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新羅 法光寺 石塔記

        黃壽永(Hwang Su-young) 백산학회 1970 白山學報 Vol.- No.8

        Buddhism in Silla spread widely to local provinces with the be-ginning of the 9th century, and consequently many new temples of all sizes were founded here and there. Most of the stone pagodas of later Silla period now remaining in other areas than Kyongju, are those that were erected with this trend in the background. The site of Bopkwang-sa Temple(法光寺), now preserved at the eastern foot of Mt. Bi-hak(飛鶴山) in Sin-kwang-myon(神光面), Young-il-gun(迎日郡), North Kyongsang Province is one of the historical remains of Silla, especially one of those dating back to this period. There is a three-storeyed stone pagoda standing on this site today. Unfortunately, the sarira and other valuable articles of this stone pagoda were stolen by thieves only a few years ago, but there remain two small tablets (jiseok-誌石). Through the inscriptions on these stones the dates of the erection and repairs of the stone pagoda were learned, and, further, through the names of persons in the inscriptions was found the fact that this temple had been in close relationship with the royal family of the kingdom. The tablets each bear six letters ‘Bopkwang-sa-seok-tab-gi’(法光寺石塔記)-epitaph for the stone pagoda-inscribed on a side, and the main inscriptions on the other surfaces are, in summary, as follows: [On the first tablet, 10. 8 ㎝ long and 4 ㎝ wide] “This pagoda is erected by Hyang-jo(香照) and Weon-jeok(圓寂) in the seventh moon of the second year of Dae-hwa(大和2年)-(A.D. 828) and the supporter is King Seong-deok(成德大王). “The pagoda is moved and repaired in the ninth moon of the sixth year of Hoe-chang(會昌6年). Prayed is that the supporters generation after generation may be reborn in Paradise, and that the king may live long in happiness. “Twenty-two sarira in the pagoda” [On the second tablet, 6.2 ㎝ long and 2.7 ㎝ wide] “Is repaired in the seventh moon of the 37th year of K’anghsi (康熙37年-A.D. 1638). “Is repaired in the second moon of the 12th year of Chienlung (乾隆12年-A.D. 1747). “Chief executives are Myeong-ok(明玉) and Dam-hak(談學)...” By the first stone it is certain that the pagoda was first erected in 828 and moved to the present site in 846. But the epitaph itself must have been inscribed in 846, the latter date. For King Seong-deok being the father of King Sin-mu(神武王), began to be called by this posthumous title only in the first year of King Sin-mu (A.D. 839). King Seong-deok had been, in life, that Kim Kyun-jeong the famous character in Silla history, and he could hardly have been called by that title in A.D. 828, when the pagoda was first erected. From the inscriptions stating that King Seong-deok was the main supporter of this Bopkwang-sa Temple, it is clearly to be seen that the temple was supported by him and his descendants of the direct line, King Sin-mu, King Mun-seong,(文聖王), etc. Temples of Later Silla period were each founded and supported by opposing sects or lines of royalty. The second stone makes it clear that the pagoda was twice repaired in modern times. Especially, the repair made in the reign of King Young-jo of Yi Dynasty is recorded in detail in the inscriptions on the monument standing in the back of the pagoda. This monument, erected in the 15th year of Chienlung(1750), tells us not merely of the existence of the two tablets, but of the way of preserving the sarira and also lists the stored items. This three-storeyed stone pagoda, although it is of a small size, will serve as a standard in study of other stone pagodas of Silla period, now that its date of erection has been determined. And the two small tablets, too, are rightfully important data for study of ancient epigraphy.

