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음악사 다시 생각하기 : 19세기 여성음악가들의 글을 중심으로

        홍인경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논문은 지금까지의 음악사가 거대담론을 중심으로 남성주의 시각에서 편협하게 서술되었던 것에 대해 여성주의의 시각으로 다시 생각해보는 것을 목표로 한 연구이다. 젠더사와 여성사, 그리고 신문화사(new cultural history)와 같은 새로운 시각에서 역사를 보는 최근의 흐름을 짚어보고 거대담론에 가려져있던 여성들의 삶과 음악을 통해 음악사를 다시 생각해본다. 1970년대 이후, ‘여성과 음악(Women & Music)’, ‘음악에서의 여성(Women in Music)' 등의 주제로 그동안의 남성 중심적이었던 서양음악의 연구 범위를 벗어나 여성 음악가들과 그들의 음악을 연구하려는 시도가 음악학자들 사이에서 활발하게 이루어져 왔으나 여전히 음악사는 남성이 중심이 되고, 음악역사의 전체로 인식되고 있다. 따라서 여성음악가들의 삶과 경험이 담긴 기록을 근거로 역사 속에서 여성음악가들은 음악에 대해 어떻게 생각했는지를 살펴보고, 기존의 서술된 음악사를 다시 생각해볼 것이다. 본 연구의 중심이 되는 시대는 19세기~20세기 초이다. 이 시기는 여성운동의 영향과 교육기회의 증가로 여성들이 음악의 다양한 분야에 참여하게 된 때이다. 이 여성들은 어떠한 음악적 삶을 살았으며, 어떠한 음악에 대한 생각을 갖고 있었는지, 그리고 이들이 생각한 당시의 음악이 남성에 의해 서술된 것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본다. 또한 이 시기는 일반음악사에서는 낭만주의 시대로 지칭되는, 낭만문학의 뒤를 이어 여러 가지 음악의 현상들이 나타난 시대이다. 특히 음악이 자유로운 감정과 사상을 담아내는 높은 차원의 예술로서 인식됨에 따라 절대음악의 개념이 상승했다. 그리고 음악에 대한 논의들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과거의 음악에 대한 관심도 증가했으므로, 여성음악가들이 남긴 글을 통해 당시의 음악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파니 헨젤(Fanny Hensel, 1805~1847)이나 에텔 스미스(Ethel Smyth, 1858~1944)와 같이 이미 잘 알려진 여성들을 포함하여 많은 여성들이 일기나 편지, 자서전, 논문, 연구서적 등의 글을 통하여 자신의 삶과 당시의 음악을 둘러싼 배경, 음악에 대한 생각들을 남겼다. 이 여성들의 글을 읽고 분석하는 과정을 통하여 첫 째, 여성들은 자의식을 가지고 주체적으로 글쓰기와 음악 만들기를 했다는 것과 둘 째, 여성음악가의 글쓰기는 여성의 음악 창조의 능력을 명백히 보여 주었다는 것, 마지막으로 여성음악가의 글쓰기가 음악사에서여성들의 삶을 연속적으로 보여주며 역사적 전통으로 인식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고 있음을 볼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여성음악가에 의해 서술된 글을 통해 지금까지 남성 중심적으로 서술된 음악사에 대해 다시 생각해 볼 수 있다. 그동안 많은 학자들 사이에서 논의되어온 음악사의 시대구분과 음악 정전(musical canon)에 대해 새로운 기준과 근거가 될 수 있는 자료로 여성음악가의 글쓰기를 제시할 수 있다. 그리고 19세기 낭만주의 음악, 그 중에서도 특히 절대음악과 음악의 자율성은 당시 여성들이 생각하고 서술한 음악과 다르다는 것을 볼 수 있다. 절대성과 자율성은 남성의 문화와 유사한 것으로 남성들에 의해 주창된, 여성이 배제된 개념이다. 여성들에게 음악은 절대음악 즉, 음악 그 자체가 아닌 삶과 사회와 밀접한 연관을 가진 것이었다. 또한, 미시사적 관점에서 19세기 음악을 들여다보면, 여성들의 사소하고 소소한 음악적 경험의 기록을 통해 그동안 보지 못했던 역사의 이면을 볼 수 있다. 음악에 대해 고뇌하는 여성의 모습과 음악을 작곡하는 과정 등 그동안 음악사 서술의 사료가 되지 못한 기록을 발견하게 되었다. 여성음악가들의 삶과 경험의 기록은 현재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기존에 서술된 음악사가 총체적인 그림을 보여주지 않고 있음을 자명하게 보여주며, 역사를 더욱 풍부하고 다양하게 한 여성의 이야기가 우리의 삶에 얼마나 중요한 의미를 갖고 있는지를 증언한다. 그것이 음악사에 여성의 이야기가 포함되어야 하는 이유이다. This thesis looks into how the history of music was written according to men's view describing only the major topics, and studies the history of music from a different angle. It reviews contemporary ways of looking at history from new angles as in cultural history, gender history, and women's history; and evaluates the study of music considering the role of women in music which was previously veiled by major topics. After the 1970's, music researchers actively tried to extend their studies beyond the boundaries of male-focused western music to study female musicians whose themes are about women and music and women in music. As a result, many hidden female musicians were found and a great amount of their work was uncovered. These resulted to a revision of the history of music to include the role and works of female musicians. However, the history of music still is focused around