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江原大學校 春川캠퍼스와 周邊部의 空間構造 變化에 關한 硏究

        황동근 강원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growth and change of campus along the times brought not only extension of buildings and facilities but also changes in campus spatial configuration, and such changes significantly affected the adjacent district as well as the campus itself.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Kangwon National University campus located in the urban center of the city of Chuncheon, the campus is surrounded the urban areas in the course of area urbanization, being prevented from connection to adjacent district and urbanization, however as the adjacent district spaces that had remained isolated due to the internal street network by the formation of front gate and rear gate of the campus were connected among one another since the 1980s, the campus shaped into diverse spatial configuration centered around the boundary area where campus and adjacent district meet. The changes in the street network and designated purpose facilities nearby in tune with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Kangwon National University campus are analyzed and estimated to have significantly affected the changes and urbanization of the spatial configuration near the campus. This study analyzed the change of spatial configuration by classifying the spatial configuration of Kangwon National University and adjacent district into campus, adjacent district, and the entire area of campus and adjacent district depending on the period through the development and growth of Kangwon National University campus from the 1970s to the 2010s by using space syntax after grasping the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the campus and adjacent district in order to predict the space structural change and future look of Kangwon National University Chuncheon campus and adjacent district. This study was intended to recognize the relationship of the campus and adjacent district by analyzing and predicting the changing course of campus and adjacent district based on such analysis results and contribute to the general development of reasonable efficient campus and adjacent district as basic data for adjacent district planning by the development of the campus and city plan based on long term master plan. Such changes of spatial configuration by the eras and spaces can be summed up as follows: 1) In the 1970s when school infrastructures began to be established, the majority of the campus facilities were deployed centered around the area between Yeonjeokji and Mirae square that densely accommodated the top 5 spaces of global integration, forming the center of the spaces, and central facilities were located in the area between Narae building and college of agriculture that demonstrate high local integration, indicating high recognition and space using density. As for the global integration of adjacent district, top 5 spaces are distributed centered around Hyoja 2 dong, whereas local integration is high centered around Daeseong ro, and that is because city street system is in the form of tree type street network formed naturally instead of lattice type street network formed by city plan. Hence, such street network coincides with the distribution of buildings, and that is analyzed to be as a result of easy access to each building. 