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청대 유래의 Indirubin을 이용한 LPS로 유도된 Macrophage의 활성 조절에 관한 연구

        황예진 경성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39

        Rhinitis refers to an inflammatory disease of the mucous membrane covering the nasal passages. Indirubin is widely known is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for its anti-inflammatory and anti-psoriasis effcts. The cheongdae cream developed in this laboratory has recently shown improvement in thinitis, and through this, we intend to study the rhinitis improvement effect of indirubin. Rhinitis is caused by various causes, mainly due to chronic inflammation and immune hypersensitivity. The purpose of this experiment was to find out whether indirubin had an improvement effect on immune hypersensitivity or chronic inflammation through this experiment. First, the improvement effect on chronic inflammation was confirmed. Macrophages are mainly involved in chronic inflammation, and an in vitro experiment was conducted using macrophages. Prior to the In vitro experiment, when Indirubin was treated in a water soluble medium, the problem of precipitation was solved first and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In order to increase the solubility of indirubin, pH adjustment and 1% Lysine and DMSO were used to increase the solubility. As a result, many problems of precipitation in DMSO were solved. Raw264.7 was treated with Indirubin standard and Cheongdae extract and confirmed by PCR, the mRNA expression levels of TNF-αand IL-1β were decreased. Indirubin has an inhibitory effect on the expression of IL-1β mRNA and in the case of Cheongdae extract, it has an inhibitory effect on the expression of TNF-α. Indirubin and Cheongdae extract are expected to inhibit pro-inflammatory cytokines and the mechanism of inhibition appears to be different.

      • 자동차용 경량 차체부품을 위한 탄소섬유복합소재에 관한 연구

        황예진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639

        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s (CFRP) have a lot of attention from industry and academia due to its excellent mechanical property. It has been used for aircraft, automotive and so on, since it can replace metallic materials and reduce total weight with increased physical properties. However, the manufacturing process and the material cost are still challenging to be commercialized in the automotive market. Therefore, many researchers are trying to minimize materials and process cost for broadening their applications. In this study, thermoset epoxy resins were used for binder of CFRP. Epoxy resins were investigated in order to figure out optimized curing speed under vacuum assisted resin transfer molding (VARTM) processing condition. Mechanical properties of CFRP with different carbon fiber orientation and woven carbon fiber were compared to mathematically simulated results. In order to develop the application of automobile component, reliability tests of CFRP were carried out. Tensile strength of CFRP is increased when the orientation angle between fiber and axis of load was decreased (90°→ 0°). In addition, the CFRP automobile engine hood was fabricated by VARTM process. Drop weight impact tests (20kg & 100kg weight) were carried out in order to simulate crash performance of CFRP engine hoods.

      • 창작 세계관의 스토리텔링을 기반으로 한 도자 조형 연구

        황예진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관객들에게 자신을 되돌아보는 계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출발했다. 자신이 옳다고 생각했던 가치관이 정말 자신이 원하는 가치관인지, 혹시 살면서 무의식중에 외부로부터 강요된 것은 아닌지 되돌아 볼 수 있는 계기가 되는 연구를 목적으로 했다. 그러한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현대 대중문화에서 주목받는 개념인 ‘세계관’과 ‘스토리텔링’을 작업방식으로 선택하였다. 세계관이란 하나의 서사가 진행되는 세상의 설정이다. ‘스토리텔링’은 단순한 메시지 전달이 아닌, 이야기를 통해 효과적으로 메시지를 전달하는 방법을 뜻한다. 많은 관객들에게 스스로를 돌아보는 계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본 연구 목적에 대중적으로 주목을 받고 있는 이러한 개념들이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하였다. 작품 연구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세계관의 구축 요소를 연구하여 생충이 세계관의 창작 과정을 보완한다. 둘째, 인간사와 생물학적 현상을 대응시켜 생충이 세계관의 구조를 설계한다. 셋째, 생충이 세계관을 배경으로 캐릭터가 만들어내는 서사를 설정한다. 넷째, 공간 설치를 통한 세계관의 전개로 스토리텔링 매체로서의 도자조형 가능성을 제시한다. 이러한 연구 방법을 통해 도출해낸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세계관의 구축 요소는 진실과 허구, 은유와 의인화 등이 있고, 스토리텔링을 통해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음을 알았다. 둘째, 기생충의 생물학적현상에서 인간사적 가치관을 발견했고, 이를 통해 생충이 세계관의 구조를 설계하였다. 셋째, 실제 생물현상에서 차용한 소재를 통해 생충이 세계관에 설득력을 부여할 수 있었다. 이를 배경으로 캐릭터가 만들어내는 내러티브를 완성할 수 있었다. 넷째, 작품 외적인 공간까지 작업을 확장하는 인스톨레이션 방식을 사용해 세계관을 전개함으로써, 스토리텔링 매체로서의 도자조형 가능성을 확인했다. 본 연구를 통해 작업과 관객이 더욱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소통할 수 있는 방식을 제안하고, 생충이 세계관이 가상의 설정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관객이 인지하는 현실을 확장하는 또 하나의 세계로 작용하는 방법을 제시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started with the purpose of providing the audience with an opportunity to look back on themselves. Offering an chance to think back whether the values that were thought to be right are really what they wanted, or perhaps whether they were forced unconsciously from the others in their lives are the purpose of the study. In order to achieve those goal effectively, the concept ‘universe’ and ‘storytelling’ were chosen as a working method which are attracting attention in modern pop culture. Universe is the setting of the world in which a narrative is progressing. ‘Storytelling’not just means a delivery of a message, but as a method of conveying a message effectively. It was judged that these concepts, receiving a public interest, would be effective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providing many audiences with an opportunity to look back on themselves. The method of work study is as follows. First, by studying the construction elements of the Universe, complements the process of creation of the Para Universe. Second, the structure of the Para universe is designed by corresponding human affairs and biological phenomena. Third, set the narrative, created by the characters against the Para universe as the background. Fourth, present the possibility of the formative ceramic arts as a storytelling method by developing the universe through space install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derived through this research method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re are truth and fiction, metaphor and personification, etc. in construction elements of the universe and can be delivered effectively through storytelling. Second, the values of human affairs were discovered in the biological phenomena of parasites, and through this, the structure of the Para universe was designed. Third, through materials that borrow the actual biological phenomena, were able to give persuasiveness to the Para universe. Based on this, It was able to complete the narrative created by the characters. Fourth, the possibility of the formative ceramic arts as a storytelling method was confirmed by developing the Para universe, using an installation method that extends the work, to the external space of the work. Through this study, the Para universe does not end just as a virtual setting. Not only suggesting the method which the work and the audience can communicate within a intimate relationship, but anticipates to propose as a means that act as the another world which expands the reality perceived by the audience.

