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刑事節次上 被害者의 參加

        홍태석(Hong, Tae-Seok) 한국피해자학회 2009 被害者學硏究 Vol.17 No.2

        In relation to criminal proceedings, it is true that criminal justice progressed procedure in the meantime, focusing on the offender. However, many studies have been recently done about a method of the position of the victim and the participation. but there should be room for much improvement. With our criminal administration of justice, it looks for ways the crime victim participating to a crime trial can ask the witness direct question. But it is true that judgment for the court of justice will make a sentimental problem of the offender and the victim. Such an appeal participation will be needed a little more argument. and we had better hear the opinion of a learned society and legal circles. This report introduces and examines Germany and an Austrian legal system about the participation of the victim in criminal procedure. It is also important to grope for an appeal participation system of a victim practically suitable.

      • KCI등재후보

        일본 형법상 공범과 신분

        홍태석(Hong, Tae-Seok) 원광대학교 법학연구소 2008 圓光法學 Vol.24 No.2

        The criminal code of South Korea and Japan has specified the crime in which a fixed social position relation affects criminal enactment and the gravity of criminal punishment under a cover called complicity and a status, respectively. The 1st clause of Japanese Article 65 of a criminal code “It is specified "When the criminal act constituted by a criminal's status is processed, a person without a status also makes it complicity", and is specified "When there is a gravity of punishment especially by a status, it burdens a person without a status with the usual punishment" in the 2nd clause again, respectively. Of the accepted theory about this regulation, the 1st clause is concluded that the joint action of genuine status was specified, and the 2nd clause is concluded that it is formal distinction of having specified the individual action of a false status. However, the view of such accepted theory is criticized at various angles. In Japan was the question on an interpretation to state and to interpret Article 65 of a criminal code systematically between the 1st clause and the 2nd clause, and Although various theories to the present have been developed, no theories asserted until now can present appropriate solution. Therefore argument must be faithfully realized rather than this. From such views, because it is discussed from the unnecessary theory, the deletion theory, and the trifling examination to this, an investigation is required about the regulation to complicity and a status of Japan. It is a well-known fact that the argument about such complicity and a status is the portion currently most actively discussed of the argument about a complicity theory in the interpretation and application on the South Korean criminal code. I hope this paper to be considered the interpretation and application about the complicity on a Japanese criminal code, regulation of a status now and re-illuminating the argument about complicity and status in the South Korean criminal code on a basis.