      • KCI등재
      • 공기권총 선수들의 격발 Timing 음원훈련과 자신감의 관계

        황수영 ( Hwang Su-young ),장덕선 ( Chang Duk-sun ) 국제문화&예술학회 2022 국제문화예술 Vol.3 No.1

        연구목적: 본 연구는 공기권총 사격선수를 위한 격발 Timing 음원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선수들에게 음원 훈련을 적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고교 공기권총 선수 4명과 대학 공기권총 선수 4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전문가 집단을 구성하여 고득점 점수의 기준으로 선수 개인별 격발 Timing을 산출하였다. 또한 단일집간 사전·사후 설계로 스포츠 자신감 설문지, 사격 심리적 기술 검사지를 통해 양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심리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선수 개인별 격발 Timing 음원을 개발하였다. 둘째, 현장적용 단계를 거쳐 개개인의 특정에 맞추어 프로그램을 수정·보완하였다. 셋째, 효과 검증을 위해 선수들의 심리상태 변화를 양적 분석한 결과, 스포츠 자신감 4개 하위요인 모두 향상되었으며, 성취동기와 각성조절과 자신감이 향상되었다. 결론: 공기권총 선수 개개인의 격발 Timing에 맞춘 음원훈련은 스포츠자신감과 관계가 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Fire Timing sound source program and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after applying to air pistol shooters.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on 4 air pistol shooters from B city high school and 4 air pistol shooters from S city university. A group of experts was formed to calculate the Fire timing for each player based on the high score. In addition, quantitative analysis was conducted through a sports confidence questionnaire and a shooting psychological examination as an one-group pretest-posttest design. Result: First, an individual shooter’s Fire timing sound source was developed to solve psychological problems. Second, the program was modified and supplemented according to individual players’ characteristics through the field application stage. Third, to verify the impact of individuals’ fire timing sound training, the quantified analysis was made to players’ mental state changes which resulted following data; average increases in scores of 4 sports confidence skills subfactor. Under the category of 5 subfactor in shooter’s psychological skills, scores were increased by motivation and arausal skill and confidence. Conclusion: Fire Timing Sound Training based on player;s individual Fire Timing relations with sport confidence.

      • KCI우수등재

        들뢰즈의 생성의 철학

        황수영(Su-young Hwang) 한국철학회 2005 철학 Vol.84 No.-

        현대 프랑스철학은 로티가 문학문화라고 규정한 특성을 지니고 있다. 이 태도는 진리의 초월적 본성에 대한 믿음, 이를 파악하는 고정된 자아 그리고 그것을 전달할 수 있는 공통의 언어에 대한 확신이 대표하는 전통철학적 태도와는 달리 인류의 성숙은 인간의 상상력의 한계를 확장하는 문학이나 예술과 같은 인문적 활동에서 탁월하게 드러난다고 본다, 서양철학의 로고스중심주의를 비판하고 해체를 시도하는 데리다나 계몽주의적 거대서사를 거부하고 미시서사를 주장하는 리오 따르는 이러한 입장을 잘 보여준다. 그러나 니체와 베르그손의 후예로 자신을 드러내는 들뢰즈의 경우 이들과는 달리 생성의 형이상학을 전변에 내세운다. 물론 전통 형이상학에 대한 근본적 비판에서는 맥을 같이 하고 있으나 새로운 형이상학의 체계는 여기서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는가? 우리는 이러한 시도가 프랑스철학의 인문주의적 전통과 어떤 관련을 맺고 있는지에 주목하면서 그의 생성의 철학을 고찰해 본다. 들뢰즈의 일의성 개념은 존재들 간의 위계질서를 거부하고 다채로운 차이들에 평등하게 존재를 부여함으로써 학문 상호간이나 문학과 예술, 과학 간에 서로 다른 사유의 양태들을 볼 뿐이다. 또한 생성의 철학은 자연과학의 여러 성과들과 모순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환원주의적 입장이 보여주는 난점을 극복하고 다양한 지식의 고유성을 설명하는 형이상학이다. 마지막으로 그것은 허상으로서의 생성을 또 다시 정초한다기보다는 그것의 실존을 미학적으로 정당화함으로써 삶과 생성을 긍정하는 철학이다.

