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역기업 네트워크의 공간적 특성과 기술혁신: 혁신클러스터론의 비판적 검토

        홍장표(Hong Jang Pyo) 한국사회경제학회 2006 사회경제평론 Vol.- No.26

        본 연구에서는 지역기업 네트워크의 공간적 특성이 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참여정부 신산업정책의 토대인 혁신클러스터론을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이를 위해 부경대 지역사회연구소의 「2005년 동남권 사업체 기술혁신조사」 자료로부터 487개 표본기업을 추출하여 거래네트워크와 기술협력네트워크의 공간적 특성이 기술혁신에 미치는 영향을 계량모형을 통해 분석하였다. 실증결과 거래네트워크의 공간적 특성에 관해서는 지역을 초월한 광역 네트워크를 맺는 기업이 지역내 국지적 네트워크에 의존하는 기업보다 혁신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기술협력 네트워크의 공간적 특성에 관해서는 지역내 기업간 수평적 협력네트워크를 중시하는 혁신클러스터론의 주장과 달리 지역내 수평적 네트워크는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반면 수직적 하도급네트워크와 역외 동종업체와의 협력네트워크가 지역외부의 지식을 지역 내부로 전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로부터 지역의 내생적인 혁신역량 축적과 기업간 수평적협력 네트워크의 형성을 주장하는 혁신클러스터론과 이에 근거한 정부의 지역산업정책은 혁신자원이 취약한 지역에서는 현실 정합적인 정책대안이 되기 어렵다는 결론을 도출하고 있다. 이에 따라 혁신클러스터 정책이 유효성을 갖기 위해서는 혁신자원이 수도권에 집중된 공간적 불균등 구조의 해소를 필요로 한다는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The innovative cluster approach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increasing returns to scale as crucial to the formation of locally based advantages. It also draws attention to the endogenous character of these advantages which are created in a particular place. The key claim of cluster approach is that the increased emphasis on tacit knowledge makes spatial proximity more important. But much of the literature fails to adequately ground its arguments in empirical inquiry and also tend to underemphasize the importance of wider extra-local networks. This study tried to examine the effect of spatial distribution of external linkages on the technological innovation of small and medium-sized firms. Based on a sample of 487 firms in Korean southeast region, this study considered the innovation-related collaboration and spatial distribution of firm linkages as the determining factors of technological improvement. With regards to the spatial distribution of production and marketing linkages, innovative firms are significantly more likely to be extra-locally networked. And technological licensing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both product and process innovation. It shows that external connections to the global economy play an important role in sustaining competitive advantage. With regards to the spatial distribution of collaborative linkages, it shows that cooperaton between manufacturer and their suppliers increased and the large flagship firms play a critical role on channeling external know-how and information to local firms. In contrast, bilateral horizontal cooperaton within local firms are low and does not contribute to the technological performance. These results confirm the idea that firms that depend on regional knowledge bases do not receive sufficient knowledge and information inputs to outperform their competitors.

      • KCI등재

        한국 제조업체의 해외직접투자가 숙련수요에 미치는 영향

        홍장표(Hong, Jang-Pyo) 한국사회경제학회 2012 사회경제평론 Vol.- No.39

        글로벌화가 숙련수요에 미치는 영향은 각국 노동시장의 제도적 특성에 따라 다르다. 본 연구에서는 전기‧전자산업과 자동차산업 해외투자기업 197사의 1999-2010년 패널자료를 이용하여 한국 제조업체의 해외직접 투자가 국내 숙련수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실증분석에서는 숙련수요 변화를 기업의 평균임금 비율 변화로 측정하고, 시스템 GMM 추정법으로 동태패널 노동수요 모형과 평균임금비율 모형을 추정하였다. 실증결과, 해외투자가 국내 모회사의 생산직 고용을 감소시키고 비생산직 고용을 다소 늘렸지만 숙련수요 변화를 반영하는 평균임금비율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는 노동집약적 생산활동의 해외이전으로 생산직 고용은 감소하지만 고숙련 노동 고용은 증가하지 않는다는 것을 시사한다. 이 결과는 개도국 해외투자가 국내 숙련수요를 고도화시킨다는 신고전파적 접근의 수직적 FDI모델로는 설명되지 않으며, 대립적 노사관계와 숙련보다는 기술을 중시하는 혁신전략 등 한국 제조업 노동 시장의 제도적 특성을 반영한다. This paper estimates relative labor demand equation based on the panel dataset containing 11 years' of data on 197 Korean electronics and automobile firms. It tests the effect of outward foreign direct investment on the demand for skills in parent company during 1999-2010 period. Empirical result shows that outward FDI in lower wage countries has a significant negative impact upon the demand for productive workers and positive impact upon the demand for non-productive workers in the parent company. But the demand for less-skilled, high-skilled labors in the parent company does not seem to be influenced by outward FDI. This finding is inconsistent with the models of vertical FDI in which outward FDI contribute to skill upgrading at home country. Across all specifications, measures of outward FDI have insignificant effect on demand for skills under technology-oriented innovation strategies and antagonistic labor relations in Korean manufacturing firms.

