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최인호 소설의 종교성 탐구

        황경훈(Hwang, Kyung Hoon) 광주가톨릭대학교 신학연구소 2016 神學展望 Vol.- No.192

        최인호는 가톨릭 신자이자 널리 알려진 소설가로 1970년대부터 대중들의 많은 사랑을 받아왔다. 그의 작품 시기를 일별해 보면, 『별들의 고향』의 상업적 성공으로 ‘대중 작가’의 명성을 얻은 1970년대와 이른바 ‘본격소설’을 쏟아낸 1980년대 그리고 역사와 종교의 세계에 깊이 빠져들어 많은 작품을 써냈던 1990년대 후반부터 작고할 때까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본고에서는 한국 불교의 뛰어난 선사인 경허를 주인공으로 하는 『길 없는 길』과 공자에서 퇴계 이황에 이르는 유교의 역사를 다룬 장편『유림』을 살펴보고자 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말해, 본고는 이 두 소설이 이룬 ‘문학적 성취’에 초점을 두기보다는 작가의 매우 개방적이고도 다원적인 종교성이 어떻게 그의 작품 안에서 드러나고 있는지를 ‘다른 한 독법’을 통해 보여주고자 한다. 그렇다고 해서 이 두 종교소설을 다시 읽는다 함이 그에 대한 찬사와 비판의 어중간한 지점에서 어떤 타협점을 제시하기 위한 의도와는 거리가 멀다. 그동안 평론가들의 관심을 받지 못한 음지의 영역에 있던 그의 종교소설을 광장으로 끌어내어 입체적으로 다시 보기 위한 하나의 시도라고 말하는 편이 더 적절하다. 이를 위해서는 작가 스스로 생각하는 문학관과 종교관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바탕으로 그것이 어떻게 작품 속에서 드러나고 있는지를 부분적으로나마 살펴보고자 한다. 다시 말해 본고에서는 『길 없는 길』과 『유림』을 중심으로 작가의 정신, 곧 이상세계를 향한 그의 치열한 ‘구도자적 초월의지’가 어떻게 소설 속에 드러나고 있는지를 탐구하고자 한다. 그것은 스스로를 ‘불교적 가톨릭인’이라고 부르는 데서 보이듯 타자에게 완전히 개방된 작가의 불이적 또는 토착적 종교성을 그의 삶과 작품에서 보여주는 한편, 그것이 결국 종교간 대화와 협력을 위한 매우 풍요로운 종교적 전통과 전망을 열어나간 것임을 두 종교소설을 통해 탐사해나간 여정이라고 할 수 있다. Choi In-ho, a well-known Catholic novelist, had long been loved by readers since the 1970s. His works could be classified in the following way: in the 1970s, Home of Stars was one of his most famous novels, and other novels with the same characteristics were very successful. These books led to him being known as a “dime author.” However, since his novel A Windmill in My Heart, he produced in the 1980s other so-called “serious novels” which displayed a sensitivity to understanding modern urban life. The author started to dig into the areas of history and religions from the late 1990s to 2013, the year that he died. This paper explores his later novels, including the religious ones. More concretely, this paper looks at A Road Without Road, a story of Kyung-heo, one of greatest Seon(Zen) masters in Korea, and The Confucians, which deals with various stories of Confucianism from Confucius himself to Toegye Lee Hwang, one of the distinguished Korean scholars on Confucianism. This paper also suggests “another way” of reading Choi’s religious novels by showing the author’s very open and pluralistic outlook of the world and religions rather than focusing only on his literary achievement. Two facts are evident. His later religious novels did not get much attention from literary critics unlike those written in during the 1970s and 1980s. Also, his works got different and even contradictory evaluations. Rereading these novels, however, has nothing to do with offering a “middle place” where the two extreme positions for him, that is, praise or criticism, can be found. Rather, it is proper to say that it has to do with looking at Choi’s works in three dimensions. Therefore, this paper will look closely at how the author’s view on literature and religions are reflected in his works on the basis of a proper understanding of his views. Also, this paper examines Choi’s spirit or, in other words, his ceaseless “desire to transcend” toward the ideal world. Furthermore, this paper will show the author’s non-dual and inculturated religiosity when he describes himself as a “Buddhist Catholic.” Through these two novels there are more plentiful visions of diverse religious traditions for continuing interreligious dialogue and promoting harmony.

