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황룡사지 공간의 의미작용 연구: <삼국유사> 황룡사 설화를 중심으로

        황인순 ( In Soon Hwang ) 한국기호학회 2013 기호학연구 Vol.37 No.-

        The purpose of this essay is to construct semiosis between Hwang ryong sa originated narratives and its real space. This essay will take a new approach by focusing on inter-framing of these two aspects. Temple originated narrative consist of mythos, based on their divine and also logos, based on their substantiality. Consequently, these narratives tend to have mythos same as Hwang ryong sa narraves. Afterward, mythos in narratives activate the signification of temple space Hwang ryong sa, vacant space. Finally, narratives become frame of space and memory activate actual meaning of space. In conclusion, cultural memory in narrative space consist of its mythos and logos from narratives "and" space. They became frame of each other and mediate different signification of different level and time zone, past and present.

      • KCI등재

        근대 프랑스어 설화집 기술 비교 연구

        황인순(Hwang In soon) 한국고전연구학회 2018 한국고전연구 Vol.0 No.42

        한국 고전 서사를 중심으로 이루어진 근대의 번역과 개작의 양상을 논의하는 것은 최근 유의미한 연구 경향 중 하나이다. 본고에서는 1900년대 초반 프랑스어로 기술되어 출간된 한국문학 텍스트들을 범주화하고, 번역 및 기술의 지향을 통해 어떠한 특질이 드러나는지를 살피고자 한다. 연구의 대상이 되는 것은 <다시 꽃 핀 고목Le Bois Sec Refleuri>(1895), <조선설화 ontes Coréens>(1925), <거울, 불행의 원인Miroir, Cause de Malheur!>(1934)으로 프랑스어로 기술되어 출판되었다는 공통점이 있다. <다시 꽃 핀 고목>은 홍종우의 창작물에 가깝고 <조선설화>는 가린의 러시아어판 <조선설화>(1889)를 페르스키가 재번역한 것 이며 <거울, 불행의 원인>은 서영해가 엮은 설화집으로 모두 한국고전서사물을 대상으로 한 외국어 기술(記述)의 특질을 보여준다. 본고의 연구대상이 되는 세텍스트는 동일한 언어로 기술된 한국문학 텍스트라는 공통점이 있지만, 그 기술, 혹은 번역의 맥락은 각기 다르다. 따라서 공통적으로 수록된 ‘심청’을 중심으로, 텍스트가 구현하는 의미작용을 분석하고자 한다. This essay will analyze the three representative french translations of Korean literature in 1900s as the difference of translation signify the diversity of perspectives. The objects of study include Le Bois sec refleuri, Contes Coréens and Miroir, Cause de Malheur! In these books, Simcheong is the only narrative choosen in common. It is divided in two different levels of transformation in modern translation: content-formation and language-formation. From these elements, individual perspective of interpretation is completed and Simcheong demonstrates their own signification with certain adaptation as well as translation itself. Therefore, these specified perspectives represents how modern subjects cognized and present this strong and unfamiliar time, modern times.

