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Temporal texture를 이용한 비디오 검색의 성능분석

        홍지수(Ji-Su Hong),김영복(Do-Nyun Kim),김도년(Yung-Bok Kim),조동섭(Dong-Sub Cho) 한국정보과학회 2000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7 No.2Ⅱ

        모든 물체의 표면은 독특한 성질을 보유하고 있으므로, 비디오 검색에 있어 텍스처는 형상이나 색과 더불어 중요한 변수로 사용될 수 있다. 비디오 검색에 있어서 중요한 것은 어떤 영상의 특징을 올바르게 추출하고 잘 분류하여 표현하는 것이다. Temporal texture는 무한한 시공간적 범위의 복잡하고, 추상적인 움직임 패턴도 특징화시킬 수 있으므로, temporal texture 패턴을 얼마나 잘 이용할 수 있느냐는 비디오 검색의 성능에 많은 영향을 끼칠 수 있다. 본 논문은 temporal texture의 서로 다른 특징을 가진 세 가지의 모델을 선정하여 비교한다. 특히, 특징 추출의 분류가 정확하게 이루어지느냐에 초점을 맞추어서 분석하였다. 분류의 성능은 두 가지 변수 즉, 어떤 성질의 모델이며 비디오 데이터인가에 따라 달라지게 된다. 이들 모델링이 분류하기까지 걸리는 시간의 차이는 무시할 수 있을 정도의 시간차이므로, 정확도를 위주로 성능을 분석했다.

      • KCI등재

        시스템다이내믹스를 활용한 사회주택공급 정책 분석연구

        홍지수 ( Hong Ji-su ) 한국시스템다이내믹스학회 2022 한국시스템다이내믹스 연구 Vol.23 No.1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mprehensively analyze the structure of social housing market and to investigate policy directions through dynamic simulation modeling.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in order for the social housing project to be implemented, financial support for the operating entity is a prerequisite. It is expected that the public will be able to play a role in lowering the barriers to entry for social housing projects through financial support. Secondly, after the social housing providers become financially stable, the focus of policy should shift from financial support to public-private cooperation. Lastly, the positive perception of social housing was not only a main factor to expand demand of the housing, but also an essential factor to prove the legitimacy of public support. Thus, efforts are needed at both policy and social structure aspects.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information on the direction of public-private cooperation in social housing policies.

      • KCI등재

        현대도예의 물성표현에 관한 연구

        홍지수 ( Ji Su Hong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5 기초조형학연구 Vol.16 No.2

