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현(絃)의 노래』에 나타난 문화예술 의식과 우주적 생명관

        황영경 인문예술학회 2018 인문과 예술 Vol.- No.5

        In the novel Songs of Strings, the main character is Ureuk, which means that his instrument Gayageum is an important mechanism in the story. The Ureuk character will help to explore the culture and art appreciated by the Gaya people. The Gayageum is a very important element in discussions about the culture and art of Gaya. When Ureuk sought asylum in Silla, the remarkable nature of Gaya’s music culture was incorporated into Silla and has been passed down until modern times, which makes it significant to explore the culture of Gaya. Since the Gayageum is a subject matter in Songs of Strings, the novel puts a considerable focus on sound. In the novel, the author depicts the Gayageum, a string instrument capable of notes of broad melodies, and the ideas of the Gaya people with creative music through the delicate listening sense of Ureuk as a court musician. In the novel, the names of constellations are often used and described delicately. The Gaya people made an “inquiry” into stars as if they had an observation balloon, which indicates that they had good knowledge about astronomy and made sensitive reactions to it. It may be a natural phenomenon, given the world and cosmic views of the people those days when they had no various media of communication like today and accepted natural phenomena in an extrasensory manner. Their specific and friendly perceptions and approaches toward the celestial bodies have, however, become a foundation for a scientific demonstration theory called “astronomy” today, thus holding significance. The novel frequently deals with the “death” of a king. Even its introduction starts by depicting a scene of funeral for a king with realistic descriptions of all sorts of acts in the burial of the living with the dead, which is a unique funeral act of burying living people or animals for the deceased. It cannot be dismissed merely as an eccentric custom partly because life and death is connected as one essentially and partly because this “system” of life and death is an element of origin in the culture of mankind. The novel depicts many elements with which to estimate the spiritual culture of Gaya people including Ye-ak, constellations and astronomy, and the burial system of the living with the dead as a manifestation of afterlife. Even though it is a literary inquiry, it offers reference data to investigate the social aspects and values of those days and the cultural and artistic consciousness and cosmic world views of people those days. The main narrative of the novel is set against the fall of Gaya. It reproduces insights into sound and human life through the character of Ureuk as a Gayageum player and even makes an inquiry into the essence of life creation beyond the musical dimension. As a matter of fact, the music of Gaya was recreated as that of Silla and made contributions to the development of Korean music since. King Jinheung gave special treatment to Ureuk as a refugee that discarded his homeland after its collapse and guaranteed him his musical activities because he recognized and accepted the superior nature of Gaya’s music. His actions hold profound significance in the cultural history of Gaya. 『현(絃)의 노래』는 고대국가 가야(伽倻)의 멸망기를 시대적 배경으로 하는 소설로, 가야금(伽倻琴)의 명인 우륵(于勒)이 신라로 망명하여 가야의 문화를 전수시키기까지의 과정이 전개되고 있다. 가야금은 가야의 문화예술을 논할 때 매우 대표적인 기제이다. 우륵이 신라로 망명하면서 가야의 악(樂)문화의 우수성이 신라에 접목되어 현대까지 계승되고 있음에서, 가야문화의 고찰은 의미를 지닌다. 소설 속에는 예악을 비롯하여 별자리와 천문, 계세(繼世) 사상의 발현이라고 볼 수 있는 순장(殉葬)제도 등 가야인의 정신문화를 유추해 볼 수 있는 요소들로 채워져 있다. 이는 비록 문학적인 탐색일지라도, 그 시대의 사회상과 가치관, 당대인들의 문화예술 의식과 우주적 세계관을 연구하는 데 있어서 참고가 되고 있다. 소설은 가야의 멸망사를 다루고 있지만 악사 우륵의 삶을 조명하면서 음악적인 차원을 넘어서 생명 생성의 본질을 탐색하고 있다. 우륵이 패망한 조국을 버리고 망명자의 신분이 되었음에도, 신라의 진흥왕이 나름 그를 우대하면서 음악활동을 보장해주었던 것은 가야악의 우수성을 인정하고 수용한 것으로서, 가야 문화사적인 측면에서 중요한 연구 요소이다.

