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新世代의 價値觀이 動機誘發에 미치는 影響

        황연수 慶北大學校 1994 국내석사

        RANK : 247631

        Recently, we have discussed the gap between generations as a social proble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e difference of values, traits of motivation, and job satisfaction among each generations. The approach of this study is carried out both literature study and empirical research through questionaire. In literature study, I integrated the prior researchs that related with the concept and typology of values,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s values, the general traits of New-Generation'a values in Korea, the relationships between motivation and values, 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values and jab statisfaction. And, I designed the empirical research model and hypothesis of this study ◁그림삽입▷(원문을 참조하세요) Hypothesis are constructed as a significant differences will be founded in values, motivation (expectancy, instrumentality, and valance), and job-satisfaction. The empirical research if held by questionaire method at five monatary co. Lit., in Teagu. The sample size is 365, and analysis is performed by SPSSPC+. The results of analysis support the hypothesis partially. In vlaue, the new generation has more strong personal value than the old generation. For motivation, the difference in instrumentality and valance was founded. The new generation has more strong valance to the need for growth than the old generation. And the old generation has more strong instrumentality to the need for relatedness than the new generation. Finally, hypothesis 3. was rejected. In other words, there are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each generations.

      • ‘묘사’의 관점에서 본 토마스 만의 베니스에서의 죽음과 존 노이마이어의 동명 발레작품 비교연구

        황연수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토마스 만의 소설 󰡔베니스에서의 죽음󰡕에 나타난 모티브 및 다양한 묘사들이 존 노이마이어의 동명 발레작품에서 어떤 양상으로 수용되는지 비교분석 한다. 이를 통해 문학작품이 다른 예술장르로 각색될 때 묘사방식이나 묘사 범위에서 어떤 변화가 수반되는지 살펴보고, 더 나아가 지금까지 문학에 집중되었던 묘사에 대한 연구를 타매체로 확장할 수 있는 가능성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미국에서 출생한 존 노이마이어는 독일 슈투트가르트에서 존 크랑코에게 안무 교육을 받았으며 이후 함부르크 발레단의 단장이자 상임 안무가로 취임하여 지금까지 왕성한 작품 활동을 보이고 있다. <호두까기 인형>, <로미오와 줄리엣>, <욕망이라는 이름의 전차> 등의 다양한 문학작품들을 발레로 재창조한 노이마이어는 서사성을 중시하는 드라마 발레를 정착시키는데 크게 기여했다. 토마스 만의 동명소설을 각색한 <베니스에서의 죽음>(2003)은 같은 원작을 판화, 오페라, 영화 등 다양한 예술장르로 옮긴 선행 작품들의 대를 이으면서도 발레장르의 표현방식에 초점을 두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토마스 만의 󰡔베니스에서의 죽음󰡕과 존 노이마이어의 동명 발레를 ‘묘사’라는 관점에서 접근한다. 20세기 전반까지 ‘묘사’에 관한 연구는 주로 문자 텍스트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최근 들어 텍스트의 개념이 다른 예술 장르로도 확장되고 있으나 연구는 정지된 이미지나 문자언어가 구성요소인 예술장르에 집중되어 있다. 문학이론가인 베르너 볼프는 이런 문자언어중심의 연구 경향에서 탈피하여 다른 매체에도 적용할 수 있는 묘사의 구분기준을 제시하고자 했다. 그는 묘사가 다양한 매체들의 상호작용을 관찰할 수 있는 지점임을 강조하면서, 문자나 구술언어가 포함되지 않는 매체에도 적용시킬 수 있는 묘사의 구분기준을 제안한다. 볼프는 묘사를 다섯 단계로 구분한다. 장르와 세부 장르, 한 작품이 묘사적인 의도로 쓰였는지를 구분하는 것이 1에서 3차까지의 구분이다. 4차에서 작품 내 어떤 부분이 묘사적인지, 그리고 5차에서 묘사적인 부분이 묘사를 의도하였는지를 구분하는 미시적 접근이 이루어진다. 이처럼 본 연구는 소설 󰡔베니스에서의 죽음󰡕과 존 노이마이어의 동명 발레작품을 ‘묘사’라는 측면에서 비교 분석한다. 