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항콜린약물부담이 한국 노인의 응급실 방문에 미치는 영향

        황성희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Background It is widely recognized that the use of medications with anticholinergic properties can cause a variety of adverse effects, including dry mouth, constipation, urinary retention, dizziness, delirium, and severe cognitive decline. Older adults are especially vulnerable to these harmful effects due to physiologic age-related changes, so that anticholinergics are often involved in explicit criteria for potentially inappropriate prescribing in older adults. Numerous anticholinergic burden scales have been developed to quantify the cumulative anticholinergic exposure of using multiple medications, defined as “anticholinergic burden (AB)”. To reflect the availability of the medications in Korea, the Korean Anticholinergic Burden Scale (KABS) was developed using the Delphi methods after reviewing previous scales. Part Ⅰ: Impact of high anticholinergic burden on emergency department visits among older adults in Korea: A national population cohort study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impact of high anticholinergic burden on overall emergency department (ED) visits and ED visits related to adverse effects of anticholinergic drugs among older adults. Methods: For this retrospective cohort study, we used claims data from older adults with high representativeness. The average daily Anticholinergic Risk Scale (ARS) score was calculated based on the dosage, treatment duration, and potency of anticholinergic drugs during three months. A high-exposure group (ARS≥2) and a non-exposure group were included in this analysis. The primary outcome was the first ED visit during the follow-up period. Anticholinergic ED visits were defined as ED visits with a main diagnosis of a fall, fracture, dizziness, delirium, constipation, or urinary retention. Results: In total, 118,750 subjects (43.6% male) were included in this study. The mean age was 75.4 ± 6.6 years. The adjusted hazard ratios (aHRs) for all-cause and anticholinergic ED visits among those with high ARS scores were 1.28 (95% CI: 1.20–1.36) and 1.55 (95% CI: 1.38–1.74), respectively. The high-exposure group was at higher risk than the non-exposure group for ED visits for falls or fractures (aHR: 1.31, 95% CI: 1.07–1.60), dizziness (aHR: 1.71, 95% CI: 1.36–2.14), delirium (aHR: 2.05, 95% CI: 1.13–3.73), constipation (aHR: 1.65, 95% CI: 1.35–2.02) and urinary retention (aHR: 1.66, 95% CI: 1.30–2.12). Part Ⅱ: Validation study of the Korean Anticholinergic Burden Scale compared to other scales: A nested case-control study Objectives: The aim of the curr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validity of the KABS by evaluating correlations between AB measured via the KABS and ED visits compared to other scales. Methods: This nested case-control study used an adult patient sample dataset provided by the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 in 2016. The average daily AB score for the month of June was measured considering the dosage, treatment duration, and anticholinergic potency of drugs listed in the KABS in comparison with the Anticholinergic Risk Scale (ARS), Anticholinergic Cognitive Burden (ACB), and Anticholinergic Drug Scale (ADS).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investigate relationships between ED visits in July and AB, incorporating adjustments for age, sex, co-morbid disease, co-medications (sedative drugs, insulin, digoxin, and warfarin), and prior ED visits. Results: A total of 1,284,975 subjects (41.7% male) were included in the present analysis, and their mean age was 73.8 ± 6.6 years. Prevalence of exposure to anticholinergics ranged from 36.4% to 56.0% depending on which scale was used. In multivariate regression analysis there were dose-dependent associations between AB as measured by the KABS and all-cause ED visits, emergency hospitalizations, and anticholinergic ED visits. Results derived from the KABS were relatively highly correlated with