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High-Ni 층상계 양극 활물질 합성 조건 및 후 열처리에 의한 잔류 리튬 제어 연구

        황인준 인하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39

        현재 리튬이온 이차전지는 스마트폰, 전기 자동차와 에너지저장시스템(ESS) 등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중 High-Ni계 NCM 양극 활물질은 전지의 고용량화, 고에너지밀도를 위한 리튬이온 이차전지의 차세대 양극 활물질로 크게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양극재의 Ni 비율이 높아짐에 따라 Ni 이온과 Li 이온이 자리를 바꾸는 양이온 혼합(cation mixing)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양극 활물질 표면에 리튬이 잔류하고, 잔류 리튬과 전해질과의 부반응을 통해 가스가 발생함으로써 전지의 스웰링이 발생하며, 결국에는 전지의 안전성 문제가 발생한다. 본 연구는 크게 두 가지의 목적을 가지고 진행하였다. 첫째로, high-Ni계 NCM 양극재 소성 공정을 최적화하기 위함이다. Ni 비율에 따른 소성 온도 조건을 최적화하여 차세대 양극재의 전기화학적 특성을 개선했다. 둘째로, LiNi0.925Co0.05Mn0.025O2 (NCM92.5/5/2.5) 양극 활물질의 소성 공정이 high-Ni계 양극재의 표면 잔류 리튬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특히, Ar 분위기의 2차 소성이 잔류 리튬 및 전지에서의 활물질의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Ar 분위기에서의 annealing을 통해 활물질 표면 잔류 리튬의 양이 줄어드는 것을 SEM을 통한 표면 분석, 수분산 시 pH의 측정 및 잔류 리튬에 대한 정량 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용량 및 율 특성의 손실 없이 전지에서의 싸이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국내 농업용수의 미생물학적 특성 조사 및 소독기술 적용