        도자예술은 오랫동안 소재와 기법, 소성과 같은 기본적인 제작프로세스를 중시해온 분야다. ‘실용에서 예술로의 확장’을 꿈꾸었던 1950년대 현대도예가들은 도자예술의 재료와 프로세스를 해체함으로써 전통도예의 고정된 질서와 관습을 뛰어 넘고자 했다. 그러나 도자예술의 현대성을 향한 이들의 실천과 방법은 곧 한계에 부딪혔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1970년대 도예가들은 외부가 아닌 자신의 내부를 재탐색하고 재고함으로써 새로운 실천 방법을 찾았다. 이러한 새로운 물성 표현의 등장 배경에는 50년대 유럽과 일본 전위도예가들의 흙 실험과 70년대 등장한 환경운동과 대지미술이 자리 잡고 있다. 그러나 근본적으로 이들의 태동은 도자예술의 기본적인 재료와 제작 프로세스를 공예의 기능과 장식성으로부터 분리하고 도자예술 고유의 재료, 기술의 단계를 독립된 객관적 실체로 인식하고 재정립하려는 자성적 노력의 결과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70년대 이후 도자예술의 재료와 프로세스를 새롭게 정의하고 타진해온 현대도예의 새로운 물성표현에 주목하고자 한다. 세계 각국 주요작가들의 물성표현을 시기별로 고찰함으로써 이를 유형화하고 변모의 양상을 고찰하고자 한다. 결론적으로 70년대 이후 전개되는 현대도예의 물성표현이 도자예술의 재료와 프로세스를 독립된 객관적 실체로 해체하고 있으며 물질적 현상을 통해 세계를 투영해 내려는 현대도예의 변모된 방법과 지향을 드러내는 중요한 표현임을 확인하고자 한다. The basic process like materials, techniques, and firing has long been considered as important in ceramic arts. The ceramists in 1950s who were influenced by Avant-grade movement of contemporary arts dreamed ‘expansion from practical things to arts’ and they tried to go over fixed orders and convention of traditional ceramics by dismantling materials and process of ceramic arts. But they soon faced the limitation of their practices and ways for the modernity of ceramic arts. For the alternative, ceramic artists in 1970s found new practical methods by exploring again and reconsidering themselves inside rather than outside. New appearance of expressing materiality was influenced by Avant-grade ceramists in Europe and Japan in 1950s and environmental movement and land art in 1970s. However, the birth of materiality expression was the results of separating basic materials and process of ceramic arts from crafts function and decoration and also self-searching efforts for recognizing basic materials and technical steps of ceramic arts as independent and objective substance. Therefore, this study is focused on new expression of materiality in contemporary ceramic arts which has newly defined and tried materials and process since 1970s. The study considers patterns and aspects of transfiguration by looking into materiality expressions of major ceramic artists around the world by period. As a result, the study is to confirm that the materiality expression of contemporary ceramic arts since in 1970s dismantled materials and process of ceramic arts as independent and objective substance. and also important expressions of transfigured methods and directions of contemporary arts which has tried to reflect the world through a physical phenomenon.

      • KCI등재후보

        현대도예에 나타나는'차용'표현에 대한 연구

        홍지수(Hong, Ji-su) 한국조형디자인학회 2014 조형디자인연구 Vol.17 No.2