      • KCI등재

        텍스트 기반 의료영상 검색의 최근 발전

        황경훈,이해준,고건,김석균,선용한,최덕주,Hwang, Kyung Hoon,Lee, Haejun,Koh, Geon,Kim, Seog Gyun,Sun, Yong Han,Choi, Duckjoo 대한의용생체공학회 2015 의공학회지 Vol.36 No.3

        An effective image retrieval system is required as the amount of medical imaging data is increasing recently. Authors reviewed the recent development of text-based medical image retrieval including the use of controlled vocabularies - RadLex (Radiology Lexicon), FMA (Foundational Model of Anatomy), etc - natural language processing, semantic ontology, and image annotation and markup.

      • KCI등재

        저선량 핵의학 감마카메라 영상장치의 최근 발전

        황경훈,이병일,김용권,이해준,선용한,Hwang, Kyung Hoon,Lee, Byeong-il,Kim, Yongkwon,Lee, Haejun,Sun, Yong Han 대한의용생체공학회 2015 의공학회지 Vol.36 No.4

        Recently, new gamma camera systems enabling low radiation dose imaging have been developed. We reviewed the recent development of these low dose gamma camera systems including high sensitivity detectors, device structures, noise reduction filters, efficient image reconstruction algorithms, low dose protocols, and so on. It is expected that further technological advances reduce both radiation dose and imaging time in gamma camera imaging especially for radiation-sensitive patients such as pediatric patients.

      • KCI등재

        소아 및 종양 핵의학 영상판독에서 RDF/OWL 데이터의 유용성

        황경훈,이해준,고건,최덕주,선용한,Hwang, Kyung Hoon,Lee, Haejun,Koh, Geon,Choi, Duckjoo,Sun, Yong Han 대한의용생체공학회 2015 의공학회지 Vol.36 No.4

        Recently, the structured data format in RDF/OWL has played an increasingly vital role in the semantic web. We converted pediatric and oncologic nuclear medicine imaging reports in free text into RDF/OWL format and evaluated the usefulness of nuclear medicine imaging reports in RDF/OWL by comparing SPARQL query results with the manually retrieved results by physicians from the reports in free text. SPARQL query showed 95% recall for simple queries and 91% recall for dedicated queries. In total, SPARQL query retrieved 93% (51 lesions of 55) recall and 100% precision for 20 clinical query items. All query results missed by SPARQL query were of some inference. Nuclear medicine imaging reports in the format of RDF/OWL were very useful for retrieving simple and dedicated query results using SPARQL query. Further study using more number of cases and knowledge for inference is warranted.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 KCI등재