      • KCI등재

        1900년대 외국어 기술 설화집의 지형도 연구

        황인순(In-soon Hwang) 한국고전연구학회 2023 한국고전연구 Vol.- No.61

        본 연구는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 출간된 외국어 기술 설화집을 중심으로 번역의 이중적 양상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이야기 속 번역된 한국의 면모를 살피고자 한다.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를 중심으로 구비문학 연구를 수행할 때, 그 영역과 방법론을 구체화하는 것은 여전히 주요한 문제이다. 이 시기를 대상으로 하는 설화 연구가 최근 들어 활발해졌으며 근대 한국어 설화집을 중심으로 유의미한 연구를 도출해냈다. 이 시기의 주요 특징으로 한글과 한문을 제외한 외국어 설화집들이 출간된 것을 들 수 있다. 이는 시기가 가지는 혼종성을 단적으로 드러내는 것이며 동시에 영역의 확정과 방법론의 다원화가 필요하다는 것을 입증하는 것이기도 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 텍스트들을 한국문학 연구의 관점에서 해석해 보고자 한다. 한국어 설화와 구별되는 관점에서 외국어 설화는 다른 언어로 기술된 것이기에 그 기술, 즉 번역의 의미를 고찰해야 한다. 이것은 일종의 이중적 번역의 과정으로 볼 수 있다. 이중적 번역이란 외국어로 기술된 한국 설화집에서 한국어 텍스트가 외국어로 변환되는 의미적·담화적 이동과 동시에 구비설화 자체가 가지는 정체성에 기반한 보편적 변개의 과정 역시 나타나는 것이다. 이를 중심으로 관련 외국어 설화집들을 구획할 수 있으며 이는 텍스트의 분류일 뿐 아니라 연구 영역 확장의 가능성을 타진한다. 또한 이 설화집에서 번역은 설화의 다시쓰기를 아우르는 개념이다. 다른 언어를 통해 한국 설화와, 그 세계를 둘러싸고 있는 1900년대 초의 콘텍스트가 상호조응하는 양상이 설화의 다시쓰기를 통해 드러난다. 가장 많은 설화집에서 선택한 이야기인 토끼전을 중심으로 이야기 세계를 통해 번역된 한국의 면모를 살피고자 한다. This study focuses on a collection of Korean tales written by foreign languages published in the late 19th and early 20th centuries: to analyze the dual aspects of translation and to examine the translated Korea embodied in the tales. When conducting oral literature research centered on the late 19th and early 20th centuries, it is still a major problem to specify the scope and methodology. One of key feature of this period is the publication of collections in foreign languages other than Korean and Hanmun. This is a clear indication of the heterogeneity of the period, but it also proves the need for the finalization of the field and the diversification of methodologies. In this study, I will interpret these texts from the perspective of Korean literary studies. From a perspective distinct from that of Korean tales, foreign language tales are described in another language, and the concept of their description, or translation, must be examined. This can be seen as a process of dual translation, in which Korean tales described in foreign languages first undergo a semantic and discursive shift in which Korean texts are transformed into foreign languages, and at the same time, a process of universal transformation based on the identity of the orality itself. Based on this, the related foreign language tales can be chosen and categorized, which is not only a classification of texts but also a possibility of categorizing the research area. Also, in this essay, translation encompasses the rewriting of tales. It is through the rewriting of tales that the intercommunication between Korean tales and the early 1900s context that surrounded them is revealed. Focusing on one of the most prolific tales in the collection, The Rabbit and Turtle, I will examine how Korea has been translated through the story world.

      • KCI등재

        예견담의 담화적 특성 연구-<기문총화>를 중심으로

        황인순 ( Hwang In Soon ) 한국고전연구학회 2013 한국고전연구 Vol.0 No.28

        야담집에 관한 연구는 그 동안 꾸준하게 이루어져 왔으나 주로 야담사, 문헌사적인 부분에 주목하는 경향이 있었다. 이는 야담이 가지는 복합적인 성격 탓으로, 크게 분류하자면 야담을 구술 서사의 일종으로 인식하는 태도와 소설의 전단계 혹은 유사 장르로 인식하는 태도로 구분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야담을 구술 설화가 문헌화되어 전승되는 대상으로 전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기문총화>를 연구 대상으로 삼고자 한다. <기문총화>는 조선 말기의 야담집으로, <계서야담>, <청구야담>, <동야휘집> 등과 더불어 조선 시대 야담집 중 주요한 위상을 차지하고 있는 야담집이나 개별 연구대상으로는 자주 다뤄지지 않았다. 그러나 <계서야담>과 <기문총화>간의 영향 관계가 밝혀져 왔고, 따라서 <기문총화>가 가지는 야담집으로서의 위상 역시 인식의 변화를 겪게 되었다. 더구나, <기문총화>에 수록된 야담의 수와 영역이 방대하므로 이는 일종의 야담 집대성과 같은 의미를 가질 수도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견지에서 <기문총화>를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는 것은 의미 있을 것이다. 해당연구는 예견담의 담화 구조를 고려하는 방식으로 구성될 것이다. 해당 텍스트 내에서 양적으로 많은 분량을 차지하는 것이 예견담이다. 예견담이란, 특정한 예견의 주체가 어떠한 대상의 미래에 대해 현재 시점에서 발화하고, 이 발화가 진실인 것으로 판명되면 완료되는 것이다. 예견하는 주체의 능력을 강조하는 것이므로 그가 가진 비범성에 주목하게 되고, 이는 그가 범인(凡人)과 구별되는 일종의 능력을 가진 것을 입증하는 과정이 되는 셈이다. <기문총화> 예견담에 드러나는 담화의 성격을 분석하면 다음과 같다. 텍스트 속에서 예견담은 예견하는 인물의 능력을 극적으로 드러내기 위한 담화가 아니라, 오히려 담화적 독자가 자신의 컨텍스트를 얼마나 잘 활용해서 텍스트를 해호화 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담화 구조이다. 역사적 인물과 사건에 대해 사후의 당위를 부여하기 위한 관점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기문총화> 예견담은 담화적 저자들의 배경을 가장 적극적으로 활용하게 되는 구조를 형성하며, 따라서 그 개입의 정도도 상대적으로 높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reveal the discourse structure of predictions in Kimunchongwha. It has not been known the author of Kimunchongwha. Instead of tracking historical origins, we will consider the discourse structure of Kimunchongwha, to investigate identity of narrative literature. In Kimunchongwha, most of tales is classified in predicting narratives. Predicting narratives mean that subject predict certain condition so that this prediction will be proved to the truth. These are normally objected to demonstrate the ability of predicting subject. However, the characters of discourse structure in Kimunchongwha are relatively marked. Most of all, the predictions are related to discursive readers: how they decode the message using their context. Because these predictions tend to not give reasonable clues for subjects, neither for discursive readers. Therefore, discursive readers decode and participate more actively with their context, acknowledge, predictions in Kimunchongwha.