      • KCI등재

        일본에 있어 발달장애인의 형사책임능력과 양형판단

        홍태석(Hong, Tae-Seok),권양섭(Kwon, Yang-Sub) 원광대학교 법학연구소 2020 의생명과학과 법 Vol.24 No.-

        2012년 7월 30일 오사카(大阪) 지방법원은 발달장애(Developmental Disability)를 가진 피고인이 자신의 집을 방문한 누이를 살해한 사건에 대하여 징역 20년을 선고하였다. 오사카지방법원은 이 범죄에 대하여 발달장애를 판단의 근거로 해서는 아니 되며, 피고인은 충분한 반성이 없을 뿐만 아니라 사회복귀시 재범의 우려 및 일본사회가 아스퍼거 증후군에 대한 수용이 준비되지 않은 상황에서 가능한 한 피고인을 장기간 교도소에 수용하여야 한다고 보아 20년을 선고하였다. 이후 이 판결은 일본 사회에 큰 사회적 반향을 불러 일으켰다. 한편 우리나라에서는 지적장애 2급 장애인인 피고인이 6층 상가건물의 1층에서 엘리베이터를 기다리던 甲(女, 11세)을 뒤따라가 건물 1층과 2층 사이 계단에서 갑자기 양손으로 甲의 왼쪽 팔을 잡아 수회 주무르는 방법으로 甲을 추행하였으나 고의가 부정되었다. 한・일 양국의 사례에서 알 수 있듯이 한국의 경우 추행의 고의가 부정된 반면, 일본의 경우 피고인의 장애가 가중의 요소로서 작용하였다. 그럼 발달장애를 가진 자의 범죄와 관련하여 ‘발달장애’가 가중의 요소가 될 것인가와 같은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발달장애인의 범죄에 대한 일본의 논의를 중심으로 형사책임능력과 양형판단에 관하여 검토하여 보았다. 최근의 일본 판례에서는 발달장애인의 형사책임능력과 관련하여 발달장애만으로 심신상실 또는 심신미약이 인정되는 예는 드물었으며, 오히려 책임능력이 인정되는 경향이 있었다. 한편 양형판단의 단계에서는 사회성 장애, 상상력 장애와 그에 따른 집착행동 등 발달장애의 특징이 범행동기의 형성과정이나 범행에 이르는 경위 등이 범정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보아 피고인에게 유리한 사정으로 해석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었다. 나아가 발달장애인이 적절한 지원을 받지 못한 사정이나 발달장애의 2차 장애 증상도 판단의 대상으로 고려되고 있었다. 발달장애인지원법 제정 이후 사법(司法) 현장에서도 발달장애에 대한 이해가 어느 정도 진행되었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아직 남은 과제도 많았다. 첫째, 발달장애인에게 완전책임 능력이 인정되는 경향이다. 둘째, 발달장애가 있는 자에 대한 교정시설에서의 처우와 퇴소 후의 대응이다. 발달장애에 대한 특성이 배려된 교정교육이 일부 이루어지는 소년원 등과 달리 성인 교정시설에서는 발달장애자에 대한 배려가 없는 상황이다. 일본의 경우 교정시설 퇴소자에 대하여 지역 정착 지원사업 등이 실시되고는 있지만 우리는 아직 이들에 대한 지원사업은 원활히 진행되지 않고 있으며, 사법의 영역에서 복지・재활・치료에의 작업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본 논문은 이러한 내용을 중심으로 일본의 판례를 통하여 발달장애인 범죄자의 형사책임능력과 양형의 판단기준에 대하여 검토하여 향후 우리의 논의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On July 30, 2012, the Osaka District Court sentenced a defendant with Asperger syndrome to 20 years in prison for the murder of his sister visiting the defendant s home. The Osaka District Court sentenced the defendant to 20 years in prison for as long as possible in the absence of sufficient reflection on the crime and the fear of re-offending in the event of returning to society and the absence of acceptance of Asperger s syndrome within the Japanese society. Since then, the ruling has caused a great social sensation in Japanese society. With regard to criminal cases involving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s defendants at the center of these cases, this paper reviewed the criminal responsibility ability and sentencing with emphasis on the discussion of Japan. To sum up the conclusion, in recent cases, for the criminal liability capacity of a perso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re have been few cases in which mental and physical loss or weakness is recognized only by developmental disabilities, rather, the ability to responsibilities has tended to be recognized. However, in the two-dimensional judgment stage, the characteristics of developmental disorders, such as social disorders, imagination disorders and subsequent obsessions, are affecting the criminal process, such as the process of forming a motive for the crime, and the circumstances leading to the crime, which is often interpreted as favorable circumstances for the defendant. Furthermore, the reasons why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did not receive adequate support or the secondary disability symptoms of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 also considered for judgment. Since the enactment of the Act on Support for People with Development Disabilities, there has been some understanding of developmental disabilities at judicial sites. However, there were still many assignments left. First, as mentioned in this paper, there is a tendency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o be recognized as fully responsible. Second, the treatment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correctional facilities and the response after discharge. Unlike juvenile detention centers, where correctional education is conducted with regard to the characteristics of developmental disabilities, adult correctional facilities do not have sufficient consideration for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the case of Japan, local settlement support projects are being carried out for those who leave the correctional facilities, but the support projects for them have not been carried out smoothly yet, and the work on welfare, rehabilitation and treatment has not been carried out properly in the area of jurisdiction. Although the understanding of them has progressed even further in the judiciary since the enactment of the Act on Support for People with Development Disabilities, it seems that the prevention of crimes or crimes should be prevented by the developmentally disabled receiving proper treatment and psychological treatment early on.