      • KCI등재

        해외직접투자의 경제적 효과 분석

        홍장표(Jang-Pyo Hong) 한국경제발전학회 2008 經濟發展硏究 Vol.14 No.1

          본 연구는 전자산업과 자동차산업 해외투자기업 454사의 2000-2006년간 패널자료를 이용하여 해외직접투자가 본국 무역에 미치는 경제적 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해외투자가 본국 무역에 미치는 효과는 최종재 수출대체효과, 중간재 수출유발효과, 역수입효과로 구성되며, 이 세 효과가 작용한 결과 무역수지가 개선되고 있음을 밝혔다. 둘째, 무역수지개선 효과를 유발한 요인이 선도기업과 추종기업이 다른데, 선도기업은 수요보완성과 생산보완성에 따른 최종재와 중간재 수출증가, 추종기업은 선도기업과의 생산보완성에 따른 중간재 수출 증가에서 비롯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FDI의 무역수지개선효과는 투자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감소하는데, 전자산업에서는 현지부품조달 확대에 따른 중간재 수출감소, 자동차산업에서는 현지생산 부품의 국내 역수입 증가 때문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동반진출기업의 역수입이 매우 빠르게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BR>  전자산업과 자동차산업 FDI의 무역수지개선효과는 중간재 수출유발효과에 따른 것인데, 현재와 같은 중간재 현지조달과 역수입 증가 추세가 계속된다면 무역수지개선효과가 감소하면서 제조업 공동화 현상이 나타날 것으로 추정되었다. 이로부터 제조업 공동화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부품소재산업의 고부가가치화를 위한 구조조정을 서둘러야 한다는 정책적 시사점을 얻고있다.   This paper investigates the influence of offshore production by Korean electronic and automobile firms on the firm trade balance and domestic production. I used a panel dataset containing 7 years" of data on 454 Korean manufactures and 1,096 overseas production affiliates to analysis the effect of direct investment abroad on exports and imports.<BR>  Firms who increased their manufacturing investment overseas also tends to increase exports and imports. The relationship, however, varies across firms. Leading firms were able to expand both final and intermediary goods export. Subcontractor firms export intermediary goods more by supplying the manufacturing plants of their parent firms, but export final goods less. Those firms that are unlikely to supply to the manufacturing plants of their parent firms expand import from foreign affiliates.<BR>  I also find that foreign affiliate productions in low-income countries raise both domestic exports and imports. The positive effect of FDI on intra-firm trade, however, diminishes as investment shifts towards high-income countries, such as EU and North America. The positive effect of FDI on trade balance diminishes as the years of operating experience increase. It shows the possibilities that foreign production and imports of goods from foreign affiliates displace domestic production.

