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三國遺事 ‘景德王 忠談師’ 條와 <讚耆婆郞歌>의 意味 再考

        황병익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9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7 No.4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rguments and interpretation of this paper, the translation of <Changiparangga, Ode to Giparang> is as follows. As the rough water becomes calm, the moon appears. Chasing and floating after the white clouds, (it shines) on the water dividing the sandbank! ❚The forest and the Sumonae[Ipcheon, 卄川] gravel field (are the places) where Giparang(耆婆郞)’s image is still vivid. There, we shall follow his will and ideals. ❚Ah! (uncorrupt) Judgment(判定), you are the branch of the towering nut pine that even snow fall can not damage, Here, the “forest” is a training space for the Hwarang(flower knights, an elite warrior group of male youth), and “Hwapan(花判)” is an abbreviation for “Ohwapansa(五花判事)” which means “making good judgement about beauty and ugliness(beauty and ugliness, good and bad, right and wrong)”. When I refine the 9~10 lines, they can be interpreted as follows. “Just as the branch of a towering nut pine is not damaged when snow falls, Giparang, you are a man of great virtue who made good judgement about right and wrong with integrity and unyielding principles.” The 1~4 lines express the admiration for Giparang in the scenery descriptions(敍景), and the 5~8 lines describe the memories and reverence in the forest and the gravel field. The 9~10 lines compare him to the branch of a nut pine to show clearly how noble the subject is. Chungdam was a ‘Buddhist monk belonging to the Hwarang organization’(郞僧), who was choosing beautiful boys(as Hwarang), training them in the principles of moral justice, finding the right ones in the group, and recommending the good talents to the royal court. "Monk Chungdam gave a direction, praising Giparang and making him as a model figure of the Hwarang who were worshiped as Maitreya. By doing that, he intended not only to strengthen the bonds within the Hwarang, but also to make the society politically stable by strengthening ties between the absolute authority of the king and the aristocrats. King Gyeongdeok already knew “how lofty Giparang’s ideal world is”(其意甚高), what this song represents. It means that the king and Monk Chungdam thought alike. 황병익, 2019, 삼국유사 ‘경덕왕 충담사’ 조와 <찬기파랑가>의 의미 재고, 183 : 203~241 본고의 논증과 해독 결과에 따라 1~4구는 敍景 표현에 숭상의 마음을 담았고, 5~8구는 수풀과 자갈 벌에서의 회상과 추종심리를 담았다. 9~10구는 잣가지에 견주어 숭고한 대상을 명료히 했다. “아름다운 사내를 (화랑으로) 뽑아, 도의를 연마하게 하고, 그 무리 중에 바르고 바르지 않는 이를 살핀 후, 착한 인재를 가리어 조정에 천거”하던 郞僧(화랑 소속의 승려) ‘충담사’가 기파랑을 찬양하여 당시 미륵으로 추앙하던 화랑의 본보기를 만들어 하나의 지향점을 제시함으로써 화랑집단의 결집을 강화시킴은 물론이고, 나아가 전제왕권과 귀족들의 유대 강화를 통하여 정치사회를 안정시키려는 목적을 가졌다. 경덕왕은 이 작품이 표현한 “기파랑이 지향하던 이상 세계가 높음(其意甚高)”을 익히 알고 있었기에, 왕과 충담의 마음이 이심전심으로 통했음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향가 대중화 현재화의 양상과 방향 탐색