        황인준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39

        농산물로 의한 식중독사고 증가로 농산물과 농산물을 생산하는 농업환경의 미생물 관리가 중요해졌다. 농업용수는 관수나 세척 등을 통하여 작물에 직접 접촉되는 경우가 많아 농산물 식중독균 오염의 주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안전한 농산물 생산을 위해서는 농업용수의 미생물 안전관리 기준을 두어 관리해야 한다. 국내 실정에 맞는 농업용수 미생물 기준을 설정하기 위해서는 국내 농업용수 미생물 모니터링 결과를 활용해 위생지표세균 오염수준과 식중독세균의 검출과의 관계를 분석하여 위해성을 평가해야 한다. 또한, 관리기준이 설정되면 미생물을 기준 이하로 관리하기 위한 수처리 기술이 필요하기 때문에 농업용수 내 미생물 저감기술도 같이 연구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첫째로 농업용수 미생물 안전관리기준 설정을 위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고자 하였고, 둘째로 위생지표세균 농도에 따른 농업용수의 위해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셋째로 농업분야에 적용 가능한 수처리 기술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표수는 지하수에 비해 위생지표세균 오염도가 높았고, 지표수와 지하수 모두 여름철(7월) 오염도가 높았다. 둘째, 주요 식중독세균 3종 모두 지하수(0.6%)보다 지표수(7.4%)에서 높은 빈도로 검출되었고, 병원성 E. coli (3.5%) > Salmonella spp. (1.6%) > L. monocytogenes (0.7%) 순으로 높게 검출되었다. 셋째, 위생지표미생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유해미생물 검출확률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넷째, 일반적인 UV 처리 조건에서 용수의 종류에 상관없이 농업용수 내 미생물이 1초 내 3 log (99.9%) 이상 불활성화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국내 농업용수 오염 수준을 고려하면 UV 소독기술은 농업용수 내 미생물 제어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다섯째, 농업용수 내 염소 소독기술 적용 결과 염소가 농업용수 내 유기물과 반응하여 빠르게 감소하여 미생물 불활성화 효율이 떨어졌다. 염소 소독기술을 농업용수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농업용수 전처리 과정과 다른 소독처리와의 복합처리 효능에 대한 검정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는 국내 농업용수의 수원별, 계절별 미생물학적 오염도를 파악하였고, 위생지표세균 농도에 따른 위해성 증가를 확인하였으며, 농업용수에 적용 가능한 수처리 기술을 탐색하였다. Food poisoning accidents caused by agricultural products are increasing. Hygiene management of agricultural products and agricultural environment has become important. Agricultural water is one of the important risk factors for vegetable contamination with foodborne pathogens. Therefore, in order to produce safe agricultural product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microbial standards for agricultural water. In order to set the microbial standards for agricultural water, the risk should be evaluated by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centration of sanitary indicators and the detection of food-borne bacteria. In addition, when the management standard is established, disinfection technology ard needed to manage microorganisms below the standard. The goal of this study, first, it is intended to secure fundamental data for establishing microbial standards for agricultural water. Second, it is intended to risk analysis thr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centration of sanitary indicator bacteria and the detection of pathogenic bacteria. Third, tried to find the appropriate agricultural water treatment technology.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tream water had a higher degree of bacterial contamination than groundwater, and both stream water and groundwater had a higher degree of contamination in summer (July). Second, all three major food-borne bacteria were detected at a higher frequency in stream water (7.4%) than groundwater (0.6%), followed by pathogenic E. coli (3.5%) > Salmonella spp. (1.6%) > L. monocytogenes (0.7%). Third, it was confirmed that the probability of detecting pathogenic bacteria microorganisms increased as the concentration of sanitary indicators bacteria increased. Fourth, it was confirmed that more than 3 logs (99.9%) of microorganisms in agricultural water were inactivated within 1 second using UV treatment. Considering the level of domestic agricultural water microbial pollution, UV disinfection technology was useful in disinfection microorganisms in agricultural water. Fifth, as a result of applying chlorine disinfection technology in agricultural water, chlorine reacted with organic matter in agricultural water, resulting in poor microbial inactivation efficiency. In order to apply chlorine disinfection technology to agricultural water, it was necessary to test the combined treatment efficacy with agricultural water pre-treatment and other disinfection treatments. This study identified the degree of microbiological contamination by water source and season of domestic agricultural water, confirmed the increase in risk due to the concentration of sanitary indicator bacteria, and find the appropriate agricultural water treatment technology.