그중에서도 인물과 공간에 대한 묘사를 중심으로 문학에서의 묘사가 발레에서 어떻게 구체화 되는지 살펴본다. 발레에서 묘사적인 요소들과 문학의 묘사 간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무용에 적용 가능한 묘사 기준을 제시하고자 한다. 기존 연구에서는 조망되지 않았던 문학과 무용의 관계를 새로운 관점에서 접근함으로써 발레에서의 묘사부에 대한 논의와 더불어 문학과 발레의 관계에 대한 인식 또한 확장시키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Die vorliegende Arbeit beschäftigt sich mit Thomas Manns Novelle Der Tod in Venedig (1912) und dem gleichnamigen Ballettstück von John Neumeier mit Schwerpunkt auf ‘Beschreibung’. Durch den Vergleich dieser zwei Werke hinsichtlich der Frage, wie Beschreibungen in literarischen Texten für das Ballett bearbeitet werden, verfolgt diese Arbeit das Ziel, den Begriff ‘Beschreibung’ zu erweitern und auch in anderen Kunstgattungen, vor allem im Ballett, zu etablieren. Der Tod in Venedig von Thomas Mann ist berühmt für seine Behandlung des Themenkomplexes Tod und Schönheit, und in der Erzählung finden sich viele komplexe feine Beschreibungen von den Figuren und der Stadt Venedig. Die Novelle wurde in vielen anderen Kunstgattungen, einschließlich Lithographie, Oper und Film, neu adaptiert und übernommen. John Neumeier, der amerikanische Choreograph, der seit 1973 am Hamburger Ballett arbeitet, stellte 2003 sein Ballettstück ‘Der Tod in Venedig’ vor. Die ‘Beschreibung’ galt bislang hauptsächlich als Gegenstand der Literaturwissenschaft. Sie wird weithin als Teil des Textes wahrgenommen, wo der Fluss der Zeit sich verlangsamt oder fast aufhört und das beschriebene Objekt ausführlich dargestellt wird. So wie der Text-Begriff eine Ausweitung auf andere Bereiche erfahren hat, lässt sich auch ‘Beschreibung’ auf andere Bereiche anwenden. Werner Wolf zählt zu den Literaturwissenschaftlern, die versucht haben, Beschreibungen in verschiedene Medien, insbesondere in die Musik zu übertragen. Er stellte Kategorien auf, die auf viele Gebiete außerhalb der Literatur angewendet werden können. Unter Berücksichtigung der Einschränkung bereits bestehender Studien muss die Beschreibung im Ballett in einem eigenen Bereich untersucht werden. Zuerst wird diskutiert, was gleich geblieben ist und was Neumeier verändert hat, als er Manns Novelle für das Ballett bearbeitete. Dadurch sind die allgemeinen Merkmale der Bearbeitung für das Ballett identifiziert. Danach wird verglichen, wie die Beschreibungen in der Novelle Thomas Manns im Ballett transformiert werden und analysiert, was erfolgreich auf der Bühne realisiert wird und was nicht. Und auch wird anlysiert, ob es noch als Beschreibung funktioniert. Umgekehrt werden die Szenen des Balletts analysiert, um zu sehen, welche Bestandteile des Balletts als Beschreibung im Ballett dienen und welche Gemeinsamkeiten sie haben. Basierend auf der Analyse versucht die Arbeit, die möglichen Grundlagen für Beschreibung im Ballett zu diskutieren. Es ist dennoch nicht genug, um eine aktuelle Grundlage zu erstellen, denn das Forschungsobjekt ist noch zu begrenzt. Es ist zu hoffen, dass durch die Überprüfung der Beschreibung in anderen Bereichen, die bisher meistens mit Bezug auf Literatur studiert wurden, die Beziehung zwischen Literatur und anderen Kunstformen – hier Ballett – weiter vertieft wird.