      • KCI등재
      • KCI등재

        성장공간과 가족사 구성 변이의 의미망 - 김애란의 「플라이데이터리코더」, 전경린의 「강변마을」 중심으로 -

        황영경 ( Hwang Young-kyung )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17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56

        김애란의 소설 「플라이데이터리코더」 는 무대배경이 가상의 섬인 ‘플라이데이터리코더’라는, 현대판 신화 같은 우주적 공간으로 설정되었고, 전경린의 소설 「강변마을」 에서는 사촌 외갓집의 동네인 ‘강변마을’이 유토피아적 공간으로 차용되고 있다. 어린이들이 주요인물로 등장하는 두 작품에서 특별하게 생성되는 공간은 의외적인 가족 구성으로 연계되면서 서사를 발전시킨다. 「플라이데이터리코더」 에서는 비행기에서 떨어져 나온 물체인 ‘블랙박스’가 ‘엄마’로 변이되는 기이한 가족화 형태가 제시되고, 「강변마을」 에는 어른들에 의해 급조된 가짜 외갓집 가족들이 투입된다. 이처럼 가공된 요소들이 동원되면서 동심의 세계는 훼손되지만, 그 도정의 성장의 변곡점은 아이들을 철들게 하고, 가족 구도 역시 원형적으로 회복된다. 현대사회의 가족의 형태가 변화되면서 성장기 어린이의 문제가 급부상함에 따라 한국 현대문학에서도 ‘아동의 성장’은 다양한 테제가 되고 있으며, 성장의 제반 환경도 성찰의 과제가 되고 있다. 가족 내의 위기 상황 속에서 겪는 단기간의 외부 경험과, 괴물체의 침투로 인해 모성애를 주입당하는 혼란의 과정에서 성장의 돌파구를 스스로 찾아야 하는 성장기 어린이들의 ‘실존’과 장소 체험의 유의미한 관계에 대해서 탐색한다. 성장기 어린이가 속하는 공간 구성의 차별화는 가족의 구성의 변이와 조응하면서 전체적인 서사를 효과적으로 강화시키고 있다. Fly Data Recorder by Kim Ae-ran is set in an imaginary island called "Fly Data Recorder" that is a cosmos space like a "modern myth." The Riverside Village by Jeon Gyeong-rin describes the "Riverside Village, which is the village where the character's fake cousin's grandparents on the mother's side live, as a Utopian space. In these two novels whose main characters are children, the particularly created spaces are connected to the unique family composition and expand the narratives. In Fly Data Recorder, the "black box," which falls from the airplane, is transformed into "mother," which presents a strange form of familialization. In The Riverside Village, the grown-ups hurriedly recruit village people to act as the fake family of the grandparents on the mother's side. As these processed elements are mobilized, the world of childhood innocence is destroyed. The semantic network of the growth point in the course, however, stands in its relations with the archetypical structurization of family. The changing forms of family in the modern society have made the issues of children at the growth phase emerge fast. It is no exception in the contemporary Korean literature where "children's growth" becomes a sharp thesis with the overall growth environment becoming a task of reflection. This study focused on the "existence" of children at the growth phase who were forced to find a breakthrough for their growth in the process of having short-term external experiences in the middle of a family crisis and going through a crippling injection of maternal love confused by the invasion of a monster body. It also examined the space arrangement of narrative relations. The differentiation of spatial composition where children at the growth phase belong corresponds to the changing family structure and reinforce the overall narrative effectively. The emotions of deficiency and loss during childhood due to the absence of parents, crisis of family destruction, or family deviance have effects on children's growth and development in a mental mechanism, which has suppressive influences on them throughout their lives and is manifested in their disharmony with the world. The present study paid attention to the trend of the family destruction crisis due to grown-ups' deviation becoming a new discourse of family narratives since a space at the growth point could have enormous impacts on the establishment of human existence that should grow a mature ego by making relations with families and others, given an inquiry into childhood years when children had no room to design a path in the interspersion process of a long life. Just like children's time is different from adults' time, in particular, children's place experiences are different from adults' place experiences. It is because they have different sensible and mental abilities and also different feelings about time from each other. Under the logic that intense experiences, however short they might be, could change the entire life, the present study examined young children's different experiences with spatial situations affecting their growth phase from adults' experiences through "topicalization."