men, and this male focused partial history is mistakenly regarded as the complete music history. Therefore, this study will review how female musicians' thought about music and rethink previously written music history based on the records of female musicians' lives and experiences. This study focused on the historic period of nineteenth century to early twentieth century. This period is called the Romantic period in general music history, where many musical movements appeared following the Romantic literature. Especially, as music was regarded as a higher state of art with free emotions and ideologies, the notion of absolute music was highly valued. Moreover, it was the time whenthere were many discussions about music, and the interests about past music were dramatically increased. As the nineteenth century started, women could participate in various parts of music due to the feminism movement and more opportunity of high education. This study will review what these women's lives were like as musicians, how they viewed music as art, and how female perspectives on music back then were different from what the men have written. Many women, including the renowned Fanny Mendelssohn(1805~1847) and Ethel Smyth(1858~1944), left what they thought about their lives, the background of the music in their time and what music meant to them through their diaries, letters, autobiography, essays and articles. We could see from these women's writings how hard it was for a woman to work as a musician in that time, discrimination against women, and how they tried to overcome these hardships and make their world of music. It is possible to rethink about male-dominant music history through writings of women musicians of nineteenth and early twenty century. Firstly, the Romantic music of nineteenth century, especially the absolute music and the freedom of music are different from what these women have written. The absoluteness and freedom are similar to the male culture, which are promoted by the men and excludes women. Music, to women, was not absolute. That is, music was something closely related to their lives and the society. The fantasy and the ideas of Romantic music also were something created by men. Notions are distant from women. Secondly, nineteenth century music in the view of microstoria, reveals unseen part of history through women's peculate and trivia recordings of their musical experiences. Records, such as women anguishing and their course of writing music, which could not be considered in the descriptions of music history, were found. Third, we can rethink about the periodical divisions of music history set up by many historians. The general division of music history has been based on men, and the women's music history should be divided differently. Lastly, we should rethink about the existence of musical canon. There were many misunderstandings of music composed by women musicians, and men's works were selected as canons. Who selected what based on what should be rethought. The records of female musicians' lives and experiences tells people of today that the written history of music is not perfect, and the importance and meaning of women's stories that can enrich the history.