      • 청년 세대 공정성과 능력주의 이데올로기에 관한 연구: 충북 지역의 공무원시험준비생들을 중심으로

        황연수 충북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thesis analyzes the inner conflicts that the youth who study civil service exams in Chungbuk Province experience about the fairness of qualification exams. Also, the process of the reproducing ideology of fairness and meritocracy that the youth who experience conflict, but in the end, by justifying the contradictions of the exam is identified. Existing researches on how the youth perceive the fairness of exam have defined young people as groups that accept fairness through testing without criticism. These analysis presupposes that the faith of the youth in test fairness and meritocracy is static. However, research on fairness recognition argues that the perception of fairness may vary depending on the individual's situation, attitude, context, etc. Thus, the perception of fairness should also be analyzed by exam, as a dynamic subject, in accordance with the circumstances and context of the individual. Also, what ultimately needs to be noted through this analysis is that the youth are willing to choose the test system, even if they doubt the fairness of the exam in the en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look at how the suspicion of the youth about the examination is sealed. A summary of the results is as follows. First, for the youth, the ‘fairness’ means ensuring the results of individual efforts and practical equality of opportunity. The two perceptions young people have of fairness are very consistent with the formal fairness of civil service examinations. The youth believe that they will be able to "pass" according to their efforts because the civil service exam is a way to evaluate by rote. They also recognize that civil service examinations ensure formal fairness. This is because the civil service exam allows anyone to take the exam regardless of personal conditions, and it creates an environment for taking the exam in consideration of applicants who are disadvantaged. In particular, the youth evaluated the civil service exam as fair, because the public service exam is a standardized test and the other things except the score are not evaluated. Second, even though the perception of fairness and the format of the civil service exam are consistent, the young people “penetrate” the unfair aspects of preparing for the civil service exam. This “penetration” can be observed in the anxiety of the youth. Since, no matter how much effort they put into studying for the exam, if they fail, all the resources they spent in preparing for the exam become meaningless. They also recognize that the civil service exam is a test to eliminate numerous applicants rather than to select suitable people for civil service. The most important point of their 'penetration' is to experience the obvious differences between hierarchical gaps in preparation for the exam. They realize that hierarchical differences can affect their decision to prepare for the exam and the outcomes they can receive on the exam. However, the “penetration” loses its power due to 'limitation' that blocks it. One of the “limitation” is that the youth feel psychological stability by studying civil service exams rather than “unemployed.” Also, since the young people grew up in the “test society,” they do not have an alternative imagination for other evaluation methods. In addition to relying on the examination system, the young people expect employment stability that can be obtained by becoming public officials. In particular, young people have experienced instability and deficiency in their previous job markets, so they believe that the benefits guaranteed by civil servants can solve them. Third, because of the “limitation” interfered with the “penetration”, it remains “partial