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원격 PC 인터페이스 제어에 관한 연구

        황성순 ( Sung-soon Hwang ),최성희 ( Sung-hee Choi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6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3 No.2

        가원격에서 조정할 수 있도록 해 주는 원격 PC조정리모콘 등의 제품들이 개발되고 있고 이를 편리성의 측면으로 이용한 제품들이 생겨나고 있다. 본 논문은 PC를 하드웨어 없이 원격에서 조작하기 위하여 앱에서의 간단한 조작으로 PC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즐겨찾기라는 독특한 기능을 추가하여 스마트폰에서 즐겨찾기 항목을 선택하여 PC에서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 KCI등재

        선택적 레이저 섬유주성형술 후 발생한 전방출혈 1예

        황성순(Sung Soon Hwang),한종철(Jong Chul Han),기창원(Chang Won Kee) 대한안과학회 2016 대한안과학회지 Vol.57 No.9

        목적: 거짓비늘녹내장 환자에서 선택적 레이저 섬유주성형술 후 발생한 전방출혈 1예를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요약: 79세 여자 환자가 우안의 안압상승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우안 거짓비늘녹내장으로 안압하강제를 점안하며 경과를 지켜보았으며, 2년 전 우안의 유리체황반견인 및 백내장으로 초음파수정체유화술 및 인공수정체 후방삽입술, 유리체절제술을 시행 받았다. 시술 전 골드만 압평 안압계를 이용한 검사상 우안 안압 32 mmHg, 좌안 안압 20 mmHg로 측정되었다. 우안의 안압 상승에 대한 치료로 선택적 레이저 섬유주성형술을 시행하였으며, 시술 중 합병증은 발생하지 않았다. 시술 2일 뒤, 갑자기 발생한 우안 시력저하 및 안통을 주소로 내원하였으며, 내원 당시 최대교정시력 우안 광각인지, 좌안 20/40으로 측정되었고, 안압은 골드만 압평 안압계를 이용한 검사에서 우안 34 mmHg, 좌안 15 mmHg로 측정되었다. 세극등 현미경검사상 우안에 1.1 mm 높이의 전방출혈이 관찰되었다. 출혈 발생 3주일 후 전방출혈은 모두 소실되었으나, 골드만안압계를 이용한 검사상 우안 안압 42 mmHg로 측정되어 우안 섬유주절제술을 시행하였다. 결론: 선택적 레이저 섬유주성형술은 개방각 녹내장에서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치료 방법이다. 하지만 드물게 전방출혈과 함께, 조절되지 않는 안압 상승을 동반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녹내장의 진행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점은 선택적 레이저 섬유주성형술 시행 후 임상적으로 유의해야 할 점으로 생각된다. Purpose: To report a case of hyphema after selective laser trabeculoplasty (SLT) in a patient with pseudoexfoliative glaucoma. Case summary: A 77-year-old female was referred for elevation of intraocular pressure (IOP). Previously, she had been diagnosed with pseudoexfoliative glaucoma in the right eye and was using topical IOP-lowering agents. The best corrected visual acuity was 20/100 in the right eye and 20/40 in the left eye. IOP, measured with Goldmann applanation tonometer, was 32 mm Hg in the right eye and 20 mm Hg in the left eye. Gonioscopy revealed open-angle glaucoma with +2 trabecular meshwork pigmentation but without peripheral anterior synechiae or neovascularization. SLT was performed in the right eye. Two days later, the patient had sudden onset of blurred vision and pain in the right eye. Visual acuity was limited to light perception, and IOP was 34 mm Hg in the right eye. Slit-lamp examination revealed 1.1 mm hyphema with 4+ red blood cell count in the anterior chamber. Three weeks after the SLT, hyphema in the right eye disappeared, but IOP was measured to be 42 mm Hg. The patient underwent trabeculectomy in the right eye. Conclusions: SLT is an effective means of lowering IOP with low risk of complications. However, hyphema can rarely occur after SLT and can affect the outcome of the treatment.

