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알릴글리시딜에테르와 이산화탄소의 부가반응에 대한 ZIF 의 촉매적 응용

        황예슬 부산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Utilization of carbon dioxide (CO2) is an increasing trend. CO2, as one of the greenhouse gases produced by human activities, can be controlled by removing it from industrial emissions. Among some reasonable technologies for treating it, chemical fixation of CO2 is an effective way because CO2 is recognized to be cheap and abundant carbon feedstock. Currently, zeolitic imidazolate frameworks (ZIFs) is an appealing material to employ as catalyst for CO2 conversion to cyclic carbonates. ZIFs are a new class of porous crystals combining advantages from both zeolites and conventional MOFs. Research works have been mostly focused on synthesizing new ZIFs and investigating their applications in gas storage and gas separation properties. Highly desirable properties of ZIFs, such as uniform micropores, high surface areas, and open porous framework structures with large accessible pore volumes makes them potentially interesting candidates for catalytic applications. In particular, zinc-containing ZIF is an appealing material to employ as catalyst for CO2 conversion to cyclic carbonates. A highly porous zeolite imidazolate framework (ZIF-90) was synthesized by various methods, and the post-synthesis functionalization was performed on the crystals of ZIF-90. The functionalized ZIFs were successfully utilized as an effective catalyst for the cycloaddition of CO2 to allyl gylcidyl ether (AGE) without any solvents. The solid catalysts were characterized using various physicochemical method such as X-ray powder diffraction (XR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FT-IR), elemental analysis (EA), and Nuclear magnetic resonance (NMR). The effects of reaction parameters like catalyst amount, temperature, CO2 pressure and reaction time on the synthesis of allyl glycidyl carbonate from CO2 and AGE were also investigated. The catalytic performance results revealed that AGE conversion increased with increasing reaction temperature and CO2 pressure. Reaction mechanisms containing the role of ZIF-90 and F-ZIF-90 were proposed.

      • 마크 디온(Mark Dion)의 생태미술에 관한 연구

        황예슬 영남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마크 디온의 현장을 기반으로 한 생태미술에 초점을 맞추고 중요한 세 가지 특징인 자연생태계의 순환과정, 폐기물의 진열장 전시, 지역공동체의 협동작업을 분석하고 그 의미를 고찰했으며, 이를 위해 먼저 생태미술의 성립 배경과 영향관계에 있는 미술가들의 작업을 살펴보았다. 레이첼 카슨의 『침묵의 봄』(1962)을 시작으로 1960년대부터 환경문제가 부각되고 그에 따른 환경운동이 전개되었다. 이와 함께 기존의 도구주의적 자연관과 인간중심적 가치관을 벗어나 인간과 자연의 상호연관성을 중시하는 생태학적 세계관이 부상했다. 미술가들 또한 생태학적 세계관을 바탕으로 환경문제에 대응하고 실천하는 작업들을 시도하는데, 이는 생태미술의 성립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디온의 생태미술에 영향을 준 미술가들을 살펴보면, 먼저 보이스의 ‘사회적 조각’이 추구한 현장에서의 활동과 시민의 참여, 생태학적 관점은 소통과 교육을 목적으로 했던 디온의 작업에서도 발견된다. 그리고 하케의 ‘시스템 작업’에서 나타나는 생태계의 순환과정, 유기체와 환경의 영향 관계는 디온 작업의 선례로 작용한다. 또한 디온이 관심을 가졌던 스미슨의 ‘대지미술’은 산업화된 자본주의 사회의 환경문제를 비판하고 엔트로피가 증가된 오염 현장을 주목한다. 디온의 생태미술에 나타난 세 가지 특성을 분석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디온은 야외 현장의 흙과 나무와 같은 자연의 일부를 전시장으로 옮겨와 자연생태계의 순환과정을 가시화한다. <열대 자연에 관하여>(1991)에서 관람자는 베네수엘라에서 채집한 자연물을 통해 수시로 변화하는 열대우림의 생태계를 생생히 경험할 수 있었다. 아마존 벨렘의 토양을 전시한 <정글 1미터>(1992)는 고온다습한 습지를 벗어나 미술관에서 죽음을 맞이하는 곤충과 유충을 보여주며 열대우림의 생태계가 파괴되는 상황을 경고한다. <비바리움>(2002)은 온실과 같은 유리박스 안의 나무줄기에서 여러 종류의 식물과 이끼, 곰팡이와 미생물이 번식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시애틀 올림픽 조각공원에 전시한 거대한 온실인 <뉴콤 비바리움>(2006)의 경우, 온실 화단의 14미터 높이의 나무를 주축으로 다양한 녹색 식물과 이끼가 자라고, 미생물과 곤충들이 번식하는데, 이를 통해 관람자는 도심에서 생태계의 순환과정과 그 경이로움을 체험하게 된다. 