        포스트모더니즘 미술의 다양한 차용 표현들은 근본적으로 해체적 충동의 결과라는 점에서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패러디와 패스티쉬로 대표되는 현대미술의 차용 표현은 모더니즘의 독창성, 원본성에 대한 숭배에 도전할 뿐 아니라 이미지를 지시물에 일치시키고 총체화하려는 의지 자체를 부정하고 해체시킨다는 점에서 포스트모던 미술을 이해하는 중요한 재현행위로 간주된다. 이를 증명하듯 한계를 초월하여 넓은 영역을 횡단하고 결합하는 포스트모더니즘의 확대가 가속화될수록 고전회화부터 대중문화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매체의 재료와 기법, 형식, 주제를 횡단하며 현대미술의 새로운 이미지와 담론을 무한 생성하는 현대미술의 차용표현 역시 확산되고 있다. 현대도예 역시 패러디와 패스티쉬 등의 차용표현을 통해 옛 시대의 도자예술과는 확연히 다른 모습으로 진화하고 있다. 옛 도자예술이 오랜 시간동안 '기능을 가진 사물'로서 재료의 물성과 숙련된 기법에 천착해왔다면, 현대 도예가들은 전통도자의 도상 속에 내재된 조형어법과 규범, 역사, 문화, 이데올로기를 들여다보고 이를 다양한 소재와 기법을 통해 새롭게 해석함으로써 도자예술을 새로운 의미영역으로 이동시킨다. 이들의 차용표현은 신화, 미술사 등 고급문화부터 저급문화까지 다양한 분야의 이미지, 재료, 기법 등을 포섭하는데 하등 거침이 없다. 이러한 현대도예의 차용경향에는 타 장르와의 혼성, 이종교배를 통해 옛 도자예술이 고수해왔던 매체와 장르의 순수성을 파괴하고 그 안에 감춰졌던 맥락을 다시 회복으로써 도자예술 표현의 한계를 넘으려는 도예가들의 의지와 전략이 담겨있다. 결국 작가들의 다양한 미적 목표와 해석에 따라 모습을 달리하는 현대 도예가들의 차용표현은 현대도예의 지형을 확장하고 표현의 자유를 획득하는 중요한 표현이자 전략임을 알 수 있다. The diverse expressions of which Post-Modernism borrows have commons basically in the results of dissolving impulse. The typical borrowing expression represented by parody and pastiche is not only the challenge of creativity and authentication which modernism worships but also accordance with images to significatum and totalization which modernism denies and dissolves will itself, which is considered as reappearance of understanding the art of Post-Modernism. Like proving it, as the expansion of Post-modernism of transcending limitation, traversing large areas and combining accelerates, the borrowing expression of modern art which transfers materials, techniques, forms, subjects and unlimitedly creates new images and argument of modern arts and spreads. Under the expansion of borrowing expression by modern arts, modern art also is evolving into different form clearly with old ceramic arts through borrowing expression like parody and pastiche. If old ceramics has strived for skillful techniques and property of matter in materials as objects with functionality for long time, modern ceramists move to newly meaning areas not only by looking into modeling methods inherent in icons of traditional ceramics and norms, history, culture, ideology but also by newly interpreting through diverse objects and techniques. It is exorable that the varied images add from myth, art history, high and low culture and diverse material and techniques combine. Will and strategy of ceramic artists who try to go over limitation are contained that the borrowing trend of modern art demolishes pureness of media and genre by mixing and crossbreeding and recovering context hidden inside. The borrowing expression of modern artists who differentiate figures by esthetic target and interpretation can be seen important that the area of modern ceramic arts enlarges and the freedom of expression is acquired.