      • 가압성형 AlN-Y2O3-WO3 세라믹스와 테이프캐스팅 성형 AlN-Y2O3 기판 제조 및 물성 연구

        황인준 강릉원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39

        (4.5-x)Y2O3-xWO3-95.5AlN, x=0, 0.25, 0.50, 0.75, 1.00 의 조성을 BN용기에 장입 하여 1800℃에서 3시간동안 소결함으로써 소결체를 제작하였다. 소결체의 XRD 분 석 결과, 모든 조성에서 AlN이 주 결정상으로 나타났고, 2차 상으로 YAlO3(Yttrium Aluminum Perovskite) 및 Y4Al2O9(Yttrium Aluminum Monoclinic)이 생성되었다. WO3 및 Y2O3를 첨가한 조성에서는 이들 2차 상 이외 에 W2B가 생성되었으며, 미세조직을 확인한 결과 W2B 상의 크기는 수십 ㎚ - 1 ㎛이었다. 리트벨트법을 이용하여 XRD패턴을 해석한 결과, WO3의 함량이 증 가함에 따라 Y4Al2O9의 함량은 감소한데에 비해 YAlO3와 W2B의 함량은 증가함 을 보였다. 반사율 측정결과 400 ㎚ 이상의 파장영역에서 WO3의 함량이 증가할 수록 반사율은 25%에서 10%이하로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WO3를 첨가한 시편 모두 검은색을 나타내었다. 이는 반도체 칩에서의 광전도오류 발생을 막고 다 층 패키지의 내부 회로를 보이지 않게 하는 데 유리하다. 3.5Y2O3-1.0WO3-95.5AlN 시편에서 탄성율과 포아슨비는 각각 368 GPa, 0.196 이었으며, 유전상수와 유전손실 은 8.25 GHz의 공진주파수에서 측정한 결과 각각 8.6, 0.003인 결과를 나타내어 기존의 WO3가 첨가되지 않은 액상소결 AlN과 유사한 물성을 나타내었다. 한편, methyl ethyl keton(MEK)용매 중에서 분산제 종류 및 함량이 AlN-Y2O3 혼합분말의 분산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관찰 결과, 음이온성 고분자 분산제를 첨가한 조성은 에스테르계 비이온성 및 인산 에스테르계 음이온성 분산제를 첨가 한 조성에 비해 매우 우수한 분산성을 나타내었다. 분산제 함량은 분말대비 1∼3 wt%가 첨가할 때 분산효과가 우수하였다. AlN-Y2O3 혼합분말과 용매 및 바인더, 가소제, 분산제를 첨가하여 테이프 캐스팅법으로 제작한 기판의 열전도도는 138 W/m․를 나타내었다. Effect of WO3 addition on the densification, phase evolution, and properties of Y2O3-doped AlN ceramics sintered at 1800℃ for 3 h has been investigated. The total amount of oxides was 4.5 wt%. In all of the investigated compositions, YAlO3 and Y4Al2O9 were observed as the secondary phases. For the WO3 added specimens, W2B was additionally identified. As the quantity of WO3 increased, the amount of YAlO3 and W2B increased while that of Y4Al2O9 decreased, while the sinterability and thermal conductivity was not much influenced. Optical reflectance decreased drastically from 25 to 10 percent by the formation of W2B. As the amount of W2B increased, Poisson’s ratio slightly increased whereas the elastic modulus did not change apparently. The dielectric constant was not changed apparently by the formation of W2B but the loss tangent was slightly increased. For 3.5Y2O3-1.0WO3-95.5AlN, the thermal conductivity, elastic modulus, and the Poisson’s ratio were 134 Wm-1K-1, 368 GPa and 0.196, respectively, and the dielectric constant and the loss tangent at the resonant frequency of 8.25 GHz were 8.60 and 0.003, respectively. The capability of 6 types of dispersants in dispersing the AlN-4.5wt%Y2O3 powder mixture in methyl ethyl keton (MEK) medium were investigated based on sedimentation of the particles in the medium. Among the investigated dispersants, BYK-111 was shown to be the best in MEK medium, and its optimum amount was 1-3 wt% with reference to the ceramic powder. The optimum quantities of the binder (polyvinyl butyral, 24 wt% w.r.t. the ceramic powder) and plasticizer (polyethylene glycol, 2 wt%) were determined based on the flexibility, tensile strength, and number of holes in the tape-casted sheet. Ten tape-casted AlN-Y2O3 sheets were layered, warm isostatically pressed at 70oC and 100 bar, and finally sintered at 1800℃ for 4 h in flowing N2 atmosphere. The thermal conductivity of the sintered substrate was 138 W/mK.