그러나 온실의 적합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값비싼 장치들은 인공적 생태공간의 한계를 드러낸다. 이처럼 전시장에 구현된 생태계는 생명체의 상호공존과 이에 적합한 자연 그대로의 환경 조건을 강조하며 파괴된 자연생태계의 심각한 상황을 알려준다. 둘째, 디온은 분더카머의 진열장과 수집품의 분류라는 기존의 형식을 빌려오지만, 그 대상과 전시방식을 변환하여 환경문제를 주제로 하는 작업을 한다. <테이트 템즈강 발굴>(1999)은 런던의 템즈강에서 수집한 폐품과 산업폐기물을 분더카머와 같은 목재 진열장에 귀중한 물건처럼 전시한 작업이며, 이는 런던의 산업화와 경제개발로 인한 생태계의 파괴를 보여준다. <해양 폐기물 진열장>(2021)에서 플라스틱 생활폐품의 색상 배열이 만들어내는 시각적 아름다움은 관람자의 시선을 끌고, 이와 동시에 오늘날 광범위하게 소비되는 환경파괴의 주범인 플라스틱의 위험성을 인식하게 한다. 셋째, 디온은 시민들이 직접 참여하는 협동작업을 진행하는데, <벨리즈 동물원 프로젝트>(1990)와 <시카고 도시 생태계 활동그룹>(1992-1993)은 생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작가와 지역공동체가 협동하는 ‘새로운 장르 공공미술’의 특징을 잘 보여준다. <벨리즈 동물원 프로젝트>의 경우, 방문객들은 벨리즈 동물원의 직원들이 제작한 표지판을 통해 벨리즈의 역사와 토착 동물의 특징, 멸종 위기의 상황을 알 수 있었다. <시카고 도시 생태계 활동그룹>은 시카고의 학생들이 도시의 주변 환경과 벨리즈의 열대우림을 연구하고, 공원의 현장 사무실에서 시민들과 함께 지역 생태계와 환경문제에 관해 배우고 의견을 나누는 장을 마련한 프로젝트이다. 이후에도 디온은 현장 사무실 작업을 지속하는데, 임시로 제작된 갈매기 조형물인 <이동식 갈매기 사무실>(2008)은 포크스턴의 갈매기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바꾸기 위해 도시의 여러 장소를 찾아다니며 시민들과 소통하는 현장 사무실이 되었다. 이처럼 디온은 현장에서 시민들과 함께 주변 환경과 생태계에 관해 소통하고 생태 문제의 해결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언급하면, 오늘날의 인간은 전례 없는 기후변화와 광범위한 환경오염, 생물 대멸종의 위기에 직면한 ‘인류세(Anthropocene)’의 시대에 살고 있다. 2000년 파울 크뤼천(Paul J. Crutzen, 1933-2021)이 제안한 지질학적 용어인 ‘인류세’는 인간 활동으로 지구 환경이 급속도로 변화하는 새로운 시대를 의미하며, 이는 환경파괴의 시대적 위기를 알리는 개념으로 자리 잡고 있다. 이처럼 ‘인류세’란 개념이 과학을 넘어 사회와 문화 전반에서 주목받는 현 상황에서, 디온의 생태미술 역시 지구 환경의 지속가능성을 위해 다양한 환경문제를 경고하고 인류의 행동변화를 촉구한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Focusing on the ecological art based on the site of Mark Dion, this study divided the natural ecosystem into a circular process, waste display cabinet exhibition, and cooperative work by the local community, and examined its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Prior to this, we looked at the historical precedent of art, which is the background and influence of ecological art. Starting with Rachel Carson's Silent Spring(1962), environmental issues have emerged since the 1960s, and environmental movements have developed accordingly. Along with this, the 'ecological worldview' that values the mutual influence of humans and nature has emerged, away from the existing instrumentalist view of nature and human-centered thinking. Artists also tried to respond to and practice environmental problems based on the ecological world view, which had an important influence on the establishment of ecological art. The leading artists who influenced Dion's ecological art include Joseph Beuys, Hans Haacke, and Robert Smithson. First, activities and civic participation in the field pursued by the 'social sculpture' of Beays, and ecological perspectives are also found in Dion's work aimed at communication and education. And the ecosystem circulation process in Haacke's 'systems art' and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organisms and the environment serve as a precedent for Dion's work. Smithson's 'land art', which had an influence on Dion, criticizes industrialized capitalist society and environmental problems, and pays attention to contaminated sites with increased entropy. Dion's field-based ecological art is divided into three characteristics and analyzed as follows. First, Dion moves parts of nature, such as soil and trees in the outdoor scene, to the exhibition hall, revealing the cycle of the natural ecosystem. In the work called <On Tropical Natural>(1991), visitors could vividly experience the changing ecosystem of rainforests through natural objects collected in Venezuela. <A Meter of Jungle>(1992), which displays the soil of the Amazon Belem, warns