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韓中間 對外機密 유지를 위한 諺簡 실용의 한 사례 - 1796년 冬至副使 李亨元이 義州府尹 沈晉賢에게 부친 諺簡 -

        황문환(Hwang, Mun-hwan) 한국학중앙연구원 2019 장서각 Vol.0 No.42

        이 글에서는 1796년 冬至副使 李亨元이 義州府尹 沈晉賢에게 보낸 諺簡을 소개하고 그 의의를 여러 측면에서 검토, 음미하였다. 이 언간은 장서각에 소장된 『太上皇傳位文蹟』(K2-3521)에 실려 전하는 것으로 비록 謄本이기는 하나 언간의 授受 사실과 주요 내용이 조선왕조실록과 『日省錄』에도 등장하여 자료적 가치가 높은 것이다. 이 글에서는 언간의 원문을 판독하여 소개하는 한편 내용을 주변 자료와 비교 분석함으로써 이 언간이 지니는 의의를 다음과 같이 파악하였다. 첫째, 이 언간은 사대부 남성 간에 오간 편지라는 점에서 조선시대 언간의 실용 범위상 예외적 사례에 해당한다. 조선시대에는 언간의 발신자나 수신자 어느 한쪽으로 반드시 여성이 관여하는 특징이 있지만 이 언간은 그러한 특징에서 벗어나 있다. 둘째, 사대부 남성 간에 한문 간찰 대신 언간이 사용된 것은 韓中 관계에서 대외기밀을 유지하는 데 諺文이 유용했기 때문으로 드러난다. 언간 내용에 따르면 편지가 도중에 없어질 것을 염려하여 굳이 언문으로 썼으며 언문으로 된 편지를 받는 즉시 내용을 한문으로 번역하여 조정에 전달할 것을 당부하고 있다. 셋째, 이 언간은 실제로 조정에 보고되는 과정에서 한문으로 ‘翻謄’되었고, 그 번등된 존재를 『日省錄』에서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번역하여 베낌”을 의미하는 ‘翻謄’은 한문을 언문으로 번역하는 ‘眞 → 諺’ 翻謄의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이 언간은 그와 반대 방향의 번등이 이루어진 것을 보여 준다. 이밖에도 이 언간에는 편지를 언문으로 작성하여 朝廷에 보고하기까지 일체의 轉達 過程이 상세하게 드러나 있다. 언간을 의주 장사치 개인 편지로 위장하여 전달하고 이를 받아 다시 漢文으로 翻謄하여 조정에 보고하는 과정이 특히 주목된다. 이 글을 통해 외교 관계상 대외 기밀을 유지할 목적으로 ‘諺簡’ 내지 ‘諺文’이 실용된 사실은 거의 실물 차원에서 實證되었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는 諺文이 실용된 범위를 새롭게 인식하는 동시에 諺文과 漢文 사이의 翻謄 관계에 대해서도 다시금 돌아보는 계기를 제공할 것이다. This article introduces a vernacular letter (諺簡) written by the vice-envoy of the winter solstice embassy (冬至副使), Lee Hyeong-won (李亨元) to the Deputy Mayor of Uiju (義州副尹), Sim Jin-hyeon (沈晉賢) in 1796. Furthermore,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e letter in several ways. This letter is in the book, or Taesanghwang jeonwi munjeok (『太上皇傳位文蹟』), which is held in Jangseogak (藏書閣) of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Although it is a copy of the original letter. the historical facts surrounding it are also listed in the Annals of Joseon Dynasty (朝鮮王朝實錄) and the Records of Daily Reflection (『日省錄』), which are of high material value. In this article, we read and introduce the vernacular letter, and compare its content with the surrounding historical data to find out the significance of the letter as follows. First, this is an exceptional case during the Joseon Dynasty in that it is a letter between high-ranking male officials. In the Joseon Dynasty, there was a characteristic that woman must be involved as either the sender or receiver of the vernacular letter. Second, the vernacular letter was used instead of Chinese letter because it was useful in keeping diplomatic secrecy between Joseon and Qing China. According to the content of the letter, the sender wrote a letter in vernacular script (諺文), fearing that the letter would disappear in the middle, and urged the receiver to translate the letter into Chinese script as soon as receiving it. Third, this letter was translated into Chinese script (漢文) in the process of reporting to the court, and its existence can be confirmed in the Records of Daily Reflection in detail. Although it is common to translate Chinese into Korean, this letter has an unique characteristics by translating in the opposite direction. In addition, the letter reveals all the details until it was written and reported to the court. In this process, it is especially noteworthy that the sender entrusted his vernacular letter to the merchant, disguising it as his personal letter, or the recipient translated it back into Chinese script and reported it to the court. It is no exaggeration to say that the use of vernacular letter or vernacular script for the purpose of keeping diplomatic secrecy through this article is almost attested. This will provide a chance to reexamine the interrelation between vernacular script and Chinese script while recognizing the new range of use in relation to vernacular script.

