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도수 촉진과 막대를 이용한 몸통의 전방 굴곡 운동에 따른 요추와 고관절 굴곡 각도의 변화

        정성대 ( Sung Dae Choung ),박규남 ( Kyue Nam Park ),홍지아 ( Ji A Hong ),조민수 ( Min Sue Cho ),손동휘 ( Dong Hwi Son ),신헌석 ( Heon Seock Cynn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 2011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Vol.1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manual facilitation and a stick on lumbar and hip joint flexion angles in subject with lumbar flexion syndrome during forward bending from a sitting position. Fifteen subjects with lumbar flexion syndrome were recruited for this study. As a pretest, all subjects performed three repetitions of bending the trunk forward until the tips of their fingers touched the target bar. After this pretest, the subjects practiced the forward bending of the trunk 10 times, using either manual facilitation or a stick. Then, as a posttest, all subjects repeated the pretest procedure. The flexion angles of lumbar spine and hip joint during forward bending in a sitting position were measured using a three-dimensional motion analysis system. A paired t-test was used to determine the statistical differences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flexion angles and pre- and post-test flexion angle differences between forward bending with manual facilitation and forward bending with a stick. The level of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set at p=.05.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angle of the lumbar flexion decreased significantly and the bilateral hip flexion angle increased significantly when performing forward bending with stick and manual facilitation. Furthermore, the angle of lumbar flexion decreased significantly and the angle of bilateral hip flexion increased significantly in forward bending with a stick compared to forward bending with manual facilitat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both forward bending with manual facilitation and sticks could be used to prevent excessive lumbar flexion and increase hip flexion, and that forward bending with a stick is more effective than forward bending with manual facilitation for inducing lumbar spine and hip joint angle changes.

      • KCI등재

        젠더적 시각에서 바라본 한국 언론의 다문화 담론: 경향, 동아, 조선, 한겨레 기사분석을 중심으로

        홍지아 ( Ji A Hong ) 한국지역언론학회 2010 언론과학연구 Vol.10 No.4

        이 연구는 젠더가 사회관계의 주요 구성요소이자 권력관계를 형성하는 기본 축이라는 문제의식으로 전지구적 자본주의의 영향력 아래 한국사회의 새로운 사회적 약자로 등장한 결혼이주여성 재현의 특징과 그에 따른 권력의 역학관계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비판적 담론분석에 대한 푸코와 페어클라우의 방법론적 제안을 토대로 한국사회 다문화담론의 정치학을 분석하기 위해 이 연구는 2000년 1월부터 2010년 2월에 걸쳐 주요 일간지인 조선, 동아, 경향, 한겨레 4개 신문사의 결혼이 주여성 관련 기사를 분석하였다. 구체적인 분석의 기준은 1)담론의 생산자로서 어떠한 취재원을 활용하는가, 2)제목이나 헤드라인, 본문에서 어떠한 단어를 사용하는가, 3)전체적 기사구성에서 사용된 단어들이 어떠한 일관성을 가지고 접합되며 의미를 구성하는가, 4)이러한 의미구성이 어떠한 담론을 생산하며 젠더적 관점에서 어떠한 분석의 여지를 가지고 있는가이다. 분석 결과 결혼이주여성들은 엄격한 가부장가치의 실천자와 한국인이 베푸는 각종 시혜정책의 수혜자라는 특징을 지닌 채 재현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피해자, 혹은 한국인의 발전을 위한 도구적 존재, 엄격한 가부장 가치의 실천자라는 제한적 이미지로 재현되는 결혼이주여성들의 모습은 한국사회의 차별적 성역할과 가부장 담론, 한국인을 주체로 설정하는 한국인 우월주의의 반영에 다름 아니다. 경제적 후진국으로부터 온 결혼이주여성들을 시혜의 대상으로 설정하고 이들을 통해 더 나은 한국인이 될 수 있다는 성장담론은 한국인을 더 나은 한국인으로 만들기 위한 도구적 존재로 이주여성들을 도구화하며 또 다른 차원의 순혈주의적 구별짓기의 배경이 된다. 결국 결혼이주여성들은 인종적 차별과 함께 젠더적 차별을 경험하는 이중의 타자로 재현되는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find out how married migrant women are represented in the Korean major newspapers and tries to figure out the power relations which brings the special kind of representation. The articles from four major newspapers(two from conservative and two from liberal side) from 2000 to 2010 are analyzed. This study finds out that married migrant women from other Asian areas are represented as both the performer of strict patriarchal virtues and beneficiary of generous Korean policy. The main characteristics of representation as victim, beneficiary, and patriarchal housewife reflect the Korean`s nationalism based on pure-blood ideology. The better-Koreanism by accepting the poor and inferior married migrant women and their children into Korean works as another way to enforce the pure bloodism by focusing their inferiority. The married migrant women are represented under both racial and gender discrimination.