anticholinergic adverse effects as determined via the ARS, ACB, and ADS, which have already been validated. The KABS only exhibited a consistent correlation with negative outcomes that included individual anticholinergic adverse events. Conclusions Part Ⅰ of the present study demonstrated that a high anticholinergic burden in older adults increased the risk of all-cause ED visits and anticholinergic ED visits. In Part Ⅱ, the KABS was validated in that there were dose-dependent relationships between various adverse outcomes and AB quantified by the KABS. These results highlight a need to increase the awareness, identification, and resolution of these medication-related problems contributing to unintended drug-related ED visits. The KABS may be a practical tool for assessing AB in Korean older adults in routine medication reviews and in medical studies. 항콜린약물의 사용은 입마름, 변비, 뇨저류, 어지러움, 섬망, 치매 등에 이르는 다양한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 특히 노인들은 노화에 따른 신체적 변화로 인해 이러한 부작용에 취약해, 항콜린약물은 노인들은 가능한 피해야 할 노인주의약물 중 하나이다. 다양한 항콜린약물부담 평가 도구들은 여러 항콜린약물을 사용하는데 따른 누적적인 항콜린약물의 노출 정도(“항콜린약물부담”)를 측정하기 위해 개발되어 왔다. 한국형 항콜린약물부담 평가 도구(Korean Anticholinergic Burden Scale, KABS)는 한국의 약물사용현황을 반영하기 위해, 문헌고찰과 델파이 기법을 이용한 전문가 합의를 통해 개발되었다. 본 연구는 2016년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노인표본자료를 이용하여, 두 가지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 번째 코호트 연구에서는 높은 항콜린약물부담이 응급실 방문과 항콜린 부작용으로 인한 응급실 방문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고, 두 번째 코호트 내 환자-대조군 연구에서는 새로 개발된 한국형 항콜린약물부담 평가 도구를 이전에 해외에서 개발되어 검증된 도구들과 비교하여 그 유효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Part Ⅰ 높은 항콜린약물부담이 한국 노인의 응급실 방문에 미치는 영향 첫 번째 후향적 코호트 연구는 4월부터 6월까지 3개월 동안의 일평균 Anticholinergic Risk Scale (ARS) 점수가 2점 이상인 높은 항콜린약물부담을 가진 노인환자와 항콜린약물을 전혀 복용하지 않는 노인환자로 코호트를 구성하여, 이후 7월부터 9월까지 3개월 동안의 추적관찰 기간 동안 응급실 방문을 살펴보았다. 연령, 성별, 보험유형, 병존 질환, 병용약물을 고려한 다변량 회귀분석 결과에서, 높은 항콜린약물부담을 가진 노인환자는 응급실 방문할 위험이 1.28배(95% CI: 1.20–1.36) 높았으며, 낙상 및 골절, 어지러움, 섬망, 변비나 뇨저류 등 항콜린 부작용으로 응급실을 방문할 위험은 1.55배(95% CI: 1.38–1.74) 높았다. 또한 개별 항콜린 부작용으로 인한 응급실 방문 위험과 관련해서는 낙상이나 골절은 1.31배(95% CI: 1.07–1.60), 어지러움은 1.71배(95% CI: 1.36–2.14), 섬망은 2.05배(95% CI: 1.13–3.73), 변비는 1.65배(95% CI: 1.35–2.02), 뇨저류의 경우 1.66배(95% CI: 1.30–2.12)로 위험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Part Ⅱ 한국형 항콜린약물부담 평가 도구의 임상적 유효성 검증 본 연구에서는 2016년 7월 한 달 동안 응급실을 방문한 노인을 환자군으로 응급실을 방문하지 않는 노인을 대조군으로 하여, 응급실 방문 관찰 이전 6월 한 달 동안의 항콜린약물부담을 KABS, ARS, Anticholinergic Cognitive Burden (ACB), Anticholinergic Drug Scale (ADS)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전체 1,284,975명의 노인환자에서 항콜린약물을 복용하는 노인환자의 비율은 36.4%에서 56.0%로 사용한 항콜린약물부담 평가 도구 별로 다르게 나타났다. 다른 도구들과 마찬가지로 KABS는 응급실 방문, 응급 입원, 항콜린 부작용으로 인한 응급실 방문과 용량 의존적인 오즈비 증가를 보였다. 그러나 KABS는 항콜린 부작용으로 인한 응급실방문과 관련하여 다른 도구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상관성을 보여주었고, 개별 항콜린 부작용으로 인한 응급실 방문과의 상관성에서는 다른 도구들과 달리, 유일하게 KABS만 용량 의존적 관계를 일관성 있게 보여주었다. 두 연구를 통해, 높은 항콜린약물부담은 응급실 방문의 위험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한국형 항콜린약물부담 평가 도구는 응급실 방문을 초래하는 다양한 항콜린 부작용과의 일관된 상관성을 보여줌을 통해 그 유효성을 검증하였다. 따라서 한국형 항콜린약물부담 평가 도구는 불필요한 항콜린약물 사용을 줄이는데 유용한 도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자기통제훈련이 초등학생의 자기통제에 미치는 효과

        황성희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의 목적은 자기통제훈련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기통제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초등학교 5학년 22명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고, 이들을 짝표본으로 구성하여 11명씩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배치한 후 이경님(2000)의 자기통제 척도를 사용하여 프로그램 첫 시간에 사전검사를 실시하고 주 3회, 4주간 동안 11회기의 자기통제훈련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이 끝난 후 사후검사를, 5주 후에 추후검사를 실시하여 결과를 얻었다. 자기통제훈련 프로그램을 경험한 실험집단의 학생들은 통제집단의 학생들과 비교해서 자기통제 전체와 하위영역 일부분(사려숙고성, 과제인내, 유혹저항, 정서통제, 친구관련통제)이 향상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elf-control training program and examine its effect on students of a elementary school's self-control. The hypothese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elf-control training program will improve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lf-control. Second, self-control training program will improve 6 sub-factors of self-control: prudence, task-patience, temptation-resistance, emotional control, control related friends, control related teacher.