      • KCI등재

        존엄사의 현재와 미래

        홍태석(Hong, TaeSeok) 원광대학교 법학연구소 2014 의생명과학과 법 Vol.12 No.-

        존엄사는 인간이 품위 있게 죽을 수 있는 권리에 대한 논쟁이다. 연명치료를 중단하는 이른바 '존엄사(death with dignity; passive Sterbehife)'는 지금도 논란의 중심에 서 있다.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외국의 경우 존엄사를 인정하고 있다. 하지만 존엄사에 대한 논의는 여러 가지 형법적 의문점을 가지고 있다. 법학적으로는 생명에 대한 개인적 처분 가느엉의 여부와 그 한계 및 의학적 살인행위와 자살관여에 이르기까지 많은 부분에서 논의의 여지가 있다. 존엄사는 인간의 연명치료를 중지하는 것을 의미하므로 치료를 포기하는 것은 생명권을 침해한다고도 볼 수 있는 여지가 있어 신중한 법적 해석을 요한다. 이렇듯 존엄사는 환자개인의 자기결정권과 최대한의 의료적 조치를 취해야 하는 의료윤리와의 충돌되는 부분이라 할 수 있다. 최근 우리 대법원의 판결은 법률의 규정이 없더라고 연명치료의 중단은 엄격한 요건하에서 가능한 것으로 판시하였다. 이는 기존에 있었던 안락사 및 존엄사에 대한 단순 인정여부를 떠나 객관적 판단기준 및 절차에 관한 논의로 일보 전진한 논의가 필요함을 요구한다 볼 수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현재 외국의 논의상황과 판례 등의 검토를 통하여 우리 논의의 방향성을 제시하여 보았다. The debate on the right to live in dignity can die for human dignity. The so-called 'dignity' to stop treatment there are still surviving in the c ontroversial center. Recognizes the dignity, including the case of a foreig n country. However, a discussion of dignity has several legal questions. Law typically is indisputable is in large part down to whether the limit a nd medical disposable personal involvement in murder and suicide potenti al for life. Because it means stopping the human dignity of surviving treatment buy it to give up the treatment can be seen that there is no infringement of the right to life requires a careful legal analysis. As such it can be called a conflict that is part of the medical ethics to take care of possible measures of self-determination and dignity buying individual patient. Recent decision of the US Supreme Court, even if the provisions of the law of the surviving treatment interruption was ruled to be possible under the stringent requirements. This can be seen leaving the simple recognition of whether the euthanasia and dignity was in the previous discussion is needed requires a discussion on advancing daily objective criteria and procedures. In this paper, we discuss the direction of the saw and present through a review of such cases in the current international situation and discussed.

      • KCI등재

        자율주행차 시대를 대비한 법제도적 준비와 형사책임논의

        홍태석(Hong Tae Seok) 원광대학교 법학연구소 2018 圓光法學 Vol.34 No.3

        21세기를 살아가는 우리는 과거 20~30년 전과는 전혀 다른 디지털 세상에서 살고 있다. 면대면 전화통화는 물론 인터넷을 이용 택시를 부르거나 내가 타고 싶은 버스가 현재 어느 정도 오고 있는지, 현재 우리아이가 어디에서 있는지 등 실시간 디지털 서비스의 제공으로 편익을 제공받고 있다. 하지만 향후의 디지털 세상은 지금과는 또 다른 디지털환경으로 변화될 것으로 생각된다. 그 중 가장 많은 변화를 가져올 것이 자동차분야이다. 앞으로 자동차는 사람이 직접 조작하지 않는 자율주행차 시대가 도래 할 것으로 보고 있으며, 현재 세계 각국은 어느 정도 그 기술을 확보하고 있는 상황이다. 우리나라 역시 현대자동차를 필두로 자율주행차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하지만 그 아무리 자율주행차를 개발하고 우리의 생활에 많은 편익을 제공한다 하여도 이를 수반하는 법제도의 정비 없이는 자율주행차를 우리의 도로환경에서 보기에는 쉽지 않을 것이다. 현재의 우리 법제도는 자동차는 ‘운전자’가 운전하는 것으로 보고 있으며 도로환경 역시 ‘인간’을 위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자율주행차의 시대가 도래 하면 자동차 운행의 중심은 디지털이며 이러한 디지털 기기의 송수신으로 인하여 자동차가 운행될 것이다. 이에 자율주행차의 편리함을 맛보기 전 우리는 법제도의 정비를 우선시 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우리 보다 앞선 자율주행차 기술을 가지고 있는 일본의 현재 법제도 정비상황과 사고발생시 문제되는 형사책임의 논의를 사전 점검하여 봄으로서 향후 우리의 법제도 정비방향과 형사책임문제 논의의 밑거름이 되고자 한다. Living in the 21st century, we live in a completely different digital world than we did 20 or 30 years ago. It is convenient to provide real-time digital services such as calling a taxi on the Internet, calling a taxi on the Internet, and where our children are currently coming from. Unlike this digital world today, we expect the digital world to change even more. The most significant change is the automobile. Cars are expected to be an era of self-driving cars, and countries around the world now have some of the technology. Korea is also accelerating the development of self-driving cars, led by Hyundai Motor. However, no matter how much convenience we may have in our lives and develop autonomous vehicles, it will not be easy to see them in our road environment without the adjustment of the legal system that accompanies them. Our current legal system sees cars as ‘drivers’ driving, and the road environment is also made up of humans. However, with the advent of the era of self-driving cars, the center of driving will be digital, and the transmission of these digital devices will allow cars to run. Therefore, before we can taste the convenience of self-driving cars, we need to put a priority on improving the legal system. Therefore, in this paper, we will discuss the current legal system in Japan, which has advanced technology for self-driving cars, and criminal responsibility in the event of an accident.