      • KCI등재
      • KCI등재

        베르그손과 깡길렘의 생명철학, 수렴과 분기의 지점들

        황수영(Hwang, Su-Young)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13 철학사상 Vol.50 No.-

        근대 이후에는 과학주의의 위력으로 인해 생명이 철학적 사유의 진지한 대상이 되지 못했다. 세계를 의식과 기계로 양분한 데까르뜨에서 생명은 기계의 일부로 다루어지고 그 범주적 고유성을 잃는다. 19세기에는 꽁뜨의 실증주의 생명관이 생기론을 제압하면서 생명과학은 물리화학적 패러다임에 종속된다. 오늘날 이런 환원주의적 태도 역시 경계의 대상이며 생명이 나타내는 복잡성 앞에서 좀 더 유연하고 포괄적인 관점이 요구되고 있다. 철학은 생명에 대한 사유를 단지 물리화학의 일부로 취급되는 한에서의 생물학에 맡겨놓을 것이 아니라 적극적으로 심화하고 확대해야 한다는 생각은 베르그손과 깡길렘의 공통적인 태도이다. 베르그손은 생명에 대한 거대서사를 썼고 깡길렘은 그를 이어받으면서도 거대서사로서의 생명 형이상학이 빠질 수 있는 아포리아들을 피해가면서 생명의 세부적인 문제들에 천착하여 실증주의의 난점을 지적하고 자신의 고유한 관점을 제시한다. 이 두 생명철학자들을 비교하기 위해 우리는 생명원리와 개체성, 정상과 병리, 생성과 로고스라는 세 가지 주제를 다루고 거기서 그들이 관점이 수렴되는 지점들과 분기되는 지점들을 살펴본다. Since the modern age, the theme of life has often been omitted from philosophical thinking, under the influence of scienticism. Descartes, who divided the world into consciousness and machines, treated life as a part of a machine, which deprived life of its proper specificity. From the 19th century, where the positivism of Comte surpassed French vitalism, the life sciences submitted to the paradigm of physical chemistry. Today, this type of reductionism is no longer certain. We need a more global and malleable perspective before the complexity that life phenomena show. The idea that philosophy should not leave life to biology, which works only in the paradigm of physical chemistry, and that it should instead deepen and widen the theme as such constitutes the common attitude of Bergson and Canguilhem. Bergson wrote a grand narrative of life, represented by the concept of elan vital. Canguilhem, although he inherited some Bergsonian ideas, avoids aporias left from his metaphysics of life. He concentrates on detailed problems that leaving individuals show and tries to solve them from his original perspective, which opposes Comtien’s view. To compare these two philosophers, we will examine three subjects - the principles of life and individuality, the normal and the pathological, and becoming and logos - and we will see on which points these two authors converge and diverge.

      • KCI등재후보

        한국사상(韓國思想) 철학(哲學) : 도산(島山) 안창호(安昌浩)의 무실(務實)사상에 관한 연구

        황수영 ( Su Young Hwang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3 韓國思想과 文化 Vol.67 No.-