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2 students in S elementary school in Donggu, Daegu, who understood the goal and procedure of the training program and hoped to join the program. They were organized into 2 groups,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each having 11 students. This program for improving self-control was carried out three times a week for 11 sessions(each session lasted for 50-60 minutes). The effect of self-control program was measured with a rating scale of self-control that was developed by Lee, Kyung-Nim(2000). The rating scale of self-control in this study consists of 6 sub-factors: task-patience, temptation-resistance, emotional control, control related friends, control related teacher. The self-control training program of this study was based on Kim, Hun-Bae(2006)'s self-control programs, which were modified into the self-control training program with a specialist's help to be proper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data analysis, based on pre-test, post-test and further-test, ANOVA of SPSS was conducted to measure the effect of the program. A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for hypothesis testing was set at .05.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as follows: First, the self-control training program has an effect on the improvement on students of elementary school's self-control. Second, the self-control training program has an effect on the 5 sub-factors of on students of elementary school's self-control. : prudence, task-patience, temptation-resistance, emotional control, control related friends. Therefor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the self-control training program has been developed and its effect has been proved.

      • 세포의 형질전환 과정에서 자가포식작용의 역할에 대한 연구

        황성희 인천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Autophagy는 세포사멸을 촉진하기도 하고 억제하기도 한다. 본 연구에서는 CRISPR/Cas9 system을 이용하여 ATG5 knockout(KO) cell line을 확보한 뒤 세포에서 autophagy의 역할을 확인하였다. RT-PCR과 LC3의 western blot 실험을 통해 ATG5가 knockout되었음을 확인하였다. ATG5 knockout로 인한 autophagy의 결함은 NIH3T3 cell의 proliferation을 증가시키는 결과를 보여주었으며, 특히 transformation에 대한 감수성이 높아짐을 in vitro clonogenic survival assay와 soft agar colony formation assay를 통해 확인하였다. 그리고 ATG5 KO cell이 wild-type(WT)의 NIH3T3 cell에 비해 migration능력이 월등함을 추가적으로 확인하였다. Autophagy의 조절이 PP2처리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ATG5 KO cell은 WT cell보다 PP2처리에 대한 저항성이 더 컸으며, PP2 처리에 따른 autophagy또한 일어나지 않았다. 그리고 WT에 PP2를 처리했을 때 S기와 G2/M기의 비율은 감소하였으나, ATG5 KO cell에서는 PP2에 의한 cell cycle의 변화는 없지만 S기와 G2/M기 자체가 높은 비율로 일어났다. 추가로 ATG5 KO cell에 PP2 처리 후 apoptosis의 비율이 WT에 비해 크게 감소하였으며, p53의 발현량이 ATG5 KO cell에서 월등히 많은 것을 확인하였다. ATG5 KO cell에서의 apoptosis 비율의 감소로 인해 p53 단백질이 보상적으로 상향되는 것으로 보인다. 종합적으로 본 연구는 ATG5의 knockout으로 인한 autophagy의 결함이 malignant cell transformation와 PP2에 대한 저항성을 이끌 수 있음을 제시한다. Autophagy can either promote or inhibit cell death in different cellular contexts. In this study,we investigated the role of autophagy in ATG5 knockout (KO) cell line established using CRISPR/Cas9 system. In ATG5 KO cells, RT-PCR and immunoblot of LC3 confirmed the functional gene knockout. We found that knockout of ATG5 significantly increased proliferation of NIH 3T3 cells. In particular, autophagy deficiency enhanced susceptibility to cellular transformation as determined by an in vitro clonogenic survival assay and a soft agar colony formation assay. We also found that ATG5 KO cells had a greater migration ability as compared to wild-type (WT) cells. Moreover, ATG5 KO cells were more resistant to treatment with a Src family tyrosine kinase inhibitor (PP2) than WT cells were. Cyto-ID Green autophagy assay revealed that PP2 failed to induce autophagy inATG5KOcells. PP2 treatment decreased the percentage of cells in the S and G2/M phases amongWT cells but had no effect on cell cycle distribution of ATG5 KO cells, which showed a high percentage of cells in the S and G2/M phases. Additionally, the proportion of apoptotic cells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treatment of ATG5KO cells with PP2 in comparison withWTcells.Wefound that expression levels of p53 were much higher in ATG5 KOcells. The ATG5KOseems to lead to compensatory upregulation of the p53 protein because of a decreased apoptosis rate. Taken together, our results suggest that autophagy deficiency can lead to malignant cell transformation and resistance to PP2.