        황병익 한국문학회 2023 韓國文學論叢 Vol.95 No.-

        I am skeptical whether hyangga, sometimes called the “Silla songs,” can ever be popularized for the general public to enjoy, but looking at the numerous hyangga albums being released and hyangga performances created by diverse art-related organizations, including the National Gugak Center, Gyeongju Chamber Orchestra, Munhwa Broadcasting Corporation, and Seoul Performing Arts Company, as well as local governments of Gyeongju, Samcheok, and Ulsan, it is evident that there have been constant efforts to popularize hyangga. One regrettable aspect is that there is no specific album or performance that remains in the mind. Heonhwaga by Old Man Gyeonwoo was introduced in the novel Eungyo, and the same title film portrayed it. However, considering the film a killer content of hyangga, the cumulative audience of 1.34 million is disappointing. Therefore, as a way of popularizing hyangga, I have emphasized the need to transform the cultural heritage of hyangga into a tourism resource, enable a simultaneous study of understanding and history of hyangga, and restore and reproduce hyangga singing for art tourism. Secondary education on hyangga should enhance realistic experiences through albums, videos, and other auxiliary materials. Hyangga- related characters and emojis can be good tools to enhance public awareness. Or, a hyangga museum can be established for the creative storytelling of hyangga. Although hyanggas were written in a completely different generation, what they intend to say, that is, well-being, religious aspirations, reverence, and remembrance are not so different from what we hope for today. Discussions should start with these kinds of commonalities. The future of hyangga should not be just about interpreting the songs in modern language and exhibiting them for educational purposes; it should serve as a way of recalling history and expanding literary imagination. Well-made works that properly represent original hyangga should be selected through a hyangga archive to introduce to the public. Under the leadership of the National Gugak Center and other gugak performers including Moon Suk-hee and Yoon So-hee, new forms of performances should be made with popular artists, such as Song Ga-in, Jo Su-mi, Yoon Se-yeon, and Choi Ye-rim, to draw the attention of the public. The future of hyangga should be more than replicating and passing on the traditions; it should encompass the interests of all generations to create cultural products that will lead hyangga to become a global content. 시가 중에서도 난이도가 높은 향가를 대중화, 현재화하여 대중들의 곁에 둘 수 있을까 의구심이 들지만, 이미 여러 장의 향가 음반이 나오고, 경주․삼척․울산 등 지자체, 국립국악원, 경주챔버오케스트라, MBC 등 방송사, 서울예술단 등에서 향가 연극, 오페라, 가무악극 공연을 만든 것을 보면, 향가 대중화를 위한 노력은 지속해 왔음을 알 수 있다. 다만 아쉬운 것은 향가 음반․공연콘텐츠로 대중의 뇌리에 남은 뚜렷한 작품이 적다는 것이다. 박범신의 소설 『은교』 중 ‘서지우의 일기 -<헌화가>’ 에 <헌화가>를 소개했고, 영화에서 그 구도를 잘 그려냈지만, 향가 기반 킬러콘텐츠로서 누적 관객 134만이라는 흥행성적은 아쉽다. 이에 본고는 향가 대중화 현재화 방안의 일환으로, 향가 문화유산을 관광 자원화하고, 향가에 대한 이해와 역사 공부를 병행할 수 있도록 하고, 예술관광을 위한 향가 가창 상황의 복원․재현을 강조했다. 중등 교육에서는 음반이나 동영상 등 다양한 보조 자료를 통해 현장감과 입체감을 다하고, 향가와 관련 서사의 캐릭터와 이모티콘을 활용해 대중적 이해도를 높이고, 향가문학관을 건립하고 다양한 향가 스토리텔링을 활성화할 것을 제안한다. 시대적으론 거리가 있지만, 향가가 담은 무탈 기원, 종교적 소망, 추앙과 연모의 정은 지금과 크게 다르지 않다. 논의의 출발은 이와 같은 공감대를 형성하는 것에서 시작되어야 한다. 학자들은 우선 100년간의 해독 성과를 집약하여 최선의 현대어 원전 텍스트를 확정하고, 교육이나 전시는 향가의 풀이에 머물지 말고, 향가를 통해 역사를 생생히 소환하고 문학적 상상력을 넓히는 계기를 만들어가야 한다. 향가 아카이브를 통해 기존 예술작품 가운데 원작의 취지를 잘 살려 완성도 높은 작품을 선정하여 대중에게 널리 알려야 한다. 국립국악원․문숙희․윤소희 등 국악인의 주도하에, 송가인․조수미․윤세연․최예림 등 알려진 예술인과 숨은 고수들의 새로운 공연 자료를 만들어 대중들의 흥미와 관심을 제고해야 한다. 향가의 전통을 살려 재현하는 일에 머물지 않고, MZ 세대의 성향까지 고려하여 여러 세대를 아우를 수 있는 흥미로운 문화상품을 만들어, 향가가 경주나 신라를 넘어 세계문화콘텐츠가 될 수 있도록 체계적인 계획을 마련하고 실천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고전시가 대중화 현재화의 양상과 방향 탐색