penetration.” The young people perceive exams as a relatively fair system compared to other evaluation methods, although exams are not the best. But beyond this passive perception, they advocate it as a channel for the movement of the hierarchy. This is because the civil service exam provides a lot of compensation if passed, as there is a high risk that the youth have to take. In addition, the young people believe that the examination is an effective system for verifying the extent of their efforts. Furthermore, they justify a discrimination based on passing the test. They may penetrate that fairness and meritocracy through tests are just myths, but limitation prevents penetration from moving to the next stage, so it ends up as an “incomplete penetration.” Therefore, the youth choose the test despite its contradictions and problems. This exacerbates the inequality of structure regardless of the intentions of the young people. After all, this study argues that young people's demands for fairness are anxiety, fear, and desperation in situations where they have to overcome everything by themselves under a social inequality structure. This work confirms that young people's sense of fairness through testing was the result of their desire for survival and compromise on irrationality. 이 논문은 충북 지역의 청년 공시생이 공무원 시험의 공정성에 관해 겪는 내면적인 갈등을 포착한다. 또한 청년들이 갈등을 경험하지만 결국엔 시험의 모순을 정당화함으로써 공정성과 능력주의 이데올로기가 재생산 되는 과정을 규명한다. 지금까지 청년 세대의 공정성 인식에 관한 논의들은 청년들을 시험을 통한 공정성을 무비판적으로 수용하는 집단으로 규정해왔다. 이 설명은 시험 공정성과 능력주의에 관한 청년들의 믿음이 정태적이고 단일한 것이라는 가정을 전제한다. 그러나 공정성 인식에 관한 연구에 의하면 개인의 상황, 태도, 맥락 등에 의해 공정성의 인식이 달라질 수 있다. 결국 시험으로 표상된 공정성의 인식 역시 청년 개인이 처한 상황과 환경에 따라 변모하는 동태적인 대상으로 분석해야 한다. 또한 이러한 분석을 통해 궁극적으로 주목해야 하는 부분은 청년들은 시험 공정성에 관해 의심한다고 해도 결국에는 시험제도를 기꺼이 선택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시험을 향한 청년들의 의심이 어떻게 봉합되는지를 살펴보아야 한다. 이 논문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년들에게 공정성은 개인의 노력에 따른 결과의 보장, 실질적인 기회균등을 의미한다. 공정성에 대한 청년들의 두 가지 인식은 공무원 시험이 표방하는 형식적 공정성과 매우 부합한다. 청년들은 공무원 시험이 암기 위주로 평가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노력에 따른 ‘합격’을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본다. 또한 개인적 조건과 관계없이 누구나 시험을 응시할 수 있다거나 장애인이나 저소득층과 같이 객관적으로 불리한 조건에 처한 응시자를 고려하여 시험 자격과 환경을 만들어준다는 측면에서 공무원 시험은 형식적인 공정성을 보장한다고 인식한다. 특히 공무원 시험이 객관식 시험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오직 시험 점수 외에 다른 것들은 평가대상이 되지 않는다는 점이 공무원 시험에 대한 청년들의 믿음을 강화했다. 둘째, 청년들이 정의내리는 공정성의 내용과 공무원 시험의 모델이 부합한다고 해도, 공시생들은 공무원 시험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불공정한 측면을 ‘간파’한다. 이러한 ‘간파’의 모습은 청년들의 불안감을 통해 발견된다. 아무리 시험공부에 노력을 많이 들인다고 해도 실패할 경우 수험생활에 동원한 모든 자원은 노동시장에 있어서 청년들이 개인적으로 극복해야 할 핸디캡이 되기 때문이다. 또한 공무원 시험이 공무에 적합한 사람을 선발하기보다 몰려드는 지원자들을 탈락시키기 위한 의도에 초점을 맞춘 시험임을 인지한다. 이들이 가장 크게 시험 공정성 신화의 균열을 경험하는 지점은 시험 준비에 있어서 계층적 격차에 따른 차이가 분명하다는 것이다. 공시생들은 시험의 준비와 결과는 타고난 계층적 차이에 좌우될 여지가 있다는 것을 경험한다. 그러나 이러한 ‘간파’는 ‘제약’에 의해 무력화된다. ‘제약’ 중 하나는 청년들이 ‘취준생’보다 오히려 ‘공시생’이 됨으로써 심리적 안정성을 경험한다는 점이다. 또한 청년들이 ‘시험사회’에서 성장했기 때문에 다른 평가 방법에 관한 대안적 상상력이 부재한다는 점이 강력한 제약 중 하나이다. 시험 제도에의 의존과 더불어 청년들은 공무원이라는 직업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직업적 안정성을 향한 열망을 지니고 있다. 특히 노동시장에서 청년들이 경험한 실패와 결핍은 안정성 보장의 직업을 선택하도록 만든다. 셋째, 이러한 ‘제약’의 과정을 거치면서 청년들의 간파는 결국 부분적인 간파로 남는다. 청년들은 시험이 최선은 아닐지라도 차선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제도라는 수동적인 형태의 인식을 넘어 오히려 불평등한 사회 구조 속에서 시험이 계층 이동의 유일한 통로라고 옹호한다. 공무원 시험이 고부담 시험이라는 점에서 보상의 크기가 크고 확실하기 때문이다. 게다가 청년들은 노력에 대한 특정한 의미부여를 통해 시험을 노력 검증의 효과적인 통로라고 인식하고, 더 나아가서는 시험 통과를 기준으로 차별을 정당화하기도 한다. 이처럼 청년들의 간파를 막는 제약은 청년들의 간파가 다음 단계로 나아가는 것을 방해함으로써 부분적이고 불완전한 간파로 그치게 하는 데에 기여한다. 청년들은 시험의 모순과 문제들을 알고 있으면서도 시험에 뛰어든다. 결국 이는 청년들의 의도와는 상관없이 청년들이 처한 구조의 불평등을 악화시킨다. 결국 이 논문은 청년들이 사회 불평등 구조 하에 스스로가 모든 것을 감당해야 하는 상황에서 경험하는 불안과 두려움, 절박함이 공정성 요구라는 단적인 형태로 드러난다고 주장한다. 이 작업을 통해 청년들이 가진 시험의 공정성 관념이 생존을 향한 열망과 불합리성에 대한 타협이 교차하여 초래한 산물임을 확인했다.