      • 사회불안과 인지 및 정서적 공감

        황예진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실험적 방식의 측정을 통해 타인에 대한 개인의 공감 능력에 사회불안이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77명의 대학생(남 18명, 여 59명)에게 자기보고식 척도로 사회불안의 정도를 측정한 뒤, 3분 이내 길이인 영상 총 8개(긍정 4개, 부정 4개)를 제시하였다. 실험 자극은 20대 남녀 4명(남 2명, 여 2명)이 본인의 긍정적/부정적인 자서전적 경험에 대해 이야기하는 모습을 촬영한 영상을 사용하였다. 참가자는 영상을 시청하면서 영상 속의 화자가 경험하였을 것으로 추정되는 긍정/부정 정서를 연속적으로 기록하거나, 참가자 본인의 긍정/부정 정서를 연속적으로 기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참가자가 화자의 정서를 정확히 추정한 정도를 인지적 공감으로, 화자의 정서와 동일한 정서를 느낀 정도를 정서적 공감으로 명명하였다. 상관분석 결과, 사회불안 수준은 긍정적 정서에 대한 정서적 공감과 유의한 부적 상관을 보였다. 또한, 고사회불안 집단(n=11)과 통제집단(n=66) 간 부정적 정서에 대한 인지적 공감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는 사회불안이 높은 사람들은 상대가 보이는 긍정적 정서와 동일한 정서를 느끼는 데 어려움이 있고, 사회불안 수준이 임상적 주의가 필요할 만큼 높은 사람일수록 일반적인 사람들보다 타인의 부정적 정서 상태를 더 민감하게 인식할 가능성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social anxiety on an individual's ability to empathize with others. After measuring the level of social anxiety to 77 college students(18 males and 59 females), a total of 8 videos(4 positive and 4 negative), which are within 3 minutes, were presented. Recorded videos of young adults(2 males and 2 females) talking about their positive/negative autobiographical experiences were used as the experimental stimulus. Participants continuously rated target’s emotions, or rated their own emotions while watching the videos. Based on this, the degree to which the participant accurately estimated target's emotions was named as cognitive empathy, and the degree to which the participant felt the same emotions as the target’s emotions was named as affective empathy. The study results showed a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social anxiety and positive affective empathy levels. In additio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negative cognitive empathy between the high social anxiety group(n=11) and the control group(n=66). This results imply that people with high level of social anxiety have trouble feeling the same positive emotions as the other person shows. Moreover, Individuals with clinical level of social anxiety are more sensitive to perceive the negative emotional state of others compared to ordinary people.

      • 초등교사의 학부모관계 스트레스와 사기저하에 대한 연구

        황예진 창원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8639

        A study on the parent-teacher relationship stress and burnout amo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 by Hwang, Ye-jin ) This study determines characteristics of the factors causing the stress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their relationships with the parents which they are aware of, and of the variable background factors leading to the burnouts, and by using the analysis of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wo factors as the basis to overcome the stress in the elementary teachers' relationships with the parents, and thereby for the purpose of this paper study the ways to increase the education efficiency, and to assist the elementary teachers and parents to establish a proper relationship. In order to achieve such goal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questions were set: First, is there a difference in the stress in the relationships with the parents for the elementary teachers depending on the variable background factors? Second, is there a difference in the elementary teacher burnout depending on the variable background factors? Third, is there a relationship between the stress in the relationships with the parents for the elementary teachers and the burnouts? For this study, I have selected 1 elementary school under Masan Education Board and 12 elementary schools under Changwon Education Board, for a total of 13 schools to circulate the questionnaires to 356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analyzed, and the data collected was analyzed using the t-test and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methods of statistics. The results of the hypothesis tests based on the above study goal and methods were as follows. First, the overall stress level among the elementary teachers in their relationships with the parents of the students which they are aware of are about normal level and in the subcategories the life instructions, understanding the school safety, teacher-class instruction factors are in sequence from top among the highest factors. Second, the sex, married or not, teaching experience level, and the size of the school do have influence on the stress levels the elementary teachers are aware of in their relationship with the parents of the students. Third, the levels of burnout among the elementary teachers are average level, and for the subcategories, the highest is the lack of personal accomplishment level, and the level of feeling emotionally exhausted is the next, but the dehumanization level does not seem to be high. Fourth, it was shown that the size of the school does have an impact on the burnout of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Fifth, as there showed a positive valid correlation between the elementary teachers' relationships with the parents of the students, it can be said that they feel higher level of burnout the higher stress level they feel in the relationship with the parents of the students.