        황병익 한국고전연구학회 2023 한국고전연구 Vol.- No.63

        고전시가는 현재 매우 난이도 높은 문학 장르가 되었지만, 본디 음악과 문학을 겸한 예술로서 여러 계층의 사랑을 받아왔다. 국립국악원 생활국악 시조창・가곡창 음반이나 동영상, 킹레코드의 전통가곡・가사의 원류, 국악방송의 아이들 노래 향가와 고려가요, Synnara Music의 경기 12잡가, 서울예술단의 〈산화가〉, 정읍시립국악단의 〈상춘곡〉・〈정읍연가〉, 송골매 〈처용의 슬픔〉을 비롯한 여러 음반, 문숙희 〈청산별곡〉을 비롯한 음악 영상, 이윤택 〈도솔가〉를 비롯한 연극, 경주・부여・삼척・울산・포항에서의 각종 가무악과 공연은 고전시가 대중화・현재화의 가치 있는 유산이다. 다만 아쉬운 점은 체계적인 심의와 지원을 통해 뇌리에 남을 콘텐츠를 많이 만들지 못했다는 점이다. 영상의 효과를 더한 영화 〈님아, 그 강을 건너지 마오〉(500만 관객), 영화 〈쌍화점〉(관객 378만), SBS 대하드라마 〈서동요〉(2005〜2006, 시청률 21.4%)는 대중 콘텐츠로 각인되었다. 이에 본고는 고전시가 대중화・현재화 방안의 일환으로, 관련 문화유산 관광 코스의 적극적 개발, 역사와 문학을 총합한 콘텐츠의 개발, 공연예술의 원형 복원과 재현, 역사성・현장성・생동감을 되살린 중등 교육, 캐릭터・캘리그라피를 활용한 전시 홍보, 시가문학관 건립을 통한 아카이브 구축, 시가 원천 스토리텔링의 지속적인 발굴과 가공을 강조한다. 이를 위해 가장 먼저, 학자들이 중등 교과 과정 수록 시가(특히 고려가요, 향가)와 대중화 대상 작품에 대한 최선의 현대어 원전 텍스트를 확정한 후, 교육이나 설명은 작품 풀이에 머물지 않고 역사를 생생히 소환하고 문학적 상상력을 넓히는 계기를 만들어주어야 하며, 시대를 넘어 요즘의 희로애락과 견줄 수 있도록 쉽고 재미있게 전달해야 한다. 예컨대, 영재 스님이 60인의 도적을 깨우친 서사를 담은 〈우적가〉는 “내가 쓴 시 60명 도둑의 무리는커녕/단 한 사람의 마음도 움직인 바 없으니/컴퓨터 팔아버리고 산중 깊이 숨어야 하리”(이승하, 〈우적가〉)로, 〈청산별곡〉은 “살어리 살어리랏다 資本에 살어리랏다/머리랑 다리랑 먹고 자본에 살어리랏다/얄리얄리 얄랑셩 얄라리 얄라”(박남철의 시 〈자본에 살어리랏다〉)는 시가를 현대적 의미로 변주한 좋은 예이다. Classical poetry has become a highly challenging literary genre today, but originally, it was an art form that combined music and literature and received love from various classes of the society. Valuable efforts to popularize and update classical poetry include the following: recordings and videos of Sijochang & Gagokchang as daily Gugak by the National Gugak Center; King records’ Gagok and Gasa wonryu; Hyangga and Goryeogayo for children from Gugak FM Inc.; Synnara record’s Gyeonggi 12 Japga; various albums like Seoul Performing Arts Comapany’s “Sanwhaga”, Jeongeup Municipal Gugak Troupe’s “Sangchungok” and “Jeongeup Love Song”, and Songolmae’s “Cheoyong’s Sorrow”; music videos including Moon Sook-hee’s “Cheongsanbyeolgok”, theatrical performances like Lee Yun-taek’s “Dosolga”, and various dance and music performances in cities like Gyeongju, Buyeo, Samcheok, Ulsan, and Pohang. These are all significant contributions to the promotion and modernization of classical poetry. Unfortunately, since there was no systematic evaluation and support for the works, they were not very memorable to the public. However the film “My Love, Don’t Cross That River” (5 million viewers), the movie “Ssanghwajeom” (3.78 million viewers), and the SBS historical drama “Seodongyo” (from 2005 to 2006, viewer rating 21.4%), which used video effects effectively, were popular successes. The main points emphasized in this paper as part of the effort to popularize and modernize classical poetry are as follows: proactive development of related cultural heritage travel routes, the development of content that combines history and literature, the restoration and reenactment of original performances, enhancing historic, on-site, and dynamic experiences in secondary school curricula, exhibition promotion using characters and calligraphy, building archives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classical poetry museums, and the continuous discovery and adaptation of original storytelling in classical poetry. First and foremost, scholars should establish definitive source texts in modern- language for classical poetry (especially Goryeogayo and Hyangga) included in secondary school curricula and the works targeted for popularization. Subsequently, education and explanations should not merely dwell on simple interpretations of the works but should vividly evoke history and expand literary imagination. The goal should be to convey the works in an easy and engaging manner, enabling them to resonate with the joys and sorrows of today and stand the test of time. For example, 〈Woojeokga〉, which contains the narrative of monk Youngjae’s awakening of 60 thieves, says, “The poem I wrote, let alone the group of 60 thieves/Not even a single heart was touched/So I will have to sell my computer and hide deep in the mountains” (Lee Seung-ha, 〈Woojeokga〉), Likewise, “Cheongsanbyeolgok” is transformed into a modern interpretation as “Living, living for capital, living for capital / Eating heads and legs, living for capital / Yalri-yalri yalrang-syeong yal-lari yal-lara” (from Park Nam-chul’s poem “Living for capital”), offering good examples of how classical poetry can be adapted into contemporary meaning.