      • KCI등재

        조선시대 언간 자료의 종합화와 활용 방안

        황문환(Mun Hwan Hwang) 한국어학회 2013 한국어학 Vol.59 No.-

        This paper aims to integrate the materials of Korean old vernacular letters which have been archived up to date, and to introduce a plan of the practical use of them. As a scheme of ``integration``, firstly, a publication of the archived files of decipherment materials and construction of data base under the project that the present writer are carrying out will be exampled. Secondly, according to this ``integration``, a scheme that the materials of Korean old vernacular letters can be put to practical application in Korean linguistics will be examined: compilation of dictionary, research of Korean language history,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history, and web service. Construction of data base and web service among them will be especially introduced as a remarkable scheme which can fundamentally improve not only the access to the materials of Korean old vernacular letters but also the utilization of them.

      • KCI등재

        [특집1: 서파 유희와 사주당 이씨의 학문세계] 류희(柳僖)의 『재물보(才物譜)』 비판을 통해 본 『물명고(物名考)』의 차별성 -1807년 류희(柳僖)가 리만영(李晩永)에게 보낸 편지를 중심으로

        황문환 ( Hwang Mun-hwan ) 한국실학학회 2016 한국실학연구 Vol.0 No.32

        柳僖는 李晩永의 `證閱` 요청을 받고 편지를 보내 『재물보』 원고에 대하여 조목조목 비판을 가하였다. 편지에 나타난 직접적 표현을 빌면 그 비판은 대체로 `駁雜`과 `牽强`의 문제점에 초점을 맞추면서 `分目`과 `書法`의 보완을 거론하는 내용이었다. 본고에서는 편지에 언급된 사례를 중심으로 현존하는 『재물보』와 『물명고』의 수록 내용을 대비하고 이를 통해 유희의 비판 내용을 구체적으로 점검하였다. 그 결과 『물명고』는 『재물보』를 바탕으로 하면서도 편지의 비판 내용이 구체적으로 반영된 결과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국 편지를 통한 『재물보』 비판은 향후 『물명고』가 지닐 상대적 차별성을 유희 자신이 미리 요약적으로 제시한 것으로 보아 지나치지 않았다. 한편 본고의 논의 과정에서는 현존하는 『재물보』에 대하여 엄밀한 서지상 비교 작업이 시급한 점도 드러났다. 기존에 언급되지 못한 여러 이본 간 차이가 발견되고 그 차이는 `편지`의 비판 내용을 고려할 때 유희의 `證閱` 시점과 관련한 先後의 차이로 해석될 수 있는 미묘한 것이었다. 『재물보』나 『물명고』 모두 현재 轉寫本으로만 전해지는 만큼 현존 이본의 비교 작업이 보다 정밀하게 이루어질 필요성을 새삼 확인할 수 있었다. Having received an inquiry for a `revision(證閱)` from Lee Man-yeong, Ryu Hee sent him a letter with a detailed critique on the manuscript of Jemulbo. According to the exact expressions from the letter, Ryu Hee`s critique was primarily focused on `complexity(駁雜)` and `far-fletched interpretation(牽 强)` also arguing for improvement in `classification(分目)` and `letter shape(書 法)`. In this paper by comparing the contents of (currently existing) Jemulbo and Mulmyeonggo with respect to the details given in the letter I carefully examined the content of Ryu Hee`s critique. As a result it is concluded that whilst being based on Jemulbo, Mulmyeonggo specifically reflects the critique form the letter as well. Therefore the critique of Jemulbo can be seen as what would later constitute the distinctiveness of Mulmyeonggo that Ryu Hee himself summarized beforehand.