      • 초등학생의 신체만족도가 학업성취도 및 또래집단과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

        황성희 명지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4,5,6학년 시기가 아동기에서 청소년기로 넘어가는 과도기 시기이며 급격한 신체적 변화가 시작되는 시기임을 주목하고 성별, 학년별에 따른 차이를 분석하고자 했다. 또한 신체만족도와 학업성취도, 신체만족도와 또래집단과의 관계 그리고 신체만족도가 이 변인들에 미치는 영향이 무엇인가를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질문지법을 사용하여 서울시 초등학교 2개교 남·여 초등학생 4,5,6학년 379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고, 이중 350부를 분석에 이용하였다. 신체만족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사용된 설문지는 김양진(1996)과 전경란(2002) 그리고 이은희(2007)가 사용한 것을 재사용하였고, 학업성취도를 측정하기 위해 2008학년도 전국학력진단평가 성적중 국어, 수학, 영어, 과학, 사회 점수를 사용하였다. 또래관계척도는 이시형외 (2002) 연구자들이 개발한 외톨이 질문지를 부정적 또래관계로 명명하여 사용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된 설문지는 SPSS WIN(Ver 12.0)에 의해 통계처리 방식을 이용하였고,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평균, 표준편차, 빈도와 퍼센트 등을 사용하여 각 변수의 분포에 대해서 기술적인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연구문제 검증을 위해 t-test, ANOVA 분석기법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종속변수에 대한 독립변수들의 영향력에 대해서는 먼저 각 독립변수 영역별로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면서 각 영역별 독립변수들의 영향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의 성별 및 학년별에 따른 신체만족도의 차이는 다르게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신체만족도 차이를 살펴본 결과, 전체적으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초등학생 성별 및 학년별에 따른 신체만족도 차이에서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키·체형부분의 만족도가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남학생보다는 여학생들이 청소년기의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신체불만족 정도가 심해진다는 선행연구들(고애란, 김양진, 1996; 김재숙, 이미숙, 2001)의 결과와 일치한다.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이상적 신체 기준이 더 높기 때문에 그 기준에 비교하여 자신에 대한 느낌이 부정적으로 영향을 미침으로써 만족도가 낮고 남학생은 여학생보다 신체적 아름다움 또는 이상적 신체 기준에 의해 영향을 덜 받기 때문이다. 학년별에 따른 신체만족도의 차이를 사후비교분석(LSD)한 결과, 초등학생 4학년과 5학년이 6학년보다 신체만족도와 각 하위영역 모두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각 학년의 평균을 통해 살펴보면, 6학년이 4학년과 5학년보다 만족도가 떨어지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는 신체만족도가 고학년에게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나 고학년 본인이 신체에 대해 불만족스러운 경향을 보이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신체만족도중 얼굴에 대한 만족도는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제시되었지만 성별에 따라서는 다르게 나타났다. 신체만족도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단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신체만족도의 얼굴부분만이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신체만족도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단계적 다중회계분석을 실시한 결과, 남자의 경우 신체만족도의 얼굴부분만이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여자의 경우 신체만족도가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신체만족도중 또래집단과의 관계에서는 영향이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체만족도가 또래집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단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신체만족도가 또래관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신체만족도가 긍정적인 또래관계를 높일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래관계에 대한 전체 변량의 14.0%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신체만족도의 각 하위영역은 또래관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단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남자와 여자 모두 신체만족도가 또래집단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신체만족도가 긍정적인 또래관계를 높일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래집단에 대한 전체 변량이 남자의 경우 14.5%, 여자의 경우 14.4%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신체만족도의 각 하위영역은 또래집단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 남·여 초등학생 모두에게서 신체만족도가 높으면 대체적으로 학업성취도 및 또래집단과의 관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초등학생의 긍정적 신체만족도가 안정된 청소년기를 보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아로마 오일 흡입이 비수면 위 내시경 수검자의 심리·생리적 반응에 미치는 효과

