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우수등재

        행정정보 시스템의 성과와 그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홍형득,장시영 ( Hong Heung - Deug,Jang Si - Young ) 한국행정학회 1994 韓國行政學報 Vol.28 No.4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공공기관에서 개발되어 사용중인 정보시스템을 대상으로 행정정보시스템의 성과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 정보시스템의 상황적 요인이 이들간의 관계에 매개적인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행정정보시스템의 성과는 사용자 만족도, 시스템 사용도, 근무환경개선 및 기술적 성공도 등 네가지로 측정하였고, 영향요인은 크게 사용자요인, 전산요원요인 및 전산패키지요인을 설정하였다. 상황요인은 정보시스템의 발전단계를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결과 사용자들은 행정정보시스템의 성과에 대하여 대체로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었으나 만족도에 비하여 실제 사용정도는 다소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행정정보시스템의 발전단계는 대체로 4단계 중 2-3단계의 수준을 보이고 있었다. 행정정보시스템의 성과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사용자 참여로 분석되었으며, 상황요인이 성과와 영향요인간의 관계에 매개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지식기반경제하에서의 대학의 역할모형의 변화와 특징에 관한 사례연구

        홍형득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8 정책자료 Vol.- No.-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지식기반경제(Knowledge Based Economy)란 지식이 경쟁력의 핵심요소가 되는 경제로 노동이나 자본보다는 지식의 생성·분배·활용 등에 직접적인 기반을 두고 있는 경제를 의미한다. 따라서 지식기반경제하에서는 지식(Knowledge)의 생산(Production), 이전(Transfer) 및 활용(Utilization)과 기술혁신(Technology Innovation)을 위한 대학의 역할과 기능의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다.그러나 이러한 대학과 연구기관 및 산업의 혁신주체들간의 연계의 당위성이나 시대적인 요청에도 불구하고, 그 현실은 생각만큼이나 그 연계가 잘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다. 산학연계구조 유형과 발전과정이 다양하고 복잡하기 때문에 이를 개념화하기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 여기에는 지식의 수요와 공급의 시장원리(market principle)에 입각한 협력주체들의 특성, 상호연계패턴, 그리고 지식과 기술시장의 특성과 시장실패(market failure) 상황 등의 다양한 측면의 이해가 필요하다(Hoekman & Maskus, 2005).본 연구는 미국의 뉴저지 주 사례를 중심으로 이러한 거버넌스 구조의 변화와 특히 산학연의 연계채널을 통한 대학의 역할모형의 변화과정과 특징을 분석하고자 한다. 뉴저지 주립대학(럿거스 대학) 사례연구를 통해, ‘기술이전 과정구조의 대학-기업-정부의 유기적 관계’ 연구모형을 검증해 보기 위해 럿거스 대학의 관련교수 및 기술이전지원조직인 Office of Corporate Liason and Technolgy Transfer (OCLTT)의 역할과 대학의 기술이전과정을 분석하고, 기술이전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요인들을 검증함으로써 기업과 정부와의 유기적 역할 네트위크를 밝히고자 한다. 미국의 경우 연방정부와 주정부차원의 지원과 연계를 각각 분석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주요 연구내용○ 지식기반경제하에서의 대학의 역할과 지식생산 및 기술이전- 지식기반경제하에서의 기술이전은 전통적인 기술이전과 다른 특징이 있다(Amesse & Cohendt, 2001). 첫째는 기업내에서 지식의 생산과 사용의 차이가 불분명해진다. 이러한 것은 우선 지식생산과정 그 자체와 관련하여 전통적인 기술이전과 다른 특징이 있다. 지식의 생산을 위한 새로운 정보와 통신기술의 사용기회의 증가로 연구자들이 지식에 접근하고, 저장, 검색, 교환 및 이전할 수 있는 방법에 변화가 있다. 둘째는 조직내외부의 기술이전의 구분이 불분명해지고 있다. 지식기반경제하에서는 모든 기업은 어디서든 지식을 인지하고 이해하기 위하여는 기초연구에 투자해야 하고, 이러한 기초연구에의 투자는 곧 대학으로부터 새로운 지식을 얻을 수 있는 기회와 지식습득 능력을 증가시킨다.