      • KCI등재

        자율주행자동차 사고발생에 따른 형사책임의 귀속여부

        홍태석(Hong, tae-seok),권양섭(Kwon yang-sub) 한국법학회 2017 법학연구 Vol.66 No.-

        자율주행자동차란 운전자가 개입하지 않고 스스로 운전을 하는 자동차를 말하는 것으로 자동차와 인공지능의 결합체라고도 할 수 있다. 즉 센서, 라이다(레이저를 이용한 탐색기), 레이다 등을 차량 곳곳에 부착해 주변의 물체와 도로환경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인식하고 판단함으로써 차 스스로 운전과 제어를 시행하는 자동차를 말한다. 또한 모바일 기기와 통신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제어, 다른 차량과의 통신 정보와의 외부 공유도 가능한 차를 말한다. 이러한 자율주행자동차는 운전자의 주의 산만에 따른 교통사고를 막아주고 자동차 내부 공간을 이동하는 개인 사무실과 같은 용도로 활용 가능하게 한다는 장점이 있다. 우리 사회는 자율주행자동차의 등장을 목전에 두고 있다. 하지만 벅찬 마음으로 자율주행자동차의 등장만을 기다리기엔 우리 사회는 아무런 준비도 되어 있지 아니하다. 새로운 문명의 이기가 등장하였다고 기뻐만 할 것이 아니라 우리 사회는 이 문명의 이기를 맞이할 준비를 하여야 한다. 그 중에 하나가 자율주행자동차의 등장에 따른 관련법규의 준비인 것이다. 그간 자동차사고에 있어 형사책임은 운전자를 과실범으로 처리하는 것이 전부였다. 하지만 자율주행자동차의 등장에 따른 형사책임의 논의는 운전자를 누구로 볼 것인가 또는 운전자로 볼 수 있는 것인가라는 의구심에서 시작된다 하겠다. 자율주행자동차는 이젠 당연한 우리의 미래가 되었다. 문제는 이러한 신이동체의 등장으로 발생하는 책임의 문제, 즉 사고발생시 책임귀속의 문제이다. 지금까지는 자동차사고발생시 운전자의 조작미숙으로 과실에 따른 형사책임을 지워왔다. 하지만 자율주행자동차는 운전자가 직접 운전하는 것이 아니라 자을주행시스템에 의하여 자동차 스스로가 판단하고 이동하므로 만일 사고발생시 형사책임을 지울 수 있을 것인가의 문제부터 또한 책임을 지운다면 누구에게 지울 수 있을 것인가가 문제된다 하겠다. 따라서 자율주행자동차 사고발생과 관련하여서는 먼저 운전자를 누구로 볼 수 있을 것인가의 문제부터 선결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사실 자율주행자동차는 운전자가 직접적인 운전조작은 하지 않지만 시동을 걸고 목적지 설정을 하는 둥 운전자(사람)의 행위로부터 시작된다 볼 수 있다. 한편, 스스로 판단하고 이동하는 만큼 제조사도 그 책임으로부터 자유롭지는 않을 것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완전자율주행이 이루어지는 레벨4단계에서의 사고발생과 관련한 책임여부를 논하기 위하여 우리 형법학에서 논의되고 있는 과실범 성립요건에 대한 이론적 내용을 기초로 사고발생시 형사책임의 귀속여부와 관련하여 운전자와 제조사로 나누어 검토하였다. In modern society, automobiles are very important. Such a car worked only by human operation in the meantime, but progressed with a movement body which moved to the destination that car oneself judged it from the development of the technology recently, and a human being prayed for. A man and woman chief character enjoys a car drive in the downtown area if I see descendant of sun which caused a drama Korean wave hot wind in 2016, and a scene kissing a vehicle opportunity with the heroine who pushes the button located under the group left side, and got on the seat next to the driver appears. The scene where the vehicle steering wheel works without driver intervention by oneself and does an autonomy run, and the man and woman chief character enjoys a romance appears. In our society, such a scene was created all too soon by a drama, and the person to see a drama reached the atmosphere that I came to see without what kind of hesitation. In addition, the companies producing finished vehicles exhibit a new technology to the public first and attract the desire of the buyer more. An autonomy run car is a car and one of a-binding body of the artificial intelligence in this way by saying the car which runs by oneself without a driver intervening. In other words, attach to vehicle many places by a sensor, a rider (search device using a laser), a radar, and recognize neighboring objects and information for the road environment in real time, and enforce car oneself driving and control by judging it rise. In addition, I remotely control it through a mobile device and a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outside joint ownership of the electronic intelligence with other vehicles says a possible car, too. Such an autonomy run car prevents the traffic accident by a driver not being careful beforehand, and there is the good point that I can apply car inside space in by the use such as the personal office. The appearance of the autonomy run car was our ordinary future now. A problem is a problem of the attribution of responsibility at the time of a problem of the responsibility to occur by the appearance of such a new movement body namely the accident outbreak. Until now, driver’s manipulation in the event of a car accident has been treated as an omission. However, it is in a problem who should be able to put it out if put out responsibility from the problem that is to be able to put out a criminal liability at time of the accident outbreak because car oneself judges the autonomy run car by an autonomy run system not a driver driving directly and move again. Therefore, it is thought that it do not be if a driver is not settled first earlier by the problem that is to be seen in whom when I associate with autonomy run automobile accident outbreak. In fact, a driver does not do the direct control, but I start it and do destination setting, and I am considered to begin by the act of the driver. On the other hand, production company will not be free from the responsibility so as to judge the autonomy run car by oneself, and to move. After having examined the theoretical contents for the criminal negligence establishment requirements that were discussed in we criminal law studies to lecture on the accident outbreak at four phases of autonomy run car levels and the responsibility right or wrong concerned with in the following here, I was concerned with the reversion right or wrong of the responsibility and divided it with a driver in production corporation and examined it.