2) In the 1980s when the most facilities were built since establishment of the university, the campus facilities were deployed in the form of surrounding the university center composed of Mirae square, Yeonjeokji and grand sports arena centered around the north-south axis that connects front gate and rear gate that offer highest degree of accessibility, recognition and space utilization rate, and they are formed along the central street by the campus spaces driven by the increase in the recognition of front gate by front gate new installation and extension of the university. In the case of the adjacent district of the campus, the number of areas decreased due to arrangement of land and organization of street network by city plan, and top 10% of street spaces are densely integrated around Hyoja dong. Space recognition and space using density may be deemed as the transition of important degree between Hyoja dong and Chukhyeop junction along the formation of Kangwon University street and lattice type road network, and it is judged that residential facilities and commercial facilities were formed centered around the campus entrance in this accord. 3) In the 1990s when the university size kept spreading, the campus saw change of building deployment from existing south-north axis to east-west axis by newly shaped building group and street network along with formation of campus center space centered around Yeonjeokji 3-junction, and experienced street recognition and space using density being divided by east-west axis that links continuing education center, environment research center and forestry college in addition to existing south-north axis that links front gate, Yeonjeokji and Mirae square. In the case of the campus adjacent district street space by urbanization, space syntax analysis value increased as spatial configuration changed from west tree type formed naturally in the past to lattice type of north, east and south by city plan, and that leads to the analysis that from that period on, balanced development in earnest in the campus and adjacent district began due to the increase in the association with adjacent district, accessibility, space recognition, pedestrian accessibility and space using pattern. 4) In the 2000s when new development was sought for as local stronghold university, the campus is anticipated to increase in transportation axes from 1 axis to 3 axes through change of campus transportation system by the new installation of east gate, and the importance of inside central space, street recognition degree and space using density are expected to move further toward east-west axis. Such phenomenon is analyzed to be because new street space system centered around east-west axis was formed through new installation of east gate by short-mid term master plan. In the case of campus adjacent district, majority of the space are in the finishing stage through the stage of urbanization, and the importance of Chukhyeop 4 junction and rear gate space that are centered around Kangwon University road and Daeseong ro was shown high due to the change of street space by the formation of Daeseong ro and adjacent district arterial road. In the case of local integration, the space recognition and space using density are shown to be moving from Hyoja dong to the entire adjacent district, and such phenomenon is analyzed to be due to the nuclei multiplication by the grouping of spatial configuration from urbanization of space recognition. 