      • 이주노동자를 위한 교회 다문화교육 사례연구

        홍인경 아세아연합신학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began from the intention of how to make multi-cultural education curriculum to provide practical aids to the foreign laborers and have effective and efficient propagation of the gospel of the Lor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udy the service that is necessary to have coexistence as God's people for the alien workers of various cultures and Korean churches who confront many of them as the current global trend. It was found out through this study the main hurdles that prevents spreading gospel and breeding them in belief used to be the language and cultural difference and economical as well as immigration problems were also the serious factors. Despite all the difficulties, I could see many non-believers being proselytes and have mature faith. I earnestly hope that much more care should be paid for the education of multi-cultural people and the intense and broad research , including adult-focused programs must be go on. The composition of this study that indicates the direc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is as follows: Chapter I explains the motivation and the target of multi-cultural education and study method, range and limitation as well. Chapter II surveyed the concept of multi-culture & multi-culturalism and assimilation. After that the study of the type of policy and the theory of education procedure were followed. The case study of the other countries had been taken and the status of foreign laborers in Korea and education was investigated also. Chapter III had a viewpoint of Holy bible for the current situation of multi-culturalism and observed the course of education on the basis of the theory of Maria Harris who is a christian education scholar and suggested the goal, contents and methodology of the church's multi-education upon her five curriculums: Koinonia, Leiturgia, Didache, Kerygma and Diakonia. Chapter IV shows the analysis by collecting the data of polls from the foreign laborers and serving

      • 간호사의 고객지향성과 영향요인

        홍인경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사의 고객지향성과 고객지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하여 간호사의 고객지향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며 고객의 관점에서 고객의 욕구를 충족시켜 고객만족을 통한 고객지향성을 향상 시키기 위한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서울소재 400병상 이상 3개의 대학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연구에 동의한 간호사 440명을 임의 표출하여 설문이 수거된 41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수집은 작성된 설문지를 이용해 2010년11월 22일 부터 12월 15일까지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는 고객지향성, 셀프리더십, 감정노동을 측정할 수 있는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dow 18.0 을 이용 하여 연구목적에 따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간호사의 고객지향성은 평균 4.90점 이었고, 관련요인으로 는 셀프리더십 3.1점, 표면감정노동 4.39점, 내면감정노동 4.66점으로 나타났다. 2) 간호사의 고객지향성과 관련요인 간의 상관관계분석을 한 결 과 고객지향성은 셀프리더십, 총 경력, 내면감정노동과 순 상 관관계를 보였다 (r=.44~.60,p<.001). 3) 간호사의 고객지향성의 영향요인은 내면감정노동(β=.43),총 경력(β= .28),셀프리더십(β=.27) 순이었고, 간호사의 고객지 향성을 51% 설명 할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셀프리더십, 내면감정노동, 총 경력이 간호사의 고객지향성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이 규명되었 다. 이는 간호사의 고객지향성을 향상시키는 전략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 되리라 본다. The purpose of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improving the nurse's customer orientation by recognizing the nurse's customer orientation and its influential factors, and to improve the customer orientation through the customer satisfaction by meeting the customers needs from their perspective. Among randomly selected 440 nurses who were working in university hospitals having more than 400 beds in Seoul and were consent with this experiment, the target was set as 410 nurses who submitted their questionnaires. The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in form of questionnaire from November 22nd to December 15th, 2010. As the research tool, this study used some tools to measure the customer orientation, the self-leadership, and the emotional labor.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SPSS Window 18.0 according to this study's purpose. The results of study are as follows. ] 1) The nurse's customer orientation was 4.90 point in average, and for the relevant factors, it was found that the self-leadership was 3.1 point, the expressive emotional labor of 4.39 point, the internal emotional labor of 4.66 point. 2) As the result corelation analysis between the nurse's customer orientation and relevant factors, it was found that the customer orientnation had positive corelation with the factors of self- leadership, the whole carrier period, the internal emotional labor (r=.44~.60,p<.001). 3) For influential factors on the nurse's customer orientation, the internal emotional labor was the highest influential(β=.43), and followed the whole carrier period(β = .28), and then the self leadership(β=.27). So the nurse's customer orientation could be explained as 51%. From the above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 self-leadership, the inner emotional labor, the whole career were directly influential factors on the nurse's customer orientation. That is expected to be utilized as a basic data for developing strategies to improve the nurse's customer orientation.