      • KCI등재

        본풀이적 세계관의 현대적 변용 연구

        황인순(Hwang In Soon)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5 서강인문논총 Vol.0 No.44

        본고는〈차사본풀이〉와 웹툰〈신과 함께〉에서 이승과 저승이라는 공간의 관계와 인물들의 공간 인식을 중심으로 삶과 죽음의 세계관이 구성되는 양상을 분석하고자 한다. 웹툰〈신과 함께〉는 주호민 작가가 2010년부터 2년간 네이버에 연재했던 웹툰으로〈차사본풀이〉의 서사구조를 차용하면서도 차사 강림의 기능을 중심으로 이승과 저승의 관계, 그 외 주요 인물들의 공간 인식 양상이라는 두 측면에서 유의미한 변용을 보인다. 이에 주목할 때 두 텍스트 속 삶과 죽음의 세계관은 유사하지만 구분되며 본고는 이를 밝히고자 한다.〈차사본풀이〉를 위시한 제주 본풀이에서 공간은 이승과 저승, 인간계와 타계를 함축하는 개념이며, 동시에 삶과 죽음의 시간관과 세계관을 포괄하는 요소이므로 이에 주목하는 것은 유의미한 분석이 될 것이다. 웹툰에서는 본풀이에 비해 저승 공간이 예각화되며 구체화되고 이승과 저승은 보다 대비되지만 그 무게감은 동등해진다. 본풀이에서 삶과 죽음이 관념적으로도 연속적이며 따라서 하나의 순리가 지배하는 두 세계 내에서 삶은 죽음을 함축하는 것이었다. 반면 웹툰에서는 삶과 죽음이 보다 명징하게 대립되며 이승 공간의 대립적 거울공간으로서 저승 공간이 제시된다. This essay will focus on the conception of life and death space described in ChasaBonpuri and its modern translation webtoon With gods(Shingwahamke). ChasaBonpuri is one of korean shamanic narratives in Jeju island and Chase means the a messenger between life and death spaces. This webtoon represents the narrative structure of ChasaBonpuri and also transforms the original narrative form and perspective. It is important to analyze these two aspects of transformation. Firstly, Webtoon With gods tends to focus on the value of death space. There are three functions distinguished in one subject Kanglim in Bonpuri : as a traveler, an officer, and a messenger. However, the function as a traveler in afterworld has been separated from the subject Kanglim and became independent subject in modern webtoon. Secondly, the subjects in Bonpuri exist in their inner space with clear directivity, however, the subjects in webtoon, they are still making their own inner space. Even though both of them accept the similar circulatory conception of time, life and death, we can find the subtle difference in modern transformation. We can name it as the binary conception of life and death in webtoon Withgods, and the fuzzy conception in Chasabonpuri . This is because that the death space has become more equivalent values in modern webtoon Withgods for the reflection of modern times.

      • KCI등재

        판소리 <춘향가>에서 드러난 정념의 소통양상

        황인순 ( In Soon Hwang ) 한국기호학회 2010 기호학연구 Vol.28 No.-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an analyze passion communicated in chunhang-ga, Pansori performance. The performance space of Pasori consists of singer, audience, and their spontaneous reaction in this performance stage and the passion is flowed and communicated at the different levels. The marked character of Pansori performance is that single singer plays a role of every actor and even narrator. Thus, this performance stage can be classified in levels of different subjects: the actors and narrator on discourse level. This subjects of each level create their space of passion, which can be connected with the conception field of existence by Jaque Fontanille, in his The semiotics of discourse. I will apply five codes of Fontanille for specifying this communication: modal codes, somatic codes, rhythmic codes, perspective code, and figurative codes. This five codes cannot be simply corresponded at each level, but they can be generally connected certain level: the discourse of actors will be examined in modal codes and chuimshe and improvised reaction of singer and audience will be related to somatic codes. Rhythmic codes can be actual rhythm in stage and narrative rhythm, crossing of song and aniri. Perspective codes is multi-layed point of view in Pansori and finally, figurative codes are conventional expressions used in Pansori. Modal codes is to analyze actors Chunhyang and Mongryong. In addition, figurative, perspective and rhythmic code can be useful for analyzing the narrative subject of discourse level. At last, rhythmic and somatic codes can be utilized to examine the passion of Audience and their assimilation mode into chunhyang, in performance stage. In conclusion, creating passion of each subject in specific performance stage is individual at first, but it is extended, communicated and assimilated during the process of Pansori.