      • KCI등재후보

        광고에서의 허위 · 과장광고의 판단기준 - 대법원 2008. 8. 21 선고 2007도7415 판결을 대상으로 -

        홍태석(Hong, Tae-Seok) 한국법이론실무학회 2019 법률실무연구 Vol.7 No.3

        과장광고의 문제는 어제 오늘의 문제는 아니다. 새로운 상품이 출시되고 전시 및 광고, 판매되는 과정에서 이러한 문제들은 늘 붉어져 왔다. 판매·광고자의 입장에서는 물건을 조금이라도 더 홍보하여 많은 판매를 하려 할 것이기 때문이다. 특히 식품이나 건강과 관련된 기능식품 등은 더욱 더 과장광고를 하고 있다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한편으로는 이러한 과장·허위광고를 제한하려고 각종 입법 등을 통하여 제재를 가하고 있지만 한계가 있는 것도 사실이다. 광고에 있어 그 허위성 내지 과대성은 어느 정도 포함되고 있는 것도 사실이며 우리 법원 또한 광고에 있어 수인 범위내에서의 허위성 내지 과대성은 법률에 저촉되지 않는 것으로 보고 있다. 과대·과장광고의 피해는 물론 소비자가 입을 수 있지만 우리 법원은 ‘기망성’이 인정되는 경우만을 사기광고로 보고 있다. 즉 기망으로 인하여 소비자를 현혹 내지 착오에 빠뜨리고 피기망자로부터 재산적 이익을 취득한 경우만을 ‘사기’의 범주로 넣어 볼 수 있다는 것이다. 다만, 이 과정에서 우리 법원은 어느 정도의 추상적 과장광고에 대해서는 법률에 저촉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추상적 범위내’ 라는 것에 대한 판단은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다만, 사안에 따라 판단하되 확실한 재산적 이익취득을 위한 기망의 의사가 전달되고 이에 따라 이익의 취득이 있었느냐를 기준으로 판단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내용을 중심으로 판례를 통한 광고에서의 허위성에 대한 판단기준을 명확히 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The problem of false advertising has continued since before. These problems have always grown in the process of new products being launched, displayed, advertised, and sold. From the standpoint of the seller and advertiser, they will try to sell a lot more by promoting the product even further. In particular, food and health-related functional foods are making more and more false advertisements. It would not be too much to say. On the other hand, while imposing sanctions through various legislation to restrict such false advertising, there is also a limit. It is true that the falsehood or overstatement of advertising is included to some extent, and the Korean court also sees the falsehood or overstatement within acceptable limits of advertising as not against the law. The damage from over-the-top ads, of course, can be inflicted by consumers, but the South Korean court views them only as fraudulent advertisements if “expectations” are recognized. In other words, it can be included in the category of ‘fraud guilt’ only if the expectation has misled or misled the consumer and acquired property interests from the accused. However, in the process, the Korean court judges that some abstract false advertising does not violate the law. Finally it seems difficult to judge this ‘within the abstract’. However, it is believed that the decision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ase and the opinions of the expectation for a firm acquisition of property interests are conveyed, and thus the profit has been acquired. Therefore, this paper has its significance in clarifying the criteria for judging falsehood in advertising through precedents, focusing on these points.