      • 모바일 미디어가 매개하는 정동 : 폐쇄형 SNS '블라인드(BLIND)' 사례를 중심으로

        황예진 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39

        모바일과 결합한 소셜미디어는 정보전달과정과 사회적 관계형성에 있어 기존과는 다른 흐름을 만들어내고 있다. 이 연구는 모바일 미디어로 매개된 정동(affect)의 현상을 구체적 사례인 직장인 대상의 폐쇄형 SNS '블라인드(BLIND)'를 통해 살펴본다. 모바일 미디어가 가져온 정보전달과정의 변화가 실질적으로 어떤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모바일 미디어 구조로 인해 사회적 관계는 어떻게 다른 구성을 가지는지 파악한다. 나아가 모바일 미디어가 매개하는 정동의 현상은 무엇인지 분석함으로써 오늘날 디지털 미디어 환경의 이해를 통해 모바일 미디어와 인간간의 상호작용을 읽어본다. 모바일 미디어를 분석하기 위해 디지털 네트워크 미디어 환경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했다. 미디어의 구조가 정보전달과정을 결정한다는 미디어 생태학(media ecology)적 시각과 커뮤니케이션으로 형성되는 사회적 관계를 파악해보면서 오늘날 디지털 네트워크 미디어 환경이 가져온 사회적 맥락의 변화에 대해 논의했다. 더불어 구체적 사례인 '블라인드'의 주 사용자인 한국사회 직장인들이 가지고 있는 그들만의 모바일 소셜미디어 문화에 대해서도 검토했다. 이 연구에서는 연구대상을 분석하는 이론적 개념으로 '정동' 이론을 가져온다. 그 동안 이론적으로 접근해왔던 '정동' 개념을 실질적인 모바일 미디어를 분석하는 사례분석에 적용한 것이다. 현대 디지털 미디어 환경에서 정동이 주목되는 이유는 미디어를 통해 변화된 사회적 경계들을 읽어내는 이론적 기반이 되기 때문이다. 정동 이론을 통해 기술, 인간, 감정의 복합적인 관계들을 움직이는 힘으로 읽어낼 수 있다. 현대사회에서 모바일 미디어로 인해 나타나는 현상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정동의 영역을 배제하고는 설명되기 어려운 부분이 존재한다. 무엇보다 디지털 미디어 환경에서 어떻게 정동을 읽어낼 수 있는가에 대해서 중점적으로 살펴보고자 시도했다. '블라인드'는 2013년 12월부터 서비스를 제공하기 시작한 직장인들만 사용할 수 있는 가입 조건을 가지고 있는 익명 기반의 모바일 소셜미디어이다. 폐쇄형 SNS인 '블라인드'에 대한 연구는 기존의 개방형 SNS가 보여주지 못하는 모바일 네트워크의 끊임없는 연결로 인한 피로감과 과도한 정보과잉으로 인한 개인의 대처 방식을 보여준다. '블라인드'에서 사용자는 어떠한 새로운 소통 방식을 만들어 내는지, 그들에게 이 공간에서의 연결이 어떤 의미인지를 분석하였다. 해석적 방법으로 접근할 수 있는 디지털 에스노그라피(digital ethnography) 연구 방법을 통해 방대한 규모의 데이터를 가지고 있는 디지털 사례 연구를 진행할 수 있었다. 추가적으로 '블라인드' 사용자들의 심층인터뷰를 진행해 연구자의 주관적 해석이 개입할 수 있는 편향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노력했다. '블라인드'를 매개로 이루어지는 커뮤니케이션의 특징은 뚜렷했던 경계가 흐릿해지고 엇갈리는 모습이었다. 온라인과 오프라인, 사적 공간과 공적 공간, 익명의 안전함과 소속의 실명공개에 대한 신뢰와 같은 상충되는 현상이 복합적으로 발생하며 사용자들은 모바일 미디어 공간을 구성한다. 이러한 공간을 매개로 이루어지는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새로운 관계이자 전이되는 정동을 형성하면서 사용자들의 결속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동시에 '블라인드' 사용자들은 기술적 공간이 제공하는 익명의 보호막 아래 개인이 생산한 정보를 다수의 사용자에게 정동의 영역에서 더 깊이 전달하고 있었다. 연구를 통해 기술적인 도구를 매개로 촉발된 사회적인 변화와 문화적 맥락을 읽고자 했다. 여기서 기술은 단순한 도구적 역할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인간과 동등한 존재로 자리한다. 기술을 단순히 대상으로 보는 것이 아니라 인간과 사회, 문화적인 맥락과 지속적으로 영향을 주고받는 정동적인 존재로 접근한다. 인간과 기술, 인간과 인간의 작용을 통해 이루어지는 생성적이고 운동적인 힘을 파악하고 이를 인간과 기술의 정동적인 연결인 '네트워크화된 정동(networked affect)'으로 파악했다. '네트워크화된 정동'은 기술을 매개로 촉발된 사회적인 변화와 집단적인 관계의 창출을 의미한다. 이 연구는 모바일 미디어로 형성된 온라인 공동체에 작용하는 힘을 정동으로 인식하고 사용자들의 결집력과 새로운 방식의 연대를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 읽어내기 위해 시도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또한 2017년 한국의 폐쇄형 SNS인 '블라인드'의 사례를 기록해두었다는 것에서도 의미가 있다. 앞으로의 모바일 미디어 연구에 있어 네트워크로 매개되는 사회적인 관계망을 이해하고 접근하는데 기능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Social media on mobile has disrupted the existing flow of information transmission and the formation of social relations. This study set out to examine the phenomenon of affect mediated by mobile media by focusing on a specific case, the closed SNS (Social Network Service) "BLIND" for office workers. To this end, research examined the changes in the information transfer process practically, and the way social relations are shaped differently by mobile media. Furthermore, this research examined the interaction of human beings with mobile media to gain an understanding of today's digital media environment by analyzing the phenomenon of affect mediated by mobile media. Before analyzing mobile media,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m. This study discusses the changes in social context brought about by today's digital networks by checking the social relations formed by a media ecological vision and by identifying the media structures that influenced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process. In addition, the study considers the mobile social media culture of Korean office workers, who are the main users of "BLIND". In this research, the "affect" theory is introduced as a theoretical concept for analysis of the research object. The "affect" concept which has been approached theoretically in the past, is applied to a practical case analysis of mobile media. The reason the "affect" concept is relevant to the modern digital media environment is that it becomes a theoretical basis for reading the social boundaries through media. Through the "affect" theory, the complicated relations between technology, human beings, and emotions can be approached as moving forces. It is difficult to fully understand the phenomena caused by today's mobile media without the area of "affect". Above all, this research mainly seeks to examine the way "affect" can be interpreted in the digital media environment. "BLIND" is an anonymous mobile social media subscription service that is only available to office workers, and has been provided since December 2013. Research on the closed SNS "BLIND" sheds light on ways to cope with the fatigue generated by the continuous connection to mobile networks something that existing open SNSs cannot show and the way to cope with the excessive infoglut. This study analyzed the way users could create new communication methods, and what connection meant to them in this space. Using a digital ethnography research method based on analytical methods, vast amounts of digital data could be processed. Furthermore, in depth interviews of "BLIND" users were conducted to minimize researcher's subjective interpretations. The characteristics of communication mediated by the "BLIND" network show that clear boundaries have become blurred and staggered. Users construct a mobile media space in which phenomena such as on-line and off-line trust, personal space and public space, anonymous safety and disclosure of real names and affiliations are approached a complex and conflicting manner. Through the communication mediated by these spaces, users are tied together by creating an "affect" that is a new and transitional type of relation. At the same time, the users of "BLIND" were more deeply conveying the information produced by each individual under the protection shield provided by the technical space to multiple users in the "affect" area. This research intends to understand the social change and cultural context created by technical tools. Here, technology is not simply confined to the role of a tool, but it takes on an existence comparable to a human being's. Technology is not simply regarded as an object, but is approached as an existence with an "affect" giving and receiving influences to and from human beings, society, and cultural contexts. This research understood the idea of a "networked affect" as the affecting connection between human beings and technology. Moreover, it found a generative and dynamic power from the interaction between human beings and technology and those among human beings. The concept of "networked affect" means the creation of social changes and collective relations mediated by technology. This research is a significant in that it tried to recognize the power generated by an on-line community formed by a mobile device as an affect, and sought to identify a new form of user's solidarity through a specific case. Moreover, this research also has significance in that it recorded the effect of the closed social network service "BLIND" in 2017. The findings are expected to help understand the social relations mediated by this type of network, and to lay a basis for research on future mobile media.