      • KCI등재

        굴절교정술 후 건성안의 유병률 및 술 후 건성안 발생의 위험인자

        손대용(Dae Yong Son),황성순(Sung soon Hwang),현 주(Joo Hyun),임동희(Dong Hui Lim),정의상(Eui Sang Chung),정태영(Tae Young Chung) 대한안과학회 2017 대한안과학회지 Vol.58 No.7

        목적: 굴절교정술 후에 발생하는 건성안의 유병률 및 위험인자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2010년 3월부터 2014년 2월까지 삼성서울병원 안과에서 굴절교정술을 시행받은 98명, 180안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눈물막 파괴시간(tear break-up time)이 5초 미만이거나 안구표면 염색 점수(Oxford stain score)가 2점 이상인 경우를 건성안이라 정의하고, 술 후 건성안의 유병률을 알아보았다. 술 후 건성안군과 술 후 정상안군 간의 차이를 보이는 술 전 인자(인구학적 요인, 술 전 이학적 검사, 수술요인)들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술 후 건성안 발생의 위험인자들을 분석하였다. 결과: 굴절교정술 후 건성안의 유병률은 62.2%였다. 술 후 정상안군에 비해 술 후 건성안군에서 유의하게 여성의 비율이 높았고 (p=0.016), 연령이 많았으며(p=0.001), 각막 두께가 얇았다(p=0.002). 굴절교정술 후 건성안 발생의 위험 인자에 대하여 분석하였을 때, 술 전 건성안(odds ratio [OR]=9.02, confidence interval [CI]=3.8-21.4)이 수술 후 건성안 발생의 가장 강력한 위험인자로 나타났고, 연령의 증가(OR=1.06, CI=1.01-1.11) 또한 독립적인 수술 후 건성안 발생의 위험인자로 나타났다. 결론: 연령이 증가할수록, 그리고 굴절교정술 전에 건성안이 있을수록, 술 후 건성안 발생의 위험도가 더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건성안을 동반한 고령의 환자에서 굴절교정술을 시행할 경우, 굴절교정술 후 건성안 발생에 대한 주의 깊은 관찰 및 평가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대한안과학회지 2017;58(7):782-787> Purpose: To assess the prevalence and the risk factors of dry eye disease after refractive surgery. Methods: A retrospective study was performed on 180 eyes of 98 patients based on medical records. Those who had tear break-up time less of than 5 seconds or had an Oxford stain scale equal to or greater than 2 were defined to have dry eye disease. We analyzed the prevalence of dry eye, compared demographic and clinical features of the dry eye group and normal group, and found risk factors of dry eye after refractive surgery. Results: The prevalence of postoperative dry eye was 62.2%. Compared to the normal eye group, the dry eye group had a significantly higher proportion of women (p = 0.016), older age (p = 0.001), and thin cornea (p = 0.002). The most significant risk factor of dry eye after refractive surgery was presence of dry eye before refractive surgery (odds ratio [OR] = 9.02, confidence interval [CI] = 3.8-21.4). Old age was also found to be an independent risk factor of dry eye after refractive surgery (OR = 1.06, CI = 1.01-1.11). Conclusions: The risk of dry eye after refractive surgery was increased in older age and preoperative dry eye disease. In order to prevent post-refractive surgery dry eye, caution should be exercised in middle aged patients with preoperative dry eye disease. J Korean Ophthalmol Soc 2017;58(7):782-787

      • KCI등재

        열경화성 수지의 온도에 따른 경화도와 비열(Cp) 변화

        신동우 ( Dong Woo Shin ),황성순 ( Seong Soon Hwang ),이호성 ( Ho Sung Lee ),김진원 ( Jin Won Kim ),최원종 ( Won Jong Choi ) 한국복합재료학회 2015 Composites research Vol.28 No.3

        본 논문에서는 복합재료 제조공정 중 온도에 따른 경화 반응을 이해하고 열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이 결과를 바탕으로 온도에 따른 수지의 경화도 및 비열의 변화를 수식화하였다. 온도에 따른 경화도와 비열은 DSC와 MDSC (Modulated DSC)를 활용하여 측정하였다. DSC와 MDSC 분석은 Isothermal과 Dynamic 조건으로 수행하여 Cure Kinetics, 유리전이온도 및 비열을 측정하고, 회기 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물성거동을 수학적으로 모델링하였다. This paper presents the cure kinetics studies on the cure reaction of thermosetting resin. Above all, change in degree of cure and specific heat capacity according to temperature are observed using DSC and MDSC. The results are analyzed by cure kinetics and specific heat capacity model.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was also measured to apply to the specific heat capacity model. Model parameters were gained from the modeling result. As a result, behavior of specific heat capacity can be calculated mathematical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