      • KCI등재

        TV드라마를 통해 재현된 여성의 몸 담론

        홍지아(Ji-A Hong) 한국언론정보학회 2010 한국언론정보학보 Vol.49 No.1

        이 연구는 2000년부터 2007년에 걸쳐 방송된 TV드라마 27편, 152명 여성등장인물의 연령대, 외형적 특징, 그리고 이들이 극의 주요갈등구도에서 수행하는 역할을 중심으로 TV드라마에 재현된 여성의 외형적 이미지와 여성이 수행하는 역할과 외형적 이미지의 관계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결과 2000년대 TV드라마에 등장하는 여성캐릭터의 45%가 20대 여성이며 대부분의 드라마가 그들을 주인공으로 설정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27편 가운데 3,40대 여성이 주인공으로 등장하는 드라마는 배우자의 외도를 소재로 삼은 4편에 불과하며 그 외는 예외없이20대 남녀의 사랑과 결혼, 도전과 좌절을 드라마의 갈등구도로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구도 속에서 4,50대 여성은 주인공의 어머니, 그 이상의 여성은 주인공의 할머니라는 제한된 모습으로 등장하고 있으며 이들은 삶을 성숙하게 바라보는 어른의 모습보다는 자녀의 연애사에 개입하거나 과거의 잘못된 처신으로 자녀세대에 갈등을 유발하는 모습으로, 혹은 가족이기주의에 젖어 일상적 갈등을 유발하거나 드라마의 주요갈등구도에서 소외되는 방관자의 모습으로 등장한다. 이러한 현상은 할머니 또래 여성들의 재현에 두드러져 60대 여성노인 15명 가운데 절반이 넘는 9명이 주책스럽고 우스꽝스러운 중성적 모습으로 재현된다. 또한 주인공 여성들은 사회가 규정한 여성적 아름다움의 기준을 충실히 재현하며 특히 꾸밈이 없는 자연스럽고 순수한 아름다움이 주인공 여성의 외형적 특징으로 부각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반해 주인공 여성을 괴롭히는 주인공의 연적이나 악역 캐릭터는 치장된 아름다움으로 외형적 대비를 이루고 있어 사회적 성공을 위한 육체자본으로서 젊은 여성의 몸을 재현하되 꾸민 아름다움보다는 타고난 아름다움이 우위의 가치로 설정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여성이 자신의 몸을 권력획득을 위한 육체자본으로 활용하려는 경우 그러한 여성의 몸을 위태롭고 강박적인 모습으로 묘사함으로 몸의 권력화를 경계한다. This study is designed to figure out what kind of female images TV dramas have represented from 2000 to 2007 and what kind of relationship these images and the actual roles the female characters perform have in the drama. The total number of dramas analyzed is 27, and 152 female characters are analyzed. The result finds that 45% among 152 characters is in her 20’s, and most of them play the main roles. Only 4 dramas use 3,40’s female characters as main figures. Most 4,50 female characters play mother or grand mother roles of main characters, and they usually interrupt main character’s love relationships or don’t play any meaningful roles for the narrative. The old female characters over her 60’s tend to play foolish and ridiculous roles and don’t show any physical charms. The female main characters are beautiful and young, and the more they play good roles, they have better natural beauty comparing the bad characters. The youth and beauty of main characters helps the owner to earn the love of main male characters. It’s obvious that the dramas show that female’s body as physical capital to achieve higher class and power.

      • KCI등재

        1인칭 다큐멘터리에 드러난 결혼이주여성들의 자기재현과 정체성의 자리매김

        홍지아(Ji-A Hong)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2011 미디어, 젠더 & 문화 Vol.18 No.-

        이 연구는 결혼이주여성들이 만들어낸 1인칭 다큐멘터리를 대상으로 결혼이주여성들의 자기 재현이 주류미디어와 어떠한 차이를 보이며 이들이 제시하는 자기 서사의 사회문화적 가치는 무엇인가를 파악하려는 목적을 가진다. 연구대상은 2007년부터 2010년까지 서울국제여성영화제 지원사업 ‘이주여성이 만드는 여성영화 제작워크숍’을 통해 만들어진 27편의 1인칭 다큐멘터리이다. 연구결과 결혼초기 한국이라는 낯선 공간과 외부와 충분한 소통이 이루어지지 못한 상황에서 이주여성의 자기서사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가부장적 사회가 여성에게 요구하는 전통적 성별정체성이며 시간이 지날수록 고통을 이겨낸 ‘성숙하고 베푸는 나’로서의 개별정체성이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한국생활이 길어질수록 남편과의 갈등을 넘어 자식에 대한 사랑과 책임, 시부모의 인정, 이웃과의 관계 등으로 관심의 대상이 확대되고 있으며 아내보다는 어머니와 며느리로서의 정체성이 자기 서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주여성의 자기서사는 각자가 처한 위치에 따라 한국사회가 이들에게 요구하는 한국형 현모양처의 성역할에 순응하거나 타협하는 모습을 보이며 나아가 주류미디어가 제시하는 피해자나 수혜자, 가부장적 가치의 실천자라는 제한된 정체성과 다르게 스스로 만들어내는 자기재현을 통해 보다 다양하고 성숙한 자기서사를 드러낸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difference of self-representation image of marriage migrant women between main media and first person documentary produced by themselves. Furthermore, this study tries to argue the socialcultural meaning of immigrant women’s self narrative. Total 27 pieces of first person documentary from women’s film workshop sponsored by International Women’s Film Festival in Seoul are analyzed. The result tells that the newly coming immigrant women with poor language ability are affected patriarchism most and their self narrative is close to conservative gender- collective identity.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their self narrative moves from collective identity to personal identity and the subject of their documentary is about themselves as a mother or a survivor instead of a wife or a daughter in law. Their self narrative is still conservative but they show more variety than main media, and they represent themselves as more mature and various individuals comparing main media which represent marriage immigrant women as stereotypical figures like victims or helpless poor.

