어떻게 비판했는지 살피고 그것이 갖는 정치사상적 의미는 무엇인지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양수명은 근대 민주정치가 ‘자아’에 대한 자각을 기초로 자신의 권리를 쟁취하기 위해 투쟁하는 삶의 태도를 고취하며, 자기를 내세우고 상대를 견제하는 갖가지 제도를 세웠고, 정치의 목표가 욕망 충족에 머무른다는 점 등을 비판했다. 이에 반해 유가 문화전통에서는 자기와 타자의 조화를 최우선의 가치로 삼기 때문에 ‘다투지않음(不爭)’을 숭상하고, 자신을 낮추고 상대를 높이는 예(禮)를 중시하며, 정치가 원대한 도덕적 이상과 교화의 기능도 갖는다고 했다. 한편 양수명은 사회주의의 철학적 기반인 마르크스주의 유물론 및 근대 과학이 생명의 자기중심성을 맹목적으로 추종함으로써 형성된 이론과 학문이라고 비판했다. 그리하여 사회적으로도 서구에서는 계급투쟁이 극심했고 무산계급 혁명론도 출현했다고 진단했다. 이와는 달리 중국문화는 조화를 중시하여 계급투쟁이 극심하지 않았다고 하면서 투쟁을 중시하는 문화의 가치를 낮게 취급했다. 양수명은 서구 민주정치가 자칫 약자의 권리를 보장하지 못하는 치명적 약점을 지님을 간파했는데, 만약 유가 문화전통을 지닌 사회가 그가 말한 예의 정신을 근거로 강자가 자신을 낮추고 약자를 높이는 문화를 일구어낼 수 있다면, 민주정치의 약점이 극복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 그가 마르르크스주의 유물론과 혁명론이 지닌 기계적, 투쟁적, 권리 중심적 성격을 폭로한 점도 지극히 타당하다. 다만 그는 예의 정신을 인간과 자연의 관계에도 적용하여 생태윤리의 제시나 자연 친화적 생산기술에 대한 모색으로 나아가지는 못했다. This article aims to observe how Liang Shu-ming criticized Western modern democratic politics and socialism from the perspectives of Confucian traditions in the early 1930s and reveal the political ideological significance of this. Liang Shu-ming promoted an attitude of a life of struggle to attain his own rights based on a self-awareness of his modern democratic political ‘self’, erected various systems that assert the self and check competitors, and made criticisms that political goals remain directed toward a gratification of desire. On the contrary, as Confucian cultural traditions place harmony of the self and others as their highest value, they pursue ‘no quarrels’ along with manners that humble the self and honor others, and they consider politics to possess grand moral ideals and to have functions of edification. On one hand, Liang Shu-ming criticized that the materialism and modern science of Marxism, which is the philosophical base of socialism, are theories and sciences formed through the blind support of the egocentricity of life. Thus, he diagnosed that class strife was severe in the West socially and that proletariat revolutionism had also emerged. Unlike this, he stated that Chinese culture placed importance on harmony without any severe class strife and considered cultures that place importance on struggle to be of low value. Liang Shu-ming viewed Western democratic politics to have the fatal weakness of being unable to guarantee the rights of the weak and that if societies with Confucian cultural traditions could create a culture in which the strong can humble themselves and honor the weak based on a spirit of propriety, then the weaknesses of democratic politics can be overcome. Also, his exposure of the mechanical, combative, and rights-oriented properties of the materialism and revolutionism of Marxism was also completely reasonable. However, he also applied a spirit of propriety to relationships between humans and nature and was unable to move forward towards a search for the presentation of ecological ethics or nature-friendly production technology.