      • 죄르지 쿠르탁(Gy?rgy Kurt?g)의 피아노작품집《J?t?kok》연구 : -예술적 상상력의 현대적 발현-

        홍인경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7631

        작곡가 죄르지 쿠르탁(György Kurtág, 1926-)은 헝가리 출신의 작곡가로 자신만의 독자적인 음악어법을 통해 세계적으로 널리 알려진 작곡가이다. 쿠르탁의 음악은 현대적이면서도 서양음악의 전통적인 음악어법을 바탕으로 기존의 작곡 기법과 양식을 자신만의 음악어법으로 변형하였으며 그의 작품은 절제되고 압축적인 특징을 띠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쿠르탁의 작품세계를 이해하는데 핵심적인 작품집인 피아노 작품집《야테콕》을 표제적 측면, 연주실제적 측면, 음향적 측면의 세 가지 관점에 따라 분석 및 연구하였다. 또한 이를 통해 《야테콕》에 나타나는 쿠르탁의 피아니즘에 대해 알아봄으로써 작품집 전체를 보다 깊이 이해하고 연주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개별 작품들의 분석연구를 통해 알아본 《야테콕》에서 나타나는 쿠르탁의 피아니즘은 다음과 같이 네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야테콕》에는 음악적 놀이 혹은 유희적 특징이 뚜렷이 드러난다. 둘째, 시적 함축성과 연주자의 해석적 상상력이 작품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셋째, 피아노를 통해 구현할 수 있는 새로운 음향의 시도가 나타난다. 넷째, 단순히 매개자가 아닌 창조자로서의 연주자로 연주자의 역할이 확대된다. 《야테콕》의 특징인 피아노의 새로운 주법, 함축적인 음들로 이루어진 짧은 곡들, 다양한 양식 등은 동시대 작곡가들의 피아노 작품과 표면적으로 유사해보일 수 있으나 본질적으로 다른 독특한 쿠르탁만의 음악세계를 반영한다. 《야테콕》은 전통과 현대를 모두 포섭하고 개별 악곡들의 뚜렷한 상징과 함축성, 독자적인 작품의 논리를 보여주어 동시대 피아노 작품들과 본질적으로 다른 특수한 위치를 차지한다. 《야테콕》은 20세기 후반 음악사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지 못했던 현대 피아노 레퍼토리 중 작품의 수와 다양성에 있어서 가히 독보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또한 작품집의 유희적이고 함축적 성격, 파편적인 개별 악곡구성, 프로그램 작곡, 연주자의 퍼포먼스적 요소, 여러 주법을 통해 만들어지는 새로운 음향 등의 요소들은 피아노의 가능성을 확장시켜 현대 피아노 레퍼토리에 새로운 지평을 열어주고 있다. 즉 《야테콕》은 현대음악의 큰 조류들을 쿠르탁만의 어법으로 잘 드러내고 있는 음악사적으로 매우 가치 있는 작품집이다. 본 논문에서 시도된 연주자 입장에서의 작품분석은 생소한 작품인 《야테콕》을 소개하며 연주자들에게 연주를 위한 하나의 방법을 제시해준다는 점에서 가치를 가진다. 주요어: 죄르지 쿠르탁, 피아노 작품집《야테콕》, 상상력, 표제, 피아노 연주의 현대적 면모, ‘연주자-작곡가’ 학번: 2009-30491

      • 화예 작품의 특성에 따른 포트폴리오 디자인에 관한 연구 : 포트폴리오 디자인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홍인경 숙명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Floral Art(FA) is one of formative arts, which expresses creative beauty of humans with aesthetic desires on the temporal and spacial environments, based on abstract beauty of Nature. So far,the FA has been evaluated in terms of passive and microscopic viewpoints, but the status of the FA is gradually elevated through expanding its area. It means that the FA moves toward the center of art and design arena from its marginal boundary. At this point, it has been widely thought that significance of portfolio design should be recognized in the FA as well as in the formative art design, through establishing its identity and expansion of its area. The portfolio which justifiability has been long acknowledged in other areas, has played as a linguistic and visual media that enables people and environment to communicate each other, and has been an advertisement and a face that publicize designers. Various expressions of portfolio designs give novelty to users and serve as an important player to help designers to elevate their standing with more differentiated strategies than any other medium of art. The portfolio of the FA also started to establish its academic ground due to increased concern and theoretical approaches. The primary object of portfolios is to effectively deliver necessary information to users as another form of conveying information. Based on it, its value can be elevated as a role of effective communication with users from the macroscopic viewpoint, rather than remaining as