      •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미용·뷰티 학위논문 연구 동향

        황예진 대구가톨릭대학교 예술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39

        This study intends to expand the beauty curriculum to meet the changes of the times and to lay the foundation for the convergence of the beauty industry and the times. Therefore,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grasp the topics being studied in domestic beauty thesis and the study topics that are newly emerging. From 2000 to 2020, the thesis titles or abstracts in Korean with keywords ‘beauty treatment’ and ‘beauty’ were searched on the RISS site. The searched 4,079 ‘beauty treatment’ and 1,349 ‘beauty’ were collected, and the keyword data of ‘beauty treatment & beauty’ was generated after de-duplication. Key words were extracted through text mining and topic analysis was also conducted. The analysis period of beauty theses is divided into period 1 (2000-2004), period 2 (2005-2009), period 3 (2010-2014), period 4 (2015-2019), and period 5 (2020, recent). Using the extracted keyword data, Term Frequency (TF), Term Frequency-Inverse Document Frequency (TF-IDF), Degree Centrality, N-gram network, and topic modeling of the theses were performed. By combining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is proces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keywords by period, in the first period (2000-2004), beauty treatment, skin, female, care, education, survey, health, use, utilization, hair, service, society, factor, beauty makeup, the elderly, cosmetics, characteristics, culture, change, effect, relation, beauty salon, and makeup appeared In the second period (2005-2009), skin, beauty treatment, care, female, use, hair, customer, utilization, service, survey, factor, cosmetics, effect, education, change, image, makeup, style, recognition, characteristics, method, product, health, satisfaction, relation, beauty salon, interest, expression, society, professi onal, form, male, consumer, design, preference, culture, and market were derived as keywords. In the third period (2010-2014), beauty treatment, skin, education, care, service, hair, factor, female, use, survey, customer, satisfaction, utilization, effect, characteristics, recognition, satisfaction, cosmetics, image, change, industry, beauty, target, makeup, style, hair, relation, method, society, Korea, type, group, professional, interest, consumer, product, expression, procedure, process, and design appeared as keywords. In the fourth period (2015-2019), beauty treatment, education, skin, factor, care, service, hair, beauty, satisfaction, use, customer, relation, effect, cosmetics, utilization, image, female, recognition, behavior, survey, characteristics, satisfaction, design, industry, application, consumer, makeup, Korea, expression, product, information, works, type and process were derived as keywords. In the 5th period (2020), beauty treatment, factor, beauty, relation, behavior, care, customer, hair, service, satisfaction, education, cosmetics, skin, image, consumer, product, procedure, style, and makeup were derived as keywords for the thesis. Second, according to N-gram analysis by period, skin-beauty and hair-style keywords were frequently presented simultaneously in the first period (2000-2004). Also, the frequency of simultaneous appearance of the elderly-we lfare, makeup-culture, fashion-magazine, health-behavior, color-tone, work-time, aroma-therapy, improvement-plan, vocational-college, job-choice, hair-dye, employment-support, beauty-manager keywords emerged only at this time. It can be confirmed that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the subjects of skin beauty, beauty workers, beauty industry, beauty education institutions, skin health conditions, and scalp hair care. And such studies as beauty service in welfare programs for the elderly, hair or makeup research in fashion magazines, ways to improve the curriculum, job stress of hairdressers, and aromatherapy were the main concerns of thesis during this period. During the second period (2005-2009), topics such as skin care, skin care shop, skin health, skin care behavior, female skin condition, beauty service quality, and use of functional cosmetics, and research contents such as service quality, interest in appearance, cosmetic surgery, cosmetics purchase, functional cosmetics, care behavior, men's cosmetics, cosmetics market, care products, middle-aged women, lifestyle, brand image, hair loss treatment, and sun care products newly appeared. It was found that the main research contents of the thesis from 2005 to 2009 were cosmetic surgery for skin aging prevention, cosmetic surgery behavior according to the degree of make-up, and the brand image of men's cosmetics. In the third period (2010-2014), the frequency of appearance at the same time was high in order of skin-beauty, cosmetic-surgery, beauty-service, beauty-industry, beauty-education, hair-beauty, beauty-worker, and beauty-major.