      • RFID와 바코드를 이용한 closed-loop medication administration 시스템의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투약 오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황연수 아주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투약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medication administration error (MAE) alert의 발생률과 오류 발생의 원인이 될 수 있는 위험요인을 분석하였다. MAE의 발생률과 발생요인을 분석한 여러 연구들이 있었지만, 대부분의 이전 연구들은 연구자가 투약과정을 직접 관찰하여 기록하는 직접적 관찰 방법에 의해 수행되었다. 이런 연구들은 적은 수의 표본에 따른 객관성 부족과 직접적 관찰 방법에서 발생할 수 있는 관찰자 효과로 인한 결과의 편향과 같은 한계를 가지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단일 상급종합병원에서 발생한 1년 동안의 투약 데이터를 closed-loop medication administration 시스템을 통해 수집하였다. Closed-loop medication administration 시스템은 투약의 전 과정을 모니터링 하여 발생 가능한 오류를 사전에 확인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이를 통해 어떤 인위적인 조작이나 편향 없이 자동으로 투약 데이터를 수집하여 이전 연구들이 갖는 한계를 극복하고자 하였다. 2012년의 연구기간 1년 동안 30,232명 환자의 38,468건 입원, 882.6 patient-years로부터 2,874,539건의 투약 데이터를 가지고 단변량분석과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전체 투약 데이터에 대한 빅데이터 분석 결과, 투약시간(administration time), 처방종류(order type), 투여경로(medication route), 간호사의 대상병원 근무기간(employment duration), 간호사 근무스케줄(working schedule), 단위시간당 투약건수(the number of medication doses administered)가 MAE alert를 유발하는 위험요인이 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전체 투약건수에 대한 MAE alert의 발생률은 1.22%였으며, 연구기간 1년 동안 대상병원에서는 closed-loop medication administration 시스템을 통해 35,082건의 MAE 발생과 이에 유발되는 adverse drug event (ADE)를 예방할 수 있었다. 투약의 정확성을 향상시키고 MAE 또는 MAE alert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투약에 대한 프로세스를 표준화, 정형화하여 가능한 한 계획된 상황에서 투약을 수행해야 하며, 무엇보다 간호사에게 투약에 집중할 수 있는 임상환경과 충분한 시간을 제공하여야 한다.