of the destruction of the ecosystem in the rainforest by showing insects and larvae facing death in art museums away from the hot and humid wetlands. <Vivarium>(2002) shows the process of reproducing various plants, mosses, fungi, and microorganisms in a tree trunk inside a glass box such as a whole road. <Neukom Vivarium(2006), a huge greenhouse displayed at the Seattle Olympic Sculpture Park, grows various green plants, mosses, and reproduces microorganisms and insects around the 14-meter tall tree of the greenhouse flower bed, allowing visitors to experience the ecological cycle and its wonders in the city. On the other hand, expensive equipment and devices are needed to maintain the proper condition of the greenhouse, which reveals the limits of the artificial ecological space. In this way, the ecosystem implemented in the exhibition hall emphasizes the mutual coexistence of life and the natural environmental conditions suitable for it, and ultimately informs the situation of the destroyed natural ecosystem. Second, Dion borrows the existing format of Wunderkammer's display cabinet and classification of collections, and transforms the exhibition method of the object into an ecologically. In other words, he wants to inform the pollution of the ecosystem by displaying waste in a display cabinet. <Tate Thames Dig>(1999) is the work of displaying waste and industrial waste collected from the Thames in London like valuable objects in wooden displays such as the Wunderkammer. This shows the destruction of the ecosystem due to industrialization and economic development in London. The visual beauty created by the color arrangement of plastic household waste in <Cabinet of Marine Debris>(2021) attracts viewers' attention and at the same time signals the dangers of plastic, which is widely consumed today, but is the main culprit of environmental destruction. Third, Dion conducts ecological education in which citizens directly participate. It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new genre public art' in which writers and local communities cooperate to improve the ecological problems of the <Project for the Belize Zoo>(1990) and the <The Chicago Urban Ecology Action Group>(1992-1993). In the case of the <Project for the Belize Zoo>, visitors were able to inform the characteristics and endangered conditions of indigenous animals along with the history of Belize through signs produced by Belize staff. <The Chicago Urban Ecology Action Group> is a project that provides a place for students of Chicago to study the surroundings of the city and the rainforests of Belize, and to learn and share opinions on local ecosystem and environmental issues with citizens at the park's field station. Since then, Dion has continued to work in the field station, and the temporary seagull sculpture <The Mobile Gull Appreciation Unit>(2008) has become a field station to communicate with citizens by traveling from place to place in the city to change Folkestone's negative perception of seagulls. In this way, Dion communicates with citizens in the field about its surroundings and ecosystems and seeks solutions to ecosystem problems. Finally, we live in an era of 'Anthropocene' that faces unprecedented climate change, widespread environmental pollution and the threat of biological extinction. Today, the concept of Anthropocene is drawing attention from society and culture beyond science, and Dion's ecological art is also important in that it warns of various environmental problems and urges human behavior change for the sustainability of the global environment.