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skin care behavior,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and scalp hair care were the main concerns. The new keywords that emerged simultaneously were social-commerce, beauty-industry, hair-design, beauty-major, beautician, nail-shop, work-production, beauty-department, permanent-wave, industry-development. It was found that the main interests of the thesis during this period were manual face-lifting massage, skin beauty social commerce coupons, beauty social commerce marketing, and research on the production of works of hair, nails, and makeup. In the 4th period (2015-2019), the frequency of simultaneous appearance was in the order of skin-beauty, management-behavior, beauty-education, and the key words that appeared frequently were beauty education courses, skin beauty services,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hair beauty workers, beauty treatment service industry, beauty service industry, Korean cosmetics purchase, and “for middle-aged women”. In addition, semipermanent-makeup, organization-immersion, job-competency, interaction, hair-cut, visit-intention, Korean-cosmetics, career-decision, national-technology, and turnover-intention newly appeared simultaneously. It can be seen that, due to the Korean Wave fever during this period, research on Korean cosmetics conducted for foreigners such as women in Hong Kong, Vietnamese consumers, and Chinese tourists, and comparison of perceptions on semi-permanent makeup in Korea and China were the main research topic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semi-permanent makeup,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hair cut design research, and turnover intention of beauty workers were the main interests of the thesis in the 4th period (2015-2019). In the 5th period (2020), ‘beauty’ appeared frequently with ‘worker’, and the word ‘worker’ was derived as ‘beauty worker’. Keywords with high frequency of simultaneous appearance were in-fluencer, self-nail, interpersonal-relationship, customized-cosmetics, beauty-contents, service-scape, emotional-reaction, beauty-academy, field-training, emotional-labor, and word of mouth-information. In the case of ‘fluencer’, it appeared as a beauty-influencer and a social-influencer.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skin care behavior, beauty treatment services cape, beauty treatment service quality, beauty service quality, beauty treatment service industry, beauty service industry, beauty training courses, cosmetics purchase intention, and turnover intention relation are often used. This shows that research on the impact of beauty influencer information quality on makeup behavior and intention to purchase color cosmetics, beauty research using platforms such as YouTube and Instagram, and study on the implementation status and improvement plan of customized cosmetics manufacturing manager certification are being conducted for the MZ generation (A combination of Millennials and Generations Z, familiar with the digital environment, pursuing individual happiness rather than collective one, sharing rather than owning, and pursuing the latest trends and unusual experiences.) in 2020. In addition, as the customized cosmetics manufacturing manager qualification test was newly established on March 14, 2020, it was shown that the frequency of simultaneous appearance of ‘customized-cosmetics’ was high. As such, it was shown that the research of the 2020 beauty thesis was carried out according to the trend of the times.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keywords for the whole period, a total of 18 keywords were derived: beauty treatment, skin, women, care, education, service, factor, cosmetics, hair, effect, relation, satisfaction, recognition, makeup, product, customer, image, consumer. This means that there was a steady research interest in the 2000-2020 beauty thesis. It can also be inferred that beauty treatment keywords are more used among researchers than beauty keywords, and studies on skin, hair, and makeup are consistently studied. In the case of nails, the research activity was lower than that of other fields. Fourth, as a result of common N-gram analysis for all periods, the frequency of simultaneous appearance of words such as skin-beauty, hair-style, skin-care, survey, beauty treatment-service, correlation, beauty treatment-education, customer-satisfaction, beauty treatment-industry, and job-satisfaction were high. This means that there are many studies on correlations using survey in beauty thesis. In the field of hair, research on ‘style’ was mainly done, and in the field of skin, research on ‘care’ was representative. In the field of beauty treatment, research on ‘service’, ‘education’, ‘industry’, and ‘satisfaction’ is a constant subject and interest of researchers. Fifth, as a result of LDA topic modeling analysis, three modeling groups by period were derived. In the first period (2000-2004), the modeling group appeared in order of beauty services, skin care, hair style and image. And in the second period (2005-2009), it was divided into hair style and beauty salon, skin beauty and appearance management, skin care and beauty services. In the third period (2010-2014), it was derived from beauty services, hair makeup image, skin & hair care and beauty education. In the fourth period (2015-2019), it appeared as beauty education and service, cosmetics purchase and beauty image, and beauty care. And it was derived that the detailed topics of the 5th period (2020) were management behavior relations, beauty education, and hair beauty. Detailed research topics that are being dealt with in each period were visually confirmed using the TEXTOM program. In addition, although the biggest topics are the main research interests, it can be seen that the three detailed topics are evenly studied in independent areas without being biased toward a specific topic. In this study, through the TEXTOM program, a big data analysis solution, a large amount of data published over a long period of time was analyzed by minimizing the subjective judgment of researchers and subdividing research trends without much difficulty. By grasping the detailed research trend, it is meaningful that it proposed a new research method that has not been attempted in the past and provided detailed information on the research trend to beauty majors. In the future, if the news related to the ‘beauty treatment’ and ‘beauty’ keywords is ‘web-crawled’ and compared with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ill be meaningful as a study that suggests the vision of the beauty field. 