        황성희 한림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and identify the effects of lavender and neololi oil inhalation on non-sedation gastroscopy subjects on anxiety and stress, physiological variables, objective stress, autonomic nervous system activity, and blood pressure A quasi-experimental research with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 test design was conducte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hose who were able to communicate and agreed to the study themselves, and gastroscopy examiners who were subjects of national cancer screening at the Health Examination Center of H University Hospital in K city. In order to figure out the effect of aroma inhalation, the experimental group was inhaled with oil blended 1:1 with 100% lavender and 100% Neroli oil, and the control group was inhaled with artificial fragrance. The anxiety using the questionnaire and subjective stress through the VAS was measured before and after gastroscopy, and objective stress, autonomic nervous system activity, and variations in blood pressure using the Canopy9 RSA device were measured before the gastroscopy, upon entry into the endoscopic esophagus, and after the gastroscopy.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the SPSS win 24.0 program. Anxiety and VAS analysis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were analyzed by t-test. The difference in autonomic nervous system activity and blood pressur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was analyzed by a repeated ANOVA teat. The conclusion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ly, the score of anxiety of the experimental group inhaled with aroma oil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the control group (t=3.87 p=<.001). Secondly, the psychological stress score device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t=0.94, p=.029). Thirdly, the objective stress score using the Canopy9 RSA device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F=8.34, p=.005). Fourthly, the sympathetic nervous system activity score of the experimental group inhaled with aroma oil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control group (F=0.92, p=.400), and the parasympathetic nervous system activity scor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F=1.12, p=.054). Fifthly, systolic blood pressure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control group in the experimental group (F=6.48, p=.033),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F=3.09, p=.053) between the two groups in the case of diastolic blood pressure. Aromatherapy interventions were most likely to be inhaled multiple times in hospitalized subjects, but in this study, the effect was expected and applied to reduce anxiety and stress with only one inhalation for subjects undergoing tests through the one day visit. Based on these results, we hope to contribute to reducing the work load of nurses in situations such as delays in examinations and inconsistency in the examination process due to anxiety and stress of the candidates before the examination. In addition, it suggests a repetitive study to provide a basis for the effect of aroma oil inhalation by expanding it to a variety of subjects undergoing the one day procedures and tests that perform invasive tests

      • 부모가 청소년의 인터넷 의존 및 이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황성희 고려대학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지나친 인터넷 사용에 따른 청소년의 유해정보 접근성과 의존율 그리고 그에 따른 각종 비행발생율은 높아지지만, 청소년의 인터넷 이용에 있어 윤리의식에 대한 전반적인 교육율은 현저히 낮은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청소년에 대한 부모의 애착 및 감독이 청소년의 인터넷 이용 및 의존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부모의 감독 즉 자녀가 어디서 누구와 무엇을 하고 있는가를 아는 정도를 나타내는 부모의 자녀에 대한 직접적인 통제는 청소년 자녀의 불건전한 행위를 통제시켜주는 주요한 요인이 되며, 부모의 애착 즉 자녀에 대한 수용, 인정, 확신을 나타내는 부모의 애정은 청소년의 긍정적인 행동을 유도하는데 중요한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부모나 선생님과 같은 청소년의 행동에 감시자가 존재하지 않는 인터넷 사용 장소에서의 청소년의 높은 인터넷 의존과 긍정적이지 못한 이용을 통해 부모의 보다 적극적인 자녀에 대한 관심과 통제가 청소년의 비행적인 인터넷 이용에 관여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분무건조에 의한 천연식초의 분말화에 관한 연구