      • 영화를 통한 문화예술교육 활용방안 기초연구 : 한국의 가족문화를 중심으로

        황예슬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영화를 통한 문화예술교육이 적절하게 이루어지고 있는가에 대한 의문점에서 시작되었다. 문화예술교육이란 음악, 무용, 연극, 영화, 연예, 국악, 사진, 건축, 어문, 출판 및 만화 등의 문화예술을 교육 내용으로 하거나 교육과정에 활용하는 교육을 말한다. 본 연구에서는 학교 문화예술교육을 논의하였고, 학습자는 고등학생으로 선정하였다. 문화예술교육의 목표는 예술을 통해 상상력을 자극하고 심미안을 가지게 하는 것에 치우치지 않고 사회적 능력과 참여, 개인의 삶에 대한 성찰, 그를 통한 다양성의 이해에 도움을 주는 것이다. 현재 학교 문화예술교육에서의 영화교육은 영화의 사회문화적 기능보다는 제작 교육이나 단순 감상에 초점이 맞춰져 비교적 수요가 미미하다고 할 수 있다. 문화예술교육은 문화예술과 예술교육이 교육의 틀 내에서 유기적으로 연계되어야 하기 때문에 영화를 제작하는 과정 이전에 영화를 활용한 문화 현상에 대한 포착과 이해가 반드시 선행되어야 하고 그 성찰을 토대로 한 창작을 이끌어가야 한다. 현 문화예술교육에서의 영화교육의 과정과 목표를 본질적으로 성찰해야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영화를 통한 문화예술교육의 활용방안을 제시하되 창작 과정 전 선행되어야 할 한국 문화교육을 중심으로 논의했으며 주제는 가족문화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하는 가족문화라는 용어는 가족의 형태와 제도, 가치관, 구성원들의 관계 및 의식 등 가족과 관련된 모든 요소를 아우르는 개념이다. 한국의 가족문화는 산업화를 전후로 매우 다른 양상을 보인다. 부계 혈연의 가부장제가 주를 이뤘던 전통사회와 달리 핵가족의 수가 늘어나고 개인의 선택과 자유가 중요시되면서 다양한 가족문화가 나타났다. 한국 가족문화의 변화는 영화에서도 드러난다. 본 연구에서는 각 영화가 그려내는 주제 및 중심이 되는 인물 및 사건들의 양상이 다양한가, 작품성과 예술성을 인정받았는가, 대중성을 가졌는가를 기준으로 영화 <로맨스 빠빠>(1960), <길소뜸>(1986), <가족의 탄생>(2006), <기생충>(2019)을 선정하여 영화에 나타난 각양각색의 가족문화를 분석하였다. <로맨스 빠빠>에서는 가부장제의 가족이 등장하지만 새로운 세대를 대변하는 자식들과 사위가 가족의 위기를 이겨낸다. <길소뜸>에서는 오랜 시간 동안 함께 하지 못해 다시 만났음에도 결합되기 어려운 이산가족들의 모습을 그린다. <가족의 탄생>에서는 혈연이 아니라 사랑으로 이루어진 가족을, <기생충>에서는 경제적인 부를 기준으로 계급이 나뉜 양극화된 가족의 모습을 보여준다. 각 영화의 시대적 배경과 가족문화를 분석한 후 문화예술교육에서 활용할 수 있는 개별 발문 및 활동을 제시하였다. 발문 및 활동은 영화의 서사 관련, 영화의 캐릭터 관련, 영화의 공간, 소품 관련 및 기타로 나누어 제시하여 보다 정교한 문화 이해가 가능하도록 하였고, 시대적 배경과 관련된 활동을 포함하여 최종적으로는 시대와 가족의 유기적인 관계를 통한 가족문화 이해를 목표로 두었다. 본 연구는 문화 이해 교육에 초점을 맞춰 이를 기반으로 한 창작 과정을 포함한 교육 방안 전체를 제시하지는 못하였고 실제 문화예술교육 현장에서 활용하지 못했던 점이 아쉬운 측면으로 남는다. 그러나 영화 속에 반영된 사회·문화 현상, 그중에서도 가족문화와 관련된 다양한 작품을 분석하여 기존의 문화예술교육을 개선할 수 있는 활용방안을 제시했다는 것에 의의가 있으며, 영화 4편을 비교·활용하여 한국 가족문화를 이해할 수 있는 문화예술교육의 가능성을 발견하였다. 추후 이뤄질 활용과 연구를 기대하며 기존의 문화예술교육 연구를 확장시키는 기회가 되었길 바란다. This study began with the question of whether culture and art education through film is being properly conducted. Culture and arts education refers to education that uses cultural arts, such as music, dance, theater, film, entertainment, Korean traditional music, photography, architecture, language, publication, and cartoons, as educational contents in the curriculum. In this study, the culture and arts education of school was discussed, and high school students were selected as the learners. The goal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is not only to stimulate imagination and foster aesthetic senses, but also to help students understand social abilities and participation, reflect on individual life, and learn diversity through art. Currently, film education in school culture and arts education is relatively insignificant in demand as it focuses on production education or simple appreciation rather than the social and cultural functions of movies. Since culture and arts education should be organically linked within the framework of education, the cultural phenomena using the movies should be grasped and understood prior to the process of film production, and encourage creativity based on reflection. This paper says that the process and goals of film education in the current culture and arts education should be reflected in nature. Therefore, this study suggested the use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through movies, but discussed Korean culture and education that should be preceded before the production process, focusing on the topic of family culture. The term "family culture" used in this study encompasses all aspects of family, including the form and system of family, values, relationships and consciousness of the members. Korean family culture before and after industrialization has many differences. Unlike traditional society, where the patriarchal system centered around parental blood ties, various family cultures emerged as the number of nuclear families increased and individual choice and freedom became more important. Changes in Korean family culture are also evident in movies. In this study, various family cultures were analyzed by selecting the <A Romantic