      • KCI등재

        한 다리 서기 시 내측 쐐기(wedge)의 적용이 하지 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홍지아(Ji-a Hong),김민희(Min-hee Kim),정도헌(Doh-heon Jung),임원빈(One-bin Lim),이충휘(Chung-hwi Yi)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 2011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Vol.18 No.2

        Foot posture is important in the development of the musculoskeletal structure in the lower limbs because it can change the mechanical alignment. Although foot orthotics are widely used for the correction of malalignments in the lower extremities, the biomechanical effects of wedges have not yet been cleared.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medial wedges affect the electromyographic (EMG) activity of the knee and hip joints in healthy adults that are performing one leg standing. Seventeen healthy volunteers performed the one leg standing under two foot conditions: A level surface, and a 15° medial wedge. The subjects’ EMG data for the gluteus maximus (Gmax), gluteus medius (Gmed) , tensor fasciae latae (TFL), biceps femoris (BF), vastus lateralis (VL), and vastus medialis oblique (VMO) were recorded, along with the surface EMG, and all were analyzed. The EMG activity of the Gmed and TFL had significantly decreased under the medial wedge condition during one leg standing. Further study is needed in order to investigate whether medial wedges influence the EMG activity and kinematic data of the knee and hip joints as well as the ankle joints in adults with flexible flatfoot, while they are performing one leg standing.

      • KCI등재

        TV매체에 재현된 한국사회의 모성실천

        황경아(Kyong-Ah Hwang),홍지아(Ji-A Hong)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2011 미디어, 젠더 & 문화 Vol.19 No.-

        본 연구는 모성은 하나의 사회적 구성물로서 한국 사회에서의 모성실천은 사회역사적 변화의 흐름 안에서 시대별로 형성된 모성담론에 의해 구체화된다는 점을 전제한다. 이러한 전제하에 오늘날 새로운 모성실천의 모습으로 등장하게 된 ‘슈퍼맘’이 TV 매체를 통해 재현되는 방식을 추적함으로써 우리시대가 요구하는 ‘슈퍼맘’이 기혼 직장 여성들에게 어떻게 새로운 억압기제로 작용하는지를 밝히고자 한다. 이를 위해 2009년 10월부터 현재까지 방영되고 있는 케이블 TV Story-On의 다큐멘터리 〈수퍼맘 다이어리〉에서 출연자의 직업별 분포현황을 고려하여 6편을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고 이에 대한 서사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TV매체에서 제안하는 ‘슈퍼맘’은 실천형이 아닌 이념형의 기준과 더불어 현실과 분리되어 있는 조건을 바탕으로 주인공 여성을 슈퍼맘으로 규정한다. 이때 프로그램의 서사전략은 직장과 가정의 양립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현실적인 문제를 최대한 축소ㆍ배제하고 있다. 동시에 성공적이고 행복한 슈퍼맘의 삶을 부각시킴으로써 슈퍼맘이 실현 가능한 것이자, 지향해야 할 이상적인 모성 실천의 모습으로 재현해 내고 있다. 이러한 재현방식은 기혼 직장 여성들의 현실적인 상황을 고려하지 않은 채 여성들에게 이상적인 모성 실천만을 강조함으로써 사회적으로 부여된 ‘모성을 가진 일하는 여성’으로서의 역할과 더불어 가부장제하의 모성이데올로기를 더욱 강화시키는 기제로 작용한다. This study suggests that motherhood is the social constructed virtue affected by social and historical background. We tries to the way how ‘supermom’, the new mothering model in 21st century is represented in TV media and how it works as a new pressure to working mothers nowadays. 6 episodes depending on their career categories are chosen from the shows from 2009 to today on the air. In result, we find that the TV-represented ‘supermom’ idealizes the certain type of woman as supermom and the standard seems unreal. The program minimize the possible troubles when a woman encounters when she works both as a mother and a professional and maximize the success and spotless happiness of limited supermoms. This study concludes that this certain way of representation isolates the working woman’s real troubles, idealize the perfect mothering of very limited number of women and supports the conservative motherhood ideology under patriarch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