      • KCI등재

        하린의 지행합일신론 연구

        황종원(Hwang, Jong-won) 한국양명학회 2017 陽明學 Vol.0 No.46

        이 글은 하린의 지행합일신론(知行合一新論)이 동서철학 융합의 측면에서 어떤 특징과 의의를 지니는지 밝히기 위해 쓰였다. 우선 하린의 지행합일론이 서양철학의 어떤 것을 흡수해 전통 지행합일론을 새롭게 했는지 분석했다. 그 결과 하린이 이른바 자연적 지행합일론에서 의식적 활동과 생리적 활동으로 지(知)와 행(行) 개념을 규정하고, 스피노자의 심신평행론(心身平行論)을 응용해 지행합일의 함의를 재해석해, 서양철학의 연구 성과를 중국의 지행합일론이 흡수하도록 했음을 밝혔다. 또 명시적(顯, explicit), 암묵적(隱, implicit)이라는 심리학적 용어를 차용해 지와 행의 수준을 둘로 나눔으로써 중국 전통 지행합일론을 포함하는 가치론적 지행합일론에서의 지개념을 ‘분명한 의식과 불분명한 행위의 합일체’로, 행 개념을 ‘분명한 행위와 불분명한 의식의 합일체’로 보다 엄밀히 규정할 수 있었음도 밝혔다. 또 하린이 스피노자의 심신평행론을 흡수했기 때문에 전통적 지행합일론에서 지와 행의 발동이 비동시적이라고 분명히 할 수 있었다는 점도 발견했다. 다음으로 하린이 자신의 지행합일론을 근거로 왕양명과 주자의 지행관계론중에서 어떤 점을 부각시켰는지, 또 어떤 점을 다소 곡해하거나 비판했는지 살피면서 이들 사이의 유사성과 차이점을 분석했다. 그 결과 하린과 왕양명은 모두 교육원칙의 측면에서 지와 행의 균형을 강조한다는 점, 지와 행의 본래적 합일을 말한다는 점, 지와 행을 동일한 하나의 과정의 두 측면이라고 생각했다는 점에서 유사하다는 점을 확인했다. 그러나 왕양명이 지와 행의 상호 포용적 관계 및 행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것과는 달리, 하린은 지와 행의 명확한 개념적 분립 및 지의 중요성을 강조한다는 점에서 다르다는 점을 밝혔다. 한편 하린과 주자는 주지주의적 경향을 강하게 띤다는 점에서 유사하지만, 하린이 시종 지의 주도성을 강조하는 데 반해 주자는 지만큼 행도 중시했다는 점에서 다르다는 것도 알 수 있었다. 위와 같은 하린의 지행합일에 관한 논의는 서구의 심신관계론을 중국화했다는 점, 전통 지행합일론의 함의를 세밀하게 재규정하고 비판적으로 계승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다만 지나친 주지주의적 경향으로 인해 행의 의미가 지나치게 부차적인 것으로 취급되었다는 점에서는 아쉬움이 남는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at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He Lin’s new doctrine of the unity of knowledge and action. First, I analyzes which Western Philosophies He Lin’s theory absorbed to make traditional doctrine of the unity of knowledge and action anew.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has found that He Lin defined the concepts of knowing(知) and doing(行) with conscious activities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in his so-called doctrine of the natural unity of knowing and doing, and applied Spinoza’s parallelism to reinterpret the implications of the unity of knowing and doing, and allowed the research results on Western philosophies to be absorbed into China’s doctrine of the unity of knowledge and action. Also, borrowing psychological terms, ‘explicit (顯)’ and ‘implicit (隱)’, he divided the levels of knowing and doing into two. He also says that the concept of knowing in doctrine of the axiological unity of knowledge and action including China’s traditional doctrine of the unity of knowledge and action is ‘the union of clear consciousness and unclear behavior’ and the concept of doing can be defined more strictly with ‘the union of clear behavior and unclear consciousness.’ Also, it has been found that since He Lin did absorb Spinoza’s parallelism, he could make clear the generation of Knowing and doing was non-simultaneous in traditional doctrine of the unity of knowledge and action. Next, based on his own theory, He Lin analyzed which aspects were stressed in Wang Yangming and Zhu Xi’s theories of relationship between knowledge and action, and examined which points were rather distorted or criticized to analyz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m. As a result, it has been found that He Lin and Wang Yangming were similar in that they both stressed the balance of knowledge and action in relation to the principles of education, they talked about the intrinsic unity of knowing and doing, and they thought knowing and doing were two aspects of a single process. But they were also different because Wang Yangming stressed mutually tolerant relations between knowledge and action and the importance of action, while He Lin emphasized clear conceptual division of knowledge and action and the importance of knowledge. Also, He Lin and Zhu Xi were similar as they strongly tended to be intellectualistic, but they were different, too, because He Lin constantly stressed the initiative of knowledge but Zhu Xi emphasized action as well as knowledge. Discussion over He Lin’s doctrine of the unity of knowledge and action as above is regarded significant in that it made the Western theories of relationship between the mind and body into Chinese’ and redefined the implications of traditional doctrine of the unity of knowledge and action precisely and transmitted it critically. Yet, it is sorry that his excessive intellectualistic tendencies made the meaning of action something minor.