Papa>(1960), <Gilsotteum>(1986), <Family Ties>(2006), and <Parasite>(2019) based on the diversity of the themes, central figures and events of each film, and whether the film was recognized for their work, artistry, or popularity. In <A Romantic Papa>, the family of patriarchs appears, but children and sons-in-law, who represent a new generation, overcome the family crisis. <Gilsotteum> depicts separated families who have not been together for a long time and are unable to be reunited. <Family Ties> shows a family made of love, not blood ties, and <Parasite> shows a polarized families divided into classes based on economic wealth. After analyzing the historical background and family culture of each film, individual questionings and activities that can be used in culture and arts education were presented. The questionings and class activities were presented in narrative, character-related, film-related, space-related, props-related, and other categories to enable more sophisticated cultural understanding, and ultimately family cultural understanding through the organic relationship of the times and families. This study focused on cultural understanding education, however, failed to present the entire educational method, including the creative process based on it. It is regrettable that it was not used in the field of the actual cultural and artistic education. However, it is meaningful that the social and cultural phenomena reflected in the movie, especially various works related to family culture, were analyzed to suggest ways to improve the existing cultural and artistic education, and the possibility of cultural and artistic education was found by comparing and utilizing four films. Hopefully, this paper offers an opportunity to expand existing research on culture and arts education in anticipation of future use and research.

      • 화학물질관리 법제의 개선에 관한 연구 : 리스크관리 강화를 중심으로

        황예슬 東國大學校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oday's modern society, chemicals have become basic essentials to life with many chemical businesses activated. Behind those developments, however, are a number of chemical accidents including the leaks of hydrofluoric acid in Gumi and the damage by the humidifier sterilizers. When such chemical accidents happen, they cause irrevocable damage to the human body and environment as well as the property. Chemicals are accompanied by the duty of establishing law and order and maintaining safety to have their safety guaranteed by the government because their risks have high prediction and evaluation uncertainties. Those requirements have made the improvement of chemical management a global trend as well as in the nation, which is reflected in the systems of Japan, the United States, and European Union. In South Korea, they have judged that the Toxic Chemicals Control Act alone is not sufficient to react to such chemical accidents. On January 1, 2015, Chemicals Control Act and Act on the Registration, Evaluation, etc. of Chemical Substances were enacted and revised and came into effect. The two acts legislated systems to reinforce the risk management of chemicals including replacing the old registration system with a new license system for businesses dealing with chemicals and adding new provisions to strengthen responses to accidents. The two acts, however, still have issues yet to overcome. The biggest one is the absence of basic principles. Given the characteristics of chemicals that should be under control throughout the life cycle, it is necessary to ask for cooperation among all the users including the manufacturing and importing businesses and downstream users and stipulate the basic principles to induce cooperation from them. The regulations of the two acts should be made more specific so that they will not end up as a mere scrap of paper. It is currently mandatory that a business should manage and supervise its contractor when subcontracting out its chemical affairs, but the scope of subcontracting is not clear. It is also compulsory to report an accident "immediately" to reinforce the abilities to react to accidents, but the time frame of "immediate" report is not clear, either. Finally, there is a need to reorganize