        도산 안창호(島山 安昌浩, 1878∼1938)는 한말 일제 강점기를 살았던 사상가요 독립 운동가이다. 그는 정치가로, 교육자로, 민족계몽운동가로 다양한 삶을 살았다. 도산은 민족 독립의 원칙과 방법을 이성적 사고에 입각해 제시하고, 또 독립이후 우리 민족의 나아갈 길을 체계적으로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이 시대를 대표하는 사상가의 한 사람이라 할 수 있다. 유교적 무실(務實)사상이 도산에 의해 계승되고, 또 근대사상으로 드러나게 된 것은 의미 있는 일이다. 무실은 중국, 조선을 막론하고 오랜 역사를 통해 사용된 용어다. 특히 조선조의 유학자들은 이 무실을 매우 강조하였는데, 율곡(栗谷)에 의해 사상적 체계를 갖게 되고 심화되었다. 실의 추구는 곧 진실성(眞實性), 실천성(實踐性), 실용성(實用性)을 강조한 말인데, 유학자들의 용례는 매우 다양하다. 이러한 무실사상은 율곡직계에서 김장생(金長生), 김집(金集)을 통해 무실예학(務實禮學)으로 계승되었고, 우계학파에서는 윤선거(尹宣擧), 윤증(尹拯)을 통해 정제두(鄭齊斗) 등 강화학파로 전승되었다. 또한 이수광(李수光)은 務實箚子를 올릴 만큼 무실에 관심이 많았고, 실학파는 곧 무실학풍의 연장이라고 볼 수 있다. 아울러 한말 개화파들은 국권회복과 민족역량의 강화라는 기치아래 실력양성을 외쳤고, 도산사상도 이러한 개화사상의 한 조류였다고 볼 수 있다. 도산사상에 있어 무실은 그 중핵이라 할 수 있다. 그의 말과 글속에 가장 많이 강조하고 그 빈도가 높은 것이 무실이다. 또 무실의 의미가 여러 가지가 있지만, 진실과 실천의 의미가 가장 강하다. 도산은 우리 민족이 진실한 민족이 되기를 바랐고, 또 흥사단(興士團)이 진실한 단체이기를 바랐다. 민족의 독립을 위해서는 힘이 있어야 하는데, 그 힘의 원천을 건전인격으로 보고, 건전인격의 길이 곧 무실에 있다고 보았다. 도산이 나라를 빼앗긴 일제 강점기 암흑기에 이렇게 합리적인 사고를 했다는 것은 높이 평가 받을만하다. 島山的安昌浩(1878∼1938)作爲大韓帝國日本强占時期的思想家, 獨立運動家, 在政治, 敎育, 民族啓蒙等領域中都有흔大貢獻。島山從理性的角度對民族獨立的原則和方法做出了解釋和說明, 幷且全面指出了獨立以後我們民族要走的道路.是日本强占時期的傑出思想家。島山思想繼承了儒敎的務實思想, 作爲近代思想所提出的觀點흔有積極意義。務實一詞無論是在中國還是朝鮮, 在曆史上都是常用的詞語。特別是朝鮮王朝的儒家學者常常强調務實的重要性。根據栗谷的言論形成體系幷得到深化。追求“實”, 卽强調眞實性, 實踐性, 實用性, 儒家學者擧了大量的事例說明此道理。這樣的務實思想通過栗谷的弟子金長生, 金集作爲”務實禮學”得到傳承, 在牛溪學派通過尹宣擧形成了以鄭齊門等爲首的江華學派, 而後李수光的務實箚子也對務實思想表現了極大的關心, 實學派也是對務實學風的延長。開化派主要主張國家主權的恢複和民族力量的强化, 呼유實現民族富强, 島山思想也是開化思想潮流中的一部分。在島山思想中務實是其中的核心。字裏行間言及最多的出現頻率最多的就是務實。務實的解釋흔多, 但衆多意思中强調的都是眞實和實踐。島山思想希望我們民族成爲眞實的民族希望興士團是一個眞實的團體。爲了民族獨立我們需要力量, 力量的源泉是健全的人格, 形成健全人格需要務實。在黑暗的日本强占期這樣的合理思考得到了흔高的評價。