      • 은행잎 바이오매스로부터 열분해를 통한 활성탄과 바이오연료 생산

        황인준 강원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39

        화석연료와 온실가스의 영향으로 지구온난화는 점점 가속화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발생한 기후변화에 의해 전 세계적으로 많은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화석연료의 경우 매장량이 한정되어 있고 분포가 편중적이므로 지속적인 자원으로써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이와 반대로 바이오매스는 지속적인 공급이 가능하며 탄소중립을 유지할 수 있는 유용한 자원이다. 한국 내에서 바이오매스를 사용한 발전량은 점점 증가하고 있으나 이는 발전부분에 국한된 것이며, 외국에서 바이오매스를 열에너지로써 확장하여 적극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것을 고려하였을 때 한국에서의 바이오매스 사용량 매우 저조한 편이다. 은행잎은 그 자체에 존재하는 성분으로 인해 분해가 제대로 진행되지 않으며 처리를 위해 많은 금액이 소요되는 폐기물 바이오매스이다. 폐기물 바이오매스는 추가적 공정인 열분해 과정을 통해 고부가 가치를 갖는 화합물로써 전환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은행잎을 사용한 열분해를 진행하여 은행잎의 재활용에 대한 다음의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째, 은행잎에 대한 원소분석, 무기물분석, 수분‧회분 함량분석을 통해 물성정보에 대해 파악하였다. 또한 TGA를 사용하여 얻은 DTG데이터를 통해 해당 은행잎의 열분해 특성에 대해서 연구하였으며, 활성화 에너지를 계산을 진행하였다. 둘째, 탄화과정과 물리적 활성화를 통해 활성탄 제조 실험을 진행하였다. 흡착과정에서 흡착질과 흡착제 사이의 상호작용을 이해하기 위하여 등온식 속도식을 적용하였으며, 제조한 활성탄 성능을 확인하였다. 셋째, 기포 유동층 반응기를 사용하여 열분해 생성물을 얻었다. 실험조건에서 온도 400~550 ℃, 최소 유동화 속도 2.0~4.0 Umf, 그리고 바이오매스 샘플의 크기에 변화를 주어 생성물의 수율과 특성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는 폐기물 바이오매스로써 취급되는 은행잎의 열분해 특성과 열분해 반응으로 생성된 물질들에 대한 성능 정보를 제공하여 은행잎에 대한 재활용 가능성을 제공한다. Global warming becomes accelerated due to increasing uses of fossil fuels and resulting climate change which is causing considerable damage all over the world. Fossil fuels have limitations as a continuous resource because their reserves are limited, and their distribution is biased. In the case of biomass, continuous supply is possible and it is a useful resource to maintain carbon neutrality. In Korea, power generation using biomass is increasing steadily, but it is only limited to power generation. Considering that biomass is expanded and actively used as thermal energy in foreign countries, biomass usage in Korea is very low compared to the other countries. Ginkgo leaf is treated as waste biomass that does not decompose properly because of the compounds of Ginkgo leaf itself and requires a large amount of money for disposal. Waste biomass can be converted into high valuable compounds through an additional process such as pyrolysis. In this study, pyrolysis using ginkgo leaves has been performed, and the following study was conducted for recycling ginkgo leaves. First, the physical properties of ginkgo leaves were identified through elemental analysis, inorganic analysis, and moisture/ash content analysis. Also, the pyrolysis characteristics and activation energy of the ginkgo leaf were investigated through DTG data obtained from TGA. Second, an experiment for manufacturing activated carbon was conducted through carbonization and physical activation process. To understand the interaction between absorbent and adsorbent during the adsorption process, isothermal and kinetic equations were applied, and the activated carbon performance was investigated. Third, pyrolysis product was obtained using a bubbling fluidized-bed reactor. Effect of pyrolysis temperature (400~550 ℃), fluidized velocity (2.0~4.0×Umf), particle size (0.25~1.21 mm) and characteristic of products were analyzed. This study provides information of pyrolysis characteristics using ginkgo leaves treated as waste biomass and the performance of the produced materials, providing the possibility of recycling ginkgo leaves.