      • KCI등재
      • KCI등재

        『삼국유사』 武王 條와 <薯童謠>의 의미 고찰

        황병익 한국고전문학회 2020 古典文學硏究 Vol.57 No.-

        King Mu of Baekje was a person full of tact and capacity who protected Baekje from the great powers through balanced diplomacy with Sui, Tang, and Goguryeo, and established peace with rival Silla when Baekje became weaker than Silla by forming a matrimonial relationship. It is estimated that King Mu was born around 570 and Princess Seonhwa was born between 586 and 595. During his reign of 40 years, King Mu had three or four Queen Consorts(the mother of King Uija, Princess Seonhwa, a woman related to Gyogi(翹岐), and Lady Sataek). Chinlin(親隣) in <Daedang- PyeongBaekjeguk-Bimyeong大唐平百濟國碑銘> and Chinin(親姻) in <Churisan Hoemaeng就利山會盟)> mean “relatives by marriage,” refering that King Jinpyeong and King Mu formed the relation by marriage. Iksan is a key traffic and defence point and the people wished for an end to the war and prayed for peace. By building Mireuksa Temple including an wooden pagoda, and stone pagodas, King Mu sought to establish Iksan as a place for peace and hope where Maitreya Buddha will descend and to keep the region stable. The decoding of <Seodongyo> is as follows : Princess Seonhwa/ secretly became intimate/with Matdung Seobang(the man named Seodong)./Nestled in his arms, she sneaks to Seodong's shanty(幕) at night.)" 'shanty' is "a place temporarily built to protect against rain and wind." As the rumor was spreading that the unmarried princess hit on a random guy and the man is carrying her around in his arms like a bird is holding its egg, the reputation of the princess was so tarnished that the princess was expelled from the place. <Seodongyo> is a song of deception(詭策) containing the narratives carefully schemed and planned by Seodong in a form of a common <taunting song> or sexually <teasing song>. On the outside, the song was designed to ruin the reputation of Princess Seonhwa, claiming that she is an unchaste woman as she secretly engaged in intimate relations with a man and was being carried in his arms. However, on the inside, Seodong put his wish into the song that he wanted to make her to be his and not someone else's since he fell for Princess Seonhwa who was famous for her beauty. Everything was designed and planned by Seodong. Therefore, Seodong might had the intention that 'If the princess is banished from the palace, I will have her in my arms,' or 'If the princess is kicked out of the palace, she will eventually nestle herself in my arms.' 백제 武王은 수·당·고구려와의 균형 외교를 통해 강대국에게 피해를 입지 않고, 백제가 신라보다 힘이 열세인 순간에 신라와의 혼인을 통해 평화를 유지한, 才智와 덕행을 갖춘 인물이다. 추산 결과, 무왕은 570년경, 선화공주는 586~595년에 태어났고, 무왕은 40년이 넘는 재위기간동안에 의자왕의 어머니, 善花公主, 翹岐와 관련된 여인, 沙宅氏 등 3~4명의 왕비를 두었다. <대당평백제국비명>의 親隣과 <취리산회맹>의 親姻은 “혼인으로 맺어진 친척”을 말하는데, 이는 진평왕과 무왕이 맺은 인척관계를 언급한 것이다. 익산은 군사적·지리적 요충지로서, 백성들은 전쟁의 종식과 평화의 도래를 바랐을 것인데, 무왕은 익산에 미륵사와 목탑·석탑을 조성하여 익산을 미륵불이 하생할 미래·희망 공간으로 만들고 안정을 유지하고자 했다. <서동요>를 해독하면, “선화공주님은/ᄂᆞᆷ 그ᅀᅳᆨ 어러두고(어러노코)/맛둥 房ᄋᆞᆯ/바ᄆᆡ 알안겨가다.”가 되고, 이를 의역하면 “선화공주님은/(맛둥 서방과) 남몰래 정을 통해놓고,/맛둥의 집(막)을 향해/밤에 꼭 껴 안겨 간다.”가 된다. ‘幕’은 “겨우 비바람을 막을 정도로 임시로 지은 거처”이다. 시집도 안 간 공주가 임의로 제 짝을 정하고, 밤이 되면 새가 알을 품는 것처럼 알 안기어 다닌다고 꾸며댔으니 이는 선화공주를 궁에서 쫓겨나게 할 만큼 치명적인 사건이 되었다. <서동요>는 보편적으로 알려진 <남 놀리는 노래>나 남녀가 어울릴 때 부르는 <놀림말> 노래의 틀 속에 서동이 치밀하게 꾸미고 계획한 서사를 담은 詭策의 노래이다. 표면적으로는 선화공주가 남몰래 남자를 사귀어 안고 다니니 행실이 부정하다고 깎아내리지만, 내면적으로는 아름답기로 소문 난 선화를 좋아하여 ‘다른 사람이 아닌 내 사람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을 담고 있다. 모두 서동이 꾸미고 계획한 일이니, 서동은 ‘공주가 궁궐에서 쫓겨나면, 내가 안고가야지’, 또는 ‘공주가 궁궐에서 쫓겨나면 결국은 내게 안기게 되겠지’라는 속셈을 갖고 있었을 수도 있겠다.