      • 유아의 마음이론 및 정서조절 전략이 또래 수용에 미치는 영향

        황연수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reschoolers' theory of mind and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on peer acceptance. The objects of this study were 111 preschoolers(51 boys, 60 girls) who are aged 4 go to nursery schools in Seoul and Kyonggi province. In this study, preschoolers' abilities of social intelligence were measured using theory of mind task,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were assessed by the teachers' questionnaire and peer acceptance was assessed using preschoolers' Peer Rating Scale.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o check each test value, t-test of independent group by gender and stepwised multiple regression by objectors' gender.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result showed that the level of Theory of mind development of girls and boys both were higher than normal and they both also were accepted affirmatively by peer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reschoolers' Theory of mind and Peer acceptance by gender. The children used the Avoidant and Supportive strategies the most as a Emotional regulation strategy and they used Affirmative strategies, Venting strategies, None strategies and Aggressive strategies in order. Among those, Avoidant and Supportive strategies, None strategies, Aggressive strategies were significantly used by boys than girls. Secondl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y gender upon the relative influence between Theory of mind and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on the preschoolers' Peer acceptance. There was no significant related variable that affected Peer acceptance found to boys, on the other hand, it indicated that the girls'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and Theory of mind effected significantly. The relatively significant variable in terms of the girls' Peer acceptance was Affirmative strategies which was a subordinate variable of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and the Theory of mind also affected. It means that the more Affirmative strategies the girls used and the more the theory of mind which is a inferential ability of the girls developed, the more girls were well accepted by peer. In conclusion, the Theory of mind and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of the girls affected Peer acceptance. Affirmative strategies in particular of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have a relatively greater influence on the girls' peer acceptance. 본 연구는 유아의 마음이론과 정서조절 전략이 또래 수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 및 경기도에 위치한 어린이집에 다니는 4세 유아 111명(남아 51명, 여아 60명)이었다. 본 연구에서 유아의 마음이론은 내용교체 과제와 위치이동 과제로 측정하였고, 유아의 정서조절 전략을 측정하기 위해 교사가 평정하는 ‘정서조절 전략 질문지’를 사용하였으며, 또래 수용은 ‘또래평정법’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각 측정 변인들의 기술적 통계치를 산출한 후 성별에 따른 독립표본 t 검증을 실시하였으며, 유아의 성에 따라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대상 유아들의 마음이론 발달을 살펴봤을 때 타인의 믿음표상과 후속 행동을 예측하는 내용교체 과제와 위치이동 과제를 대부분 통과하여 중간보다 높은 수준이었고, 대부분의 유아들이 또래로부터 긍정적으로 수용되었다. 유아의 마음이론과 또래 수용은 성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유아들은 정서조절 전략으로 회피 및 교사지원전략을 가장 많이 사용하였으며 그 다음으로 긍정적 대처전략, 감정발산전략, 무전략, 공격전략 순으로 사용하였다. 그 중 회피 및 교사지원전략, 무전략, 공격전략은 남아가 여아보다 유의하게 더 많이 사용하였다. 둘째, 유아의 또래 수용에 대한 마음이론과 정서조절 전략의 영향은 유아의 성에 따라 살펴보았을 때, 남아의 경우 또래 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관련변인이 발견되지 않았다. 여아의 경우는 정서조절 전략과 마음 이론이 유의한 설명력을 나타내었다. 여아의 또래 수용에 대해 상대적 설명력이 큰 변인은 정서조절 전략의 하위 요인인 긍정적 대처전략이었으며, 마음이론 역시 영향을 미쳤다. 즉, 여아는 또래와의 갈등상황에서 정서조절을 위해 긍정적인 대처전략을 더 많이 사용할수록 그리고 다른 사람이 생각하는 것을 이해하고 추론할 수 있는 마음이론이 발달할수록 또래집단에 잘 수용되었다. 결론적으로 남아의 경우는 마음이론과 정서조절 전략이 또래 수용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나, 여아의 마음이론과 정서조절 전략은 또래 수용에 영향을 미친다. 특히 정서조절 전략 중 긍정적 대처전략이 여아의 또래 수용에 상대적으로 큰 영향을 미친다.