      • KCI등재

        김애란 소설집, 『비행운』 속의 고립 형성 양상

        황영경 ( Youngkyung Hwang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0 인문사회 21 Vol.11 No.5

        김애란 소설집 『비행운』 속에는 고립상황에 처한 인물들이 등장하는데 그들은 열악한 주거환경과 불충분한 일자리 제도에 의해 억눌리고 위축된 약자들이다. 삶의 기본적 요건인 주거와 직업의 문제가 해결되지 못할 때 인물들에게 초래되는 불안과 공포에 대해 탐색함으로써, 결국 고립화된 양상으로 귀결됨을 제시한다. 그들은 강한 자의식으로 인해 현실과 불화한다거나 특별한 주체적 의식으로 인한 사회적 부적응자로서의 ‘자발적인’ 고립자가 아닌, 불안정한 주택과 재개발 등 개인의 생존권을 위협하는 사태 발생으로 인한 생활 고립자의 모습을 띠고 있다. 젊은 여성인물들 또한 대개가 실직 중으로, 안정된 생활을 보장받지 못하는 위축된 캐릭터들인데, 트라우마의 기억과 가족상실의 애도 환기 장면들이 그녀들의 고립감을 더욱 부각시킨다. 이는 문학작품 밖의 사회전반에서도 성찰이 요구되는 바이므로 총체적인 연구가 지속되기를 기대해 본다. Contrails, a collection of Kim Ae-ran’s novels, depicts characters in an isolated situation. The characters do not experience a discord with the reality due to their strong sense of identity or become isolated “voluntarily” as social misfits due to their special sense of self. They are weak people that are suppressed and withdrawn by inferior housing environments and lack of jobs. As their basic conditions of life including housing and employment are not met, they suffer anxiety and fear, which eventually leads to a pattern of “isolation.” Their unstable housing conditions, in particular, exacerbate the situation of their isolation. As they suffer damage due to redevelopment, even their right to live is threatened. Most of young female characters are unemployed with their ego and self-esteem damaged. They are withdrawn characters whose stable life is not ensured. In awakening scenes involving their trauma memories and mourning for the loss of their families, they work as narrative elements highlighting their sense of isolation further.

      • KCI등재

        한강 소설의 공간 풍경 알레고리 -「훈자」의 장면들을 중심으로 -

        황영경 ( Hwang Young-kyung )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16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51