      • KCI등재

        유학의 인성 이해와 전인교육

        황수영 ( Su Young Hwang ) 한국동서철학회 2016 동서철학연구 Vol.0 No.80

        현대 한국교육의 당면과제는 인성교육 내지 전인교육의 실현이다. 해방이후 지속되어 온 주지(主知)교육은 우리나라의 경제발전과 첨단과학시대를 여는데 크게 기여했지만, 그 이면에 많은 부작용과 과제를 안겨 주었다. 이 논문은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유학의 인성에 대한 이해를 통해 인성교육의 필요성을 자각하고, 또 인성의 교육적 접목 가능성을 검토해 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논어』에 나타난 인성 이해는 인(仁)으로 설명된다. 이는 공자의 인성 이해로서 전인적 의미를 갖는다. 『논어』에서의 仁人은 곧 군자이며, 군자야말로 유가교육의 목표다. 따라서 『논어』의 인성 이해는 조화로운 인성의 함양이며 균형 잡힌 인성의 형성이다. 또한 『순자』의 인성 이해는 동물까지 포함하는 원초적 본능이나 생물적 욕구로 규정된다. 순자는 성(性)과 위(僞)를 구분하고 성은 태어나면서부터 저절로 얻어지는 것 이고, 위는 예의와 같이 후천적 노력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라 하였다. 순자는 감각적 욕망, 본능적 욕구를 성으로 보아 악한 것으로 보았지만, 화성기위(化性起僞)를 통해 선화(善化)의 가능성과 성인의 길을 열어 놓았다. 또한 마음을 형체의 임금이요 신명(神明)의 주인으로 오관(五官)을 다스리는 천관(天官)이라 하여, 마음의 주재성, 주체성을 매우 강조하였다. 또한 성리학에서는 선진유학에서의 인성 이해를 이기론적으로 해석하여 심성의 정밀한 분석을 시도하였다. 심(心), 성(性), 정(情), 의(意)를 나누어 보기도 하고 합해 보기도 하였고, 이기(理氣)를 통해 인간 심성의 구조와 기능을 설명하기도 하였다. 성리학자에 따라 주리적 인성 이해, 주기적 인성 이해, 이기 조화적 인성 이해 등 다양한 인성 이해를 보여주었다. 이와 같이 유학의 인성 이해는 역사적으로 다양한 모습을 보여주지만, 유학에 있어서 인성 이해의 핵심은 ‘조화로운 인성’, ‘균형 잡힌 인성’을 이상으로 삼는다. 현대 한국교육이 ‘무엇이든 하나만 잘하면 된다’고 하여 전공기술인의 양성을 장려하는 데서 불구적 인간의 양산과 인성교육의 위기를 맞고 있다. 인성의 내면적인 요소 즉 지성, 덕성, 감성, 욕구, 의지 등 모두가 인간 완성에 필요한 요소라는 인식이 필요하고, 이들의 조화와 균형을 통해 건전한 인격이 기능하고 군자의 양성이 가능한 것이다. 심신이 건강한 시민, 조화로운 인격의 지도자 양성이야 말로, 이 시대가 가야 할 정치의 목표이며 교육의 이상인 것이다. The challenges of modern korean education was the realization of the personality or the whole-person education. Since the liberation, the teaching by rote has significantly contributed to economic development and to open an era of high-tech country, but it had embraced the many side effects and challenges. This paper aims to recognize the need for personality education through the understanding of the personality of Confucianism in conscious awareness of these issues and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combining the personality to educational grafting. The understanding the personality shown in "The Analects of Confucius" was described as the In (仁virtuous). It had the means of whole-person to understand the personality of Confucius. The virtuous person (仁人) in the "The Analects of Confucius" was Junzi, and Junzi was the goal of confucian education. Therefore, understanding the personality of "The Analects of Confucius" was the cultivation of harmonious personality and the formation of a balanced personality. In addition, the understanding personality of "Xun Zi" was defined as basic instinct or biological needs, including the animals. Xun Zi divided the Sung (性nature) and Wii (僞) to identify and the Sung was spontaneously obtained since it was born, and the Wii were acquired by endeavor, such as manners. Xun Zi had seen the Sung as evil such as the sensual desires, instinctive desire, but through the WhaSungGiWii (化性起僞), it opened up the possibility of the Sunwha(善化) and the way of saint. Also the heart was the king of shape and the owner of Shinmyung (神明), as Cheongwan (天官) governing the senses (五官), so that it strongly emphasized the independence and subjectivity of mind. In addition, the Neo-Confucianism interpreted the understanding the personality of the advanced Confucianism holistically so that it attempted a precise analysis of the mentality. Sim (心), Sung (性), Jeong (情), and Ui (意) were divided and also summed, and through the LeeGii (理 氣), it was to explain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the human mentality. The understanding the personality of Confucianism show different looks as a historical study, but than the core of understanding the personality of Confucianism was "harmonious personality", "balanced personality". Modern korean education is encouraging the training of specialty technologies ``one anything will make a sucess``, but it will be facing a crisis in producing the handicap and personality education. Internal elements of the personality, that is, are intelligence, moral character, emotion, desire, determination, etc. all need to recognize that the human element required for completion, and it will have a healthy personality through their harmony and balance function and capable of producing Junzi. It``s the political goal of this era and the ideal of education to be physically and mentally healthy citizens and to produce harmonious personality leader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