      • 스마트폰 사용자의 채택의도 파악 연구 : 인적(주관적) 특성 및 디자인에 관하여

        황인준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정보기술을 수용하고 사용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해서 매우 높은 설명력을 가지는 모형으로 Davis(1986)가 제안한 기술수용모형(TAM)을 선정하였으며, 기술수용모형을 기반으로 스마트폰의 채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하여 연구모형을 설계하였다. Davis가 제안한 기술수용모형에서 수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변수로서 지각된 유용성(PU: Perceived Usefulness)과 지각된 사용편의성(PEOU: Perceived Ease of Use)에 사회적인 요인(사회적 규범, 사회적 압력), 자아 이미지, 지각된 비용, 디자인, 태도 요인들을 추가하였다. 태도변수는 기존 연구모형에서 낮은 설명력으로 제외되었으나 이후 선행연구를 통해 직접적인 결정요인으로 보는 추세를 따라 제외시키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들은 다음과 같은 한계점을 갖고 있다. 첫째, 기존의 이론에서 제시된 요인들은 조직 내의 정보 시스템 수용상황을 기반으로 제시되었기 때문에 스마트폰 사용자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에서는 제한적일 수 있다. 둘째, 기존의 연구들은 대부분 합리적이고 이성적인 측면만을 고려한 채택 또는 수용 요인을 제시하여 분석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스마트폰에 대한 채택의도에 관한 추가 확장 모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이성적이고 합리적인 변수로서 지각된 사용용이성(PU: Perceived Usefulness), 지각된 사용용이성(PEOU: Perceived Ease of Use), 감성적인 측면을 고려한 디자인(Design)과 태도(Attitude), 인적(주관적) 특성을 고려한 주관적 규범(Social Norm), 사회적 압력(Social Pressure), 사회적 이미지(Social Image)를 제시하였다. 설문조사는 2010년 7월 중순부터 약 한 달간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설문지 총 380부 중 80부를 제외한 총 300부의 설문지를 바탕으로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기존 TAM 관련 선행연구와 동일하게 지각된 유용성(Perceived Usefulness), 지각된 사용편의성(Perceived Ease of Use), 태도(Attitude) 요인은 채택의도(Intention)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전체 스마트폰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주변 지인에 의한 주관적 규범(Social Norm)은 지각된 유용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디자인(Design)은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사용편의성, 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직접적으로 채택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기업적인 측면에서 사용편리성, 유용성, 그리고 디자인을 강조한 마케팅 전략이 필요함을 시사할 수 있으며, 학문적으로는 정책적, 기능적으로만 접근했던 과거 스마트폰 선행연구들과는 달리 인적(주관적) 특성과 제품 자체에 대한 기술수용 연구를 진행함으로서 보다 포괄적인 이해와 지식을 제공해 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users’ behavior intention about smartphone adoption by using Technology Acceptance Model(TAM). The TAM is the one of the most popular method for validating their reliability which is suitable in Information Technology and real system usage. This study has been analyzing the effects from subjective factors(subjective norm, social pressure, social image) and design factor to the other factors such as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and intention. For this study, a survey questionnaire was developed and distributed to 300 people who have experienced using of smartphone. The scale of the survey was 7 Likert scale.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research were as follows. First, attitude,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ase of use are positively related to adoptive intention of smartphone product. Second, subjective norm is not related to perceived usefulness, but social image and social pressure are positively related to perceived usefulness. Third, design is positively related to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attitude, and intention directly. The results of the research provide the following suggestive points: in order to have consumers more promptly accept smartphone, there must be an initial marketing strategy that considers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and design. This means that a suitable marketing strategy is required for smartphone.

      • 4개의 구동형 구형 바퀴를 가진 전 방향 이동 플랫폼의 개발

        황인준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39

        전 방향 이동플랫폼은 구조적 특성에 의해 플랫폼의 자세에 관계없이 원하는 임의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기구이다. 전 방향 이동플랫폼은 기존의 바퀴형 이동 플랫폼에 비해 회전반경이 작아 좁은 공간에서의 회전이 가능하며, 목표 위치에 단시간에 효율적으로 도달할 수 있다. 기존의 전 방향 이동플랫폼에서는 주로 옴니휠(Omni Wheel), 메카넘휠(Mecanum Wheel)과 같은 벡터 합을 이용해 플랫폼을 동작할 수 있는 휠이 사용된다. 하지만 이러한 휠 들은 구조적 특성상 주행 과정에서의 불필요한 슬립이 발생하며 고하중에 취약하고 서스펜션 구조를 구현하기가 힘들다는 단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상기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4개의 구형의 볼 타입 바퀴를 가지는 이동형 플랫폼을 설계하였으며, 제어시스템 구축을 통해 전 방향 이동형 플랫폼 연구를 진행하였다. 볼휠은 90˚로 배치된 두개의 옴니휠들과의 접촉을 통해 구동이 된다. 따라서 각 옴니휠의 회전 방향 및 회전 속도에 의해 볼휠의 전 방향 이동성을 구현할 수 있다. 플랫폼의 위치에 대한 시뮬레이션 및 제어를 구현하기 위하여 볼휠 플랫폼의 시스템 운동학 해석을 하였고 구동 모터의 회전 각속도와 플랫폼의 위치에 대한 관계식을 도출하였다. 이 관계식을 이용하여 각 구동 모터의 회전 각속도를 결정할 수 있고 목표 속도에 대한 PID 제어 및 원격제어를 적용한 제어시스템을 설계하였다. 전 방향 이동플랫폼의 동작을 확인하기 위하여 전·후진, 좌우, 대각선 주행과 같은 기본적인 이동에 대한 실험 및 사각형, 삼각형, 제자리 회전과 같은 패턴 주행에 대한 실험을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볼휠을 가지는 새로운 형태의 전 방향 이동플랫폼의 이동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제안된 볼휠을 가지는 전 방향 이동플랫폼은 바퀴형 이동 플랫폼 및 옴니휠, 메카넘휠 구조의 전 방향 이동플랫폼에 비해 다양한 이점으로 인해 향후 다양한 산업분야에 활용될 것으로 보인다.