지식기반경제하에서는 특히 정부와 대학 및 산업계의 전략적 파트너쉽(government-university-industry strategic partnership, GUISPs) 형성은 산재한 지적자본을 하나의 풀(Pool)로 통합하는 역할을 하며(Carayannis E.G. et al., 2000: 481), 지식기반사회의 국가혁신체제(NIS)하에서는 더욱 GUISP의 역할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미국 연방 및 주정부의 정책과 뉴저지주립대학의 지식 및 기술이전 메카니즘- 미국의 연방과학기술 및 기술이전관련 정책추진체계는 연방정부내 과학기술정책 전담부처가 따로 존재하지 않고, 개별부처에서 다루고 있어, NSTC를 구심점으로 한 과학기술정책조정체계를 갖추고 있다. 1950년대 소련에서 최초의 인공위성인 스프트니크호의 발사로 미국은 NASA를 설립, 1962년 에너지 위기로 DOE가 설립, 1970년대 환경문제가 대두되면서 EPA 설립되었다. 대통령실 안에 과학기술정책실과 대통령이 위원장이 되는 국가과학기술심의회가 있고, 대통령에게 자문하는 대통령 과학기술자문회의가 있다. 대통령실 안에는 관리예산실이 있어 과학기술관련 예산 배분하고 있다.미국의 기술이전 및 기술상업화를 위한 추진체계는 연방정부와 주정부의 산학연계 정책과 프로그램 그리고 연계프로그램을 지원하는 주요 기관으로 NASA의 국가기술이전센터(National Technology Transfer Center, NTTC)와 지역별기술이전프로그램을 담당하는 기술이전센터(Regional Technology Transfer Center, RTTC), 그리고 연방연구소 컨소시엄 (Federal Laboratory Consortium, FLC) 등이 있으며, 공동연구 프로그램, 협동연구센터설립, 벤쳐기업설립 등의 다양한 정책수단을 개발해오고 있다. 결론미국은 연방, 주별 및 대학별로 다양한 지식생산 및 기술이전 제도와 시스템을 갖추고 있어 일반적인 분석결과를 제시하기는 어려우나 연방정부의 정책적인 흐름과 뉴저지 주의 상황에 맞는 주정부의 기술이전 및 사업화 제도와 프로그램, 그리고 대학의 지식의 생산과 기술이전 및 산업계의 수요 및 연계노력 등이 체계적으로 연계되어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뉴저지 주립대학을 중심으로 한 연방정부, 주정부 및 지역기업의 역할과 연계의 특징과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첫째는 미국정부의 대학 및 공공연구기관들의 지식의 사업화를 위한 산학연계정책의 영향이 크다.둘째는 주정부의 과학기술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과 주내의 대학과 산업간의 연계를 위한 다양한 제도와 프로그램의 추진이다.셋째는 뉴저지 주의 경우 제약산업을 중심으로 한 산업계의 적극적인 대학과의 연계 및 투자가 이루어졌다.넷째는 대학의 역할변화에 대한 시대적 요구와 이에 따른 대학의 적극적인 역할변화 노력이다.정책제언미국 대학의 사례를 바탕으로 한 지식기반경제하에서의 우리나라 대학의 역할과 산학연계강화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정책과제들이 제안되었다.첫째, 국가전체적인 지식생산 및 기술이전에 대한 체계적인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둘째, 기술혁신에 있어서 대학의 역할의 강조와 적극적인 참여가 중요하다.셋째, 중소기업의 역량강화가 필요하다. 요약 1 제1장서 론 15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5 제2절 연구대상 및 범위 16 제3절 연구방법 17 제4절 연구의 구성 18 제2장 지식기반경제하에서의 대학의 역할과 지식생산 및 기술이전 네트워크 20 제1절 지식기반경제의 기술이전 특징 20 제2절 지식기반경제하의 대학의 역할과 및 기술이전 네트워크 22 제3절 기술이전의 매개체와 기술이전 모델 24 제4절 연구모형 27 제3장 미국 연방 및 주정부의 정책과 뉴저지주립대학의 지식 및 기술이전 메카니즘 30 제1절 연방정부의 기술이전 및 산학연계 프로그램 및 제도 30 1. 연방정부 연구개발 추진체계 30 2. 연방정부의 기술이전 및 산학연계 제도 변화 31 3. 연방정부 기술이전을 위한 주요 프로그램 및 활동 34 제2절 뉴저지 주의 주요 산업과 대학 및 과학기술환경 40 제3절 주정부의 기술이전 및 산학연계 프로그램 및 제도 45 제4절 럿거스(뉴저지 주립)대학의 지식생산 및 기술이전 메카니즘 49 1. 지식생산 및 기술이전 지원조직 49 2. 기술이전관련 제도 55 3. 대학내부 연구 및 기술이전 프로그램 57 4. 연구비 지원정보 DB 및 네트워크 59 제4장 럿거스 대학(뉴저지 주립대학)의 지식생산 및 기술이전 흐름과 변화분석 62 제1절 럿거스 대학 외부지원 연구비 분석 62 제2절 럿거스 대학의 지식생산 및 변화분석 - 발표논문 수 66 제3절 럿거스 대학의 발명공개 및 분야별 특허변화 68 제4절 럿거스 대학의 라이센스 수입 및 스핀오프 기업 72 제5장 미국 대학의 지식생산 및 기술이전 시스템 사례의 시사점과 정책과제 76 제1절 미국 대학의 지식생산 및 기술이전 사례의 시사점 76 제2절 정책과제 80 참고문헌 83 SUMMARY 87 CONTENTS 91 URL : http://www.stepi.re.kr:8080/app/report/rss.jsp?cmsCd=CM0013