      • KCI등재

        이강효의 《분청 퍼포먼스》에 관한 연구- 공예작업의 물성표현과 사물놀이 장단을 활용한 신체 리듬의 확장-

        홍지수(Hong, Ji-su) 한국조형디자인학회 2018 조형디자인연구 Vol.21 No.4

        최근 한국 현대도예의 전통미술에 대한 재탐색은 정확한 형태로 존재하거나 드러나는 가시적(可視的) 형식보다 이면에 내포된 심미적(審美的) 의미와 맥락을 궁구하여 새롭게 변용하는 것에 더 중점하고 있다. 따라서 ‘전통의 변용과 재창조’는 옛 재료나 기술, 형식에 국한되지 않고 새로운 예술의 개념과 표현을 추구하기에 재료, 방법, 매체를 구분 짓지 않는 다양한 통섭적 시도가 두드러진다. 이 중에서 이강효의《분청 퍼포먼스》는 사물성과 실용성을 중시하는 전통 공예의 방법을 따르고 있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옛 분청이 지닌 자유스러움과 자연 분방함 등 범자연주의를 지향하는 한국공예의 특질에 한층 가까이 다가가고 있다는 점에서 특히 주목할 만하다. 이강효는 옛 분청 특유의 자유분방함과 즉흥성, 생동감의 원천을 공예가가 오랫동안 작업하며 체화시킨 탈의식화된 리듬과 감각에서 찾고 풍물, 굿거리 등 한국의 전통음악을 재해석한 사물놀이의 장단을 접목하여 분청 퍼포먼스라는 새로운 미술 형식으로 확장한다. 이강효의《분청 퍼포먼스》는 ‘결과’보다 ‘사건’이 중요한 과정예술을 지향한다는 점에서 서양미술의 해프닝이나 추상표현과 유사성을 갖고 있다. 또한 《분청 퍼포먼스》의 물성표현은 재료의 본성을 존중한다는 점에서 1960년대 한국 개념미술을 모태로 1970~80년대 물성과 신체의 관계를 탐구해온 한국 현대회화와의 시각적 유사성이 보인다. 하지만 이강효의 퍼포먼스 작업은 물질과 행위를 매개로 삼은 자기 환원에 관심이 있기보다 한국미술을 배태해온 장인들의 공예적 태도와 자연과 내가 기(氣)로 연결되어 있다는 동양적 사고의 맥락 속에서 확장된 것이다. 이강효가 리듬을 매개로 옹기나 분청 같은 전통공예의 수법과 사물놀이 장단을 활용하는 것은 전통에 근간해 새로운 것을 만들어내는 작가의 방법을 확인해준다. 이를 입증하기 위해 본 연구는 이강효의 분청 퍼포먼스의 가장 큰 특징을 공예작업에 바탕을 둔 물성표현과 신체 리듬의 확장으로 보고 미적 특질을 규명하고자 한다. 첫째, 서구 개념미술 및 한국 단색화의 물성과 신체성을 이강효의 물성표현과 비교 분석하고 둘째, 이강효의 분청 퍼포먼스가 지닌 미적 특질과 독자성을 주장하기 위해 그가 공예작업에서 체화된 리듬과 감각을 사물놀이 장단과 융합하는 이유를 궁구해보고자 한다. In recent years, the expressions of Korean contemporary ceramics has focused on devising and transforming the aesthetic meanings and contexts contained in the inside rather than visible forms of traditions existed and revealed in the exact forms. They are seeking the definitions and expressions of new arts, not limited to old materials, techniques, and forms in the transformation and re-creation of tradition, and so various consilient attempts are also increasing. In particular, Lee Kanghyo s Buncheong Performance draws attention that he is more approaching to characteristics of Korean crafts which has pursued the naturalness and unrestrictednes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Buncheong, even thought he does not follow traditional craft methods which have considered objecthood and practicality as important. Lee Kanghyo expands into a new art form called Buncheong Performance while he seeks the free-spiritedness and impromptu liveliness of traditional Buncheong in the de-conscious rhythm and sense that the craftmen have accumulated for a long time as well as he grafts the rhythm of Samulnori that is reinterpreted Korean traditional music like Pungmul, Gutgury rhythm, etc. Lee Kanghyo s Buncheong Performance has similarity with the happening or abstract expression of Western art from the point that he pursues process art that event is more important than result. In addition, since the expression of material property of Buncheong Performance respects the nature of materials, it shows the visual similarity with the Korean contemporary painting, which has explored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ial property and the body in the 1970s and 1980s on the basis of Korean conceptual arts in the 1960s. However, instead of being interested in self-reduction through materials and behaviors, Lee Kanghyo s performance work is expanded in the context of the craft attitude of the craftsmen who have made Korean art and the oriental thoughts that nature and I are connected with Ki. Utilizing the technique of traditional crafts such as Onggi and Buncheong and Samulnori rhythm, Lee Kanghyo confirms the artist s method of creating new things based on tradition. In order to prove this, this study seeks to identify the aesthetic qualities of Lee Kang hyo s “Bungcheong performance” as the expansion of material property expression and body rhythm based on craft work. This study, first, analyzes the material property and corporality of Western conceptual art with Korean monochrome painting. Second, In order to disclose the aesthetic qualities and uniqueness of Lee Kangyo’s “Bungcheong performances”, it attempts to find the reasons why he integrates the rhythm and sensation embodied in craft work with the Samulnori.

      • KCI등재

        2000년대 이후 한국도예에 나타난 “달항아리”의 해체와 변용

        홍지수 ( Ji Su Hong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5 기초조형학연구 Vol.16 No.5

