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김정은 시기 중국의 대북정책에 대한 북한의 대응 전략

        황상필 동아시아국제정치학회 2023 국제정치연구 Vol.26 No.2

        북・중 양국 간의 국력은 큰 차이를 보인다. 그러나 중국의 대북 영향력이 압도적임에도 불구하고 중국이 그 영향력을 적극적으로 행사하지 않거나, 중국의 영향력 행사가 북한에 일방적으로 관철되지는 못하고 있다. 심지어 북한이 중국과의 관계 변화를 주도하는 양상을 보이기도 한다. 본 연구는 이에 주목하여 북・중 비대칭 관계의 특성을 기반으로 중국의 대북정책에 대응한 북한의 전략을 분석함으로써 북한 요인이 북・중 관계 변화에 미치는 영향력과 그특징을 규명한다. 연구 결과, 북한의 대중 전략과 북・중 관계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북・중 간의 압도적인 국력 차이에도 중국의 실질적인 대북 영향력은 제한적이다. 둘째, 북한은 자국의 지정학적 이점과 그에 기인한 중국의 대북 딜레마를 잘 이해하고 있고, 이를 활용하여 중국과의 관계를 관리하며 중국의 대북 지원을 극대화하고자 한다. 셋째, 북한은 중국의대외정책에 영향을 미치는 국제 정세를 주도적・선제적으로 활용하면서 중국과의 관계에서 자율성을 확보할 방편을 마련하고자 한다.

      • KCI등재

        시진핑 시기 중·러 전략적 협력의 한계: 2022년 우크라이나 사태에 관한 중국의 대응을 중심으로

        황상필 한국아시아학회 2022 아시아연구 Vol.25 No.2

        China and Russia have strengthened cooperation in response to American hegemony. In particular, “America First,” which has recently become more pronounced, is a factor that strengthens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China and Russia. As structural factors, such as intensifying U.S.-China strategic competition and American pressure on Russia will be challenging to resolve for some time, the strategic cooperation between China and Russia, which is mediated by the American factor, will continue. However, there are intrinsic limitations in specific strategies for cooperation between the two countries, such as differences in strategy against the U.S., historically-formed mutual distrust, and the possibility of a confrontation between Xi Jinping's "Qiangjun Meng" and Putin's "Strong Russia." Given the circumstances, China's response to the 2022 Ukrainian crisis can be seen as a representative example of the latent limitations in strategic cooperation between China and Russia. Concerning the Ukraine Crisis, China displays two sides: It has formally strengthened its cooperation with Russia but, in practice, it has avoided the international community's theory of Chinese responsibility and has refrained from an all-around cooperation with Russia. Focusing on these points, this study examines the limitations inherent in the cooperation by analyzing China's response to the recent Ukraine Crisis, despite the incentive for cooperation to check American hegemony jointly. As a result, the Sino-Russian relationship seems to have limitations for reaching the level of alliance by further strengthening all-around cooperation. This can be seen in the following three factors: First, China, which has to protect its own interests from American pressure and checks, wants to avoid unnecessary misunderstandings and conflicts with the U.S. based on cooperation with Russia. Therefore, China may adjust the scope of cooperation with Russia according to the changes in relations with the U.S; second, as China wants to expand its influence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cooperation with Putin, who dreams of an assertive Russia, may become an obstacle. In particular, China and Russia envision different futures regarding their status and role within the changing international order; third, there is a possibility of restrictions on the economic win-win between China and Russia. While China's economic development strategy depends on its success or failure in continuous integration with the global economy and stable cooperation with the U.S. and Western markets, Russian factors may hinder it.

      • KCI등재

        시진핑 집권기 중국의 대북정책에 관한 역할이론적 검토

        황상필 동아시아국제정치학회 2022 국제정치연구 Vol.25 No.3

        시진핑 집권 이후 중국은 강대국으로서의 정체성을 분명히 하며 ‘중국 특색의 대국 외교’를견지해 나가고 있다. 중국이 추구하는 대국 외교에 있어 북한과의 관계를 어떻게 설정하는지는 중국의 외교적 성패와 직결되는 사안 중의 하나이다. 이는 한반도는 여전히 냉전의 잔재와탈냉전 이후의 변화가 혼재하는 지역으로, 동북아 정세에서 한반도가 내재하고 있는 의미가매우 크기 때문이다. 중국의 입장에서 북・중관계는 단순한 양자관계가 아니며 미・일・러 등과복합적으로 연계되어 있다. 한편, 중국의 대국 외교는 북한에 대한 압박과 협력의 유인을 동시에 유발하고 있다. 중국의 대북 압박은 북한에 대한 중국의 영향력 상실로 이어지고, 대북 협력은 중국의 대외적 이미지 손실과 미국의 대중국 압박의 빌미를 제공한다. 이러한 딜레마적 상황에서 시진핑 지도부는 주변 국제질서의 변화 추이와 국제사회의 반응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북한과의 관계를 동맹관계와 정상관계, 그리고 과거・현재・미래가 공존하는 이중적 형태로 전환하고, 이를양극단으로 하는 범위 내에서 압박과 협력의 균형을 전술적으로 조정하는 대북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2018년을 전후로 하는 중국의 대북 접근의 표면적인 변화는 북한에 대한 ‘전략의 변화’가 아닌 ‘전술의 조정’으로 볼 수 있다.