the system of sharing information about chemicals. The two acts state that information should be provided when there is a "request" from a downstream user, but information about chemicals should be smoothly shared throughout the entire process from manufacturing to sales in order to prevent chemical accidents and make proper reactions to their risks. This study analyzed the chemical management systems of Japan, EU, and the United States, examined the problems with the Chemicals Control Act and Act on the Registration, Evaluation, etc. of Chemical Substances currently in effect in South Korea, and proposed improvement measures through the comparative legislation cases of other countries. [Keywords] Chemicals Control Act, Act on the Registration, Evaluation, etc. of Chemical Substances, Risk management, REACH(Registration, Evaluation and Authorization of Chemicals), Principle of environ mental Law

      • Data-driven Agricultural Market Prediction : Using Data from Hog-farm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황예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e information age, many economic problems have been solved using accumulated data from information systems. This study tries to relieve two controversial issues in market prediction using such data. First, the controversies often exist over the theoretical model, Rational Expectation Hypothesis (REH) model, and the empirical model, the time-series model. REH has been questioned for its overly restrictive assumptions and its poor forecasting performance. Second, this study tries to verify their better predictive power of machine-learning method over time-series method in the case with the agent-level data. The machine-learning methods in this study adopt disaggregated farm-level data to improve flexibility, which has not been attempted in previous studies. They are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time-series methods. Consequently, the explanatory and predictive power of the REH model was found to be worse than the model with farm-level data. Also, the time-series model dominates the REH model in supply forecasting, which is consistent with previous studies. Furthermore, machine-learning methods using disaggregated data performed better than the time-series models, when forecasting the far future.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개개인의 의사결정이 데이터로 축적되면서 이러한 데이터를 활용하여 과거에는 풀지 못하였던 다양한 문제들을 검증할 수 있게 되었다. 본 연구는 시장예측과 관련된 선행 연구에 있어서 두 개의 주요한 연구 질문에 대한 답을 구하고자 한다. 첫 번째 주요한 문제는 합리적 기대가설이 이론적으로는 널리 활용되어 왔지만 너무 강한 가정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실제 경제 예측을 잘못한다는 점이다. 본 연구에서 합리적 기대 가설을 활용한 모델과 개개인의 의사결정을 합한 데이터를 활용한 모델을 비교해보니 정보 시스템 데이터를 활용한 모델이 더 뛰어난 설명력과 예측력을 가지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두 번째로 주요한 질문은 개개인의 의사결정을 담는 데이터를 활용하여 시장 예측을 할 때 가장 유용한 방법론이 어떤 것인가에 대한 질문이다. 과거에 시장 가격과 시장 공급량과 같이 합해진 데이터를 사용할 때는 시계열 방법론이 예측을 잘 한다는 결과가 있었다. 그러나 시장 단위가 아닌 개인 단위의 데이터는 더욱 복잡하고 비선형적인 관계가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머신러닝 방법을 활용하여 시계열 방법과 비교해 보았다. 그 결과 단기적으로는 시계열 방법이 장기적으로는 머신러닝 방법이 우세하다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 구상과 추상의 공존을 통한 하늘 이미지 표현 -본인작품을 중심으로-

        황예슬 세종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하루를 시작할 때 여러 가지 요소 중 하늘의 상태에 따라 기분이 좌지우지 될 때가 있다. 바람의 세기에 따라, 습도에 따라, 기온 차에 따라 우리가 느낄 수 있는 감정은 무궁무진하다. 광활한 자연을 보고 있으면 마음이 편안해질 때가 있다. 소위 흔히들 말하는 힐링(healing)이란 인간의 신체적, 정신적 상태가 회복되는 것으로서 치유라고 하며, 그로 인해 심신의 안정을 찾거나 행복함을 얻기도 한다. 본인은 직접 기록해놨던 하늘사진을 보고 감정과 상황을 떠올렸다. 광활한 하늘을 보니 그날의 편안했던 감정들이 떠올랐다. 사람들은 모두 같은 생각을 하고 살아가진 않는다. 하지만 통상적으로 비슷한 감정을 느끼는 순간은 분명히 존재한다. 본인은 그것이 하늘이라고 생각한다. 아름다운 하늘의 찰나를 보며 기분이 언짢아 지거나 화가 나는 사람은 드물 것이다. 물론 그때의 공기의 온도, 바람의 세기, 습도의 차이에 따라 정도의 차가 생길 수는 있겠지만, 흔히들 생각하는 ‘날씨 좋은 날’ 하면 떠오르는 그런 1차원적 감정 말이다. 본인의 작업에서는 하늘에서 오는 감정의 ‘안정감’과 ‘편안함’이 제일 중요시 된다. 안정(安定)은 ‘육체적 또는 정신적으로 편안하고 고요함’, 편안(便安)은 ‘편하고 걱정 없이 좋다’를 뜻한다. 마치 어렸을 적 친구를 만나서 아주 오래전 얘기들을 반복하고 같은 주제를 수도 없이 말하면서 즐기는 감정과 유사하다. 그 또한 친구와 본인의 관계가 안정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느낄 수 있는 편안함인 것이다. 본 논문은 본인이 느꼈던 편안한 감정을 캔버스 안에 그려내는 과정을 담았다. 그 과정 안에서 생긴 구상적 요소와 추상적 요소에서의 내적 갈등과 개선방안의 중간점에 대해 작업하고 연구하였다. 초기의 재현적 요소에서 나타났던 문제점들과 그것을 바탕으로 나타났던 작업 과정에 관하여 논하여 보려고 한다.