      • 대마도 종가문고 한글 서간류의 문법 형태

        황문환 ( Mun Hwan Hwang ) 국민대학교 어문학연구소 2016 語文學論叢 Vol.35 No.-

        This study investigates the grammatical forms appearing in the Korean Old Vernacular Letters of the Archives of So Clan in Tsusima Island. Focusing on the frequently appearing forms, this study closely examines and elucidates the particularities found in these documents from a historical linguistic point of view. If we compare these documents to others composed at a similar time, we see that while they include mixed use of Chinese and Korean orthographic styles, they nonetheless should be judged as faithfully reflecting the actual language of that time as much as the documents are written using primarily in Korean orthography. For example, while the subjective case particle ``ga`` appears in this text, the conservative forms which frequently appear in the vernacular Korean translations of Chinese texts of that time (for example the subjective case particle ``y,`` the connective ending ``-od^y``) are almost entirely not observed. Notably, if we compare the documents with the books that were used for learning Japanese language, especially the Ineo Daebang ``Great Guide to a Neighboring Language,`` we can see commonalities for example the subjective case particle ``ga`` and ``gyeosyeo,`` the second person addressive expression ``gong 公,`` etc., but on the other hand, when compared to other vernacular letters of the time, several clear differences emerge; for example the dative case particle ``ge,`` the honorific subjective case particle ``gyeosyeo,`` the connective ending ``-eudoe,`` and the first person referential expression, ``bok 僕``. In the following, I will take up the task of where these particularities arise from.

      • KCI등재

        근대국어 ‘하압’ 체의 형성 과정과 대우 성격

        황문환(Hwang Mun-hwan) 국어학회 2010 국어학 Vol.0 No.58

        모든 종결형이 ‘-삽/잡/압’으로 일관하는 ‘하압’체는 18세기 이후 부부간 언간을 중심으로 나타난다. 특히 [남편→아내]의 언간에서는 ‘하소’체(16~17세기)>‘하압소’체(17~18세기)>‘하압’체(18~19세기)로 옮아간 양상이 드러나 ‘하압’체가 확립되면서 기존의 ‘하압소’체를 대체해 간 변화를 살필 수 있다. 이러한 ‘하압’체는 17세기부터 ‘하(압)쇼셔’체 언간에 간헐적으로 등장하기 시작하던 ‘하압’류 종결형이 단계적으로 그 분포를 확산시킨 결과로 추정된다. ‘하압’류는 ‘하(압)쇼셔’체 종결형의 생략형으로 출발하였지만 분포의 확대와 함께 점차 독자적인 대우 성격을 확보하여 ‘하압’체로 정착하고, 특히 [남편→아내]의 언간에서 ‘하압’체는 기존의 ‘하압소’체와 ‘하(압)쇼셔’체 사이의 새로운 중간 등급으로 정착하였다 할 수 있다. 이러한 ‘하압’체의 대우 성격은 ‘하압’류 종결형의 형태적 성격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18세기 이후 ‘하압’체가 확립될 즈음 ‘하압’류 종결형은 ‘하(압)쇼셔’체와 ‘하압소’체 어느 쪽의 생략형으로 해석될 수도 있는, 곧 형태상 이중적 해석이 가능한 모호한 존재가 되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형태적 모호성이야말로 기존의 ‘하압소’체와 ‘하(압)쇼셔’체 사이의 중간적 대우를 시현하는 데 극히 적합한 형태 원리로 작용하였을 것이다. The ‘h??p(하압)’ style which ends with ‘-s?p/??p/?p(삽/잡/압)’ in a sentence-final position can be mainly found in the vernacular letters between spouses after the 18th century. Especially in the letters of [Husband→Wife], the ‘h?so(하소)’ style(16~17C) turned into the ‘h??pso(하압소)’ style(17~18C) and then into the ‘h??p(하압)’ style(18~19C). This historical change means that the ‘h??p(하압)’ style substituted for the previous ‘h??pso(하압소)’ style with its establishment as a new style. The sentence-final endings of the ‘h??p(하압)’ style have begun to appear intermittently in the letters of the ‘h??psyosy?(하압쇼셔)’ style since the 17th century. It is probable that these endings originated from elliptical forms of the sentence - final endings of the ‘h??psyosy?(하압쇼셔)’ style; however, they got their own honorific characteristic through a gradual extension of their distribution, and finally the ‘h??p(하압)’ style was established as a new intermediate level. Particularly, the ‘h??p(하압)’ style in the letters of [Husband→Wife] was settled down as a new intermediate level between the previous ‘h??pso(하압소)’ style and the ‘h??psyosy?(하압쇼셔)’ style. This honorific characteristic of the ‘h??p(하압)’ style seems to be related to morphological characteristic of the sentence-final endings of the ‘h??p(하압)’ style. At the time of an establishment of the ‘h??p(하압)’ style after 18 century, the sentence-final endings of the ‘h??p(하압)’ style could be analyzed as elliptical forms of both the ‘h??psyosy?(하압쇼셔)’ style and the ‘h??pso(하압소)’ style. This kind of morphological vagueness could be an adequate morphological base to make a new intermediate honorification between the previous ‘h??pso(하압소)’ style and the ‘h??psyosy?(하압쇼셔)’ style.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