      • KCI등재후보

        자율주행차 사고발생유형과 형사책임에 관한 탐색적 연구

        홍태석(Hong Tae-Seok),권양섭(Kwon Yang-Sub),곽병선(Kuack Byong-Sun),이종찬(Lee Jong-Chan) 한국법이론실무학회 2018 법률실무연구 Vol.6 No.3

        대부분의 교통사고가 운전자의 과실에 의해 발생하고 있다. 자율주행자동차가 상용화 될 경우 이와 같은 운전자 과실에 의한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하지만 완벽한 자율주행자동차라 하더라도 사고의 위험성을 부정할 수는 없다. 자율주행자동차 사고유형으로는 운전자(소유자)의 고의 · 과실에 의한 사고, 차량의 기계적 결함에 의한 사고, 소프트웨어 오작동에 의한 사고, 오류정보에 의한 사고, 외부해킹에 의한 사고 등 5가지 유형의 사고를 예상해 볼 수 있다. 자율주행자동차가 주행 중 사고가 발생하였을 경우 법적 책임의 문제는 기존의 자동차사고와는 다른 새로운 패러다임을 요구하고 있다. 다양한 법률적 문제 중에서 가장 해결이 쉽지 않은 문제가 형사법적인 문제이다. 자율주행자동차 사고발생시 법적 책임의 귀속에 관한 문제는 과학의 문제가 아니다. 규범의 문제이며, 특히 형사책임에 있어서는 형법의 기본이념인 책임주의와의 관계에서 해결해야 한다. 자율주행모드 레벨 1단계에서 3단계까지는 운전자가 운행의 주체가 되어 자동차를 운행하기 때문에 사고가 발생한 경우에는 사고책임을 현행과 같이 운전자에게 귀속시킬 수 있다. 그러나 레벨 4단계에서는 자율주행자동차는 운전자의 개념이 존재하지 않으며, 탑승자는 승객에 불과하다. 운행에 대한 주의의무가 존재하지 않은 탑승자에게 기존의 법리대로 형사상 책임을 귀속시킬 수는 없다. 본 논문에서는 자율주행자동차의 개념과 기술현황을 살펴본 후, 자율주행자동차가 상용화 되었을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사고유형을 탐색적으로 연구하였다. 자율주행자동차의 레벨 단계별 형사책임에 대해 분석한 후, 각각의 형사법적 쟁점에 대해 살펴보았다. Most traffic accidents are caused by the drivers fault. If self-driving cars are commercialized, such accidents can be prevented due to driver error. However, even a perfect self-driving car cannot deny the danger of accidents. The self-driving car accident types are expected to include accidents caused by intentional negligence of the driver (owner), mechanical failure of the vehicle, accidents caused by software malfunction, accidents caused by incorrect information, and accidents caused by hacking. If a self-driving car is involved in an accident while driving, the problem of legal responsibility is different from that of a car accident. We are asking for a new solution. Among the various legal issues, the least solvable is the issue of criminal punishment. The question of whether or not a self-driving car accident is a matter of science. It is a matter of normality, and especially criminal liability should be addressed in relation to the principle of liability, which is the basic principle of criminal law. From level 1 to level 3 of self-driving mode, a person (driver) becomes the main body and cars are driven. In the event of a driving accident, there is no legal problem in implying the responsibility for the accident to the driver as it is now. However, in level 4, there is no driver for self-driving cars. All passengers are merely in position. To impute a driver to a criminal negligence according to the existing law would be contrary to the criminal responsibility. In this paper, we looked at the concept of self-driving cars and their current technology. The accident patterns that may occur if self-driving cars are commercialized were investigated. After analyzing the criminal liability for each level of self-driving cars, we looked at each criminal law issue.