본 연구에서는 시대 변화에 맞는 미용 교육과정 확대 및 뷰티산업과 시대 융합의 기틀을 마련하고자 한다. 따라서 국내 미용·뷰티 학위논문에서 연구되고 있는 주제 및 과거에 비해 새롭게 나타나고 있는 연구주제를 파악하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다. 2000년부터 2020년까지 RISS에서 ‘미용’, ‘뷰티’를 키워드로 하여 검색된 논문제목 또는 국문초록으로 ‘미용’ 4,079편과 ‘뷰티’ 1,349편을 수집하고, 중복 제거 후 ‘미용·뷰티’ 키워드 데이터를 생성하였다. 텍스트 마이닝을 통해 주요 단어를 추출하고, 토픽 분석도 진행하였다. 미용·뷰티 학위논문의 분석 시기를 1시기 2000∼2004년, 2시기 2005∼2009년, 3시기 2010∼2014년, 4시기 2015∼2019년, 5시기 2020년(최근)으로 구분하였다. 추출한 주요 단어 데이터를 이용하여 학위논문의 시기별 단어 빈도(TF), 단어 빈도–역문서 빈도(TF-IDF), 연결 중심성(Degree Centrality), N-gram 네트워크, 토픽모델링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얻은 결과를 종합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시기별 중심 키워드 분석 결과, 1시기 2000∼2004년에서는 미용, 피부, 여성, 관리, 교육, 조사, 건강, 사용, 이용, 모발, 서비스, 사회, 요인, 화장, 노인, 화장품, 특성, 문화, 변화, 효과, 관계, 미용실, 메이크업 키워드가 나타났다. 2시기 2005∼2009년에는 중심 단어로 피부, 미용, 관리, 여성, 사용, 헤어, 고객, 이용, 서비스, 조사, 요인, 화장품, 효과, 교육, 변화, 이미지, 메이크업, 스타일, 인식, 특성, 방법, 제품, 건강, 만족도, 관계, 미용실, 관심, 표현, 사회, 전문, 형태, 남성, 소비자, 디자인, 선호, 문화, 시장 단어가 도출되었다. 3시기 2010∼2014년에서는 미용, 피부, 교육, 관리, 서비스, 헤어, 요인, 여성, 사용, 조사, 고객, 만족, 이용, 효과, 특성, 인식, 만족도, 화장품, 이미지, 변화, 산업, 뷰티, 대상, 메이크업, 스타일, 모발, 관계, 방법, 사회, 한국, 유형, 집단, 전문, 관심, 소비자, 제품, 표현, 시술, 과정, 디자인 키워드가 학위논문의 중심 키워드로 나타났다. 4시기 2015∼2019년에는 미용, 교육, 피부, 요인, 관리, 서비스, 헤어, 뷰티, 만족, 사용, 고객, 관계, 효과, 화장품, 이용, 이미지, 여성, 인식, 행동, 조사, 특성, 만족도, 디자인, 산업, 활용, 소비자, 메이크업, 한국, 표현, 제품, 정보, 작품, 유형, 과정 단어가 중심 단어로 도출되었다. 5시기 2020년 학위논문의 중심 키워드로 미용, 요인, 뷰티, 관계, 행동, 관리, 고객, 헤어, 서비스, 만족, 교육, 화장품, 피부, 이미지, 소비자, 제품, 시술, 스타일, 메이크업 키워드가 나타났다. 둘째, 시기별 N-gram 분석 결과, 1시기 2000∼2004년에서는 피부-미용, 헤어-스타일 키워드의 동시출현 빈도가 높았고, 노인-복지, 화장-문화, 패션-잡지, 건강-행위, 색상-색조, 근무-시간, 아로마-테라피, 개선-방안, 전문-대학, 직업-선택, 모발-염색, 취업-지원, 미용-관리사 키워드의 동시출현 빈도가 이 시기에서만 나타났다. 이는 피부 미용, 미용 종사자, 미용 산업, 미용 교육 기관, 피부 건강 상태, 두피 모발 관리 등을 주제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진 것으로 확인할 수 있고, 노인 복지 프로그램의 미용 봉사, 패션 잡지의 헤어 또는 메이크업 연구와 교육과정 개선방안, 미용사 직무 스트레스, 아로마테라피 등 이러한 연구가 2000∼2004년 학위논문의 주요 관심사임을 알 수 있었다. 2시기 2005∼2009년에는 피부 관리, 피부 관리실, 피부 건강, 피부 관리 행동, 여성피부 상태, 미용 서비스 품질, 기능 화장품 사용 등의 주제와 서비스 품질, 외모 관심, 미용 성형, 화장품 구매, 기능 화장품, 관리 행동, 남성 화장품, 화장품 시장, 관리 상품, 중년 여성, 라이프 스타일, 브랜드 이미지, 탈모 관리, 자외선차단 제품 등 의 연구 내용이 새롭게 나타났다. 이는 2005∼2009년 학위논문의 주된 연구 내용이 피부 노화 방지에 대한 미용 성형, 화장 정도에 따른 미용 성형 행동, 남성 화장품 브랜드 이미지 등의 연구가 학위논문의 주된 내용임을 알 수 있었다. 3시기 2010∼2014년에서는 피부-미용, 미용-성형, 미용-서비스, 미용-산업, 미용-교육, 헤어-미용, 미용-종사자, 미용-전공 순으로 동시에 출현하는 빈도가 높았고, 피부 관리 행동, 외모 관리 행동, 두피 모발 관리 등의 주된 관심사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새로운 동시출현 키워드로 소셜-커머스, 뷰티-산업, 헤어-디자인, 미용-전공, 피부-미용사, 네일-샵, 작품-제작, 미용-학과, 퍼머넌트-웨이브, 산업-발전 키워드가 동시에 출현하였다. 이는 2010∼2014년 학위논문의 주된 관심사가 수기 미용 성형 요법 마사지, 피부 미용 소셜 커머스 쿠폰, 미용 소셜 커머스 마케팅, 헤어·네일·메이크업의 작품 제작 연구 등 주된 관심사임을 알 수 있었다. 4시기 2015∼2019년에는 피부-미용, 관리-행동, 미용-교육 순으로 동시출현 빈도가 보이고, 자주 등장한 핵심어로 미용 교육 과정, 피부 미용 서비스, 외모 관리 행동, 헤어 미용 종사자, 미용 서비스 산업, 뷰티 서비스 산업, 한국 화장품 구매, 중년 여성 대상 등이 나타났다. 또한, 반영구-화장, 조직-몰입, 직무-능력, 상호-작용, 헤어-커트, 방문-의도, 한국-화장품, 진로-결정, 국가-기술, 이직-의도 단어가 새롭게 동시출현 빈도를 보였다. 이는 2015∼2019년 한류 열풍으로 인한 홍콩 여성·베트남 소비자·중국인 관광객 등 외국인 대상으로 한국 화장품에 관한 연구, 한국과 중국 반영구 화장 인식 비교 등 주요 연구주제임을 알 수 있다. 또한, 반영구 화장, 국가기술자격, 헤어 커트 디자인 연구, 미용 종사자 이직 의도 등이 4시기 2015∼2019년 학위논문의 주된 관심사임을 알 수 있었다. 5시기 2020년에는 미용-종사자와 동시에 출현하는 빈도가 높고, 종사자는 뷰티-종사자로도 도출되었다. 동시출현 빈도가 새롭게 등장한 키워드로는 인-플루언서, 셀프-네일, 대인-관계, 맞춤-화장품, 뷰티-콘텐츠, 서비스-스케이프, 감정-반응, 미용학원, 현장-실습, 감정-노동, 구전-정보 키워드가 동시출현 빈도를 보였다. 플루언서의 경우 뷰티-플루언서, 소셜-플루언서로 등장하였다. 외모 관리 행동, 피부 관리 행동, 미용 서비스 스케이프, 미용 서비스 품질, 뷰티 서비스 품질, 미용 서비스 산업, 뷰티 서비스 산업, 미용 교육 과정, 화장품 구매 의도, 이직 의도 관계 등이 자주 쓰인 것을 볼 수 있다. 이는 뷰티 인플루언서 정보품질이 메이크업행동 및 색조 화장품 구매의도에 관한 연구, 유튜브(Youtube)·인스타그램(Instagram)과 같은 플랫폼을 활용한 미용·뷰티 연구, 맞춤형화장품조제관리사 자격증 시행실태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등 2020년 MZ세대(밀레니얼과 Z세대를 합친 말로 디지털 환경에 익숙하고, 집단보다는 개인의 행복을, 소유보다 공유를, 최신 트렌드와 남과 다른 이색적인 경험을 추구하는 세대)에 맞게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고, 2020년 3월 14일 맞춤형화장품조제관리사 자격시험이 신설됨에 따라 ‘맞춤-화장품’의 동시출현 빈도가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이처럼 2020년 미용·뷰티 학위논문은 시대 흐름에 따라 연구가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전체 시기 중심 키워드 분석 결과, 미용, 피부, 여성, 관리, 교육, 서비스, 요인, 화장품, 헤어, 효과, 관계, 만족도, 인식, 메이크업, 제품, 고객, 이미지, 소비자 총 18개의 키워드가 도출되었다. 이는 2000∼2020년 미용·뷰티 학위논문의 꾸준한 연구 관심사였음을 의미한다. 또한, 미용 키워드가 뷰티 키워드보다 연구자들 사이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고, 피부, 헤어, 메이크업 분야에 관한 연구가 일정하게 연구 되고 있음을 유추할 수 있다. 네일의 경우 다른 분야에 비해 연구 활동이 낮음을 알 수 있었다. 넷째, 전체 시기 공통 N-gram 분석 결과, 피부-미용, 헤어-스타일, 피부-관리, 설문-조사, 미용-서비스, 상관-관계, 미용-교육, 고객-만족, 미용-산업, 직무-만족 등 의 동시출현 빈도가 도출되었다. 이는 미용·뷰티 학위논문에서 대체로 설문 조사를 이용한 상관 관계에 관한 연구가 많은 것을 의미한다. 헤어 분야는 ‘스타일’ 관한 연구가 주를 이루었고, 피부 분야에서는 ‘관리’에 관한 연구가 대표적으로 나타났다. 미용 분야에서는 ‘서비스’, ‘교육’, ‘산업’, ‘만족’에 관한 연구가 연구자들의 꾸준한 주제 및 관심사임을 알 수 있었다. 다섯째, LDA 토픽모델링 분석 결과, 시기별 3개의 모델링 그룹으로 도출되었다. 1시기 2000∼2004년에는 미용 서비스, 피부 미용 관리, 헤어 스타일 및 이미지 순으로 나타났고, 2시기 2005∼2009년에서는 헤어 스타일 및 미용실, 피부 미용 및 외모 관리, 피부 관리 및 미용 서비스로 구분되었다. 3시기 2010∼2014년은 미용 서비스, 헤어 메이크업 이미지, 피부·모발 관리 및 미용 교육으로 도출되었다. 4시기 2015∼2019년에서는 미용 교육 및 서비스, 화장품 구매 및 뷰티 이미지, 미용 관리로 나타나고, 5시기 2020년에는 관리 행동 관계, 미용 교육, 헤어 미용으로 세부 주제가 도출되었다. 텍스톰(TEXTOM)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시기별 세부 연구주제로 많이 다루어지고 있는 것을 시각적으로 확인하였다. 또한 가장 큰 토픽들이 주된 연구 관심사이지만 특정 토픽에 치우치지 않고 3개의 세부 주제가 독립적인 영역에서 고르게 연구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긴 시간 동안 발간된 대용량의 자료를 빅데이터 분석 솔루션인 텍스톰(TEXTOM)프로그램을 통해 연구자의 주관적 판단을 최소화하고, 큰 어려움 없이 연구 동향을 세분화하여 파악하였다. 세분화된 연구 동향을 파악함으로써, 과거에 시도하지 않았던 새로운 연구방식을 제안하고 미용·뷰티 전공자들에게 연구 동향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제공하였다는데 의의를 가진다. 향후, ‘미용’, ‘뷰티’ 키워드 관련 뉴스를 웹 크롤링하여 본연구 결과와 비교 분석한다면 미용·뷰티분야의 비전을 제시하는 연구로서 의의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 도시락 상품의 브랜드 이미지, 품질수준, 지각된 가치가 브랜드 신뢰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편의점 PB 도시락과 도시락 전문 브랜드 비교연구