        사회교리의 ‘인간발전’관에 비추어 본 이태석 신부의 선교사례

        황경훈(Hwang, Kyung Hoon) 광주가톨릭대학교 신학연구소 2013 神學展望 Vol.- No.182

        얼마 전 내전으로 얼룩진 남수단에서 선교사로 활동하다가 일찍 세상을 등진 이태석 신부의 삶은 TV와 영화로 만들어질 만큼 큰 울림과 감동을 주었다. 본고는 그 감동의 원인을 분석하려는 의도보다는, ‘인간발전’에 관한 사회교리의 빛으로 그의 선교관이 갖는 의미를 조망하고자 했다. 본고는 이태석 신부의 선교활동이 자선과 현지의 필요(needs)를 넘어 피선교지 사람들의 참여(participation)를 도와 그들 스스로 주체가 되도록 하는(partnership) 통합적인 선교였다고 주장한다. 이는『민족들의 발전』에서 진정한 인간발전이란 부자들의 식탁에서 떨어지는 빵으로 배를 채우는 상태의 지속이 아니라, 부자들과 동등하게 그 자리에 함께 하는 ‘평등한 참여’에서 시작된다는 것을 증거한다. 나아가 회칙『사회적 관심』, 『진리 안의 사랑』에서 보이듯 인간발전은 경제적 측면뿐 아니라 도덕적, 영적 발전이 반드시 포함돼야 한다고 강조하는 것으로 확장한다. 이로 볼 때 이태석 신부의 선교활동은 통합적 또는 전체적 인간발전을 강조하는 사회교리를 구체적으로 실현하였으며, 따라서 바람직한 선교의 한 모델로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본고는 먼저 인간발전을 본격적으로 다루고 있는 바오로 6세, 요한바오로 2세, 베네딕토 16세의 세 회칙의 핵심 내용을 비교적 자세히 살펴보았고, 이어 이태석 신부의 선교관을 그의 사회의식의 맥락에서 다루었다. 굳이 ‘통합적 발전중심’ 선교라는 이름을 붙인 것은 선교가 개종을 위한 공격적이고 일방적인 방식이 되어서는 안되며, 단순한 시혜적인 형태에서 한걸음 나아가 개인을 아우르는 공동체 중심의 전체적인 인간발전을 지향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기 위함이다. Recently, the late Fr. Lee Tae-Suk’s evangelizing mission activities were so moving that it was made into a documentary film and shown on not only television but in theaters in Korea as well. This paper does not aim to analyse the reason why this moved people. Rather, it purports to seek the significance of Fr. Lee’s perspective and attitude toward “human development” in the light of Catholic Social Teachings(CSTs). It argues that his mission activities are an “integral” one going beyond simple charity and meeting the needs of people in South Sudan by helping them to participate in the mission on their own in order to become its subject. In other words, what genuine human develop means is stressed in the encyclical Populorum Progressio - and that is not the maintenance of the situation in which the beggar Lazarus is fed by crumbles of bread from the table of the rich but it witnesses to his “equal presence” at the meal. And as seen in Sollicitudo Rei Socialis and Caritas in Veritate, human development should include moral and spiritual development thus expanding the dimension of human development. Therefore, this paper argues that Fr. Lee had realized the CST’s teaching focuses more on “integral” or “holistic” human development in a concrete situation so much so that it proposes Fr. Lee’s mission work as a model to be pursued. Thus this paper deals first looks closely at the encyclicals of Popes Paul Ⅵ, John Paul Ⅱ and Benedict ⅩⅥ, all of which place the issue of human development at the center of service, looking at this from various angles. Following this is Fr. Lee’s view on mission in relation to his thoughts on social issues. The reason this is named “Integral Development-based Mission” lies in the emphasis made by this paper which is to show that evangelizing mission activities should not be “aggressive” or remain simple charity. Rather, it should go one step further by focusing on “community-based building” for whole human development including that of each individual.