      • KCI등재

        판결담의 서사구조와 판결하는 주체의 리더십 연구

        황인순(Hwang In soon) 한국고전연구학회 2016 한국고전연구 Vol.0 No.35

        본고에서는 <기문총화>와 <청구야담>에서 기술된 ‘판결담’의 서사구조를 분석하고, 판결하는 주체의 자질을 통해 고전 텍스트 속 ‘리더십’에 대해 재고해 보고자 한다. 첫 번째로 판결담은 갈등의 상황을 제시하면서 공동체 내의 주체들이 문제로 인식하는 현상을 ‘판단’한다. 두 번째로 갈등에 대한 해결책을 공적 과정을 통해 공동체에 ‘공표’한다. 판단과 공표라는 이중적 특질을 고려한다면 판결담의 구조와 유형은 단순히 현상을 인식하고 해독하는 판단의 과정 뿐 아니라 공표의 과정에서도 포착되는 것이며, 이에 따라 판결담을 추출하고 유형화한다. 판결담은 갈등 상황에 적합한 해결책을 판단하며 동시에 이를 판결의 과정을 통해 공표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판결이 단순히 비범한 개인의 능력과 지향의 문제가 아니라 주체가 놓인 사회적 코드 내에서 수용가능한 해결책을 선택하는 공동의 과정임에 주목한다. 따라서 리더십이란 결국 비범한 개인의 역량으로서만 규정되기보다는 사회 공동체의 지향 안에 존재하는 집합적 대상으로서도 규정되는 것이며, 따라서 체계가 생성하고 제공하는 선택 가능항들이 ‘좋은’ 리더십의 방향을 결정하는 것이다. This essay will focus on Ruling tales in Kimunchongwha and ChungGuYaDam. Ruling tales can be defined as a tales which demonstrate public adjudging process by adjudging subjects. This process is significant to consider leadership in Korean classics because the judgment is kind of announcement of public issues. Adjudging process consist of two phases : to judge the situation and to announce the result. In chapter two and three, I classify the ruling tales considering with that perspective, especially concentrating the aspect of announcement. In chapter four, I conclude that announcing process itself is marked element than the intelligence of judging subject. It means that ruling tales is not only the story about ability of brilliant subject, but that story about the problematic code of social conflicts agreed in a certain community. If ruling tales demonstrate consensus standard in the society, the role of adjudging subject is to select the best solution among practicable candidates. Therefore, capability of judging leader depends on what is suggested, in other words, what is choose-able as practicable solutions in a society.