      • 눈물 속의 웃음, 한국 해학의 전통

        황병익 부산외국어대학교 국어국문학과 2001 牛岩斯黎 Vol.11 No.-

        우리 민족은 카타르시스의 한 방편으로서 일찍부터 해학의 전통을 이어 왔다. 그것은 항상 눌린 자의 것이므로 풍자적 색채를 가질 때가 많았다. 그러나 그 눌림은 단순히 피지배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제도나 관습, 또는 인간의 행동과 표현 그 모든 것을 부자연스럽게 하 는 못마땅하고 모순을 가진 대상에 의한 억눌림과 절망을 의미한다. 그 못마땅한 대상에 의한 억눌림과 절망속에서 한국인이 찾아낸 것은 무서운 복수나 혹은 악의(惡意)가 아니라 바로 해학이다. 해학은 건전 한 자기 발산의 지혜이다. 신분적으로 폐쇄되어 민의(民意)가 상달되기 어려운 시대에, 불만이 나 반항정신을 극히 우회적으로 표출할 수 있는 길이 해학이었다. 그 렇다고 해학이 백성들의 전유물만은 아니다. 대상이 주는 장애나 못마 땅함이란 상·하층을 가리지 않고 찾아오기 때문이다. 하층민들이 해 학의 소재를 자주 상층의 인간들에게서 찾았다면, 상층은 세태에서 소 재를 찾을 때가 많았다. 또‘남녀의 성(性)’은 상하를 가리지 않고 보편 적 소재가 되었다. 결국 해학은 백성들에겐 표출을 통한 시원함을 줄 수 있어서 좋고, 지배층들은 여유를 가지고 세상사를 관조할 수 있어 서 좋다는 경제성을 가진다. 제아무리 커다란 삶의 질곡이나 고통이나 눈물도 웃음으로 녹이면 해학이 된다. 그러나 “고전 작품들에서 그렇게 풍부했던 해학이 신문학 이후, 특 히 리얼리즘의 사조 도입된 이후의 현대문학 작품에선 거의 행방불명 이 되고 말았다.” 는 주장은 일면 타당하다. 그것은 시대와도 연관되 겠지만 실상은 삶을, 그리고 세상을 바라보는 여유를 잃은 데에 그 원 인이 있다. 해학은 한 발 물러서서 대상을 바라보는 ‘여유’에서 샘솟는 웃음인데 현대인에겐 그것이 부족하다. 또, 해학은 모든 악을 감싸는 마음이기도 하다. 그런데 현대인의 지적(知的) 태도는 ‘감싸안음’보다 는 ‘따지고 들기’에 더욱 익숙하다. 이것이 눈물 속의 웃음인 해학의 빛을 바래게 하는 요인일 것이다.