      • KCI등재

        2022년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북·러 협력 강화에 관한 중국의 딜레마

        황상필 한국아시아학회 2023 아시아연구 Vol.26 No.4

        The North Korea–Russia summit held in September 2023 drew global attention as the two nations, the former facing international condemnation for nuclear missile tests and the latter embroiled in the war in Ukraine, committed to comprehensive cooperation. Beyond economic ties, North Korea and Russia are deepening their military collaboration, actively shaping a new Cold War dynamic that positions South Korea, the United States, and Japan against North Korea, China, and Russia. If a trilateral alliance materializes with China’s active involvement, as sought by North Korea and Russia, the security landscape in Northeast Asia may further deteriorate. However, despite potential advantages, China remains apprehensive about the risks associated with active collaboration with North Korea and Russia. This study examines the dilemmas faced by China regarding the strengthening cooperation between North Korea and Russia following the beginning of the war in Ukraine in 2022. This paper argues that the formation of a distinct trilateral alliance of North Korea, China, and Russia is improbable, primarily due to China’s passive engagement. The reasons are as follows: First, the strengthening bonds between North Korea and Russia may intensify discussions with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regarding China’s responsibility. Should China opt for extensive cooperation with North Korea and Russia—a possibility that would greatly concer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mid Russia’s invasion of Ukraine and North Korea’s provocations—it would be highly likely to negatively impact global perceptions of China and impede the expansion of its influence. Second, the deepening of North Korea–Russia relations could strengthen the security cooperation of the United States, Japan, and South Korea, strengthening the US strategy of encircling China. As China seeks to expand its dominance in Northeast Asia, any association with North Korea and Russia, the disruptors of the international order, could lead to a new Cold War structure that would pit it against South Korea, the United States, and Japan. Third, the strengthening of North Korea–Russia relations would reduce both countries’ relative dependence on China, potentially weakening China’s influence in international negotiations on the resolution of the war in Ukraine and the issue of North Korea. In particular, if Russia’s influence over North Korea expands significantly, China may, depending on the circumstances, seek to hold it in check.

      • KCI등재

        시진핑 - 김정은 시기 북・중 전략적 협력의 유인과 한계: 대미 관계를 중심으로

        황상필(Sangpil Hwang) 동아시아국제정치학회 2021 국제정치연구 Vol.24 No.3

        현재 북・중 양국은 ‘조중 우호협력 및 상호원조조약’ 체결 60주년을 맞이하여 협력을 극대화하고 있다. 북・중 간 협력을 증대하는 주요 유인은 미국이다. 북・중 양국은 미국으로부터의 압박에 공동 대응하기 위한 전략적 협력의 필요성에 공감하고 있다. 그러나 양국은 구체적 대미 전략에 있어서는 차이를 보이는데, 이는 북・중 양국의 전략적 협력을 제한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 본 연구는 이러한 점에 주목하여 미국의 패권에 대한 공동견제라는 협력의 유인 속에서도 미국에 대한 구체적인 전략의 차이라는 북・중관계의 내재적 한계를 분석한다. 이를 위해 첫째, 북・중관계의 비대칭적 성격과 그 특징에 관하여 논의한다. 양국 관계의 비대칭적 성격에 기반한 분석은 북・중 협력과 한계를 설명하는데 유의미한 접근법이라 할 수 있다. 둘째, 2018년 급격히 이루어진 북한과 중국의 전략적 협력의 유인을 미・중 전략경쟁과 중국의 대북 영향력 확보, 북・미 협상과 북한의 대중국 편승이라는 미국 요인을 중심으로 분석한다. 셋째, 북・중 간 전략적 협력의 한계를 북핵에 대한 이해관계의 상충, 중국의 대북 지원 한계, 북・미관계 개선에 관한 북・중의 입장이라는 양국의 대미 전략의 차이에 중점을 두어 분석한다. 당분간 미・중 전략경쟁의 심화와 북・미 협상 교착이라는 구조적 요인이 해결되기 어렵다는 점에서 미국 요인을 매개로 하는 북・중 간의 전략적 밀착은 지속될 것이다. 그러나 향후 양국의 대미 전략의 괴리와 그 과정에서의 상호 불신 증대 양상에 따라 협력과 갈등의 각 유인의 편차는 그 폭을 달리할 것이다. Currently, North Korea and China are strengthening their cooperation to an unprecedented level as they mark the 60th anniversary of the signing of the Sino-North Korean Mutual Aid and Cooperation Friendship Treaty. The United States is the major motivation in building up the cooperation. Both countries share the need for strategic partnership to jointly respond to pressure from the U.S. However, the two countries differ in their specific strategies toward the U.S., which is likely to serve as a limiting factor in further stepping up the strategic relations. This study focuses on these aspects and examines the inherent limitations of the North Korea-China relations, which are the differences in the specifics of strategies toward the U.S., even amid the ample causes for working together to jointly keep American hegemony in check. To this end, it first discusses the asymmetric nature of the North Korea-China relations and their characteristics. An analysis based on the asymmetry of the bilateral relations can be a meaningful approach to explaining the limitations of the cooperation between North Korea and China. Second, it explores the motivating factors of the strategic cooperation between North Korea and China, which emerged abruptly in 2018, centering around the U.S. factors such as the strategic competition between the U.S. and China, China’s attempt to secure control over North Korea, North Korean-U.S. negotiations, and North Korea"s bid to bandwagon along with China. Third, it analyzes the limitations of the strategic collaboration between North Korea and China by focusing on the differences in the two countries’ strategies toward the U.S., such as the conflict of interest over North Korea’s nuclear program, limitations of China’s assistance to North Korea, and the differing stances of the two countries regarding the conditions for improving North Korea-U.S. relations. For the time being, however, the strategic intimacy between North Korea and China, mediated by factors of the U.S., will continue due to the intensifying conflict between the U.S. and China and the fact that structural factors such as the negotiation deadlock between North Korea and the U.S. are difficult to resolve. However, depending on the gap between the two countries’ strategies toward the U.S. and the pattern of increasing mutual distrust in this process, the deviation of each of the motivational factors of cooperation and conflict will vary in their range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