      • KCI등재

        소공동체 운동, 교회의 울타리를 넘어

        황경훈(Hwang, Kyung Hoon),이미영(Lee, Mi Young) 광주가톨릭대학교 신학연구소 2014 神學展望 Vol.- No.186

        지난 20여 년간 한국 천주교회는 ‘소공동체’ 또는 ‘소공동체 운동’을 범교회적 차원에서 벌여왔다. 1990년대로 접어들면서 한국 사회의 물질적 풍요의 직?간접적인 영향으로 교회가 중산층화, 대형화되어감에 따라 ‘친교의 공동체’라는 제2차 바티칸 공의회의 교회상을 회복하려는 노력의 하나로 소공동체가 도입되었던 것이다. ‘위로부터의 도입’이라는 태생적인 속성을 지니고 출발했지만, 소공동체는 전국 본당으로 확대되었고 조직적으로 20여년 동안 지속되어 왔으며 아직도 진행 중이다. 본고는 소공동체 운동에 대한 종합적 평가와는 거리가 멀다. 다만 2013년 한국 천주교회가 소동공체 운동을 시작한 지 20주년을 보내면서 이에 대한 중간 평가 성격의 조직적 성찰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것을 직시하면서 이와 관련해 두 가지 문제를 제기하고자 한다. 첫째는 한국 천주교회의 소공동체 운동에 대한 근본적이고 본격적인 비판이 제기된 지 수년이 지났음에도 이에 대한 대응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아 소공동체 운동을 이끌고 가야할 이론 곧 생산적 담론이 형성되지 못하고 있다는 데에 대한 지적이다. 둘째로 본고는 최근 소공동체 운동 비판에 대한 일정한 응답이 있는 것을 환영하면서도 그 논의를 교회 안으로만 한계 지우고 있다고 보고 이를 공공적 영역으로 더 확장할 가능성을 제시하면서 본격적인 심층 연구를 제안하고 있다. 그러한 심층적 연구의 시론적 성격을 갖는 본고는 먼저 한국 천주교회의 소공동체 운동을 한국 시민사회의 공동체 운동의 흐름에 비추어 봄으로써, 소공동체 운동의 사회적 맥락과의 연동성과 교회 내적 동학을 살핀 뒤, 교회 울타리를 넘어 사회로 확장하는 데에 기여할 수 있는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최근에 들어서 이루어진 논쟁을 비교적 자세히 소개함으로써 소공동체 담론 형성의 계기를 도모하고자 했다. 이러한 담론화에 대한 공헌을 한편으로, 본고는 좀 더 구체적인 실현 가능성을 모색하기 위해, 국내외 사례를 살펴보았다. 아시아 사례의 경우, 지역사회와 긴밀히 연결된 필리핀 인판타 교구의 소공동체 운동 사례를 소개하고, 국내 사례로는 종교 기반의 공동체 운동으로 확장 가능한 시민사회 공동체 운동의 몇 가지 사례를 살펴보았다. 이런 사례들을 검토함으로써, 소공동체 운동을 통한 한국 천주교회의 공공성 확대 가능성을 연구하고 모색하는 데에 기여하기를 기대한다. The Korean Catholic Church has been building and trying to energize the Small Christian Communities (SCCs) on the national level of the local church for the past 20 years. It is an attempt to recover the “communion of communities” as an ecclesiology of the Second Vatican Council, responding to the phenomena in which the Church has increasingly become richer and larger since early 1990s. While introduced “from above” originally, the SCCs in Korea have spread to nearly all parishes in the country and have still functioned in a systematic way during the past two decades. This paper does not aim to deal with a comprehensive evaluation on the SCCs. Rather it raises two crucial questions, noting while the local Church has celebrated the 20th anniversary of its SCCs’ inauguration last year, it did not go through an interim evaluation on them. First, despite a serious and fundamental criticism of the SCCs has once been made from a local theologian several years ago, a right and appropriate response has not been accomplished, which has led to a failure of creating a productive theory for its development. Secondly, the study also purports to suggest a possibility of spreading the SCCs to a “public sphere” going beyond the Church, knowing many of the discussions and meetings on them have been limited to within the Church. In order to do that, it also suggests deep and diverse studies on the SCCs in the local Church. It examines a possibility of the SCCs that goes beyond the boundary of the Church to the society by comparing them to various community movements from civil society after carefully looking at a relationship between the types of civil community movements and the inner dynamics of the Church. For this, the paper intends to offer a motive to facilitate a development of theories of the SCCs by introducing a recent debate about them in a relatively detailed manner. On the one hand, it is meant to contribute to promoting such theories, and on the other hand the paper examines the reality of Korea and other countries in order to seek a possible and concrete realization for them. In the case of Asia, it introduces SCCs of the Infanta diocese in the Philippines which has had a strong connection to the civil society there. As for those of Korea, it introduces and looks into a couple of cases of community movements from civil society which could give inspiration and insight to the SCCs. By examining the cases, the paper hopes it can contribute to promoting and encouraging further study on the SCCs to expand its role in the public sphere and in going beyond the wall of the Church.