      • KCI등재

        <청산별곡(靑山別曲)> 8연의 의미 재론

        황병익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10 민족문화논총 Vol.45 No.-

        ‘seoljin(屑塵)’, the most difficult expression in the eighth line is the one that translates Chinese character, ‘seoljin’ into Korean, which reveals the feature of following ‘gangsul’. ‘seoljin’ means dust, powder, or small fragments. As there was a record that compared the soil of ‘osa(五沙)’ to a grain of millet and a poem included “Someone gave me wheat, so I finely crushed like jade powder." We know that the thin and fine flour like pollen or flour was told ‘okjin’ or ‘seoljin’. ‘gang’ in ‘gangsul’ is prefix that means “not mixed with others, being made up with in itself, or having a little moist” and ‘gangsul’ is powdered liquor that is never or a little moist. It can be kept as powder or dough, carried easily and added into water. Omegisul, Yihwaju(梨花酒, Jinsagarusul) are the same kinds of liquor. Understanding the eighth line overall. It is “why show I go? Someone brew gangsul in belly, bulging jar and is drinking with the yeast lees of hamamelis virginian flowers. How can I resist it?Two topics in reality catching narrator’s eye and concern that is full of troubles and worry, lonely and sinks deep into his sadness and moves toward green mountain and sea, and giving comfort in a moment is ‘대 위에 奚琴’ in the seventh line and ‘seoljin gangsul' in the eighth line. The former tells “the despair and pain of life, the longing for ideal space” and the last two lines depict “relieving troubles through play and liquor.” As the narrator dreaming of green mountain and sea climbs a long pole and gets into the swing of the play with Haegeum(奚琴) and not resisting powdered gangsul in belly-bulging jar, his steps dreaming of utopia stays back in reality. <Cheongsanbyeolgok> is a work of art that depicts the both sides of human beings dreaming of utopia but staying in reality with a concrete and realistic language. It is the remainder of task to interpret the other difficult lines in <Cheongsanbyeolgok>, “잉무든 장글란 가지고 믈아래 가던새 본다” or “에졍지 가다가 드로라 사미 대예 올아셔∼” positively, make the meaning of each line clear and reveal mutual relation from the first line to the eighth line. Especially in the seventh line, it is often understood as cultural symbol or analyzed as including “desperateness that can't live without miracle" judging its impossibleness to climb a long pole and play the Haegum(奚琴). But as climbing a long pole is widely popular acrobatics from three states to Goryeo and Joseon by way of China and the countries bordering on Western China, revealing the relationship between ‘사미’ and ‘대’ through a minute study about this play will make the meaning of the seventh line clear. <청산별곡> 8연에서 난해한 구절의 하나인 ‘설진’은 한자말 ‘설진(屑塵)’을 우리말로 표기한 것으로, 뒤에 이어지는 강술의 특징을 드러낸 말이다. ‘설진’은 “티끌, 가루, 잔 부스러기” 등을 말하는데, 오사(五沙)라는 흙을 좁쌀(粟) 알갱이(屑塵)에 비유한 기록이 있고, 시 “누가 내게 밀을 주기에/옥가루처럼 곱게 빻았네(玉屑塵細)”에서도 쓰임을 볼 수 있으니 꽃가루나 밀가루처럼 가늘고 고운 가루를 ‘옥진(玉塵), 설진(屑塵)’이라 했음을 알 수 있다. ‘강술’에서 ‘강’은 “다른 것을 섞지 않은, 오직 그것만으로 된, 물기가 적은”이란 의미를 지닌 접두사이고, ‘강술’은 ‘강회・강된장・강조밥’처럼 “물기를 없애거나 적게 하여 가루나 반죽 상태로 보관하다가 손쉽게 휴대하여 물에 타서 마시는 가루 술”을 뜻하는데, 오메기술・이화주(진사가루술) 등이 비슷한 종류이다. 종합하여 8연을 풀면, “가다가 (우리는) 배 불룩한 독에 가루 강술을 빚었노라. 조롱 꽃 누룩 지게미/개미와 먹으니 내 어찌할 것인가!”가 된다. 시름・걱정이 많고, 외롭고 서러움에 사무쳐 청산과 바다를 지향하는 화자의 눈길과 관심을 끌어 순간에 위안을 주는 현실 속의 두 제재가 7연의 ‘대 위의 해금(奚琴)’과 8연의 ‘설진 강술’이다. 앞에서는 “삶의 절망과 괴로움, 이상적인 공간에 대한 갈구”를 말하고 마지막 두 연에서는 “놀이와 술을 들어 그 괴로움을 해소하는 모습”을 그리고 있다. 청산과 바다를 꿈꾸던 화자가 긴 장대에 올라 해금을 연주하는 연희에 눈길을 빼앗기고, 배부른 독에 가득한 가루 강술을 사양하지 못함으로써 유토피아를 꿈꾸던 화자의 발걸음은 다시 현실에 머문다. <청산별곡>은 이상을 꿈꾸면서도 현실에 머무르는 인간 삶의 양면, 인간의 보편적 정서를 구체적이고 실감나는 언어로 그려냈다. <청산별곡>의 또 다른 난해구절 “잉무든 장글란 가지고 믈아래 가던새 본다”나 “에졍지 가다가 드로라 사미 대예 올아셔~”를 좀 더 실증적으로 풀이하여 각 연의 의미를 좀 더 명확히 하고 1연~8연까지의 상호관계를 밝히는 일은 남은 과제이다. 특히 7연에서 긴 장대에 올라 해금을 켜는 일을 문화적 상징으로 이해하기도 하고, 그 일이 불가능하다는 판단 하에 “기적 없이는 살 수 없는 절박함”을 담고 있다고 분석하는 경우가 있는데, 장대타기는 서역으로부터 중국을 거쳐 삼국과 고려 조선에 이르기까지 두루 유행한 곡예이므로 이 연희에 대한 면밀한 고찰을 통해 ‘사미’와 ‘대’의 관계를 밝히면 7연의 의미가 보다 명료해질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삼국유사』 영재우적(永才遇賊) 조와 <우적가(遇賊歌)>의 의미 고찰