        알레고리가 문학에서 가장 의미 있는 관계로 수용되고 있음은 다르게 말하기의 총화이기 때문이다. 이야기 전체에 대한 은유 형식인 알레고리는 특히 소설 안에서 주제를 강화시키는 다양한 서사적 기법으로 오랫동안 차용되어 왔다. 신화를 비롯한 모든 종교의 경전들에서도 그 유래를 찾을 수가 있으며, 우화와 고전소설 안에서 인간 세상의 본질의 가치와 풍자와 교훈을 깨우치기 위한 효과적인 기법으로 활용되었다. 현대소설에서도 알레고리는 다양하고 확장된 세계를 아우르는 서사 재현의 요소로써 미학적 장치가 되고 있다. 한강의 소설「훈자」는 제목에서부터 ‘공간적’인 암시성을 내포하고 있으며 그로 인한 서사의 진폭을 예측할 수 있게 한다. ‘훈자(Hunza)’라는 장소가 바로 주인공인 젊은 여성 자신을 투사시키고 싶은 곳으로 지정되고 있다. 오지마을인 훈자는 가정과 직장생활의 병행으로 고단한 일상에 지친 여성이 필요로 하는 안식처의 대안 공간이다. 은둔과 무릉도원의 표상이 되는 훈자의 풍경들은 주인공 여성이 욕망하는, 비현실적인 이상향의 알레고리적인 반영이다. 남편의 불안정한 직업과 어린 아들의 육아부담 등, 증폭된 생활의 부침으로 인해 정신적인 폐허를 겪는 여성은 더욱 훈자에 심취되고, 그녀의 억압된 심상에서 훈자의 풍경 장면들은 다양하게 변주되어 나타난다. 이처럼 소설「훈자」에서 제시된 풍경 장면들은 알레고리적 관점에서 다양한 고찰의 해석으로 논할 수 있는 여지가 충분하다. Walter Benjamin`s theory of allegory has served as an archetypical ground for arguments in literary criticisms and been investigated by later-generation scholars. His theory of allegory is addressed in all the areas in modern times and advocated as the spirit of art, reason for the existence of culture, and even the "spirit of allegory." Allegory is accepted as the most meaningful relation in literary because it is the flower of speaking differently. Being a metaphor form for the whole story, allegory has long been used as part of various narrative techniques to reinforce the topic in novels. It traces its history even back to the scriptures of all religions including myths and has been used as an effective technique to make the readers realize the essential values of human world, satires, and lessons in fables and classical novels. In modern novels, it serves as an aesthetical device to reproduce narratives, encompassing various expanded worlds. Hunza by Han Kang connotes the "spatial" implication with its title, thus allowing the readers to predict the amplitude of its narrative. The place name "Hunza" was designated as a place where the protagonist, a young lady, wanted to project herself. A remote village, Hunza is an alternative space of shelter to a woman that is exhausted between family and work life. The landscapes of Hunza, the representation of life in seclusion and paradise, are the allegorical reflection of unrealistic Utopia that the protagonist has desire for. Suffering from mental devastation due to the unstable job of her husband, increasing burden of raising her son, and amplified ups and downs of life, she is further infatuated with Hunza. The landscape scenes of Hunza appear in diverse variations in her suppressed imagery. Those findings indicate that the landscape scenes depicted in Hunza have enough room for interpretations based on diverse considerations from an allegorical perspective.

      • KCI등재

        김숨 소설 속에 나타난 노인 거주 불안 양상

        황영경 ( Youngkyung Hwang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5

        김숨의 소설 속에는 불안정한 환경 속에서 살아가는 노인 인물들이 많이 등장하는데, 노년층 인구가 증가하고 있는 현재의 한국사회의 당면한 문제와도 연결되고 있다. 소설 속의 노인들은 가난과 병고, 소외에서 위기를 맞고, 특히 열악한 주거지에서 방치된 채로 혹독한 여생을 보내고 있다. 이는 고립과 소멸의 실존 형태와 방치와 유폐의 거처 공간 등으로 구분하여 논하였다. 노년기의 불안 양상을 첨예하게 다루고 있는 김숨의 소설은 불균형한 주택의 공급 문제와 더불어 문학적 탐구로서 주목할 만하며, 그의 소설 속에서 드러나는 불안한 노인의 주거 양상은 고령화 사회로 접어든 작금에서 주요한 논제이다. 따라서 노인 사회에 대한 총체적인 제반 문제로의 확장과 함께 핍진한 담론의 여지가 충분하며, 지속적인 연구의 계기로 삼고자 한다. Readers come across a lot of old people characters living in an unstable environment in Kim Sum’s novels. It is a matter of focus connected to some intense issues of current South Korea whose elderly population has been increasing, thus being chosen for the goal of this study. In the study, the focus was on the forms of isolated and confined existence of generally poor and alienated old people and also the tragedy of their risky life as they were asked to endure a harsh life, being neglected in an inferior residence. Images of extinction are seen in the elderly that suffered a sick body in the blind spot of welfare and toiled into old age to earn a living. The unstable dwelling patterns of the elderly in Kim Sum’s novels suggest a major mechanism for a literary inquiry into the present phase of the nation that has become an aging society and propose overall research into the elderly society, offering chances to expand the scope to the issues faced by the elderly and promote consistent research efforts.