        본 연구는 토착적 철학과 인프라의 부재에도 불구하고 끊임없이 격식과 전례에 영향을 받지 않은 새로운 것을 창조해온한국 도예의 의지와 실험정신을 전위로 상정했다. 한국 도예는 일제의 압제와 한국전쟁으로 야기된 토착적 철학과 인프라의 부족을 해결하고 오늘을 비추는 새로운 예술형식이 되기 위해 전통이 지닌 가능성과 가치를 믿었고 의지했다. 한국도예가들에게 전통은 언제나 한국적 미의식을 새로운 도자예술의 형식으로 도출하는 무한한 영감과 아이디어의 보고였다. 이러한 한국 현대도예가들의 전통의 인식과 재창조는 90 년대 분청에 집중되어 있었으나 최근 백자 달항아리의 해체와 변용으로 확대되고 있다. 2000 년대 이후 한국도예계에서 활발히 재해석되고 있는 달항아리의 해체와 변용은 한국현대도예가 전통의 재해석과 새로운 계승 그리고 현대성이라는 화두를 실천하는 과정에서 오랫동안 해결하지 못한 묵은관습과 잘못된 관행, 미술제도와 자본의 종속에 대한 문제시와 저항이 두드러진다. 본 연구는 2000 년대 이후 한국 도예계에서 나타난 새로운 유형의 달항아리의 해체적 표현에서 발견되는 위반을 통한 새로운 확장을 전위의 관점에서 분석하고자 한다. 이로써 지금 한국 현대도예에서 전통은 단순히 차용을 위한 형식적 소재나 노스텔지어적 모방과 추종의 대상이 아니라 첫째, 반세기 한국 현대 도예가 일구어 온 창작의 질과 형태에 대한 비판적 시선이 가장 우리다운 조형어법으로드러나는 지점이며 둘째, 도자예술의 범주 혹은 영토의 안과 바깥을 문제시하고 현재의 도자예술을 앞으로 나아가게 하는 중요한 원동력으로서 전위가 작동하는 현장임을 밝히고자 한다. The study brings in the will and experimenting spirit of Korean ceramics as the Avant-garde. Korean ceramics have created new things which are continuously unaffected by formality and precedent while there was no aboriginal philosophy and infrastructure. The Korean ceramics have solved the deficiency of aboriginal philosophy and infrastructure caused by oppression of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Korean War and they believed and relied on possibilities and values of traditions for new artistic forms which reflect today. The tradition has always a rich source of inspiration and idea to draw new forms of the Korean aesthetic for Korea ceramists. The realization and reinvention of tradition of Korean contemporary ceramic artists were focused on Buncheong in 1980s but they are recently being expanded dismantle and transformation of white porcelain(Moon jar). The dismantle and transformation of Moon jar have been actively reinterpreted since 2000s in Korean ceramic world and resistance on unsolved and wrong custom and problems of subordination to arts system and capital stands out in the process that Korean ceramic arts reinterpret tradition and succeed to it and fulfill the topic of modernity. The study is aimed at analyzing a new expansion found in the dismantled expressions of new styled Moon jar since in 2000s in Korean ceramics. Therefore, the study shows that tradition of Korean contemporary ceramics is not formal material or object of nostalgic imitation and following but first, it is an exposing spot as our formative expressions on a critical view on quality and formality of creation which Korean contemporary ceramics have cultivated, second, it operates as the Avant-garde of important driving force which brings into questions about category of ceramic arts or in and out of its territory and makes ceramic arts move forward.

      • KCI등재

        1990년대 이후 한국 현대도예의 전통분청의 재해석과 변용

        홍지수 ( Hong Ji Su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6 기초조형학연구 Vol.17 No.5