        황병익 한국시가문화학회 2019 한국시가문화연구 Vol.0 No.43

        <Ujeokga(遇賊歌, Song of encountering thieves)> is one of the most difficult Hyangga because it has missing letters and information about the writer and the background. This paper carefully examines the context of Ujeokga to identify the missing letters(缺字) and attempts to decipher them objectively and empirically according to the Buddhist theory. As a result, I supplement the missing letters as “I go far past the forest where the birds indwell(遠鳥逸林乙 過出知遣)” and “You will repeat the reincarnation in the next life(次弗生史 內於都 還於尸朗也)”. The last line is to teach the thieves to act right, saying, “If you build up good karma, you will have the blissful rebirth in the Pure Land.” Yeongjae called it Han(恨 ; deep-rooted emotions that can not be resolved) After all, it is like saying, “If you do not build up your good karma, you will not have the blissful rebirth in the Pure Land.” The following is a more detailed explanation. “I make up my mind firmly, I go far past the forest where the birds indwell, and search for a place to practice the path of enlightenment. Those who have broken the buddhist precepts will continue the painful reincarnation. It is hard to say good words to many bad karma built up with knives and spears. Alas! If there is one sorriness, ‘If (you) build up good karma, you will be able to reach the comfortable Pure Land.’ (Still, you build up such bad karma. I feel sorry.)”. In the lines 1-4 of <Ujeokga>, Yeongjae emphasized the necessity of practicing the path of enlightenment, illustrating himself as an example: he left the life of the mundane world harassed by Beonnoi(煩惱, all the mental functions obstruct the mind and pollute the mind and body) and set off for practicing the path of enlightenment despite his old age of 90. The lines 5-8 remind that as evil deeds that violate the precepts and threaten & kill with weapons will create the causality of Yukdoyunhoi(六道輪廻, the transmigration in the six realms of existence: hell, the worlds of hungry ghosts, animals, asuras, human, and heaven), the thieves will continue to suffer from birth, old age, sickness, and death in their next life. The lines of 9-10 suggest the direction of a new life, saying “Even if you have made bad deeds, it is all due to Tamjinchi(貪瞋痴, three poisonous elements: craving or greed, anger or hatred, and ignorance or illusion) of Musi(無始, beginningless beginning). From now on, if you repent and accumulate the store of virtue and merit, your sins will soon be washed away and you will be clean again”. In other words, Yeongjae showed a strong sense of responsibility and a warm humanity and tried to open a way of repentance so that the thieves could choose a new life in which they would stop their bad karma and cultivate their good karma, by awakening them to the Buddha nature and conveying the Buddhist doctrines. <우적가(遇賊歌>는 결자(缺字)가 있고, 작가와 배경에 대한 정보도 빈약하여 매우 난해한 향가 중 하나이다. 본고는 <우적가>의 앞뒤 문맥을 쪽밀히 살펴 빠진 글자를 가늠하고, 불교 이론에 따라 객관적이고 실증적인 해독을 시도했다. 그 결과, “멀리 새들 깃드는 숲을 지나쳐,”(遠鳥逸林乙 過出知遣)”, “차생(次生)에 윤회를 거듭 할 것이라.”(次弗生史 內於都 還於尸朗也)와 같이 결자를 보충하여 읽었다. 마지막 구절은, “선업을 쌓으쪽, 정토 왕생할 것이라” 하여 도적들에게 정행(正行)을 가르친 구절인데, 이를 한(恨 ; 마음에 맺혀 풀리지 않음)이라 했으니 결국 “선업을 쌓지 않으쪽, 정토 왕생하지 못할 것이라”와 같은 말이 된다. 좀 더 풀어 의역하쪽, “나는 맘을 굳게 먹고, 새들 깃드는 숲을 멀리 지나쳐, 수행 도량을 찾아 나선다. 계율을 어긴 그대들은 고통스런 윤회를 계속할 것이라. 창칼로 만드는 숱한 악업에 좋은 말을 하긴 어렵다. 아아! 한 가지 아쉬움이 있다쪽, ‘(그대들도) 선업을 쌓으쪽 편안한 정토에 이를 수 있음’이라.(그럼에도 너희들은 이와 같이 악업을 짓고 있으니 안타깝구나)”가 된다. <우적가> 1~4구는 90세라는 고령에도 번뇌에 얽매인 속세의 생활을 버리고 수행의 길을 떠나는 자신을 들어 수행의 필요성을 강조하였고, 5~8구는 계율을 어기고 무기로써 살생과 위협을 일삼는 악업이 육도윤회(六道輪廻)의 인과(因果)를 만들 테니, 도적들은 다음 삶에서도 지속적으로 생로병사의 고통을 받을 것이라 일깨웠다. 9~10구는 “그대들이 악업을 지었더라도, 이는 모두 무시(無始)의 탐진치(貪瞋痴)에 의한 것이니, 지금부터 회개(悔改)・적선(積善) 하쪽 앞으로 죄가 곧 소멸되어 다시 깨끗하게 될 것이라.”하여 새 삶의 방향성을 제시했다. 즉, 영재는 강한 책임감과 따뜻한 인간미를 발휘하여, 도적들에게 불성을 깨우치고, 불교교리를 전달함으로써, 그들이 악업을 멈추고 선업을 닦는 새 삶을 선택할 수 있도록 참회의 길을 열어주려 했던 것이다.