      • KCI등재

        UN의 ‘새천년개발목표’(MDGs) 및 Post-MDGs에 대한 종교계의 응답 : ‘통합적 인간발전’에 대한 가톨릭의 사회윤리적 접근을 중심으로

        황경훈(Kyung-Hoon Hwang) 한국가톨릭신학학회 2017 가톨릭신학 Vol.0 No.30

        본고는 UN의 ‘새천년개발목표’(MDGs)와 그에 이은 SDGs에 대한 종교 계의 이론적 응답으로 ‘통합적’ 인간발전에 대한 종교계의 담론을 촉진하고 확장하는 데에 기여할 목표로 쓰였다. 이를 위해 우선 UN의 MDGs의 성과와 한계를 지적하면서, 그 발전적 논의가 Post-MDGs로 이어지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여기서 MDGs 이후의 발전방향에 대한 가톨릭의 사회윤리적 접근, 특히 가톨릭의 사회적 가르침이 시사점을 줄 수 있다고 보고 생태 및 영적 차원을 고려해 MDGs 및 Post-MDGs 논의와의 대화를 꾀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MDGs와 Post-MDGs의 논의과정이 어떻게 ‘지 속가능한발전목표’(SDGs)로 수렴되는지를 살핀 뒤, 이를 가톨릭의 사회적 가르침 또는 사회교리의 인간발전관에 비추어 탐색하였다. 그 결과 드러난 인권, 불평등, 젠더 등의 문제는 현 경제체제를 유지한 채 해소하기 어려 우므로 새로운 경제체제 창출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이와 더불어 이러한 인류의 중차대한 과제뿐 아니라 그것을 만들어나가는 과정에서 개인적, 집단적으로 영적이고 도덕적인 차원의 발전도 동시에 병행되어야 온전한 의미의 ‘통합적 인간발전’이 가능하다고 판단하였다. 이를 위해 본고는 가톨릭 사회적 가르침 가운데 ‘인간발전’을 집중적으로 다루고 있는 교황 문헌, 특히 프란치스코 교황의 복음의 기쁨 과 찬미받으소서 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시민사회의 일부로서 가톨릭이 ‘인간발전’에 대한 생산적이고 고유한 시각을 제시하고자 했다. 곧 본고는 UN의 MDGs와 SDGs의 인간발전에 대한 종교계의 응답이면서 동시에 인간발전 담론을 촉진하고 확장하는 데에 기여하고자 한 것이다. MDGs와 SDGs의 인간발 전관 및 방향에 대한 이러한 종교적 통찰을 제시하고 나아가 인간발전 문제를 종교 간 대화와 협력의 주제로 삼음으로써 종교 간 관계 증진 및 국제공동체의 경제개발에 참여하고 개입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이 과제를 위해 본고는 이론적 논의와 담론의 활성화를 촉진하는 데에 있어 하나의 시론으로서 그 계기를 마련하는 데에 목표를 두었으며 앞으로 다양한 측면에서 연구가 계속되기를 기대한다. This paper aims to promote and spread discussion of “integral human development”among religions as a theoretical response to the UN-driven Millenium Development Goals (MDGs, 2000-2015) followed by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s, 2015-2030). For this, it points out accomplishment and limitation of MDGs and then also examines the procedure of the Post-MDGs dicourse. At this point, the paper explores a possible dialogue between the Catholic Social Teachings (CSTs) and MDGs/Post-MDGs considering CSTs’ insights on ecology and spiritual dimension of development. It goes to looking first into how discourses on MDGs and Post-MDGs lead to SDGs and then studies the idea of human development in the light of CSTs. As a result of this efforts, this study sees the fact human rights, gender equality and equality in general cannot be protected under the current Neo-liberalism-led Capitalism. Therefore we realize the necessity of creating a new economy system which all humanity faces as one of the greatest tasks to do. Making a new economy system, however, should go together with improvement of moral and spiritual dimension of development of both a person and groups without which the goal of a genuine and integral human development cannot be fulfilled. In order to support this, this study examines CSTs which focus on human development, especially “Joy of the Gospel” and “Be Praised” by Pope Francis. Through which, the paper tries to suggest a productive and unique perspective on human development of Catholicism as a part of civil society. In other words, this study is identified as a response from a religion to the idea of human and social development of MDGs and SDGs, while contributing to promote and deepen dicourse on human development. This study sees that religions in and out of Korea needs to provide insights regarding the direction of MDGs and SDGs are heading and their perspectives on human development, as well as need to have a dialogue among other religions by having such a theme for further discussion and their intervention in the human and social development area.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xplore for spreading and promoting a motivation in order to invite many other discourses and studies related to the major theme mentioned above from religions, expecting and hoping for other researchers to study in various ways to deepen the related stud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