      • 최시형 이천사천(以天食天)설의 두 가지 독법과 생태철학적 의미

        황종원 ( Hwang Jong-won ) 단국대학교 철학연구소 2022 哲學論考(철학논고) Vol.5 No.-

        이 글은 최시형의 이천사천(以天食天)설을 ‘하늘이 하늘로 먹는다’라고 풀이하는 것보다는 ‘하늘로써 하늘을 먹인다’라고 풀이하는 것이 원뜻에 부합한다는 점을 논증하고, 나아가 그러한 독법이 생태철학적으로 어떤 의미를 지니는지 간단히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대다수의 학자와 사상가들은 이 구절을 ‘하늘이 하늘을 먹는다’고 풀이한다. 물론 이 독법으로도 『해월신사법설』(이하 『법설』로 약칭함) 24장 전체의 2/3 가량은 이해가 순조롭게 된다. 하지만 결론부의 몇 구절들은 매끄럽게 설명되지 않는다. 한편 소수의 학자들은 이 구절을 “하늘로써 하늘을 먹인다”고 풀이하는데, 그 근거는 최시형이 하늘을 먹여주는 어머니-자연으로 생각했다는 데 있다. 이 독법을 따르면 『법설』 24장 마지막 단락의 의미를 비로소 명료하게 이해할 수 있다. 또한 『법설』의 다른 3차례 발언들을 살펴봐도 이 구절은 ‘하늘로써 하늘을 먹임’으로 읽는 것이 훨씬 더 타당함을 알 수 있다. 최시형의 이 학설은 생태 위기의 시대에 처한 우리에게 다음과 같은 점들을 재고하게 한다. 첫째, 인간이 밥을 먹고 자연을 이용하는 최종적 가능 근거는 자연에 있다는 점이다. 둘째, 자연을 자기희생적 사랑이 실현되는 협력과 조화의 장으로 이해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이 점들을 이해하고 받아들일 때, 현대인의 생활방식, 특히 노동양식은 생태적으로 전환될 수 있다. One of the main concepts of Deleuze-Gattari's practical philosophy, the 'body without organs', is like an egg as a virtual plane that has an intensity of zero and produces all the intensities. It is a manifold as a continuum of intensities that connect singular and plural simultaneously, going beyond the confrontation between them. The body without organs is anti-productive in that it is not produced as the result of something else external, but it forms a full body which is in itself the production process of desires. It also has two aspects: molecular and molar, microscopic, and macroscopic as a 'partial whole' that is dispersed and differentiated from each other, unlike an organism as a whole consisting of parts aimed at a single uniform self-identity. The body without organs is something that makes it possible for molecular desiring machines to de-territorialize from a socius while connecting the end of a socius that is progressing in a molar way. In order to avoid the death of desire trapped in organic and molar forms, Deleuze-Gattari presents the plan of consistency in which the manifolds coexist as a practical place for de-territorializing movements of the body without organs.