        黃聖姬 대구가톨릭대학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processing method of vinegar powder from natural vinegar for encapsulation applications. The spray drying process was optimized by the response surface methodology(RSM) to find ideal conditions for manufacturing vinegar powder. The optimal mixing ratio of β-cyclodextrin(CD) and gum arabic(GA) was used as wall material. These parameters were investigated to evaluate the quality and the quantity of manufacturing vinegar powder using spray drying. The optimal concentration of inclusion complex which was made with vinegar and β-cyclodextrin was determined on 30。bx. On increasing the concentration of β-cyclodextrin as a wall material, the quality of the vinegar was decreased. To optimize the spray drying process, experiment was designed by central composition method. The acidity, water uptake, solid content and heat stability of powder were selected as response variables. The optimum conditions of spray drying process were 188~192℃ and 480~600 Lh^-1 as inlet temperature and flow rate, respectively. The weight ratio of CD and GA was ranged from 10:0 to 0:10. The moisture content of the vinegar powder of 2.5 of CD and 7.5 of GA was lowest among the other mixing ratios. At this proportion, the titratable acidity and the content of acetic acid were highest as it had much included vinegar. The heat stability was not varied much with mixing ratio. However the stability of heat was maintained. In sensory evaluation, under these conditions the sourness was highest at 3.5, and the particle size was small enough to form capsulation. Further the water uptake of powder was comparatively low. The manufactured powder vinegar shape was observed by SEM. It showed smooth round particles and stable structure. Therefore, the optimal mixing ratio at 2.5 of CD and 7.5 of GA in wall material was selected.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 possibility of manufacturing vinegar powder by spray drying process at optimal mixing ratio of wall materials. Since the studies are encouraging, these results can be applied to the production of high quality powder product for encapsulation.

      • 한국계 미국 이민 학부모의 자녀교육지원 행동에 관한 미국학위논문 분석

        황성희 강원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education supporting behaviors of Korean American immigrant parents. For this study, eight dissertations and one thesis of American university published within 10 years lately focused on child education of Korean American immigrant family were analysed. The education supporting behaviors of Korean American immigrant parents were classified into four categories for the analysis and then the discussion on the analysis was presented. The four categories of the education supporting behaviors are psychological supporting, school-based parental involvement, home-based parental involvement, and supporting through community resources. The result of education supporting behaviors in each category is as follows: First, Korean American immigrant parents encourage their child to make his/her study harder by evaluating education value high, considering child's success as parents' success, and using motivational strategies for academic achievement. Second, they support their child by participating at school as a PTA member or personal contact with child's teacher. However, they have passive attitude to school participation. Third, they try to assist their child at home in many ways. The education supporting behaviors at home include constructing educational environment, learning instruction, controlling daily activity, giving opportunities for experience, and parenting. Fourth, they support their child by using of available community resources. Community resources