a simple function to record art works. Such functions of portfolios indicate that it is badly needed in the FA area to create portfolios most suitable to the FA, which are fitted with visual and strategic values, through making researches into functions and roles of portfolios in other areas and considering the FA's originality and attributes. I keenly felt the necessity for importance of setting up a direction for reasonable portfolio design for the FA, with a view to meeting the need of times and to promoting the quality of design. Portfolio design means creating a portfolio style consistent with a theme, by using principles appropriate to it, and simultaneously, differentiating from other portfolios. Such design principles can be elicited from other areas' portfolios. In order to set reasonable design standards for the FA portfolios, this study has analyzed practical cases of portfolios in other areas according to analyzing standards set from objective materials and actual cases, on the basis of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portfolio design. And the study also comes up with standards in the FA portfolios as a result of applying portfolios produced in the Floral Art with elicited design elements. As a proposal for it, I present the portfolio that I have created from case analysis in other fields as well as the FA, in the hope to support the usability of this study. This study has explored how to express and evolve portfolios in the FA, with supportive and detailed design elements suitable to the portfolios, delivering consistent and clear information in an intriguing way. The detailed research processes are as follows. The first chapter shows the study background, purpose, significance, contents and methods. The second chapter, as a theoretical consideration on portfolios, tells about concepts, attributes, classification, design process,functions of portfolios, and suggests structure and component on them. In the third chapter, how to compose portfolios and analyze fundamental elements is mentioned based on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 in the previous chapter. This has been analyzed comparing with other portfolios in other fields. Through case studies from other fields, a premise to suggest componential factors of design portfolio and a model to set up standards, are made. The fourth chapter, as a stage to understand on the FA, explores concepts and attributes of the FA, and searched about componential factors regarding the Characteristics of FA. The fifth chaper, as a stage to make concrete researches into the FA portfolios, For suggesting how to devise reasonable criteria, Meaning and current status of the Floral Art portfolios have been looked into. The result of analyzing cases with a focus on componential elements proposed, showed that the recent FA portfolios are not properly serving their aesthetic functions and message delivery function. Most of the FA portfolios were a series of books that include sheets of paper with no individuality or uniqueness, without any solid structure. And this chapter brings the componential elements mentioned in the fourth chapter, into the FA portfolio, in order to suggest criteria for desirable FA portfolios. The sixth chapter brings up elements to set up standards, with