      • 자연과 어머니 혹은 여성의 연결 문제 - 서구 생태여성주의와 노자 사상을 중심으로 -

        황종원 ( Hwang Jong-won ),김윤빈 ( Kim Yun-bin ) 단국대학교 철학연구소 2023 哲學論考(철학논고) Vol.6 No.0

        이 글은 자연을 어머니 혹은 여성적 특성에 비유하는 것이 여러 비판에도 불구하고 생태철학적으로 여전히 중요한 의미가 있음을 생태여성주의와 노자의 사상을 중심으로 논증함을 목적으로 한다. 문화적 생태여성주의와 영적 생태여성주의는 이른바 여성성이 여성의 본래적인 특징은 아니라는 점에서 본질주의라는 비판을 피할 수 없다. 그러나 이들 분파는 여성과 자연의 가치를 재발견함으로써 여성에 대한 남성의, 자연에 대한 문화의 억압을 비판하고 제거하려고 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사회적 생태여성주의와 사회주의적 생태여성주의는 생태 위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회 전체적인 각성과 사회 구조의 변화를 주장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그렇지만 사회적 생태여성주의는 단순히 남성과 여성, 인간과 자연의 이분법에서 벗어날 것을 주장한다는 점에서 대안 제시에는 취약하고, 사회주의적 생태여성주의는 자본주의적 가부장제를 문제 삼기는 하지만 생태적 위기의 문제를 푸는 핵심 고리가 노동양식의 생태적 전환에 있음을 명확히 보지 못하였다. 한편 노자는 도를 어머니와 몇 가지 여성적인 특성들에 비유했는데, 이는 다음과 같은 근거에서 타당성이 있다. 첫째로 도는 무규정적이지만, 그것이 만물을 생육하는 은혜로운 존재라는 점에서 임시방편적으로 어머니에 비유할 수 있다. 둘째로 ‘도’는 유구한 세월 동안 약자의 위치에 있으면서도 강자를 포용하는 부드러운 특성을 보여 왔는데, 이는 현존 여성의 여러 특성이기도 한바, 자연의 도를 부드러운 것들로 비유하는 것 역시 자연의 포용성과 희생을 일깨운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셋째로 도를 어머니나 현존 여성의 여러 특성들에 비유하는 것이 여성주의의 틀 속에서는 비판적으로 생각될 수도 있으나, 노자 사상은 기본적으로 도의 모성 내지 여성성을 강조한 것일 뿐이라는 점에서 서구 여성주의의 사유 틀을 그대로 들이댈 수는 없다. 결론적으로 생태여성주의는 여성주의적 입장에 대한 고려가 강함으로 인해 생태주의적 색채가 약한 데 반해, 노자 사상은 생태주의적 색채는 짙게 배어 있으나 여성주의적 입장에 대한 고려는 그리 세심하지 않다고 할 수 있다. This article seeks to underscore the continued relevance of likening nature to motherly or feminine attributes within the realm of ecological philosophy. Despite enduring criticisms surrounding about such issue, this study aims to demonstrate that the significance can be proved as comparing between Western ecological feminism and Laozi’s ideas. Being criticized is inevitable for cultural ecological feminism and spiritual ecological feminism because essentialism strongly disapproves the definition of femininity can’t be defined as the original nature of women. However, both cultural and ecological feminism remain noteworthy for their effort to challenge the subjugation of women and nature, and to contribute meaningfully by reevaluating the worth of women and nature, thereby combating the dominance of male-centric culture over both. On the other hands, they can be very weak because they fall short in proposing comprehensive alternatives, focusing primarily on dismantling gender and nature divides. The latter, while critiquing capitalist patriarchy, neglects to emphasize the critical role of ecological labor transformation in resolving the ecological crisis. In the meantime, Laozi’s comparison of Tao to maternal and feminine attributes holds validity for several reasons. First, Tao’s indefinite nature aligns with motherhood, as it gives rise to and nurtures all things. Secondly, Tao’s tendency to embrace the strong while sheltering the weak mirrors the nurturing aspects found in women. This analogy enhances our understanding of nature’s inclusivity and selflessness. Third, Laozi’s comparison of Tao to maternal and feminine traits should be interpreted within the context of his unique ideology, which emphasizes these attributes without strictly adhering to Western feminist frameworks. In conclusion, ecological feminism, while colored by feminist perspectives, draws attention to the feminist position within the ecological discourse. Laozi’s philosophy, on the other hand, carries a deeper ecological hue but may require further exploration of its feminist implications.