        한국 도예가들에게 전통은 단순한 소재가 아니라 작가자신의 정체성을 드러내는 일이며 서구 현대미술의 방법과 언어를 대체할 대안의 실마리를 내부에서 찾겠다는 의지의 실천이다. 한국도예가 줄곧 전통을 화두 삼아온 배경에는 시대적 파고 탓에 우리의 독자적, 토착적 철학을 올바로 세우지 못했고 그에 근간하여 우리 삶의 지향과 필요에 부합하는 도자전통의 해석과 변용을 온전히 도모하지 못했다는 반성이 있다. 이러한 자성을 바탕으로 1990년대부터 한국 도예계에는 옛 분청의 소재와 기법을 현대적 미로 새롭게 치환하려는 시도가 등장했다. 한국 분청의 새로운 해석과 변용의 배경에는 고려청자와 조선 백자와 다른 분청 특유의 회화성, 추상성, 자연스러움, 자유분방함, 소박함, 해학 등이 현대가 지향하는 조형미와 맥이 닿은 이유도 있겠지만 1970년대 이후 한국 현대도예가 마주한 급격한 창작 패러다임의 변화와도 관계한다. 첫째, 1970년대 이후 본격적으로 대학을 중심으로 이뤄진 작가 육성 및 인프라 등 외연 확대로 우리 스스로 한국적, 민족문화에 대한 의식과 요구가 증대되었고 둘째, 과거 도자전통의 접근과 해석에 대한 회의와 반성이 일기 시작했으며 셋째, 1980~90년대 서구현대미술의 형식에 영향을 받은 도조 제작에 대한 회의와 반발로 우리의 토착성과 정체성을 바탕으로 한 새로운 조형형식에 대한 요구가 생겨났다. 본 연구는 한국도예가 처한 시대와 정체성, 한국미에 대한 도예인들의 변증법적 모색이 1990년대 한국도예의 새로운 분청 해석의 중요한 동기라고 가정하고 2장과 3장에서 1990년대 이후 한국 도예가들이 왜 분청을 전통의 변용과 해석의 대상으로 삼았는지 배경과 근거를 살피며, 4장에서 대표 작가들의 표현을 분석하여 몇 가지로 표현을 유형화시켜보고자 한다. 이로서 1990년대 이후 한국 현대도예의 분청해석의 궤적과 표현의 특질을 가늠해보고자 한다. Korean ceramists have not only considered the tradition as the expression of identities of writers`` spirits rather than a simple subject but also fulfillment of their strong will to seek for alternatives for methods and languages of western modern arts. There are reasons why Korean ceramics has taken the tradition as a topic that, on the background, we had not made our own independent and native philosophy for a period of turbulence and so, we had self-questioning that we had not corresponded reinterpretation of ceramic tradition and ceramic transformation with orientation of our lives and besides, we had had a strong faith on the power of the tradition as an alternative for the western world. But It started that materials and methods of old Buncheong would be newly replaced with modern beauty after 1990s in Korean ceramics. It is said that the backgrounds of new interpretation and transformation of Buncheong , differently from Koryo celadon and Joseon Porcelain, are its unique nature of paintings, abstractness, naturalness, simplicity, and humor which have something in common with formative aesthetic of contemporary arts but they are more related with changes of new creation paradigm which Korean contemporary ceramics faces. First, consciousness and demands of Korean and national culture ourselves have increased since extensional expansion like fosterage of ceramists and infra-structure conducted centrally by universities in 1970s, second, skepticism and self-reflection on old approach and interpretation of traditional ceramics started and third, the demand of new formativeness based on indigenousness and identity emerged, which were followed by skepticism and repulsion of ceramic sculpture influenced by Western contemporary arts in 1980s to 1990s. This study shows that the dialectical groping of ceramists on the era and identity which Korean ceramics faces is an important motivation of new interpretation of Buncheong in Korean ceramics in 1990s. Chapter 2 and Chapter 3 say background and grounds on why Korean ceramists took Buncheong as an object of transformation and interpretation of the tradition and Chapter 4 shows analysis on the expressions of representative ceramists and their formalization with several ways. With this, the study intends to analyze the trances of interpretation and characteristics of expression of Buncheong after 1990s.