      • 신체조성과 체력수준에 따른 여자 유도선수들의 special Judo fitness test 수준의 차이

        황예슬 한국체육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여자유도선수의 신체조성에 따른 SIFT(Special Judo Fitness Test)의 차이를 규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연구자가 속한 대학의 IRB(생명윤리위원회)의 절차에 따라 연구방법과 연구윤리에 대한 검증을 실시한 다음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대상자들은 대학팀 소속의 여자 유도선수를 모집단으로 선정한 다음 편의표집법(convenience sampling)을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대상자를 모집하기 전 연구의 목적과 방법에 대하여 충분히 설명한 다음 연구참여의사를 확인하였다. 이 과정에서 연구 참여의사를 밝힌 13명의 대상자가 선발되어 실험에 참여하였다. 연구대상자들의 신체조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신장과 체중, 골근격량 및 체지방량을 측정하였다. 그리고 충분한 휴식을 취한 후 SIFT(Special Judo Fitness Test)를 측정하였다. 측정한 자료는 연구의 목적에 따라 SPSS 21.0과 AMOS 21.0을 이용한 상관분석과 경로분석에 활용되었다. 상관분석과 경로분석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여자 유도선수의 신체조성과 SIFT의 관계에서는 신체조성 중 신장, 골근력량, BMI 및 제지방량은 Index와 유의한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체중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여자 유도선수의 근력과 SIFT의 관계에서는 상지 및 하지의 신근 및 굴근의 근력은 Index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성게 장내로부터 분리된 알긴산 분해 균주 Vibrio sp. AlyHP32의 특성 및 효소 활성 규명

        황예슬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해조류 유래 올리고당에 대한 여러 기능성 연구들이 보고되고 있으며, 이러한 기능성 해조 올리고당의 식품 생산을 위해서는 고활성의 올리고당 분해효소 개발이 우선적으로 이루어질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해조류인 다시마를 영양원으로 사용하는 성게 내장 속 장내 미생물로부터 알긴산 분해활성을 가진 균주를 분리하였으며, 성게 (Hemicentrotus pulcherrimus)샘플은 한국 남해안 여수 해안에서 확보하였고, 분리된 균주 이름을 AlyHP32로 명명하였다. AlyHP32 균주는 그람음성이며, 극성 편모를 가져 운동성을 지녔다. 균주는 1?6% NaCl (최적 생장 2-4%) 농도에서 생장이 가능하며, 4?30 oC (최적 생장 25 oC) 온도 범위에서 생장이 가능 하였다. 16S rRNA 및 5 개의 housekeeping 유전자 (atpA, pyrH, recA, rpoA, rpoD)의 염기서열을 이용하여 계통학적 분석 결과 Vibrio 속에 속하는 종으로 판명되었으며, Vibrio splendidus 표준균주와 단계통군을 형성하였다. 그러나 DNA-DNA 혼성화 방법과 BOX- 및 REP-PCR을 이용한 DNA 지문분석 기법을 이용하여 계통학적, 표현학적, 생화학적 및 DNA-DNA 혼성화 분석 결과, AlyHP32 균주는 새로운 종으로 판명되어 Vibrio hemicentroti로 명명하였다 (표준균주 AlyHP32T = KCTC 32085T = DSM 26178T). Vibrio hemicentroti AlyHP32 균주 유래 alginate lyase 효소는 pH 6.0, 15 oC 및 1 mM AgNO3 존재 시 최적의 효소 활성을 나타내었고, poly β-D-mannuronate (M) 및 poly α-L-guluronate (G) 두 기질 모두 특이적으로 작용하여 분해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확보한 신종 균주의 알긴산 분해효소는 기능성 알긴산 올리고당 생산을 위한 유용한 자원으로서 활용이 기대된다.