the help of componential elements elicited from the portfolio design cases in the fifth chapter. I present my own portfolio case made by the standards. The last one as conclusion in seventh chaper, the research results through case presentations, have been summarized and analyzed, showing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and future direction for further study. This study which has brought up standards of the FA portfolios, promoting to heighten awareness on the FA portfolios, shows the following significance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s. First, to heighten awareness on the FA portfolios. Through this study, it is hoped that portfolios are significant as they can keep records of processes and outcome of formative arts as well as means of expressing artists themselves and add values in terms of artistic, design and formative value, even though floral art and design is characteristic of disappearing soon as time passes. Through this study, I hope that people engaged in the FA, could recognize aesthetic and formative values of portfolio design work as they effectively deliver messages to users, not remaining to embellishing exterior looks. Second, to prepare for suggesting desirable FA portfolios to meet the times. The portfolio design in the FA, should focus on delivering information, and appropriately combining texts, photos, illustration for effective communication with users. The beauty in design can be maximized in its value only through effective delivery of messages. Third, a preliminary research materials to suggest professional FA portfolios which are diversified and differentiated to meet the demands of the 21st century. Coming future society is a creative business society which will need creative industry and take a serious view of individuality and creativity of individuals. Individuality and creativity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the creative works, and the FA portfolio design places the highest priority on individuality and creativity. I hope that this study, as a ground work, could serve as a preliminary study with its creative ideas, through its suggestion for the FA portfolios which are differentiated and professional, inspiring emotion of people. With heightened awareness on necessity for portfolios as a new means of expressing oneself, more systematic and profound further studies on the FA portfolios can be achieved. 화예는 자연의 절대미(자연성)를 바탕으로 시·공간 환경에 인간의 창조미를 미적 욕구로 표현하는 조형예술 분야이다. 기존의 화예는 소극적이고 미시적인 관점에서 평가되었으나 장르간의 해체와 화예분야의 영역확장을 통해 그 위상이 점차로 높아지고 있다. 이는 화예가 예술·디자인 영역의 주변부에서 점차로 중심부로 다가가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시점에서 화예 분야의 정체성 확립과 영역 확장으로 화예에서도 기존의 조형·예술·디자인 분야와 마찬가지로 포트폴리오 디자인의 중요성에 대해 인식해야 한다는 사고가 점차 확산되고 있다. 타 분야에서 이미 일찍부터 그 당위성을 인정받고 있는 포트폴리오는 인간과 환경간의 커뮤니케이션을 가능케 하는 하나의 언어적·시각적 매개체로서 존재하였으며, 디자이너를 홍보하는 광고이자 얼굴이기도 하다. 포트폴리오 디자인의 다양한 표현 방법은 사용자에게 새로움을 전해주며 다른 어떠한 매체보다도 차별화된 새로운 전략으로서 디자이너의 위상을 높일 수 있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화예의 포트폴리오 또한 이 분야에 관한 관심과 이론적 접근을 중심으로 학문적 토대의 기반이 서서히 마련되기 시작하였다. 포트폴리오는 단순히 작품의 기록만을 담는다는 소극적인 시각에서 판단하기 보다는 이것을 정보전달 전략의 또 다른 형태로서 대상에 대한 정보를 담아 사용자에게 효과적인 전달을 1차적인 목적으로 하고, 이를 기반으로 그 메시지를 통하여 사용자와 효과적으로 커뮤니케이션하는 역할까지 수행한다는 거시적 시각으로 판단함으로써 그 가치가 상승한다. 