      • 판소리계 소설의 욕설, 그 모습과 기능 고찰

        황병익 부산외국어대학교 국어국문학과 1997 牛岩斯黎 Vol.8 No.-

        욕설은 남의 인격을 무시하거나 명예를 더럽히는 모욕적인 말이다. 이는 속어와 저속하다는 의미에서는 비슷하지만 상대를 깎아내리는 불경스러움이 개입된다는 점에서는 엄연히 구별된다. 일상적 언어로 서의 욕설은 구비전승의 언술로 분류되는 특수어로서 구비문학의 범주에 들어가지 않는다. 그러나 본고에서 다루고자 하는 욕설은 판 소리계 소설에서 등장인물의 의사를 표현하는 수단이므로 일상적 언 어로서의 욕설과는 달리 문학적 언술행위이다. 속어나 욕설 등이 문학의 전면에 드러나는 것은 판소리(계 소설) 이전에는 쉽게 볼 수 없었던 현상이다. 그런데 판소리(계 소설)에는 한문투의 고상한 문체와 비어·속어, 심지어 욕설 등의 저속한 문체 가 이원적으로 나타난다. 이 두 이원적인 문체 가운데 전자는 이전의 양반층 문학이 지니던 전통의 지속이므로 새삼스러울 것이 없지만 욕설 등의 문체는 당시의 문화문맥과 연관되어 나타난 전통의 변혁 이므로 매우 관심이 가는 요소이다. 물론 판소리가 활발하게 제시되 던 연행문학이고, 판소리계 소설은 그 특성을 그대로 이어받은 갈래 임을 고려한다면 이 변혁을 가능하게 한 것은 판소리의 적층적인 연 행기반과 연관된 것이라는 짐작이 가능하다. 그러나 이에 대한 구체 적 검증은 필수적인 것이고, 기존 문체로부터의 변혁으로 인정되는 욕설의 양상과 의미·기능을 살피는 것 또한 판소리 또는 그 계통의 소설이 가지는 미학을 이해하는데 긴요한 요소인 것이다. 그러나 기존연구에서는 욕설자체를 자제해야 할 특수어로 취급하 는 권위적 의식 때문인지 어학과 문학 양 측면의 연구가 모두 매우 빈약하다. 단지 욕설은 판소리의 중요한 문체 가운데 하나로 풍자와 해학을 이끌어 내는 미학적 기능을 한다는 정도의 논의에서 머물고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사실에 주목하여 본고는 Ⅱ장에서 욕설의 현 시를 가능하게 한 연행기반을 살피고, Ⅲ·Ⅵ장에서는 욕설이 나타나 는 모습을 살펴볼 것이다. 마지막으로 V장에서는 욕설이 판소리계 소설의 서사 진행에 관여하는 정도와 각각의 기능을 살펴 결론을 대 신하게 될 것이다. 이와 같은 의도와 방향이 마련되면 욕설을 어떠한 기준에 의해 분 류할 것인가 하는 문제가 다음 해결과제로 떠오르는데, 본고에서는 욕설의 분류 기준을 1차적으로 공격성의 유무와 공격의 성격에 둔다. 그 다음으로 생기는 문제는 공격성이 있느냐 없느냐를 어떻게 변별 하느냐 하는 문제이다. 이에 대해서는 ‘공격’이 가지는 일반적 함의를 따른다. 즉,1) (대립· 갈등의)상대자에게 2)저항을 최소화시키면서 3)승리하려는 의도를 가지는 것 등을 욕설을 분류하는 기준으로 삼 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