      • 슬래그 조성에 따른 MgO-C 내화재와의 물리·화학적 젖음 거동 연구

        황인준 한국공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39

        MgO-C 내화재는 고온에서 우수한 물리적 특성과 슬래그 저항성으로 제강공정 중 래들, 전기로 등에 내벽 소재로 사용된다. 하지만, 내화재가 슬래그와 접촉되는 경우 슬래그 침투로 인한 스폴링, 침식 등의 내화재 손상이 일어난다. 이는 Lucas-Washburn Eq과 연관이 있으며, 슬래그의 점도, 표면장력 및 슬래그-내화재 간의 접촉각을 통해 침투 깊이를 계산한다. 이 때, 접촉각은 염기도(CaO/SiO2 ratio), MgO 용해반응 등은 고려되지 않았으며, 이에 대한 연구도 부족하다. 본 연구는 MgO 함량 및 염기도가 다른 CaO-SiO2-Al2O3-MgO 4원계 슬래그와 MgO-C 내화재 사이의 젖음, 퍼짐, 침투에 대해 연구하였다. 슬래그는 1600℃에서 MgO 포화 및 비포화로 설정하였으며, 이 때의 염기도를 산성부터 염기성까지 변화시켰다. 실험은 DDT (Dispensed Drop Technique)를 사용하였으며, 접촉 이미지는 초고속 카메라(1000 frame/sec)를 사용하였다. 젖음거동 해석에는 ImageJ를 통해 얻은 겉보기 접촉각, 액적 높이, 액적 반지름이 사용되었다. 실험온도인 1600℃에서 열화된 내화재는 높은 기공도를 형성하였으며, 이에 접촉된 슬래그는 조성과 상관없이 최종적으로 모두 내화재 내로 흡수되었다. 슬래그 내 MgO가 포화일수록, 염기도가 높을수록 내화재 기판으로 흡수되는 시간이 길어졌다. 초기 슬래그 조성에 따른 접촉각 변화는 슬래그와 내화재간의 계면장력 차이에 의한 것으로 해석되었고, 장시간 슬래그의 침투는 MgO 용해와 SiO2 + C의 화학반응에 의해 가속화되는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wetting, spreading, and penetration behavior between MgO-C refractory and CaO-SiO2-Al2O3-MgO slag with different MgO content and basicity. The slag was set to MgO saturated/non-saturated at 1600°, and the basicity was changed from acidic to basic. The experiment used the dispensed drop technique(DDT), and the contact image used a high-speed camera (1000 frames/sec). The apparent contact angle, droplet height, and drop radius obtained through imageJ were used to analyze the wetting behavior. The refractory degraded at the experimental temperature of 1600 ℃ formed a high porosity, and all slag contacted with it was finally absorbed into the refractory regardless of its composition. The more saturated MgO in the slag and the higher the basicity, the longer the absorption time into the refractory substrate. The initial contact angle change according to the slag composition was interpreted as the difference in interfacial tension between the slag and the refractory, and the long-term slag penetration was thought to be accelerated by the dissolution of MgO and the chemical reaction of SiO2 + C.