      • KCI등재

        영국의 과학기술행정체제와 투자구조의 변화와 특징분석

        홍형득 한국자치행정학회 2014 한국자치행정학보 Vol.28 No.1

        국가의 과학기술정책의 변화는 과학기술행정 및 연구개발 수행체계의 개혁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으며, 이 러한 과학기술행정 및 연구개발 메카니즘에 대한 파악은 국가혁신체제와 정책모형 및 혁신주체들 간의 동태 적인 네트워크와 과학기술 투자에 대한 분석을 통해 가능하다. 본 연구는 최근 영국정부의 빠른 고등교육 및 과학기술관련 정책부처와 연구지원기관인 연구회(Research Councils)의 변화, 그리고 과학기술투자의 특징 을 살펴봄으로서 영국의 과학기술정책 기조의 변화와 특징적인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최근 영국의 과학기술행정체제와 과학기술투자구조의 변화의 특징은 2000년대 들어 보수당과 노동당간의 잦 은 정권교체를 이루면서 빠른 구조적 변화를 해오고 있다. 과학기술행정체제의 변화는 특히 정권의 과학기술 정책방향에 따라 고등교육, 과학기술 및 산업관련 부처들의 잦은 통합과 분리가 이루어진 것이 특징이다. 둘 째는 영국 과학기술행정체제의 특징중의 하나인 정부와 연구수행기관 사이 독립적인 중간조직인 연구회 조직 의 역할과 변화이다. 연구회를 통해 전통적인 기초학문에 대한 강조와 기술의 산업화와 대형연구장비의 지원 과 공동활용을 위한 다양한 노력들이 이루어진 것이 특징이다. 아울러 이들 정부기관과 연구회들의 과학기술 투자구조를 통해 이들 기관들의 역할비중의 파악이 가능했다. 영국 과학기술정책의 주요방향은 대학을 중심으로, 성공적으로 구축한 과학기반을 어떻게 산업계와 혁신적으 로 연계시킬 것인지에 집중되어 왔으며 이를 위해 산학간 공동연구의 지속적인 지원과 과학기술 예측 프로그 램의 도입 및 신기술 창업의 육성 등을 추진해 오고 있다.