      • KCI등재

        한국 제조업 해외직접투자와 기업내 무역의 국내 고용효과 분석

        홍장표(Hong Jang Pyo),문영만(Moon Young Man) 한국사회경제학회 2017 사회경제평론 Vol.30 No.2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제조업체의 해외직접투자가 국내 고용에 미치는 영향을 기업내 무역과의 관련성 속에서 분석한다는 국제산업조직론의 접근에 입각하여 통계청 기업활동조사(20082014)의 기업내 무역 자료를 활용하여 FDI의 유형을 수평적 FDI와 수직적 FDI, 양자가 결합된 복합 FDI으로 구분하고 유형별 모회사의 고용구성과 총고용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FDI가 생산직과 비생산직 고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세 유형의 FDI가 모두 생산직 고용을 감소시키고 비생산직 고용을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영향을 미치지만 그 영향력은 수직적 FDI에서 가장 크고 그 다음이 복합 FDI이고, 수평적 FDI의 영향력은 가장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모 회사의 총고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기업내 무역을 동반하지 않은 수평적 FDI는 모회사의 고용을 감소시키는 반면, 기업내 수입이나 수출을 동반하는 수직적 FDI나 복합 FDI는 모회사 고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 고용감소효과를 상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부터 2008년 글로벌 경제위기 이후 우리나라 제조업의 해외투자가 국내 고용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지만, 기업내 무역의 상쇄효과가 작용하여 고용 감소폭이 줄어든 것으로 파악된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해외투자는 선진국과 개도국이라는 투자대상국의 특성에 따라 상이한 영향을 미친다는 전통적 접근과는 달리 다국적 기업 내부에서 이루어지는 기업내 무역의 패턴에 따라 해외투자가 국내 고용에 상이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실증적으로 뒷받침하고 있으며, 해외직접투자가 유발하는 기업내 무역 패턴을 고려하지 않는 경우 잘못된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는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Does outward foreign direct investment (FDI) substitutes domestic jobs? Using 20082014 firmlevel panel data for Korean manufacturing firms, we estimate the impact of changes in FDI and intrafirm trade between parent firm and foreign affiliates on the home country employment, controlling for changing demand conditions and technological change. We show that the motive for FDI and consequently the intrafirm trade between parent firm and foreign affiliates significantly affect the impact of FDI on parent employment. Before controlling for the degree of intrafirm trade, we find that FDI substitutes domestic employment. However, for parents that trade significant amounts of goods with affiliates for further processing or resales, foreign and domestic employment are complements. These offsetting effects are combined to show that FDI by Korea based multinationals is associated with a quantitatively small decline in manufacturing employment.

      • KCI등재

        산업의 기술체제 특성이 지식전파와 기술혁신에 미치는 영향

        홍장표 ( Jang Pyo Hong ) 기술경영경제학회 2010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Vol.18 No.2

        본 연구에서는 산업의 혁신패턴이 기술체제에 좌우된다는 산업별 혁신체제론적 접근에 따라 산업의 기술체제 특성이 지식전파와 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과학기술정책연구원의 「2008년 기술혁신활동조사: 제조업」DB 자료를 이용하여 기술체제에 따라 산업을 분류하고 계량모형을 이용해 지식외부성의 원천과 지식전파가 유발하는 기술혁신을 산업별로 분석하였는데,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적·암묵적 지식기반 산업에서는 일반적·명목적 지식기반 산업과 달리 기업의 혁신성과가 입지특성으로부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고기술-특수적·암묵적 지식기반 산업에서는 연구개발자본이 풍부한 지역, 저기술-특수적·암묵적 지식기반 산업에서는 동종산업의 집적도가 높은 지역에 입지한 기업일수록 제품혁신이 활발하였다. 둘째 제품혁신을 선도적 혁신과 추종적 혁신으로 구분하여 지식전파가 유발하는 혁신수준을 산업별로 알아보았는데, 저기술산업에서는 외부로부터 전파된 지식이 선도적 혁신과 추종적 혁신을 유발하고 고기술산업에서는 추종적 혁신만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분석결과로부터 지식외부성의 원천과 지식전파가 유발하는 기술혁신의 수준은 산업의 기술체제에 따라 다르며, 지역산업 클러스터정책은 산업의 기술체제 특성을 감안해 모색할 필요가 있다는 함의를 얻고 있다. This paper aims to analysis sectoral innovation patterns of technological innovation and localized knowledge spillover in Korean manufacturing sector. Sectoral innovation system approach proposed that the specific pattern of innovative activity and knowledge spillover in an industry can be explained as the outcome of different technological regimes. Technological regime is defined by the particular combination of technological opportunities, appropriability of innovations, cumulativeness of technical advances and properties of the knowledge base. Based on a sample of 2,882 firms in manufacturing sector, this paper provides empirical estimates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firm`s product innovation and localized knowledge spillover. Results of the analysis provide considerable support to the hypothesis that firm`s product innovation and localized knowledge spillover are related to the nature of the underlying technological regime. In the industry based on the tacit and specific knowledge, firm`s product innovation is positively related to the localized knowledge spillover. This paper also shows that high stability in the ranking of innovators are related to high degrees of cumulativeness and appropriability.