5) As for the campus in the 2010s according to long term master plan, it is anticipated that inside circular arterial road will be formed through the change of spatial configuration by new installation of south gate, and along this circular arterial road, the center of street space will move toward east-west axis. Formation of inside circular arterial road is anticipated to bring decrease of global integration and spatial configuration clarity and increase in local integration, which will give rise to decrease in the entire space association, using pattern, recognition and traffic flow and increase in local space using density and pedestrian traffic. Such change, which indicates change of space from major facility centered existing single space to multi-nuclei space through grouping by the spaces, is judged to require future plan on facility shortage and inside association by the spaces. In the case of campus adjacent district, the urbanization of campus adjacent district in the 2000s is in the finishing stage, so no particular change of spatial configuration is anticipated, and change of street system by the importance of Gongji ro from new installation of Seoul-Chuncheon high way and south gate is expected. In the case of future campus adjacent district spatial configuration, the district is anticipated to stretch up to Hyoja ro and Huseok ro centered around rear gate and Chukhyeop 4 junction street, which will contribute to the increase in the importance of rear gate space later on, and the nuclei multiplication of spatial configuration is expect to continue. This study may be deemed particular in that it performed integrated examination of the change of spatial configuration of Kangwon National University Chuncheon campus and adjacent district by the flow of eras by separating into campus and adjacent district. Such study results will be used effectively in researches on the establishment of plan for general development of areas including campus and adjacent district at a time point later on when the exchange and communication of local community grow important, and sustainable researches and efforts must be done to establish reasonable development plan and find correlation of campus and adjacent district through various analyses and researches on the spatial configuration of the campus and adjacent district to be planned about later on. 시대의 흐름에 따른 캠퍼스의 성장과 변화는 건물 및 시설의 확충뿐 아니라, 캠퍼스 공간구조의 변화를 가져왔으며, 이러한 변화는 캠퍼스뿐만이 아니라 캠퍼스와 인접한 주변부에도 상당한 영향력을 미쳐왔다. 특히, 춘천시 도심부에 위치한 강원대학교 캠퍼스의 경우, 도시화 과정에 있는 주변부에 의해 둘러싸여 있어 주변부의 연결 및 도시화에 저해가 되어왔으나, 1980년대 이후 캠퍼스의 정문과 후문의 형성에 따른 내부가로망의 형성으로 단절되어있던 주변부 공간이 연결되어짐에 따라 캠퍼스와 주변부가 만나는 경계부를 중심으로 다양한 공간구조가 형성되어왔다. 이러한 강원대학교 캠퍼스의 성장과 발달에 따른 주변부의 가로망 및 용도시설의 변화는 캠퍼스 주변부의 공간구조 변화와 도시화 과정에 상당한 영향을 가져온 것으로 분석, 예측된다. 본 연구에서는 강원대학교 춘천캠퍼스와 주변부의 공간구조변화와 미래의 모습을 알아보기 위하여 캠퍼스 및 주변부의 현황 및 특성을 파악한 후, 공간구문론을 이용하여 1970년대부터 2010년대까지 강원대학교 캠퍼스의 발전과 성장에 따라 시기별로 캠퍼스, 주변부, 캠퍼스와 주변부 전체로 구분하여 공간구조 변화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캠퍼스 및 주변부의 변화 과정을 분석⋅예측함으로써 캠퍼스와 주변부와의 관계를 인식하고 장기마스터플랜에 따른 캠퍼스의 개발 및 도시계획에 따른 주변부계획의 기초적 자료로서,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캠퍼스 및 주변부 종합개발에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이러한 시대⋅공간별 공간구조의 변화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학교 기반시설을 갖추기 시작한 1970년대 캠퍼스 대부분의 시설들은 전체통합도 상위 5개 공간이 밀집된 연적지↔미래광장을 중심으로 배치되어 공간의 중심을 형성하였으며, 국부통합도가 높은 나래관↔농과대학에 중심시설이 위치하여 높은 인지도와 공간사용밀도를 나타낸다. 효자동의 분동으로 주변부 전체통합도의 경우 상위 5개 공간이 효자2동을 중심으로 분포하며, 국부통합도의 경우 대성로를 중심으로 높은데 이것은 도시의 가로체계가 도시계획에 의해 형성되어진 격자형의 가로체계가 아닌 자연발생에 의해 형성된 트리형의 가로체계를 띄고 있기 때문이며, 이러한 가로망은 건물의 분포와 일치하는데 이는 각 건물로의 접근이 용이하게 형성되어진 결과로 분석된다. 2) 개교 이래 가장 많은 시설들이 건설된 1980년대 캠퍼스 시설들은 접근성, 인지도, 공간이용패턴이 가장 높은 정문과 후문을 이어주는 남북축을 중심으로 미래광장-연적지-대운동장으로 구성되는 대학 중심부를 감싸고 있는 배치 형태를 취하며, 정문신설에 따른 정문가로의 인지도 증가와 대학확장에 따른 캠퍼스 공간별 중심가로가 형성되어졌다. 