      • KCI등재

        김숨 소설 속의 주거 공간, 불안의 극대화 설정구조 양상

        황영경 ( Youngkyung Hwang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19 인문사회 21 Vol.10 No.5

        김숨의 단편소설에서 인간 생활의 가장 기본적인 단위인 의식주에서의 ‘주(住)’가 첨예하게 다뤄지고 있음에 주목하여, 불안한 배치의 의미 구조와 설정 양상에 대해 논한다. 소설의 배경이 되는 거주지는 낡고 열악한 환경이며, 안정된 생활을 영위할 수 없는 낯선 공간으로 설정되어 있다. 가상의 숲속이나 수명을 다한 구옥(舊屋), 폐쇄된 건물 등의 생성 구조는 비현실적인 이면의 형태를 취함으로써 극명한 서사의 효과를 낳고 있다. 소설 속에서 조형된, 일반적인 주거지를 전복시키는 극대화 형태는 우리 사회의 도시 집중화가 낳은 ‘주거불안’에 대한 성찰이라고 할 수 있다. 불안정한 주거는 계층 간의 갈등과 위화감의 요인이 되고 있는 만큼, 문학작품 속에 구축된 주거지의 의미 양상을 통해 사회전반에 대한 관심과 통찰의 계기로 삼는다. Focusing on the sharp treatment of “shelter”, one of the most basic units in human life, in Kim Sum’s short stories, this study set out to discuss the semantic structures and setting patterns of anxious arrangements in her works. In her stories, residential environments are set as strange and inferior spaces where people cannot lead a stable life. The generative structure of virtual woods, old houses close to their end, and closed buildings takes the form of the unrealistic back, thus creating clear effects of narrative. The form of maximization to overturn the general dwellings created in her works is her reflection on “residential anxiety” that is the outcome of urban concentration in the society. An inquiry into the semantic patterns of residential areas established in literary works will create an opportunity to promote interest and insight across the society.

      • KCI등재

        자유주제 : 애도 반응과 상실치유 모색의 유형 -권여선의 소설「끝내 가보지 못한 비자나무 숲」을 중심으로-

        황영경 ( Young-kyung Hwang )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15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46