include Korea-town's after-school programs and Korean American networks. These resources give much useful information to the parents as well as provide diverse educational programs for the child. The discussion on the education supporting behaviors of Korean American immigrant parents is as follows: First, Korean American immigrant parents have high educational enthusiasm as Korean parents do. They believe that education is the only way to overcome the racial discrimination of the American society as a minority and to make succeed in the society. As a result, they try to play a positive role for their child's education. While, there are noticeable facts in their education supporting behaviors. The one is that they have passive attitude in school involvement. It is related to the language barrier and cultural differences which they experience in American society. The other is that they depend on the resources of Korean American community society regarding their child education. Second, there are some differences between Korean Americans and other ethnic groups in terms of parenting style, studying habit, and academic attitude. These differences are result from cultural variety. Third, Korean American immigrants have some difficulties when they support their child's education in America. These difficulties include several negative effects such as family conflict, child's psychological stress of academic achievement, and parents' financial burden for education supporting. This study suggests that Korean American immigrant parents' education supporting behaviors are influenced by the educational value of Korean society and the experiences in American society. On the other hand, it presents that the negative effects of their education supporting behaviors are resulted from cultural differences between two generations or excessive educational enthusiasm of the parents. 한국계 미국 이민 학부모의 자녀교육지원 행동에 관한 미국학위논문 분석 본 연구는 미국 대학의 학위논문에 나타난 한국계 미국 이민 학부모의 자녀교육지원 행동을 분석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한 분석대상논문은 한국계 미국 이민자 가정의 자녀교육을 다룬 최근 10년간 발표된 미국대학의 박사학위논문 8편과 석사학위논문 1편이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계 미국 이민 학부모의 자녀교육지원 행동을 영역별로 분류하여 구체적인 행동을 제시하고, 분석결과를 중심으로 그들의 교육지원 행동에 관한 논의를 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한국계 미국 이민 학부모의 교육지원 행동을 심리적 지원, 학교참여 지원, 가정에서의 지원, 지역사회자원을 활용한 지원의 네 영역으로 분류하여 살펴보았다. 영역별로 나타나는 자녀교육지원 행동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계 미국 이민 학부모들은 교육에 높은 가치를 부여하고, 자녀의 성공을 부모 자신의 성공으로 간주하고, 학업성취를 높이기 위한 동기전략을 사용함으로써 심리적으로 자녀를 지원하고 있다. 둘째, 한국계 미국 이민 학부모들은 PTA위원으로 활동하거나 교사와의 개별 만남을 통해 학교에 참여하고 있다. 그러나 그들은 학교참여에 대하여 상당히 소극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다. 셋째, 한국계 미국 이민 학부모들은 가정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자녀를 지원한다. 가정에서의 부모들은 주로 교육환경 조성, 학습지도, 생활통제, 체험 기회 제공, 양육 및 훈육을 통해 자녀의 교육성취를 돕고자 한다. 넷째, 한국계 미국 이민 학부모들은 한인지역의 교육 프로그램이나 한인 네트워크와 같은 지역사회자원을 활용하여 자녀를 지원하고 있다. 이러한 지역사회자원은 자녀들에게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할 뿐 아니라 부모들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해 준다. 분석결과를 중심으로 한국계 미국 이민 학부모들의 자녀교육지원 행동에 관한 논의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계 미국 이민 학부모들은 한국의 학부모들처럼 교육열이 높고 자녀의 교육성취를 위하여 적극적으로 지원하고자 한다. 그들은 미국 사회에서 인종차별을 극복하고 사회적으로 성공할 수 있는 유일한 길은 교육뿐이라고 믿고 있기 때문에 자녀의 교육지원을 위하여 적극적인 역할을 하고자 한다. 한국계 미국 이민 학부모들의 자녀교육지원 행동에서 주목할 점이 있다. 하나는 그들이 학교참여에 대하여 소극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다는 점이다. 이는 미국 이민과정에서 경험하게 되는 언어장벽이나 문화의 차이와 무관하지 않다. 다른 하나는 그들이 자녀교육과 관련하고 지역사회자원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는 점이다. 한인지역의 교육자원이나 한인 네트워크 자원과 같은 지역사회자원은 그들에게 있어 사교육 제공 뿐 아니라 자녀교육에 대한 전반적인 영향을 미치는 기제로 작용하고 있다. 둘째, 한국계 미국 이민자들은 자녀교육과 관련하여 다른 문화집단과 부모의 양육이나 자녀의 학습습관 및 학업태도에 있어 차이를 보이고 있는데 이러한 차이는 주로 문화적 다양성에서 기인하고 있다. 셋째, 한국계 미국 이민 학부모들은 미국에서 자녀의 교육을 지원하는 과정에서 어려움을 경험하게 되는데 이러한 어려움은 주로 가족 간의 갈등, 학업성취에 대한 자녀들의 심리적 스트레스, 부모의 심리적 위축 및 재정적 부담 등의 부작용을 포함한다. 본 연구는 한국계 미국 이민 학부모들의 자녀교육지원 행동이 한국의 교육적 가치와 미국사회에서의 경험에 영향을 받고 있으며 그들의 교육지원 행동에 나타나는 부작용은 주로 세대 간 문화의 차이나 과도한 부모의 교육열에서 기인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