      • 압력 용기 노즐의 최적 설계 방법에 관한 연구

        황인준 동아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39

        석유화학 플랜트 및 발전 플랜트에 설치되는 다양한 압력용기류는 공정상 중요한 역할을 하는 장치로서 산업체 대부분은 1915년 미국기계학협회에서 처음으로 발행한 압력용기 설계와 제작 방법에 대한 규격인 보일러 및 압력용기 ASME code sec. viii div. 1의 제시방법에 따라 압력용기의 설계 및 응력의 계산을 수행해오고 있다. 그러나 압력 용기에서 배관계와 연결되는 노즐 부위에 작용하는 부하에 대한 응력 평가 방법은 WRC107(Welding research council 107)을 사용하여 노즐 부위를 평가하고 있다. 노즐 부위 응력을 정확하게 설계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나 과도한 외부 하중이 압력용기 쉘 노즐에 부과되었을 경우 WRC107 해석 방법만을 사용하면 계산되는 최대 응력 값이 지나치게 크게 도출되어 쉘 및 노즐의 두께를 과도하게 선정되는 결과가 나타난다. 노즐 부하 값으로 인해 압력, 온도에 의해 요구되는 쉘 및 노즐의 설계 두께보다 불필요하게 비경제적으로 설계되는 경우를 줄이기 위해 WRC107 해석 방법보다 더욱 경제적인 노즐부하 해석 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노즐주변의 보강재를 추가하여 유한요소해석 방법을 통해 압력용기 쉘 노즐부위에 대한 최대 응력 값을 계산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노즐 주변의 보강재를 추가하였을 때 도출되는 결과를 알 수 있었고, 기기 특성에 따라 가장 적절한 평가 방법을 수립하여 경제적인 설계 방법을 사용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 심층신경망을 이용한 행렬분해 추천시스템 개선 연구

        황인준 서강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논문에서는 여러 기업 및 서비스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는 추천시스템에 대 하여, 최근 주목받고 있는 추천 알고리즘 및 성과 지표에 대하여 고찰하고 심층신경망과 행렬분해를 활용한 협업필터링을 중심으로 성능 개선을 위한 방법을 제안한다. 사용자와 상품의 상호작용 데이터를 활용하는 여러 추천 알고리즘 중 상호작용의 선형 및 비선형 패턴을 반영하기 위해 심층신경망과 행렬분해를 동시에 활용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또한 연구에 활용된 무비렌즈 데이터는 많은 결측치를 포함하고 있고, 일부 사용자들이 특이한 평가 패턴을 보인다는 점에 착안하여 사용자 및 상품 정보를 최대한 반영하기 위해 기존 방법에 사용자, 상품 임베딩 벡터를 추가로 결합하여 사용자의 선택 가능성을 보다 효과적으 로 예측하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알려진 심층신경망 활용 협업필터링 방법과 새롭게 제안한 방법의 성능을 다양한 조율 모수에 대하여 비교 평가하였다. 비교 결과에 의하면, 새롭게 제안한 방법이 우수한 특성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In this paper, we examine recommendation systems widely used by various companies and services. We review recent notable recommendation algorithms and performance measures for recommendation algorithms. Out of many recommendation algorithms, Neural Collaborative Filtering (NCF), which extends the concept of matrix factorization by using the idea of deep neural network, has received great attention in recent days. NCF captures linear and nonlinear patterns of user-item interactions well, and shows good performances. In this thesis, we propose a method, called new NCF (New_NCF), by adding a term obtained by concatenating two embedding vectors of user and item. New_NCF enables us to utilize more information of user preferences for each item. For comparison of algorithms, we considered MovieLens data, and tested major performance measures, such as MAP, NDCG, Precision and Recall, at various conditions of tuning parameters. We found New_NCF, we propose, shows a little superior margin compared to NCF in their performan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