      • KCI등재

        거버넌스 관점에서 우리나라 국가혁신체제(NIS)의 변화와 특징 분석

        홍형득 한국정부학회 2007 한국행정논집 Vol.19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외형상 많은 변화를 보여주고 있는 우리나라 국가혁신체제를 거버넌스의 관점에서 특징의 분석과 평가를 통하여 그 문제점과 향후 발전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거버넌스적 관점은 국가혁신체제에서의 다양한 혁신주체들간의 조정과 참여메커니즘 분석에 초점을 두었다. 조정은 다시 수평적 조정과 수직적 조정메카니즘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모든 시대와 장소에 적용되는 보편적인 거버넌스는 존재하지 않으며, 각 사회적 맥락과 정책특성에 적합한 거버넌스의 이해와 도입이 필요하다. 거버넌스 관점에서의 국가혁신체제의 분석은 체제내 혁신주체들간의 조정과 참여메카니즘을 통한 전체의 조화를 어떻게 이룰 것인가가 중요하다. 따라서 국기혁신체제의 거버넌스에서도 정책만이 아니라 과학기술의 우선순위, 전략, 활동 및 결과를 결정하는 다양한 혁신주체들 사이의 상호작용에 초점을 두어야 한다. 우리나라의 국가혁신체제에서의 수평적 조정메카니즘은 조정기관의 역할 불명확성과 조정기관이 뒤섞여 있는 제도과잉과 과잉조정이 문제이며, 지나치게 복잡한 상위지배구조로 실질적인 조정효과가 높지 않고, 연구현장의 자율성 침해와 거래비용의 과다 등의 문제점이 있다. 수직적 조정메커니즘은 최근 연구회와 연구개발사업 구조개편 등으로 변화를 시도하고 있으나 연구수행주체들이 정부부처로부터 직접적인 감독통제를 받는 경영지배구조하에 있으며, 특히 출연연구기관들의 경우는 매우 다중인 평가 및 감독구조를 가지고 있어 연구의 창의성과 자율성을 저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참여메카니즘에 있어서의 문제는 과학기술정책과정에 정부, 과학기술인, 시민 모두가 참여하는 구조가 제도화되어 있지 못하고, 시민단체의 전문성 결여 등의 문제점이 있다.

      • KCI등재

        공동연구프로그램 관리의 성공요인에 관한 사례연구 : EUREKA프로그램을 중심으로 with EUREKA Program

        홍형득 한국정책학회 2002 韓國政策學會報 Vol.11 No.4

        본 연구는 공동연구개발프로그램으로서의 EUREKA프로그램의 관리사이클(Program Management Cycle)을 체계적으로 분석함으로써 특징적인 프로그램관리전략과 프로그램관리의 성공요인을 찾고자 하였다. EUREKA프로그램이 성공적으로 운영되어 온 것은 유럽연합의 회원국 중심으로 이루어진 국제공동연구프로그램이라는 특수성도 있지만 상향적 접근(Bottom-Up)과 네트워크(Network)로 대표되는 특별할 프로그램관리 전략과 방법이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던 것으로 보인다. 상향적 접근방법은 본 프로그램의 가장 기본적인 관리철학으로 프로그램관리의 관료화를 최소화 하고, 자율적인 조직운영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국가간 및 참여주체간의 네트워킹 형성을 위해 협력기관과의 잦은 모임을 통한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을 유도했고, 인간적인 관계가 형성되도록 하였으며, 공식적인 조직보다도 프로젝트 수행기간 중 생긴 인간적인 관계와 커뮤니케이션 연계가 효과적인 협력을 창출하였고 이러한 것들이 프로그램관리의 주요 성공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본 프로그램은 국가마다 다른 프로그램 운영체계를 가지고 있어서 전략적인 추진이 어렵고, 특히 평가결과의 활용측면에 있어서는 정책결정에의 피드백 메커니즘이 정립되어 있지 않다는 점 등이 본 프로그램이 가지고 있는 본질적인 한계인 것으로 나타났다. This article aims to finds out the distinctive strategies and the success factors of the program management of EUREKA Initiative. Through the systematic analysis of the program management cycle with learning loop, the success factors of EUREKA, an international cooperative R&D program are found. EUREKA mechanism is normally described as a bettor-up initiative with its flexibility and lack of bureaucracy. There is no central budget and only a very small central secretariat coordinating decisions taken by representatives of the Member States. This paper insists the success factors are the decentralised structure, bottom-up approach, flexibility and lack of bureaucracy in the program management. In the mean while, the program has some intrinsical weaknesses like the various management systems by each member country. and the lack of an adequate system to follow-up and learn from evaluation finding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