      • KCI등재

        조직문화 특성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홍장표(Jang Pyo Hong),박기찬(Ki Chan Park) 피터드러커 소사이어티 2016 창조와 혁신 Vol.9 No.2

        본 연구는 집단 내의 재집단화 즉, 조직문화와 연고주의라는 문화 이중구조 상황이 조직효과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실증연구이다. 일반 및 공공기관에 근무하는 직장인을 대상으로 조직문화와 조직효과성 사이에서 연고주의의 조절효 과에 대해서 검증하였다. 실증연구결과 조직문화는 조직효과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문화와 조직효과성 사이에서 연고주의의 조절효과는 혈연과 학연에서는 나타나지 않았고, 지연, 직연, 종교연에서 일부 조절효과가 있 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고주의의 조절효과는 직무만족과 조직몰입 보다는 집단성과인식에 더 많은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조직구성원들의 가치관, 태도 및 행태는 조직문화의 일방적인 영향을 받기보다는 사회・문화영역인 연고주의의 영향이 조직내부에서도 작용할 수 있다는 점을 실증연구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었다. 향후 조사대상과 지역을 다양화한 연구가 이어 진다면 조직문화와 연고주의의 문화이중구조가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일반적 이론 정립에 상당한 도움이 될 것이다. The competing values framework of organizational culture typology is widely considered to incorporate those processes that enable to sustain organization effectiveness. In this study, we argue theoretically and demonstrate empirically that these effects are contingent on nepotism in individuals. Data from both public and private firm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Results from statistical analyses indicate that organizational culture typology positively affects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Favoritism by a job relationship as a part of nepotism affects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negatively. Further, favoritisms by a hometown relationship, a job relationship, and religious relationship partially moderate the direct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ulture typology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addition,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nepotism demonstrated stronger on recognition of their collective achievement than on their job satisfaction or organizational commitment. This study also focused that the values, attitudes and behaviors of organizational members are affected by the nepotism as a social and cultural subject, than unilaterally affected by the organizational culture. The study provides several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further research.

      • KCI등재

        대기업 성장의 국민경제 파급효과

        홍장표(Hong, Jang Pyo),장지상(Chang, Ji Sang) 한국경제발전학회 2015 經濟發展硏究 Vol.21 No.2

        본 연구에서는 한국기업데이터(주) 2011년도 DB에서 제공하는 54,114사 기업간 거래 자료를 이용하여 기업간 연결망을 분석하고, 대기업의 성장이 협력기업의 성장을 통해 국민경제의 생산과 고용에 미치는 파급효과를 측정 하였다. 한국의 대표적인 수출제조업 3개 업종(전자, 자동차, 조선)과 지식기반서비스업 2개 업종(통신서비스, 시스템통합)의 매출액 상위 3사와 협력기업 간 거래연관표를 작성하고 대기업의 국내 생산유발효과와 고용유발효과를 측정하였다. 첫째 대기업의 생산유발효과를 측정한 결과, 제조업이 지식기반서비스업보 다 크고, 제조업에서는 자동차업종이 가장 컸다. 고용유발효과는 지식기반서비스업이 제조업보다 크고, 제조업 가운데에는 자동차업종이 가장 크게 나타 났다. 둘째 비계열사와 중소기업에 대한 생산ㆍ고용유발효과를 측정한 결과, 5개 업종 가운데 국내외 계열사 조달비중이 낮은 조선업종 대기업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제조업 대기업 해외투자가 국내 생산과 고용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한 결과, 해외 계열사를 활용한 글로벌 아웃소싱이 활발한 전 자업종에서는 해외생산이 국내생산과 고용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크게 나타난 반면 현지 시장 개척을 목적으로 해외에 투자한 자동차업종에서는 해외생산이 국내 생산을 감소시키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대규모기업집단내 계열사간 내부거래가 비계열사의 생산과 고용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한 결과, 제조업 3개 업종에서는 대기업과 계열사간 내부거래가 비계열사의 생산과 고용을 축소시키는 반면, 지식기반서비스산업 2개 업종에서는 대기업이 계열사 를 통해 신규 사업으로 진출하는 경향이 강해 국내 중소기업의 생산과 고용을 유발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JEL: O4, O3, E3).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trickle-down effects of big business growth on the small-medium firms in Korea, by using inter-firm network analysis. We calculated economic spill over effect of 15 big business growth on the domestic production and employment growth in five comparative industries; electronics, automobile, shipbuilding, telecommunication service, system integration service industry. Empirical results are as following. (1) Spillover effect of big businesses on the domestic production is biggest in the automobile industry, where outward foreign direct investment is oriented for market accessability. (2) One the other hand, spillover effect of big businesses on the domestic production is smallest in the electronics industry, where outward foreign direct investment aims for cost reduction. (3) Spillover effect of big business growth on the domestic small-medium firm growth is biggest in the shipbuilding industry, where intra-firm trade within big business groups is smallest among 5 comparative industries. Crucial implication of this paper is that trickle down effects of big business growth on the domestic production and employment is constrained by vertical FDI and intra-firm trade within big business groups in export oriented manufacturing industrie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