        인간에게 죽음은 공통적으로 평등하게 부여된 과제이다. 때문에 애도 역시 인간의 삶에서 매우 본질적인 문제이며, 문학의 영역에서 다루어야 할 첨예한 요소라고 할 수 있다. 살아있는 한 인간은 누구나 또 다른 누군가의 죽음을 목도할 수밖에 없다. 공동체 사회에서 매우 비중을 두었던 인간의 죽음과 애도가 ‘100세 시대’라는 현재에 와서는 도리어경시되는 풍조이다. 2000년대 이후의 작가들에게 있어서 ‘죽음’은 그저 손쉬운 소설적 장치로 사용되는 경향도 있는 편이다. 고단한 삶의 회피와 억압된 고통의 도피처로 통용되는 죽음이 만연한 만큼 그에 따르는 애도의 양식은 더욱 빈약하고 허랑해 보인다. 비교적 근래의 작품인 권여선의「끝내 가보지 못한 비자나무 숲」에서는 특이한 애도 상황과 그 상실 회복의 모색이 탐지되고 있다. 주인공 여성 명이가 결혼 전의 연인과의 ‘죽음 이별’을 겪으면서 뒤늦게 애도를 치루는 과정이 전개된다. 공식적으로 드러내놓을 수 없는 애도와 비탄의 감정이 젊은 여성의 섬세한 내면으로 침잠하여 심한 부작용을 낳는다. 공감과 위로를 얻지 못한 채 상실 억압의 고통에 짓눌려 자폐증세와 더불어 죽음의 환각에 시달리는 주인공의 캐릭터에는 고립되고 소외된 현대인의 모습이 반영되어 있다. 제주도의 비자나무 숲(비자림)이라는 실제의 장소가 소설 속에 차용되어 유의미하게 작용되고 있는 공간의 풍경 이미지와 열린 구조의 미학적 효과도 거두고 있다. 명이와 함께 남은 가족들이 공유한 애도심리와 화해, 회복 등이 특정 공간인 비자나무 숲을 통해 해결의 서사국면으로 전환되고 있다. 이는 ‘꿈’의 메타요소적인 장치와 조합되어 해원(解寃)의 ‘제의적인’ 양상을 띠면서 상실치유 모색의 한 유형을 제시하고 있다. Death is a common and equal proposition to all human beings, which means that condolence is also one of the very fundamental issues of human life and one of the very acute elements to be dealt with in the domain of literature. Death of man and condolence for it, which used to claim relatively high importance in the community society, tend to be made light of in modern days. Writers since the 2000``s do not have very profound perceptions of "death," which tends to be used as an easy device in their novels. Should even the literary circles disregard the issues of death and condolence at a time when the media are flooded with the fantasies of shock and violence? This study was conceived by that kind of self-examination and looked into the issues of "death and condolence" and search for the recovery of the loss in a relatively recent work titled The Forest of Nutmeg Trees I Have Never Visited by Gwon Yeo-seon. The main character, who never earns sympathy and comfort and suffers from autistic symptoms and death hallucinations in the pain of loss and suppression, reflects the aspects of isolated and alienated modern people. The unfinished phenomenon of condolence seen in the female protagonist in the novel was discussed according to the theories based on Freud``s psychoanalysis. The study also paid attention to the landscape images of space, which was working significantly as the actual place of "Jeju Island" was borrowed in the novel, and the aesthetic effects of its open structure.

      • KCI등재

        손보미 소설의 사물(물체) 모티프 활용 양상

        황영경 ( Youngkyung Hwang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6

        손보미의 소설집 『그들에게 린디합을』 속에 출현하는 각종의 사물과 물체들에는 그 물성(物性)의 기능을 초월하는 다양한 의미가 내포되어서 소설의 주제를 강화시켜 주는 모티프가 되고 있다. 이는 손보미 소설 특유의 생략 진술 기법에서 그 간극의 매개 역할을 함으로써 더욱 견고한 이야기 구조의 요소가 되며 서사를 발전시키고 있다. 본고는 그의 소설 속에 차용된 일상의 사물들이 은폐된 상황, 사건에 무언의 기호로서 작용하는 관계 양상에 대해 탐색한다. 담요와 잡지, 슈트케이스, 애드벌룬 등의 사물 배치를 통한 인물들의 결여와 상실감, 삶의 균열과 탈피 욕망 등의 상징과 환기의 매개체로서의 ‘모티프化’는 의외의 서사 진행과 ‘전복’의 효과를 낳는다. 이처럼 손보미 소설은 기존 한국 소설의 정형화를 벗어나는 시도로써 문학의 확장에 기여하는 새로운 작법의 제시가 되고 있다. 본 연구를 계기로 하여 다양한 변주를 담아내는 문학 및 타 장르 간의 상호 발전의 모색과 활발한 논의가 이어지기를 기대한다. In Lindy Hop for Them, a collection of Son Bo-mi’s novels, all kinds of things and objects appear with various meanings beyond their physical properties connoted in them and serve as motifs to reinforce the themes of the novels. They play the roles of a medium to bridge a gap in the omission of statements technology, a characteristic of her novels, and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a narrative, thus becoming elements of a more solid story structure. Focusing on them, this study made an inquiry into the situations in which daily objects borrowed in her novels were covered up as silent signifiers and the relation networks that worked in events. Blankets, magazines, suitcases, and ad balloons are used as media and motifs to represent her characters’ deficiency, loss, crack in life, and desire for escape and bring in an unexpected narrative. This research on Son’s novels in which she tried a new technique is expected to create an opportunity to promote the mutual development of the literary genre containing various variations and the academic introdu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