      • KCI등재후보

        외국 사례를 통해 본 말기환자의 자기결정권에 대한 형법적 판단과 시사점 - 일본과 미국의 판례를 통하여 -

        홍태석(Hong, Tae-Seok) 한국법이론실무학회 2020 법률실무연구 Vol.8 No.2

        인간의 생명은 그 무엇과도 바꿀 수 없는 고귀한 가치가 있는 것이다. 이에 우리 형법은 인간의 생명 보호를 가장 큰 보호법익으로 보고 있다. 이에 살인죄를 비롯하여 생명에 대한 침해를 구성요건으로 하고 있는 형법규정에서는 그 형량을 높게 책정하고 있다. 하지만 “부득이하게 침해”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는데 그것이 바로 안락사 및 존엄사에 관한 것이다. 물론 인간의 생명을 적극적으로 종결시키는 안락사는 일부 국가를 제외하고는 인정하고 있지는 않으며, 존엄사에 대해서는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많은 국가가 이미 인정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안락사 및 존엄사에 대해서는 인간의 생명과 직결된 문제로 아직까지도 자살방조 등 형법적으로 문제시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최근까지 안락사 및 존엄사에 대한 적법성에는 크게 이론(異論)이 많지 않았으나 다시 그 적법성을 검토할 필요성이 대두된 사례가 일본의 이른바 ‘카와사키협동병원(川崎協同病院)’ 사건에 대한 항소심 판결이었다. 한편 미국의 경우 자기결정권에 근거하여 안락사 및 존엄사에 관한 문제해결을 한다면 추후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자기결정권의 포기가 요구된다는 Quinlan 판결이 있다. 하지만 미국 판례에 대한 이해 및 더 나아가 자기결정권의 상대화는 합리성을 가진다고 볼 수 있을 것인가 검토의 필요가 있어 보인다. 안락사 및 존엄사에 관한 논의는 이를 반드시 수용하여야 한다는 사회적 배경과 이와 관련된 법률문제를 고려한다면 쉽게 해답을 찾을 수 없는 문제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성은 향후 다양한 상황에서 문제될 수 있는바, 더 나아가서는 형법적 개입으로부터 어떻게 자유로울 수 있는가 라는 점이 문제의 핵심이라고 볼 수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안락사 · 존엄사에 관한 논의에 이른바 자기결정권과 관련된 일본의 카와사키협동병원(川崎協同病院)사건 항소심 판결 및 미국의 Quinlan 판결등을 참고하여 향후 이와 관련된 우리의 논의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Human life is an important thing that cannot be exchanged for anything. Therefore, Korean criminal law sees human life protection as the biggest protection law. Thus, the criminal code, which includes murder and invasion of life sets the sentence high. However, there are cases of “unnecessarily infringing” - euthanasia and death with dignity. Of course euthanasia which actively terminates human life, is not recognized except in some countries and many countries including Korea already recognize death with respect to death with dignity. It is true that such euthanasia and death with dignity are still considered criminal problems such as assisted suicide as a matter directly related to human life. Until recently there were not many other opinions on the legality of euthanasia and death with dignity but there is a need to review the legality again. The direct cause of the move was the appellate court’s ruling on Japan’s so-called “Kawasaki Cooperative Hospital” case. Meanwhile, the U.S. precedent shows that if self-determination solves the problem it will inevitably lead to a bad result and based on this the abandonment of self-determination is required. However, it seems necessary to review whether this understanding of U.S. precedents and, by extension the flow of relativization of self-determination can be seen as reasonable. Considering the social background that the discussion on euthanasia and death with dignity must be accepted and the legal issues related to it, it is not easy to find an answer. The key to this problem is how to be free from criminal intervention as this problem can be problematic in various future situations. In this paper we reviewed the implications of Korea by referring to the situation of the Japanese appeals court’s ruling on the Kawasaki Cooperative Hospital case and the U.S. case which is considered important in determining the future direction of the discussion on euthanasia and respect.