      • KCI등재

        3D 프린터를 이용한 도자공예 제작에 관한 연구

        홍지수(Hong Ji Su) 한국조형디자인학회 2016 조형디자인연구 Vol.19 No.2

        3D프린터의 새로운 조형성과 생산성에 대한 도예계의 관심과 기대가 뜨겁다. 도자와 3D프린터가 결합한지 채 10여년이 되지 않았지만, 전 세계 도예가 및 관계 기관들이 무서운 속도로 3D프린터의 기술과 재료를 개발하고 많은 결과들을 만들고 있다. 이들의 기술적 진보와 성과를 공유하고 3D 프린터가 도자공예와 우리 삶에 가져올 영향과 미래를 고민하기 위한 전시 및 담론 역시 활발히 진행 중이다. 3D프린터는 18세기 말 산업혁명이후 공예와 결합했던 수많은 기계생산수단의 계보를 잇고 있다. 본 연구는 최신 하이테크 생산기술인 3D프린터의 역량과 영향력이 지난 산업사회의 기계생산수단들과 비교할 수 없을 만큼 강력하다는 점에 주목한다. 본 연구는 3D프린터와 도자공예 관계 맺기가 비교적 최근에 일어나고 있는 현상이라는 점과 진화중이라는 점을 고려하여, 2장에서 3D프린터와 도자공예의 접목과 국내외 사례를 먼저 살펴보고자 한다. 3장에서 3D프린터로 대표되는 디지털 제조방식과 도자공예의 융합이 갖는 의미와 3D프린터로 만든 공예품이 우리 삶에 미칠 영향과 의미를 탐색하고자 한다. 이로서 3D프린터의 사용과 확산에 임할 공예가들이 가져야할 의식과 태도 즉, 기존 도자공예가 가진 철학적 가치와 사회적 역할을 지키고 회복하면서도 도예가들이 새로운 디지털 제조방식을 어떻게 활용하고 발전시켜야 할지 미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3D printer draws attention of the potter’s arts on new formativeness and productivity. It has passed 10 years at most since ceramic and a 3D printer was combined each other but ceramists, designer and institutions have developed materials and technologies of a 3D printer and they have presented many projects. Prohibitions and discussions of sharing progress and development of 3D printer and considering the effects of our future are actively under way. A 3D printer succeeds many machine tools which were combined with crafts after the end of 18th century. This study shows that a 3D printer of cutting edge technology is likely to influence our lives as well as potter’s arts which are very powerful indescribably. For that, the chapter 1 and 2 of this study look at integration of a 3D printer and craft as well as domestic and foreign cases while considering that the combination of a 3D printer and craft happens recently and is progressing. The chapter 3 attracts attention of modern craft discussion which have dealt with the meaning and changes which have been brought by the combination with machine tools and craft since the 18th century. On the basis of that, the study tries to observe, the meaning of integration between digital manufacturing ways and ceramic crafts, third, effect of crafts made by a 3D printer on our lives. Therefore, the study tries to suggest the future direction about how ceramists use and develop new digital manufacturing ways while they keep and recover philosophical values and social roles in connection with the expansion of a 3D printer usage.

      • KCI등재

        친수공간개발의 물리적 계획요소가 인접지역에 미치는 영향 분석

        홍지수(Hong, Ji-Su),배주은(Bae, Ju-Eun),김종구(Kim, Jong-Gu) 한국도시설계학회 2016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17 No.6