캠퍼스 주변부의 경우, 도시계획에 의한 토지정리 및 가로망 정비로 인하여 공간의 수가 감소하였으며, 효자동을 중심으로 상위 10%의 가로공간이 밀집되어있다. 공간의 인지도와 공간사용밀도는 강원대학로 형성과 격자형 도로망의 형성에 따라 효자동↔축협사거리로 중요도가 이동하는 현상을 볼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캠퍼스 출입구 중심으로 주거시설과 상업시설이 형성되어진 것으로 판단된다. 3) 대학규모의 확장이 계속되어진 1990년대 캠퍼스는 새로 형성된 동쪽의 건물군과 가로망에 의해 기존의 남북축에서 동서축으로의 건물 배치의 변화와 연적지 삼거리 중심의 캠퍼스 중심 공간이 형성되었으며, 가로의 인지도 및 공간 사용밀도가 정문↔연적지↔미래광장을 잇는 남⋅북축과 평생교육원↔환경연구소↔산림대를 잇는 동⋅서축으로 나뉘는 특성이 보인다. 도시화에 따른 캠퍼스 주변부 가로공간의 경우 과거 자연발생적으로 형성된 서쪽의 트리형에서 도시계획에 의한 북쪽과 동⋅남쪽의 격자형의 공간구조 변화로 공간구문론 분석 수치가 증가하였는데 이는 주변과의 연계성, 접근성, 공간인지도, 보행자 접근성 및 공간이용패턴이 증가한 것으로 이시기부터 캠퍼스 및 주변지역에 본격적인 균형발전이 이루어진 것으로 분석된다. 4) 지역거점대학으로써 새로운 발전을 모색하는 2000년대 캠퍼스는 동문신설에 따른 캠퍼스 교통체계의 변화로 교통축이 증가(1개→3개)할 것이며, 내부 중심공간의 중요도 및 가로의 인지도, 공간사용밀도가 동서축으로 더욱 이동할 것으로 예측된다. 이러한 현상은 단⋅중기 마스터플랜에 따른 동문신설로 동서축 중심의 새로운 가로 공간 체계가 형성되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캠퍼스 주변부의 경우, 대부분의 공간이 도시화 단계를 거쳐 개발이 마무리 단계에 있으며, 대성로 및 주변 순환로 형성에 따른 가로공간변화로 강원대학로와 대성로를 중심으로 하는 축협사거리와 후문 공간의 중요도가 높게 나타났다. 국부통합도의 경우 효자동에서 주변부 전체로 공간의 인지도 및 공간 사용밀도가 이동하는 것을 볼 수 있으며, 이러한 현상은 주변부 공간의 도시화에 따른 공간구조의 그룹핑에 의한 다핵화 현상이 그 원인으로 분석된다. 5) 장기 마스터플랜상의 2010년대 캠퍼스의 경우 캠퍼스 남문 신설에 따른 공간구조 변화로 내부 환상 순환로가 형성되어지며, 이 환상 순환로를 따라 가로공간의 중심이 동서축을 중심으로 이동할 것으로 예측된다. 내부 환상 순환로의 형성은 전체통합도⋅공간구조명료도의 감소와 국부통합도의 증가를 가져와 전체적인 공간의 연계, 이용패턴, 인지도, 통행량의 감소와 국부적인 공간사용밀도, 보행향의 증가를 가져올 것으로 예측된다. 이러한 변화는 내부공간구조가 기존 주요시설 중심의 단일화 공간에서 공간별 그룹핑을 통한 다핵화 공간으로 변화됨을 의미하는 것으로, 공간별 부족시설과 내부연계에 관한 앞으로의 계획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캠퍼스 주변부의 경우, 2000년대 캠퍼스 주변부의 도시화가 마무리 단계였기 때문에 특별한 공간구조의 변화는 없을 것으로 보이며, 서울-춘천고속도로와 남문신설에 따른 공지로의 중요성에 따른 가로체계의 변화가 예상되어진다. 미래 캠퍼스 주변부의 공간구조의 경우 후문과 축협사거리 가로를 중심으로 효자로와 후석로까지 이어질 것으로 보여 앞으로 후문공간의 중요성은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어지며, 공간구조의 다핵화 현상은 계속 진행되어지는 것으로 예측된다. 본 연구는 시대 흐름에 따른 강원대학교 춘천캠퍼스와 주변부의 공간구조 변화에 관하여 캠퍼스 및 주변부를 분리, 통합하여 연구한 점에서 차별성이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지역사회의 교류와 소통이 중요시 되는 시점에서 향후 캠퍼스와 주변부를 포함한 종합발전계획 수립에 관한 연구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이며, 추후 계획되어질 캠퍼스와 주변부의 공간구조에 대한 다양한 분석과 연구를 통한 합리적인 계발계획 수립 및 캠퍼스와 주변과의 관계성을 찾기 위한 꾸준한 연구와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 Identification of 1H-pyrazolo{3,4-b} pyridine derivatives as anaplastic lymphoma kinase (ALK) inhibitors

        황동근 고려대학교 KU-KIST융합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15

        ALK는 NSCLC의 표적 치료의 전망 있는 분자 표적으로 인식되고 있다. 가장 먼저 FDA에서 crizotinib이 승인되어 NSCLC 환자들에게 사용되었으나 투여한 환자들에서 L1196M (ALK gate keeper돌연변이)와 같은 2차 내성 돌연변이가 발견되었다. 우리는 L1196M 변이로 인해 발생한 crizotinib 내성돌연변이를 제압하기 위해 pyrazolopyridine을 골격으로 하는 화합물들을 합성하였다. 합성한 신규 유도체들의 head group을 기준으로 크게 아마이드, 이중결합 그룹으로 양분해서 SAR분석을 진행하였고 그 중 아마이드 linker를 가지는 화합물에서 24g를 확인하였다. 24g 화합물은 ALK-wt과 ALK-L1196M에서 아주 뛰어난 효소 활성을 보여주었고 (< 0.5 nM of IC50) 이러한 활성은 기존 ALK저해제인 crizotinib의 활성 수치인 980 nM보다 월등한 수치로 주목할 만한 결과였다. 화합물 24g는 또한 ALK 외에도 ROS1에서도 뛰어난 활성을 보였고 (< 0.5 nM of IC50) c-Met효소에서도 매우 선택적인 화합물인 것을 보여주었다. EML4-ALK를 가진 ALK-L1196M-Ba / F3 및 H2228 세포의 사멸 및 ALK 신호 차단에 의한 증식을 강력히 억제했다. 그리고 분자 docking 연구를 통하여 화합물 24g가 crizotinib과는 대조적으로 ALK-L1196M 효소 domain에서 M1196와 수소결합을 할뿐만 아니라 K1150 및 E1210, 아미노산 2 개와 추가적인 수소 결합을 하고 있음을 밝혔다. 이 SAR 연구는 crizotinib 내성을 극복하는 것을 목표로, ALK gate keeper 돌연변이에 대한 새롭고 강력한 저해제를 설계하기위한 유용한 통찰력을 제공 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