        황예진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39

        외식산업은 경제발전과 더불어 급성장을 보이고 있으며 식생활 패턴의 변화, 가치관의 변화에 따른 외식인구의 확대, 편의지향성을 추구하는 라이프 스타일의 변화, 레저 활동 증가, 맞벌이 부부와 1인 가구의 급증 등 여러 요인으로 인하여 외식의 형태는 다양하게 변하고 있다. 그 중 가장 돋보이는 변화는 빠르고 간편함을 추구하는 소비자들의 외식욕구에 따라 도시락 시장이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다는 점이다. 도시락은 편의점 PB 도시락 시장의 확대, 다양한 형태와 메뉴의 도시락 판매 등의 이유로 인해 새로운 식문화로 자리를 잡아가고 있으며, 도시락은 향후 전체 외식시장에서 차지하는 규모가 더욱 더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브랜드 이미지, 품질수준, 지각된 가치가 브랜드 신뢰와 구매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구조적 관계의 연구가설을 설정하였으며 또한 편의점 PB 도시락과 도시락 전문 브랜드 간의 브랜드 이미지, 품질수준, 지각된 가치가 브랜드 신뢰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차이가 있을 것이라는 가설을 설정하여 실증분석을 통하여 연구모형과 가설의 검증을 실시하였다. 실증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최소 3개월 이내에 편의점 PB 도시락 또는 도시락 전문 브랜드의 도시락을 구매한 경험이 있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최종 525부의 표본을 바탕으로 연구모형의 타당성, 신뢰성, 적합도 등을 검토하여 총 9개의 가설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브랜드 신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브랜드 이미지, 품질수준, 지각된 가치 모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브랜드 이미지와 지각된 가치, 브랜드 신뢰만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브랜드 이미지, 품질수준, 지각된 가치는 모두 브랜드 신뢰를 거쳐 구매의도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편의점 PB 도시락 브랜드와 도시락 전문 브랜드를 그룹 비교한 결과, 편의점 PB 도시락 브랜드의 경우 첫째, 브랜드 신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품질수준만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브랜드 이미지와 지각된 가치만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도시락 전문 브랜드의 경우 첫째, 브랜드 신뢰에 미치는 영향은 브랜드 이미지, 품질수준, 지각된 가치 모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지각된 가치와 브랜드 신뢰만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브랜드 이미지, 품질수준, 지각된 가치는 모두 브랜드 신뢰를 거쳐 구매의도로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도시락 브랜드에 따른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브랜드 신뢰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은 그룹마다 차이가 있다는 결론이 도출되어 도시락 브랜드에 따라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앞선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주요 시사점 및 의의는 다음과 같다. 학문적인 시사점으로 브랜드 이미지, 품질수준, 지각된 가치, 브랜드 신뢰, 구매의도 사이에서의 구조적인 관계를 분석하였으며 그로 인해 실증적으로 확인하여 새로운 논의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편의점 PB 도시락과 도시락 전문 브랜드 도시락에 대한 연구가 미비한 시점에서 그 개념을 탐색하였고 도시락 브랜드를 조절효과로 설정하여 그룹 간 비교 연구를 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 실무적인 시사점으로는 편의점 PB 도시락과 도시락 전문 브랜드를 비교 연구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편의점 PB 도시락은 브랜드 신뢰에 영향을 미치는 브랜드 이미지와 지각된 가치를 높일 수 있도록 꾸준한 마케팅 전략과 마케팅 활동을 모색해야 한다. 또한 맛, 메뉴의 다양성 등 낮은 품질수준을 개선하여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도록 지속적인 개발방법을 수립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이다. 한편 도시락 전문 브랜드는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브랜드 이미지와 품질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해 브랜드 이미지와 품질수준을 정확히 파악하여 편의점 PB 도시락과 차별되는 브랜드 콘셉트와 서비스, 메뉴개발을 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이다. 이러한 시사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한계점을 지니고는 있으나 본 연구는 편의점 PB 도시락과 도시락 전문 브랜드의 브랜드 신뢰와 구매의도에 대한 영향요인을 살펴봄으로써 실용적으로 활용이 가능한 시사점을 제안한 연구라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으며 향후 도시락 시장이 더욱 활성화되어 경쟁력을 가지고 마케팅 전략을 기획하는데 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Food service industry has been rapidly increasing as the economy is developed and the form of eating – out has been developed into various types because of changes of patterns of dietary life, increasing eating – out population in accordance with changes of value, changes of convenience oriented life-style, increasing leisure activities, increasing dual career family and single-person household etc. The most outstanding change is that the market of lunch box is rapidly increased in accordance with the demand of the consumers pursuing fast and convenient life for eating – out. Lunch box has been settled as a new type of eating culture because of the increasing PB brand lunch box of convenience store and sales of various lunch box with various menus and it is estimated that the lunch box will account for largely in the whole market of eating – out. Therefore, in this research, the research hypothesis of structural relationship of which brand image, quality level and perceived value would positively (+) effect on the brand reliability and purchase intention. And also, a hypothesis that there are differences of the effects on the brand image, quality level and perceived value between PB brand lunch box of convenience store and brand lunch box was established and the verification of research model and hypothesis was conducted through empirical analysis. In order to conduct the empirical research, survey against the consumers who have experiences of purchasing PB lunch box of convenience stores and brand lunch box within minimum 3 months was conducted in this research and the validity, credibility and goodness were reviewed for the research model based on the 525 samples. 9 hypothesis were verified in total. Firstl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s to the brand credibility, it was suggested that there were positive (+) effects on brand image, quality level and perceived value. Secondl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s to the purchase intention, there were only positive effects on brand image, perceived value and brand credibility. Thirdly, it was suggested that there were indirect effects to the brand image, quality level and perceived value by going through brand credibility. As a result of comparing groups between brand lunch box and PB lunch box of convenience store, the PB lunch box of stores only had positive effects in terms of quality level on brand credibility. Secondl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s to the purchase intention, there were only positive effects on brand image and perceived value. However, it was suggested that there were positive effects on the brand image, quality level and perceived value on the effects to the brand credibility in terms of brand lunch box. Secondl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s on the purchase intention, there were only positive effects on the perceived value and brand credibility. Thirdly, there were indirect effects on the purchase intention in terms of brand image, quality level and perceived value etc. by going through brand credibility. Lastly, the results that there are differences per group regarding the brand credibility and purchase intention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moderating effect were deducted therefore it was suggested that there were moderating effects in accordance with the brands of lunch box. The main implications and the meaning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ing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above. The structural relations among brand image, quality level, perceived value, brand credibility and purchase intention were analyzed in terms of academic implications and there is an implication that the possibility of new discussion through empirical verification. And also, there is an implication that the concept was researched in the moment that there are not enough researches on the PB lunch box of convenience store and brand lunch box and comparative research among groups was conducted by establishing the moderating effects in terms of brand of lunch box. And also, there is a practical implication that the comparative research between PB lunch box of convenience store and brand lunch box was conducted. Continuous marketing strategy and marketing activities should be developed so that the brand images and perceived values to the brand credibility of PB lunch box of convenience store. And also, it is an important subject that the continuous development method should be established to effect to the purchase intention by improving the low quality such as tastes and diversity of menus. And also, it is an important subject that the development of brand concepts, service and development of menus differentiated from the PB lunch box of convenience stores by checking accurately the brand image and quality level to improve brand image and quality level influenced on the purchase intention. Despite of these implications, there are limits. However, there is an implication of this research that the factors of effects of the PB lunch box of convenience store, brand lunch box on brand credibility and purchase intention were checked and suggested the implications that can be practically utilized. And also, it is thought that this research will be a great help in planning marketing strategy in more activated market of lunch box with competitiveness.