포트폴리오의 이러한 기능들은 디자인에 관한 인식과 연구가 시작 단계인 화예 분야에서도 화예 자체의 개성과 특성을 중심으로 타 분야의 포트폴리오 디자인의 기능과 역할을 통해 유추한 요소를 중심으로, 화예에 맞는 포트폴리오 디자인과 형식에 부합하는 시각적이고 전략적인 가치로서의 화예 포트폴리오의 연구가 필요함을 의미한다. 이에 본 연구자는 화예 분야에서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면서 동시에 디자인의 질을 향상시킬수 있는 대안으로, 바람직한 화예 포트폴리오 디자인의 방향 제안에 관한 중요성을 절감하게되었다. 포트폴리오 디자인이란 포트폴리오에 적합한 디자인 원리를 이용하여 주제에 맞는 포트폴리오 스타일을 형성시키고 동시에 다른 포트폴리오와 차별화시켜주는 것으로, 이러한 디자인 원리는 타 분야의 포트폴리오에서도 추출할 수 있는 요소이다. 그러므로 본고는 화예 포트폴리오의 바람직한 디자인 기준설정 제안을 위해 포트폴리오 구성요소의 중요성에 관한 인식을 바탕으로 객관적 자료와 실 사례를 중심으로 유추한 포트폴리오 분석기준에 의하여 타 분야의 포트폴리오 실 사례를 분석하였고, 유추된 디자인 요소에 의해 실제 화예에서 제작된 포트폴리오에 적용하여 그 결과를 토대로 화예 포트폴리오의 기준을 제안하고자 한다. 기준설정을 위한 제안으로 화예와 타 분야의 사례분석을 바탕으로 본 연구자가 실제로 포트폴리오를 제작하여 제시함으로써 연구의 유용성을 뒷받침하고자 한다. 정보전달과 흥미유발로 일관성 있고 명확한 메시지를 전달하고 각 포트폴리오의 성격에 적합한 세부적인 디자인 요소들을 바탕으로 화예 포트폴리오가 어떻게 표현되고 전개되어야 하는지를 연구한 본고의 화예 포트폴리오에 관한 세부적인 연구과정은 다음과 같다. 1장은 서론으로 연구배경, 연구의 목적 및 의의, 연구내용 및 방법을 밝혔다. 2장에서는 포트폴리오에 관한 이론적 고찰로, 본 장에서는 포트폴리오의 개념과 특성, 분류,디자인 프로세스 및 기능에 대해 알아보고 포트폴리오 구조와 구성요소에 대해 제시하였다. 3장에서는 2장의 이론적 고찰을 바탕으로 포트폴리오 구조와 구성요소의 분석기준을 마련하여 타 분야의 포트폴리오 사례에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타 분야의 사례분석을 통하여 화예 포트폴리오 구성요소 제안을 위한 전제와 기준설정을 위한 모델로 참고하였다. 4장은 화예에 관한 이해의 단계로, 화예의 개념과 특성에 대해 알아보고, 화예작품의 특성을 반영한 구성요소에 대해 살펴보았다. 5장은 화예 포트폴리오에 관한 구체적인 연구 단계로, 바람직한 디자인 제안을 위해 화예 포트폴리오의 의미와 현황을 파악하였다. 일례로 제시된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사례분석을 한 결과 근래의 화예 포트폴리오는 미적 기능과 정보전달 기능이 거의 대부분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고 특징적인 개성 없이 낱낱의 페이지들을 모아 한권의 책으로 묶어낸 형태가 대부분이었다. 따라서 본 장에서는 화예 포트폴리오에 4장의 구성요소를 대입하여 사례분석을 통한 화예 포트폴리오 기준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6장에서는 5장의 화예 포트폴리오 디자인 사례제시로 유추된 구성요소를 바탕으로 본 연구자가 기준설정에 준한 실 사례를 제작하여 제시하고자 하였다. 마지막 결론부분으로 7장에서는 사례제시를 통한 화예 포트폴리오의 디자인 방향을 제안하고, 본 연구의 한계와 향후 연구 과제를 제시하였다. 화예의 포트폴리오에 관한 인식의 제고를 촉구하면서 화예 포트폴리오의 디자인을 제안한 본 연구는, 이론적 고찰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의의를 이끌어내고자 한다. 첫째, 화예에서의 포트폴리오에 관한 인식의 제고 본고를 통하여 포트폴리오를 자신을 표현하는 수단으로써 뿐만 아니라 시간이 지남에 따라 소멸하는 화예의 표현특성상 그 조형과정과 결과물이 기록으로 남겨짐으로써 예술·디자인·조형적 가치를 더한다는 인식의 재고에 의의를 주고자 한다. 또한 화예관련분야 종사자들에게 포트폴리오 디자인 작업이 단순히 외형을 아름답게 만드는 작업이 아니라 주어진 내용을 사용자에게 보다 효율적으로 전달하는 작업으로서 그 미적·조형적 가치를 인식하게 하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 둘째, 시대에 부응하는 바람직한 화예 포트폴리오 제안의 기틀 마련 화예에서 포트폴리오 디자인은 정보전달에 중점을 두고 텍스트, 사진, 일러스트레이션 등을 적절히 조합하여 사용자들과 보다 효과적으로 커뮤니케이션 할 수 있도록 디자인하는 것이 좋다. 디자인에서의 아름다움은 효율적인 정보전달을 바탕으로 이루어짐으로써 그 가치가 극대화되기 때문이다. 셋째, 21세기가 요구하고 있는 다양하고 차별화된 전문적 화예 포트폴리오 제안을 위한 선행연구 자료 다가오는 가까운 미래사회는 크리에이티브 비즈니스creative business 즉, 창조산업사회일 것으로 전망되고 있으며, 이 크레비츠 사회에서는 개인의 개성과 창조성이 더욱더 중요시된다. 개성과 창조성은 창조적인 작업을 하는 모든 분야에서는 가장 기본이 되는 중요한 요소이며 화예 포트폴리오 디자인에 있어서도 다른 모든 요소보다 우선 순위에 있다. 창조적인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기존의 화예 포트폴리오와는 다른 인간의 감성을 자극하는 차별화된 전문적인 화예 포트폴리오 디자인의 제안을 통해, 본 연구가 초석이 되어 화예 포트폴리오 디자인의 선행 연구로서의 가치에 의의를 두고자 하였다. 자기를 표현하는 새로운 도구로서 포트폴리오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의 제고와 함께 화예 포트폴리오 디자인에 관한 보다 체계적이고 심도 깊은 후속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 옥외환경을 고려한 공동주택 색채선정에 관한 연구

        홍인경 상명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7631