      •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이 종업원의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 : 외부적∙내부적 CSR의 상호작용 효과 중심으로

        황예슬 서강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지속가능경영과 투명하고 정직한 기업문화를 추구하는 추세에 따라 기업의 사회적 책임(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이하 CSR)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다. 초반에는 기업의 재무적인 성과측면의 거시적(Macro) 관점 연구가 주를 이루었고, 이후 종업원의 영향 측면의 미시적(Micro) 관점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CSR에 대한 개념의 모호성과 단순성 및 측정방법의 한계에 따라 CSR을 이해관계자별로 분리해서 보는 시각이 필요하다. 또한, 종업원의 경우 CSR의 수혜자인 동시에 CSR을 수행하는 실행 주체로서 역할이 구분되고, 다른 관점을 지니고 있을 수 있으므로 단독으로의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따라 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CSR을 외부적 CSR과 내부적 CSR로 구분하여 CSR 개념의 명확화를 시도하고, 둘째, 종업원의 인식으로 외부적 CSR과 내부적 CSR을 측정하고, 종업원의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외부적 CSR과 내부적 CSR의 상호작용 효과를 중심으로 실증연구를 진행한다. 이를 토대로 학문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미시적 CSR에서 외부적 CSR과 내부적 CSR, 직무태도에서 조직몰입과 이직의도에 대한 선행연구를 하고, 이론적 근거를 바탕으로 가설을 설정하였다. 검증을 위해 국내 기업 종업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고, 최종적으로 통계분석에서 총 245부를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외부적 CSR에 대한 종업원의 인식은 직무태도에 영향을 미쳤다. 조직몰입에 정(+)적인 영향을, 이직의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내부적 CSR에 대한 종업원의 인식은 직무태도에 영향을 미쳤다. 조직몰입에 정(+)적인 영향을, 이직의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외부적 CSR과 내부적 CSR의 상호작용에서 외부적 CSR에 대한 종업원의 인식과 내부적 CSR에 대한 종업원의 인식이 모두 높은 경우에 둘다 낮은 경우보다 조직몰입이 높고, 이직의도가 낮은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외부적 CSR에 대한 종업원의 인식이 낮고, 내부적 CSR에 대한 종업원의 인식이 높은 경우에 외부적 CSR에 대 한 종업원의 인식이 높고, 내부적 CSR에 대한 종업원의 인식이 낮은 경우보다 조직몰입이 높고, 이직의도가 낮은 것에 대해서는 유의하지 않은 결과가 나왔다. 본 연구는 CSR 개념의 명확화를 시도하였고, 내부적 CSR, 종업원의 인식 및 종업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주목하였으며, 국내 기업을 대상으로 한 실증연구로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더불어 CSR을 외부적 CSR과 내부적 CSR로 나누어 연구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과 CSR이 종업원의 직무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요인이라는 것, 그리고 실무적으로 기업이 외부적 CSR과 내부적 CSR 어느 한 곳에 투자하기 보다는 균형적으로 투자해야 함을 확인하며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한계에 대해 논의하고,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한다. In line with the trend of promoting corporate sustainability management and transparent corporate culture, many studies on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CSR) have been conducted recently. The first of such studies typically took a macroscopic perspective by examining companies’ financial performance, but over time studies have increasingly taken a more microscopic perspective by examining the influence that CSR has on employees. However, due to the vagueness and simplicity of the CSR concept and the difficulty in measuring it,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new perspective that looks at CSR separately for each stakeholder. Also, corporate employees are both beneficiaries of and agents implementing CSR activities, so some studies must exclusively focus on employees.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as follows. First, it classifies CSR activities as external CSR and internal CSR to better define its core concepts. Second, it measured external CSR and internal CSR from the employee perspective and then empirically studied the interaction between external CSR and internal CSR and how they influenced employees’ attitudes. Implications based on these results were then offered for both academia and business. To this end, a precedent study was conducted on external CSR and internal CSR to study CSR at a microscopic level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to determine employees’ attitudes about their jobs. A hypothesis was then proffered based on theoretical grounds. To test the hypothesis, 245 employees of domestic companies were surveyed and their responses were statistically analyzed.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employees’ perception of external CSR influenced their attitudes about their jobs. It had a positive influence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a negative influence on turnover intention. Second, employees’ perception of internal CSR also affected their attitudes about their jobs. It had a positive influence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a negative influence on turnover intention. Third, in the interaction between external CSR and internal CSR, when both employees’ perception of external CSR and employees’ perception of internal CSR were high, organizational commitment is higher and turnover intention is lower than when both employees’ perception of external CSR and employees’ perception of internal CSR are low. However, when employees’ perception of external CSR was low and employees’ perception of internal CSR was high, it was not significant that organizational commitment is higher and turnover intention is lower than when employees’ perception of external CSR was high and employees’ perception of internal CSR was low. This study was meaningful in that it clarified what CSR is; focused on internal CSR, employee perception and its effects; and generated implications for academia and business through empirical research on South Korean companies. Moreover, it provided the critical insight that it is important to study CSR in terms of external CSR and internal CSR separately; that CSR influences employees’ attitudes about their jobs; and that companies should invest in both external CSR and internal CSR rather than one or the other alone. Finally, this study discussed its limitations and presente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