      • KCI등재

        양계초의 유교에 대한 견해가 박은식에게 미친 영향 - 유교의 근대화와 종교화 문제를 중심으로 -

        황종원 ( Hwang Jong-won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18 儒學硏究 Vol.44 No.-

        이 글은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로 넘어가는 시기에 중국 지식인 양계초의 유교에 대한 견해가 어떤 특징을 지니고, 그 견해들이 한말 박은식의 유교 근대화 및 종교화 모색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양자의 공통점과 차이점이 무엇인지 밝히기 위해 작성되었다. 양계초는 무술변법 직후까지만 해도 강유위의 영향 아래에서 맹자의 민본사상, 인정사상, 공자가 세웠다고 믿은 대동 유토피아의 이상 등을 근대의 민주, 평등, 평화의 이념과 일치시켰고 공자교 운동에도 적극 찬동했다. 그러나 그 후 구국이 공자교의 보전보다 시급하다고 여기면서 강유위와 자신을 비판했다. 유교가 기독교나 불교 등의 기성 종교를 모방하는 방식으로 종교화하는 것, 공자 사상을 견강부회하여 근대 사상과 합치된다고 주장해온 것을 비판했다. 그렇지만 그가 유교의 근대적 가치 및 종교화 자체를 완전히 부정한 것은 아니었다. 그는 유교의 보편적 가치를 긍정했고 유교가 타 종교와 개방적이고 평등한 대화를 통해 자신을 지양하기를 희망했다. 한편 박은식도 유교의 근대화를 추구했다. 유교의 민중 지향성을 강화하려 했고, 유교에 구세정신을 심으려 했다. 근대 지식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였으며, 이로 인해 주자학보다 양명학을 도덕교육의 중심으로 삼았다. 이렇게 유교의 근대화 문제에 관한 박은식의 견해는 양계초의 그것과 대부분 일치한다. 박은식이 양계초의 견해를 대폭 수용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유교의 종교화에 대한 박은식의 생각은 양계초와는 사뭇 달랐다. 그는 유교의 종교화를 단지 근대국가 건설에 유효한 수단으로만 간주하지 않았다. 그래서 공자사상을 근대사상으로 왜곡하지 않았다. 그는 인간과 인간, 인간과 자연 사이의 협력과 조화라는 이념을 유교의 핵심 정신으로 고수했다. 이로 인해 박은식의 근대유교는 양계초의 그것에 비해 훨씬 더 이상주의적인 경향을 띠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a Chinese intellect, Liang Qi-Chao’s viewpoint about Confucianism from the late 19th to early 20th century, how his viewpoint influenced Pak Eun-Sik’s attempt to modernize Confucianism and make it a religion during late Chosun, and also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m. Right after the Reform Movement of 1898, under the influence of Kang You-Wei, Liang Qi-Chao still believed that Mencius’ thoughts toward the People’s Life, thoughts of benevolent rule, or the ideal of Utopia of ‘DaTong’ that was thought to have been built by Confucius did agree with the ideology of democracy, equality, or peace of the modern times and also supported the movement of Confucian church positively, too. However, he criticized Kang You-Wei and himself afterwards deeming that national salvation should be more urgently done than the preservation of Confucian church. He criticized the fact that making Confucianism as a religion imitated the way of existing religions like Christianity or Buddhism, and he also criticized they tried to distort the thoughts of Confucius to insist that they conformed to modern ideas. But this does not mean that he denied the modern value of Confucianism or making it a religion entirely. He supported the universal value of Confucianism and hoped that Confucianism would yield itself through open-minded and equal conversation with other religions. Meanwhile, Pak Eun-Sik, too, pursued the modernization of Confucianism. He tried to strengthen Confucianism’s people-orientedness and inserted the spirit of salvation into Confucianism. He also stressed knowledge education in the modern times, so he regarded not the study of Zhu-Xi but that of Yang-Ming as the center of moral education. In this way, Pak Eun-Sik’s ideas about the modernization of Confucianism mostly agree with those of Liang Qi-Chao as Pak Eun-Sik accepted Liang Qi-Chao’s ideas vastly. But Pak Eun-Sik’s thoughts about making Confucianism a religion were rather different from those of Liang Qi-Chao. He did not regard making Confucianism a religion just as a valid means to construct a modern country. That is why he was not willing to distort the thoughts of Confucius as those of the modern times. He adhered to the idea that cooperation and harmony between humans and between humans and nature should be the core of Confucianism. On account of that, Pak Eun-Sik’s modern Confucianism tends to be much more idealistic than Liang Qi-Chao’s.