      • KCI등재

        『서울의 기억』의 언어와 이미지 담화 구조 연구

        황인순(Hwang In soon) 한국고전연구학회 2015 한국고전연구 Vol.0 No.32

        본고는 모리스 쿠랑의 『서울의 기억』Souvenir de Séoul, Corée : 1900에서 나타나는 언어와 이미지 담화를 분석하고자 한다. 『서울의 기억』은 파리 만국박람회 안내를 목적으로 19세기 말의 서울, 한국이라는 공간을 안내하고 관련된 사진 이미지들을 싣고 있다. 서사 속에서 재현되는 서울의 공간성이 언어와 이미지 담화 속에서 유사하지만 한편으로는 다르게 구축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한다. 담화 특질 상 각기 다른 콘텍스트 안에서 독해되는 언어와 이미지 담화는 각각 파리의 한국관 속 선별되어 재현된 한국과 보다 보편화된 실재 공간 안에서 포착되어 재현된 한국을 구성해 나간다. 『서울의 기억』이 비교적 긍정적이고 주체적인 시선으로 한국이라는 대상을 기술하고 있다면, 담화 저자의 시선 뿐 아니라, 담화 구조를 통해 복합적인 의미작용이 겹쳐지기 때문일 것이다. 『서울의 기억』에서 표상되고 있는 서울은 제국주의적 시선이거나 오리엔탈리즘적 시선이라는 호명을 통해 이해되어 온 경향이 크다. 그러나 이 텍스트는 언어와 이미지 간의 독립적 관계라는 담화 전략을 통해 제국으로부터 한국을 보는 시선뿐 아니라 그 시선을 보는 시선이라는 거울적 담화 공간을 생성해 냈다. The purpose of this essay will analyze the language and image discourse in Souvenir de Séoul, Corée:1900 of Maurice Courant. Souvenir de Séoul, Corée:1900 was described to introduce Seoul and Korea for Great Exhibition of the works of Industry of All nations in Paris with his preface and photos. In Souvenir de Séoul, Corée:1900, the preface and photos are arranged independently: photos are not displayed within the frame of language narrative. After completed preface in front part, photos are to construct their own narrative. On the contrary to language discourse which clarifies the specific context such as Great Exhibition, image discourse can be coded in the more generalized context. It is because that this text has this own specific display structure. Consequently, readers omit certain context in image discourse not like as in language discourse. Not overlooking the perspective from the Great Exhibition from the whole text, the perspective of Courant in Souvenir de Séoul, Corée:1900 is considered as neutralized and original thanks to this strategy of discourse. Seoul and Korea is framed by the foreign perspective in Souvenir de Séoul, Corée:1900. This perspective is not only as the perspectives of imperialism and orientalism neither the naive-positive. From the specific representation in language and image discourse, this text can show the more multi-layed inter-directional perspective.

      • KCI등재

        <한국서지> 담화 구조와 프레임 연구

        황인순(Hwang In soon) 한국고전연구학회 2014 한국고전연구 Vol.0 No.30

        본고에서는 <한국서지>의 담화에 주목하여 이것이 총체적으로 '한국성'이라는 의미를 구성하는 과정을 규명해보고자 한다. 삶이 지속되는 실재 공간은 다양한 성격을 가지게 된다. 그러나 시선을 통해 포착되는 것은 공간의 총체적 의미 중 일부이다. 담화 주체의 시각을 통해 기술된 담화는 '구성된' 공간성, 즉 한국이라는 나라의 구성된 정체성을 구축한다. 따라서 쿠랑의 시각, 즉 프레임을 통해 구성된 한국성이 어떻게 표출되는지를 담화 구조 분석을 통해 살펴본다. 쿠랑이 구성한 한국성이란 동아시아적 총체성 안에서의 한국성이라고도 보인다. 동아시아적 총체성을 상정하고, 일종의 번역으로 한국성을 인식한 것이다. 그 과정에서 쿠랑의 <한국서지>는 번역되고 혼종된 한국성이 드러나는 한국의 지형도로 읽혀질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project is to examine Bibliographie Coréenne, especially focusing on discursive structure. Bibilographie Coréenne, which is the representative work of Courant, and of Korean ancient study. The most important work in this research is to reveal how Courant realized the conception of "Korea". Accordingly, it is significant to reconstruct the perspective and outlook from discursive structure.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assume the conception of "Korean literature" of Courant by observing the table of content about "Korean literature". Hence, I will define the Koreanity in Bibliographie Coréenne, as a translated partial characteristic of conception, in regards to the perspective of external describing subject. Therefore, Bibliographie Coréenne can be coded not only as a bibliography but kind of topographic map of 19th century's Korea.

      • KCI등재

        제주 본풀이의 공간구조와 의미 연구

        황인순 ( In Soon Hwang ) 한국기호학회 2012 기호학연구 Vol.32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patial signification and structure of Bonpuri. Bonpuri is named the shamanistic narratives, especially passed down in Jeju. Bonpuri has been studied in different perspectives. The classical perspectives are as follows: as a initiation narratives of female-shaman, or as a initiation narratives of ordinary hero. This study will especially focus on the integration of these two different views. Bonpuri symbolizes the female-initiation passage, on the other hand, it represents the divinity-initiation passage. The former mainly consists of birth, death and rebirth stages while the latter goes from not-engagement to engagement stages. These two level of narrative structures are, however, not completely separated. Engagement in the female-initiation passage is tend to be created in certain space. However, death and rebirth in the divinity-initiation passage is occurred in that same space as well. We can find some spaces which demonstrate same functions. Hence, it is can be confirmed that two different narrative structures are integrated in these specific spots having contrary values. Therefore, it speaks that female and divinity-initiation narratives are integrated in certain space in Bonpuri. This essay will subsequently consider the spatial movements of doing subjects in Bonpuri. The movements of doing subjects can be divided into reversible and irreversible patterns in Bonpuri. Only when the group of doing subjects have both of two abilities, they can be the main subject who control both female-initiation narrative and divinity-initiation narrative. Accordingly, the whole narratives and signification of Bonpuri. is ultimately comple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