      • 한국시멘트 산업의 육성과 유통구조의 개선에 관한 연구

        황연수 朝鮮大學校 産業大學院 1986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paper is attempting to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cement industry, it is possible to identify the stage of their economic growth : the preconditions for take-off, the drive to maturity, and the age of maturity. In consideration of their present general conditions, they have faced difficulties how to meet supply and demand in order to get along with each others without clogging the chute of the cement economy. In other words, they consist in under the circumstances of oversupply because of their consistent invest, new establishment, and improvement in accomodation, it thanks to the boom of the construction and the real estate, therefore, they have to look for the method to overcome this difficul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going to make a contribution to solve the problems which is based on unbalance incurred by the difference between supply and demand. For they will cope with the things which may arike because of oversupply.

      • 의료기관간의 영상정보 교환을 위한 표준안 설계

        황연수 동국대학교 산업기술환경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내의 PACS(Picture Archiving and Communication System)는 현재 종합병원을 중심으로 개발과 구축이 보편화되고 있는 시점이며, 이에 따라 의료영상정보의 교환이 이전의 필름에서 디지털 데이터로 바뀌어 가고 있다. 그러나, 의료기관간 영상정보를 교환하는데 있어서 아직 정해진 표준안이 없기 때문에 정보의 공유가 용이하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의료기관간 영상정보를 교환하기 위한 표준안을 설계하였다. 이는 병원정보체계에서 의료영상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PACS의 데이터베이스를 분석하여 진료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전송에 필요한 정보를 추출하였고 이를 기초로 XML DTD(eXtensible Markup Language Document Type Definition)를 설계하여 전자문서의 표준안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의료기관간 의료영상정보 교환 표준을 MIIE(Medical Image Information Exchange)라고 명명했으며 앞으로 빈번해질 의료기관간 의료영상정보 교환에 있어 기준을 제공하고 표준의 제정시 참고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의료영상정보의 통합과 인터넷을 통한 데이터의 교환 및 공유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향후 도입될 Telemedicine의 방법과 표준화를 제시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The development and use of new technologies such as PACS has led from conventional X-ray film to the exchange of medical images and information through digital data. However, it is difficult for medical institutions to share medical images and information with one another because there is no standard format for these exchanges of medical images and information. This study presents a standard format design for medical image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hospitals. Hospital information data analyzed, especially PACS, which is related to medical image information, and XML DTD, which is designed for standard format based on analyzed data. This standard format, named MIIE(Medical Image Information Exchange), is suggested as a standard format for exchange of medical images and information between hospitals. It also contributes to the institution of standard proposition for MIIE, This work also supports integration of medical image information, exchanging and sharing data through the Internet, so that it will present method and standardization of telemedicine in the future.

      • 學級 學習風土와 學業成績과의 關係硏究

        황연수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1996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Correlation of classroom-learning climate to grades>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arning climate of classroom and grades, for it is possible that teacher's sex and school class size have an influence on the classroom-learning climate, on the assumption that learning climate is the important variable to grades. For this purpose, three hypotheses were established as follows : 1> school class size would have different effects on the classroom-learning climate. 2> Teacher's sex would have different effects on the classroom-learning climate. 3> The interaction between the formative variable of classroom-learning climate and teacher's sex would have effects on grades. To examine these, 40 classes of sixth grade was chosen from the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chon-ju city. The subject of study was 800 students, who divided into two groups. One group consisted of 21 classes of male teachers and the other 19 classes of female teachers. For measurement test of learning climate, questionnaire included 50 items of 5 domains was us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SPSS-program through t-test, two-way ANOVA. The result of study is as follows : 1> Classroom-learning climate didn't appear to be meaningful influenced by school class size. 2> The effects of teacher's sex on the classroom-learning climate appeared to be significantly different. Male teachers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 learning climate rather than female teachers, and especially on conquerable variable and self-control variable. 3> In case of the effect of the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sex effect of teacher's sex on grades, while the high level classroom-learning climate were shown higher grades. The above findings suggest to conclude that the classroom-learning climate have an effect on grades and teachers themselves affect on classroom-learning climate, so teachers are on a mission of vast importa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