      • KCI등재

        양계초의 격의 서양철학에 관한 연구

        황종원 ( Hwang Jong-won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17 儒學硏究 Vol.40 No.-

        중국 근현대사에서 격의(格義)란 중국 전통학문의 개념과 명제로 서양학문을 해석하는 방법을 가리킨다. 이 방법이 주로 19세기에는 중국 전통문화의 관점으로 서양문화를 해석하는 데 쓰였다면, 반대로 20세기에는 서양문화의 관점으로 중국 전통문화를 해석하는 데 쓰였다. 이 두 상반된 경향을 생각할 때, 20세기 초엽에 양계초(梁啓超)가 중국 전통철학의 개념으로 일련의 서양철학을 소개했던 것은 일종의 절충적 경향을 띠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한 가치가 있다. 우선 베이컨과 데카르트의 철학을 소개할 때 양계초는 주로 주자학의 개념을 차용하여 베이컨의 과학적 실험은 격물(格物)이라 하고, 데카르트의 방법적 회의를 통한 자명한 진리의 탐구는 궁리(窮理)라 하여 중국 독자들의 이해를 도왔다. 또 베이컨의 극장의 우상을 부각시켜 과거를 답습하는 경향이 강한 중국의 철학전통을 비판했으며, 반대로 베이컨이 원리를 경시한 점은 주자보다 못하다고 비판하기도 했다. 이런 비판의 시도는 홉스의 정치사상을 비교하는 글에서도 보인다. 이 글에서 양계초는 홉스와 순자의 정치사상이 유사하다고 하면서도, 정치적 이상성이라는 측면에서는 홉스가 더 낫고 사상체계의 일관성이라는 측면에서는 순자가 더 낫다고 평가했다. 또 홉스의 사상은 묵자의 그것과 유사하다고 하면서도, 군주의 권한 제한을 말한 묵자의 생각이 진일보한 것이라 했다. 양계초의 격의(格義)적 방법은 칸트철학을 소개하는 글에서 가장 풍부하게 쓰이고 있다. 그는 칸트와 유식불교의 인식론이 모두 현상세계는 인간정신에 의존한다는 관점에서 있음을 발견하였으며, 이에 유식불교의 용어로 칸트의 인식론을 설명할 수 있었다. 또 그는 도덕철학의 영역에서 칸트의 자유, 불교의 해탈, 그리고 주자학의 도덕성 사이의 유사성을 발견하는 동시에, 불교의 진여(眞如)는 대아(大我)를 뜻한다는 점에서 칸트의 `참나`보다 낫고, 칸트의 도덕철학은 자율도덕이라는 점에서 주자학보다 낫다고 평했다. 이러한 격의의 방법은 다음과 같은 의의를 지닌다. 첫째, 서양철학 수용 초기에 중국 전통철학의 개념으로 서양철학을 설명해 중국인들의 이해에 도움을 주었다. 둘째, 동양과 서양의 여러 사상들 사이의 유사성과 중요한 차이점이 밝혀졌다. 셋째, 서양철학으로 중국철학을 비판하고 반대로 중국철학으로 서양철학을 비판하는 방법은 동서양 학문을 균형감 있게 바라보는 시각에 토대를 두고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In Chinese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GeYi (格義, matching concepts) refers to a way of interpreting Western studies with the concepts and propositions of traditional Chinese studies. While this method was mainly used to interpret Western culture from the viewpoint of Chinese traditional culture in the 19th century, it was used to interpret Chinese traditional culture from the viewpoint of Western culture in the 20th century. Considering these two contrasting trends, it is worth noting that in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Liang Qi-chao(梁啓超, 1873-1929) introduced a series of Western philosophies using the concepts of Chinese traditional philosophy and it showed eclectic tendency. First, when introducing the philosophy of Bacon and Descartes, Liang Qi-chao mainly