        본 연구는 친수도시 에코델타시티 개발 계획요소가 인접지역의 공간 및 물리적 시설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예측하였다. 가설설정으로 첫째, 친수도시가 조성됨에 따라 하천을 공유한 인접지역에 공간 및 물리적 파급효과를 가져오며, 둘째, 직접영향권과 간접영향권을 구분하여 각각에 대한 영향을 미치는 요소 차이가 있을 것으로 예상하였다. 가설의 검증결과 인접지역으로의 공간 및 물리적 시설에 있어 상당한 영향이 있을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접영향권과 간접영향권으로의 영향 요소는 차이를 보였다. 명지신도시에는 국제업무지구 및 상업 · 업무지역과 연계한 접근성이 높은 교통계획이 요구되며 녹색교통망과 복합적 교통로를 확충해야 한다. 사상지역의 스마트시티 재생사업과 같은 노후공단 재생시, 에코델타시티 내 산업단지와 연계한 산업클러스터 구축이 필요하다. 또한 광역교통망 계획 수립이 상호 발전에 중요한 요소로 작용됨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the effect of the development factor of a water - friendly city, the Eco Delta City on the spatial and physical change of adjacent areas. Hypothesis : 1) As a water-friendly city is constructed, spatial and physical ripple effects are brought about in adjacent areas sharing rivers. 2) it is expected that there will be significant differences in factors that affect each of the direct impacts and indirect impac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spatial and physical facilities to the adjacent area, and the factors resulting direct and indirect influences were different. For Myeongji new town, highly accessible transportation plans linked with international business districts and commerce and business areas are required, and green transportation networks and complex transportation routes should be expanded. It is necessary to construct an industrial cluster linked to industrial complexes within the Eco Delta City when revitalizing the old industrial complexes such as Smart City renewal project of Sasang area. In addition, it is found that the metropolitan transportation network planning is important.

      • KCI등재

        인터비주얼(Intervisual) 과정을 적용한 탐구적 미술비평 지도 방안

        홍지수(Hong, Ji-su),류재만(Ryu, Jea-Man) 한국미술교육학회 2014 美術敎育論叢 Vol.28 No.2

        인터비주얼 과정 (Intervisual Process) 은 카렌 키퍼보이드(Karem Keifer-Boyd)와 메이트랜드 골슨 (Maitland Golson) 이 『Engaging Visual Culture』에서 제안한 모델로, 시각문화 자체와 역사적, 정치적, 사회적 맥락 사이의 상호작용 및 감상자가 보는 관점, 제작자의 의도 사이의 상호적이거나 때로는 상충되는 요소를 아울러 포함한다. 기존의 미술 비평 수업이 작품과 작가 위주의 검토에 머물렀다면 인터비주얼 과정을 활용한 탐구적 미술 비평은 감상자 중심의 비평을 강조하며 다양한 비평의 관점을 제시할 수 있다는 차이점이 있다. 학습자들은 작품, 제작자, 감상자 측면의 탐구를 통하여 작품과 작가 및 맥락에 관한 문제를 스스로 선택하여 해결할 뿐 아니라, 감상자 자신에 대한 탐구까지 이루어짐으로써 자신과 자신의 삶에 대하여 더 잘 이해할 수 있게 된다. 본 연구는 인터비주얼 과정의 각 요소들(작품, 작가, 감상자, 그리고 이것들에 관여하는 맥락)을 탐구의 과정으로 해결하는 미술 비명 지도의 방법을 모색하고 그 효과를 밝히려는 시도이다. 이를 위하여 단계적 미술 비평과 탐구적 미술비평 수업 및 인터비주얼 과정과 각 요소에 관한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탐구적 미술비평 수엽의 과정 안에 인터비주얼 과정을 활용한 비명 수업을 고안하여 초등학교 5학년 한 반에 직접 적용하였다. Intervisual Process, suggested by Karen Keifer-Boyd and Jane Maitland Golson's 『Engaging Visual Culture』, include visual culture, historical, political, social and economical interactive context, the perspective of viewer and the intention of the artists. It also contains collisions and interactions of each element. While current art criticism education only covers the artworks and the makers, new pedagogy utilizing intervisual process emphasizes appreciator-centered criticism. In this method, students are encouraged to solve the problems about the artworks, the makers and the context for themselves, thus understand their own lives. This study tries to suggest instruction techniques in art criticism using elements of Intervisual Process(artworks, maker, viewer and contextual interaction among these elements) an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techniques. To come up with optimal teaching method in art criticism with intervisual process, the researcher has completed literature review of each stage of criticism and each element of the Intervisual Process as inquiry research. Based on this research, art criticism instruction process is suggested with intervisual process applied to criticism inquiry of G. Geahigan. This teaching method had been applied to a class of 5th grad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