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북아일랜드의 평화구축 과정: 평화협정을 중심으로

        황수환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연구센터 2017 국제지역연구 Vol.21 No.4

        Peace agreements are high-degree political results that aim to solve conflicts that exist between opposing parties in various forms. To understand the resolution process of conflicts, it is necessary to analyze peace agreements. This paper takes readers through peace agreements that were signed in the midst of the resolution process in Northern Ireland including Anglo-Irish Agreement, Downing Street Declaration, A New Framework Agreement, Good Friday Agreement, and Agreement at St. Andrews for the purpose of understanding the peace building process. This paper also attempts to formalize the peace agreements. When formalized, the peace agreements forged in the midst of the peace building process in Northern Ireland shows several characteristics. First, through numerous preliminary basic agreements and revision during the peace building process, trust was built between the parties. Second, the Northern Ireland case reveals that peace building needs several agreements between concerning parties through multiple steps rather than being finalized by a single peace agreement. Third, for the disarmament of the paramilitary forces to take place, which was the main issue, action agenda was defined in the actual fundamental agreement after implementation organizations were managed by complementary agreements. This paper also concludes that the peace process proceeds through normalization process for mutual trust building and consensus, institutionalization process to resolve main conflicts, and practical process of executing the implementation organization. 본 논문은 분쟁을 해결하고 평화를 구축하기 위한 목적으로 체결된 북아일랜드의 평화협정들을 유형화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에 북아일랜드 분쟁의 해결과정에서 체결된 평화협정문인 ‘앵글로-아이리쉬 협정’, ‘다우닝가 선언’, ‘북아일랜드 신 기본협정’, ‘성금요일 협정’, ‘성앤드류 협정’ 등을 통해 평화구축 과정을 살펴보고 평화협정에 대한 유형화를 시도했다. 북아일랜드의 평화구축과정에서 체결된 평화협정을 유형화하여 분석한 결과를 보면 첫째, 다수의 예비적 기초협정을 통해 평화를 이행하는 과정에서 시행착오를 보완, 수정하여 충분한 상호 신뢰 구축 과정을 진행했다. 둘째, 평화구축의 과정이 어느 하나의 평화협정 체결로 완성되는 것이 아니라 이해관계가 있는 각 당사자 간 여러 협정이 체결되는 과정을 거듭해야 함을 발견했다. 셋째, 분쟁의 핵심 쟁점인 준군사조직의 무장해제와 관련하여 실질적 기본협정에서 실천사항을 규정한 뒤 보완적 이행협정을 통해 이행기구를 관리하는 방식으로 해결했다. 북아일랜드의 평화협정 체결 사례를 통해 평화구축의 과정이 어느 하나의 평화협정 체결로 완성되는 것이 아니라 이해관계가 있는 각 당사자 간 여러 협정이 체결되는 과정을 거듭해야 함을 확인했다. 또한 평화의 과정은 상호 신뢰 구축과 공감대 형성을 위한 규범화 과정, 핵심문제 해결을 위한 제도화 과정, 제도의 이행기구를 실행하는 실천화 과정으로 진행된다는 점을 발견했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다대진의 군사적 성격에 따른 공간구성과 유적 보존에 관한 연구

        황수환,김기수,남윤순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7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19 No.2

        Dadaejin was established as a Manhoyoung(萬戶營) under the local military rule of the Chosun Dynasty, but was later promoted to the Cheomsayoung(僉使營), which was stationed by the military commander of the Navy, and had a military significance such as serving as a starting point for the second line of the five seals can do. Like this Dadae-jinseong is a typical defense outpost remains site in Busan, its historical value is considerably high, but it is a danger of being damaged or destroyed by various development projects in the policy and institutional blind spot due to the current situation that is not designated as cultural property. Therefore, practical institutional complementary measures for conservation of unremarket cultural assets and long-term conservation and utilization plans are necessary.

      • KCI등재
      • SCOPUSKCI등재

        전이원소의 첨가에 따른 Apatite의 색채에 관한 연구

        황수환,오근호,이종근,이종민,김대웅 한국세라믹학회 1986 한국세라믹학회지 Vol.23 No.2

        By simple substitution of divalent cobalt nickel copper ion in the calcium-fluorapatite the ability to produce color was explored. To determine the solubility limit of cobalt nickel copper in the calcium-fluorapatite and the absorption spectrum with the addition of each transition elements XRD and visible range Spectroscopy were emp-loyed.