      • KCI등재

        딥페이크 이용 아동성착취물 제작자의 형사책임 -일본의 판례 및 논의 검토를 통하여-

        홍태석(Tae-Seok Hong) 한국디지털포렌식학회 2020 디지털 포렌식 연구 Vol.14 No.2

        인터넷 기술의 발달에 따라 우리의 삶은 과거와는 180도 변화한 삶을 살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사람들은 매일 인터넷상의 그 무엇을 보고 검색하며, 알고자 하는 정보를 얻고 있다. 한편 인터넷은 이러한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다는 점도 있지만 익명성을 이용한 범죄 역시 빈번히 발생하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이러한 최근의 인터넷 환경의 변화는 법률 구조에도 새로운 패러다임을 요구하고 있다. 인터넷의 보급에 따라 우리 삶이 유익하게 변화한 것이 있는 것도 사실이지만 유해한 환경을 조성하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그 중 대표적인 것이 음란물의 등장일 것이다. 인터넷상에는 셀 수 없을 정도의 유해한 음란물이 홍수를 이루고 있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특히 이러한 음란물 중에서도 아동을 대상으로 한 음란물의 유해성은 극히 이루 말할 수 없을 정도이다. 이에 성착취물에 대해서는 이에 대한 법적, 기술적 규제방법, 청소년보호 등 다방면에서 예방적 활동과 법적 대응을 요구한다 하겠다. 최근에는 컴퓨터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이른바 ‘딥페이크’ 기술을 이용하여 실재 사람에 대하여 컴퓨터 그래픽을 이용한 성착취물의 제작도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딥페이크 피해자의 25%가 한국의 여자연예인이란 분석도 있다. 이렇듯 딥페이크 기술은 범죄에 악용될 소지가 다분히 내재되어 있는 기술이라 볼 수 있다. 특히 기존의 성인물에 인기 연예인의 얼굴을 합성하여 그 연예인이 출연한 것처럼 만들거나, 헤어진 전 연인과의 성적 영상물에 딥페이크 기술을 이용하여 성적 영상물을 제작한다면 그 피해는 이루 말할 수 없을 것이다. 우리 또한 5월 19일 성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일부 개정이 있었고 개정안에는 제14조의2(허위 영상물 등의 반포 등)를 신설하여 6월 25일 시행예정에 있다. 한편, 일본은 이와 관련해 판례가 등장하였는데 이와 관련된 판례가 아직 나오지 않은 우리의 입장에서는 이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이제 막 국회에서의 법률 통과가 이루어진 우리의 입장에서 일본의 판례와 논의를 검토하여 봄으로서 향후 우리의 논의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With the development of Internet technology, our lives have changed a lot from the past. People are looking at, searching, and getting information they want to know about every day on the Internet. The Internet meanwhile can promote this convenience but crimes using anonymity are also frequent. This recent change in the Internet environment is also calling for a new paradigm in the legal structure. It is true that our lives have changed in a beneficial way due to the spread of the Internet, but it is also true that we are creating a harmful environment. One of them would be the emergence of obscene materials. It is no exaggeration to say that countless harmful pornography is flooding the Internet. Especially, among these obscene materials the harmfulness of obscene materials targeting children is beyond description. In response, we will demand preventive activities and legal action against child pornography in various ways, including legal, technical, and juvenile protection. Recently, as computer technology has developed, so-called "deepfake" technology has been used to produce children"s pornography using computer graphics for real people. As such, deep-fake technology can be seen as a technology that is highly inherent in crime. In particular, if you synthesize the face of a popular celebrity into an existing adult film and make it look like the celebrity appeared or if you use deepfake technology to produce sexual images in a sexual video with your ex-lover, the damage will be beyond description. We also passed a plenary session of the National Assembly on March 5, 2020 to revise the Special Act on the Punishment, etc. of Sexual Violence Crimes. On the other hand, it is worth noting that Japan has made a case in this regard, which has yet to be made. In this paper we would like to help our discussion in the future by reviewing Japanese precedents and discussions from our perspective which has just passed the law in the National Assemb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