borrowed the concepts of Zhu Zi. He helped Chinese readers` understanding by calling Bacon`s scientific experiment Gewu(格物, the investigation of things) and calling Descartes` `exploration of self-evident truth through the methodical doubt` Qiongli(窮理, the full comprehension principles). He criticized Chinese philosophical tradition, which tends to blindly follow the past by highlighting `the idols of the theater` and criticized Bacon`s neglect of principles, in which sense he thought Bacon was inferior to Zhu Zi. This attempt of criticism is also seen in the comparison of Hobbes` political thought. In this text, Liang Qi-chao said that Hobbes` and Xun Zi`s political thoughts are similar, but Hobbes is better in terms of political ideal, and Xun Zi is better in terms of consistency of ideological system. He also said that Hobbes` idea is similar to that of Mo Zi, but Mo Zi`s idea about the restriction of monarch`s authority was a step forward. The method of GeYi by Liang Qi-chao is most frequently used in the texts that introduce Kant`s philosophy. He found that both Kant and the epistemology of Yogacara School are in the standpoint that the world of phenomenon depends on human spirit, so he was able to explain Kant`s epistemology using the terms of Yogacara School. He also found similarities between Kant`s liberty, nirvana of Buddhism, and Zhu Zi`s morality in the field of moral philosophy, and said that Tathata(眞如, suchness) of Buddhism is better than Kant`s `real self` in the sense that it means `the greater self(大我)`, and that Kant`s moral philosophy is better than Zhu Zi as it means autonomous morality. The method of GeYi has the following significance. First, it helped Chinese people`s understanding of Western philosophy by explaining it with the concepts of Chinese traditional philosophy at the time when China was starting to embrace Western philosophy. Second, similarities and important differences between the Eastern and Western ideas were revealed. Third, it is significant that the way of criticizing Western philosophy with Eastern philosophy and criticizing Eastern philosophy with Western philosophy is based on the viewpoint to see Eastern and Western studies in a balanced way.