      • 제품 디스플레이 LED조명 감성 최적화 연구

        황예진 광주대학교 2016 국내박사

        RANK : 248639

        현재 조명에 대한 연구는 사용자를 중심으로 한 환경조성에 물리적 특성을 고려하고 이를 기초로 하는 발전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신 광원으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LED는 경제적이고 친환경적이며 타 광원에 비해 색 변경 등의 사용이 용이한 반면, 광원 특성상 제품의 색상에 따라 입사파장이 변하고 발색에 따른 색상인지에 있어서 감성적 차이가 나타나 제품 이미지에 영향을 미치게 한다. 따라서 LED를 광원으로 디스플레이용 조명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조도, 휘도, 눈부심 등을 알맞게 조절하여 사용자 혹은 고객이 제품을 보고 있는 동안 행동의 변화나 심리변화를 유발 할 수 있도록 고려되어야 한다. 또한 실내외에서 사용되고 있는 기존 조명에 대한 광학적, 물리적 특성에 따른 사용자 환경에 대한 반응연구는 활발히 진행되고 있지만 LED조명에 대한 평가나 환경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어둠을 밝히기 위한 조명이 아닌 사용자의 감성을 자극할 수 있는 사용자 환경이나, 제품의 종류에 따라 사용자의 선호도가 고려된 LED조명 색상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LED 조명에 제품 감성반응의 주요요인으로 전제하고 제품과 LED조명으로 구현된 조명 환경에서 소비자의 감성적 반응을 분석하고 그 결과에 따라 LED 조명을 체계화하여 최적화된 LED조명을 산출, 제품 감성 최적화된 디스플레이 LED조명을 구현하여 산업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써 LED 조명 선호도에 관한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생수, 의류, 보석류를 제품으로 하여 LED로 구현된 조명 환경에서 소비자의 감성적 반응을 분석하고 그 결과에 따라 최적화된 LED조명을 산출, 디스플레이 LED조명 감성 최적화에 관하여 연구하였으며, LED조명은 일반적으로 상업적 공간에서 디스플레이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 Cool_White, Blue, Yellow를 중심으로 혼합 정도에 따라 5단계로 분류하여 그 범위를 한정하였으며, 감성 최적화 및 다양한 감성 어휘 수집을 위하여 논문, 전문서적, 신문기사에서 사용되어진 형용사 중에서 사용 빈도수와 연구목적을 고려하여 각 100개의 어휘를 1차 추출하였고, 이렇게 추출된 감성 어휘를 재분류하여 가장 빈도수가 많은 대표 감성형용사를 추출해 디자인 전문가 및 전공자 집단의 검증을 통하여 연구에 사용하였으며 결과는 통계프로그램 SPSS/WIN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용으로 사용되고 있는 Cool_White, Blue, Yellow 조명에서의 제품에 대한 감성 선호도는 대체로 높은 편이었으며, 조명에 대한 선호도를 분석한 결과 생수의 경우에는 Cool_White와 Blue25% 혼합한 조명에서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Cool_White와 Blue를 조명별로 비교한 결과에서는 Cool_White와 Blue25%에서 Blue25%가 더 선호도가 높아 p<.05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의류의 경우에는 흰색 티셔츠에서는 Cool White, 청색 티셔츠의 경우에는 Cool_White와 Blue75% 혼합조명을 사용하였을 때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보석류에서는 다이아몬드의 경우에는 Cool_White와 Blue50% 혼합조명에서, 순금의 경우에는 Cool_White와 Yellow75% 혼합조명에서 선호도가 높게 나타났다.

      • 크라우드 펀딩에 대한 무용전공자들의 인식과 경험, 활용 태도

        황예진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perceptions, experiences, and attitudes of dance majors toward crowd funding as basic data on the value of crowd funding, which is a factor that positively influences the effect of financial resources on the dance art world in the future. Research questions are 1) What are the dance majors' perceptions of crowd funding? 2) What is the crowd funding experience of the dance major? 3) The attitudes of dance majors using crowd funding were examined. In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on 263 domestic dance majors aged 20 or older, and frequency analysis, percentage, average, minimum, and maximum values were derived and investigated through the SPSS 18.0 statistical program. As a result, I had heard of crowd funding, but I could see that the awareness of what it was specifically was low, and the value perception was higher than usual. The crowd funding experience was found to have participated the most in the performance field, mainly using the Tumblbuck domestic website. In addition, the success experience of presenting a project directly to crowd funding was lower than that of participating in sponsorship. Finally, in terms of utilization attitude, there was a high reason why dance majors had to present projects they thought of crowd funding to realize creative products, but in fact, there was a high reason to present them with projects to raise funds. It was found that the main reason for not presenting the crowd funding project was the thought that the funding would not be successful. In the follow-up study, through the response of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conduct a study on crowdfunding divided into genres in consideration of the responses that dance majors had to each facto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