      • KCI등재

        近代期 日本人 移住農村의 形成과 移住農村家屋 - 釜山 江西區 大渚地域을 中心으로

        황수환,김기수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11 石堂論叢 Vol.0 No.51

        부산 강서구 대저지역의 일본인 이주농촌은 근대기 일본의 인구과잉, 식량부족 문제 해결과 대륙으로 영향력을 확대해 나가려는 제국주의 정책의 일환으로 이주해 온 일본인들에 의해 형성되었다. 이들은 동양척식주식회사를 통한 정책적 비호 아래 대규모 토지를 경영하는 대지주형 농업을 경영하였다. 대저지역은 비옥한 농토임에도 불구하고 고질적 문제였던 홍수에 의한 자연재해를 입고 있었다. 이에 대저수리조합과 초량토목출장소에 의한 토목공사, 치수공사 및 수로개설공사로 인하여 보다 안정적인 이주농촌을 형성하게 되었으며 이들 사업들은 이주농촌 형성과 건축적 특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당시 형성된 이주농촌 가옥은 많은 변형과 함께 관리상태 불량으로 훼손 상태가 심각한 수준이며 현재 원형확인이 가능한 41채만이 현존하고 있다. 이 가옥들을 통해 근대기 일식주택이 한국인의 생활습관이나 공간부족 등의 문제로 인하여 많은 개·보수 과정을 거치며 변형되어 가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The Japanese migrant farming village in the Daejeo region in Gangseo-gu, Busan, was formed by the Japanese, who emigrated from Japan to Korea as a solution to the problems of overpopulation and food shortages in Japan and as part of the imperialist policy of extending their influence to the continent. Under the protection of policy through Oriental Development Company, they managed farming lands on a large scale. Although Daejeo was a fertile farmland, the residents in the area faced natural disasters, mainly floods. Accordingly, a more stable migrant farming village was formed through civil engineering works, embankment works and construction of watercourse by Daejeo Irrigation Association and Choryang Civil Engineering Company, and such project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formation of the migrant farming village and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The houses of the village that were built at the time are now severely deformed and damaged due to poor management and there remain only 41 houses, whose form can be identified. From these houses, one can confirm that the modern Japanese houses are changing through the process of numerous renovations and repairs, which were conducted because of the lifestyle of Koreans or lack of space.

      • KCI등재

        자연재해 대응 관련 북한의 정책과 법・조직체계

        황수환 국회입법조사처 2017 입법과 정책 Vol.9 No.3

        The organizations tasked with responding to natural disasters in North Korea include the Bureau of Hydro-Meteorology (BHM), the Ministry of Land and Environment Protection (MLEP), the Flood Damage Rehabilitation Committee (FDRC), and the Seismological Bureau. Relevant laws include the “Meteorology Act,” the “Environmental Protection Act,” and the “Seismic and Earthquake Damage Prevention and Rescue Act.” Between liberation to the year 1977, in which the “Land Act” was passed, North Korea approached various environmental issues with an eye toward postwar reconstruction. It was only after the enactment of the Environmental Protection Act in 1986 and the founding of the National Committee on Environmental Protection in 1993 that North Korea began to respond systematically to environmental problems. In addition to safeguarding the life and property of the North Korean populace, Pyongyang also implements policies related to natural disasters for the purpose of regime maintenance. At present, the lack of appropriate data and resources pose significant limits to understanding natural disaster-related organizations and policies in North Korea. This paper nonetheless contributes to the literature by examining North Korea’s policies and organizations related to natural disasters and the environment on the basis of various primary sources. 본 글은 자연재해에 대응하기 위한 북한의 조직과 법체계를 파악하는 데 목적이 있다. 북한의자연재해에 대응하기 위한 조직은 ‘기상수문국’, ‘국토환경보호성’, ‘큰물피해대책위원회’, ‘지진국’ 등이 있다. 법률로는 「기상법」, 「환경보호법」, 「지진, 화산피해방지 및 구조법」 등이있다. 정책적으로는 해방 이후부터 1977년 「토지법」 제정에 이르는 기간은 전후복구 차원에서각종 자연환경문제에 대해 접근하였고, 이후 1986년 「환경보호법」이 제정되고 1993년 ‘국가환경보호위원회’가 설립되면서 조직적이고 체계적으로 각종 자연재해 및 환경문제에 대응했다. 2000년대 이후 ‘지진국’과 ‘화산연구소’에서는 백두산 화산폭발의 징후의 위험성이 증가함에따라 이를 정확히 예측하기 위한 조직체계 정비 및 과학화가 진행되고 있다. 자연재해와 관련된 조직과 정책은 북한 주민의 생명과 재산보호를 위한 측면과 함께 정권의체제유지 차원에서도 추진됐다. 북한에 대한 자료와 정보 부족으로 자연재해 관련 보다 심층적이고 정확한 조직체계 및 정책을 파악하기 어려운 한계점이 존재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각종기상, 자연, 환경 관련 북한의 자료를 통해 자연재해 및 환경관련 조직과 정책 등을 살펴본성과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