      • KCI등재
      • KCI등재

        맹자의 "행기소무사(行其所無事)" 원칙과 성론(性論)에 대한 생태 철학적 접근

        황종원 ( Jong Won Hwang ) 東洋哲學硏究會 2007 東洋哲學硏究 Vol.50 No.-

        본 논문은 맹자의 `行其所無事` 원칙 및 그것의 性論으로의 관철이라는 문제에 대한 생태 철학적 시각에서의 탐구이다. 춘추전국시대 노동양식의 변혁은 인간과 자연의 관계와 자연관에도 근본적인 변화를 가져다 주었다. 이 시기 인간은 자연으로부터 완전히 해방될 수 있었으나, 자연의 측면에서 말하자면 이러한 인류의 진보는 자연의 자기희생을 의미하기도 했다. 이러한 역사적인 역설에 직면하여 도가가 자연성을 보존할 것을 주장하고 묵가가 기술적 해방에 적극적으로 찬동한데 반해, 맹자는 이 두 가지 관점을 종합하려고 했으니, 양주와 묵자에 대한 비판을 통해 그는 `行其所無事`의 원칙을 정립하게 되었다. `行其所無事`는 대상 파괴적 인식과 실천을 부정하는 동시에 대상의 본성을 따라가는 인식과 실천을 긍정하는 무위와 유위의 변증적 통일의 원칙이다. 맹자가 이러한 종합적 원칙을 제시할 수 있었던 까닭은 그가 백성의 농업생산에 관심을 가진 士 계층을 대변하는 사상가였다는 데 있으니, 이로부터 `行其所無事`란 농사 자체가 지닌 성격을 고스란히 반영하는 농업 문화적 사유방식의 전형임을 알 수 있다. `行其所無事`의 원칙은 맹자의 성론에도 철저히 관철되어 있다. 즉 인성 문제를 다룰 때 맹자는 물, 나무, 농작물과 같은 비유를 자주 쓰는데, 그것들이 지닌 생명성 및 생장, 성숙에 관한 묘사는 `行其所無事`의 원칙을 전면적으로 드러내고 있다. 현대 서양의 생태철학은 `자연의 내적 가치`라는 관념의 인식론적 근거와 관련된 논의에 머물고 있어서 주객 이분법적 사유 틀에서 완전히 벗어나지 못한 것처럼 보이는데, 이러한 생태철학의 현실을 감안할 때, 맹자의 "行其所無事"는 생태 문명의 구축에 있어서 인식과 실천의 근본적 원칙을 제시해 주고 있다. 그 밖에도 현대유가철학에서 仁의 보편성 이 보다 강화된다면 이른바 `측은지심`의 윤리학 역시 현대생태윤리학을 구성하는 귀한 정신적 자산이 될 수 있을 것이다. 作者在本文中立足於生態哲學的觀點, 着重探討了孟子的"行其所無事"原則及其在性論中的貫徹問題。隨着春秋戰國時期勞動方式的變革、人與自然的關係以及古人的自然觀發生了根本性的變化。在這個時期、人類從自然得到了解放、但是、就自然的角度而言、這種人類的進步、同時意味着自然的自我犧牲。面對這種歷史的悖論、道家提唱人類應當保持"自然"、而墨家積極贊同人類在技術上的進步; 孟子則試圖綜合這兩種觀點、通過批評楊墨、樹立了"行其所無事"的原則。所謂"行其所無事"、旣是反對對象破壞(無事)的, 又是效法對象本性(行)的認識和實踐、是一種"無爲"和"有爲"的辨證統一原則。之所以孟子能구提出這種綜合原則、是因爲他辯護"士"階層、而"士"本身就十分關注老百姓的農業生産活動。由此看來、"行其所无事"充分反映了農活本身所具有的特徵、是一種典型的農業文化思維方式。"行其所無事"的原則還充分體現在他的性論上:孟子討論人性問題時、經常運用一些比喩手段、如水、樹木、莊稼等、而他對타們的生命性及其生長成熟過程的描述、就全面體現了"行其所无事"的原則。當代西方生態哲學的爭論還停滯在自然的價値這一觀念的認識根據問題、似乎沒有完全擺脫主客二分的思維架。在這種生態哲學的困境下、孟子的"行其所無事"爲生態文明的建設可以提供認識和實踐的根本原則; 령外、假如在當代儒家哲學里仁的普遍性進一步得到强化、那마、所謂"惻隱之心"的 倫理學也可以化爲組成當代生態倫理學的十分寶貴的精神資源。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