        As visual sensibility (87%) has been mainly used as a media of the times in the contemporary society that is user-oriented sensibility culture times, importance of color as an important element of comprising environment and its use have been gradually increased. Under the current situation that necessity of color planning for enhancing quality of urban aesthetic image is emerged, outside color of apartment houses as multi-unit complex of buildings has so far created qualitatively inferior residential environment based on monotonous and stereotyped image without being planned systematically while concentrating on its quantitative expansion. Even in sensibility culture times of 21c, outside color of some apartment houses is not harmonious with overall landscape as a certain developers still stick to brand image only without considering surrounding environment and so, the researcher of this study suggests that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standard for systematic color plan is required to be provided. In this study, image scale/image map of actual environmental color plan was intended to be utilized for basic data of an efficient guideline at the time of color planning by reestablishing such scale/map through a psychological aspect-oriented image that becomes a psychological evaluation element at the time of color planning of outdoor space. In order to provide a standard for color plan of apartment houses, first thing to do is to find out sensibility language exclusive for outdoor space and its image map is required to be developed. This image scale/map of sensibility color could be developed by considering diversified factors including regional, natural and cultural features but in this study, it was analyzed and suggested in a sensibility perspective. First, based on data of literature, general phenomenon and harmony of color were explored and urban image, outdoor space and outside color of apartment houses were considered. In addition, linguistic aspect of 'sensibility' that is a major concern of this study was observed. Second is a stage of establishing a color image scale/map where colors that becomes most critical standard among color senses being commonly felt by human beings was established as an axis so that linguistic expression of color is enabled and in order to clearly and efficiently arrange color as visual, perceptional element in multi-dimensional image scale/map, by taking brightness stage among three attributes of color as vertical axis, it was arranged as 'soft-hard' as an element representing hard/soft feeling and then by taking 'warm-cool' that is color element of season and temperature senses as horizontal axis, psychological standard axis was established. Third, as a stage of systematic analysis of sensibility language, linguistic expression reflecting outdoor space was explored. Among total 662 languages being sampled through literature consideration and pre-analysis, 427 primary languages excluding different language and similar language, a language that is not fit for expressing space, a language expressing function and physical features, a language expressing evaluative meaning, excessively professional language, a language integrated with multiple meanings were sampled. Frequency analysis was statistically performed for primarily sampled languages and 48 sensibility languages sampled through identity analysis of domestic top ranking 10 brands by using Microsoft Excel 2010 program and 47 adjective languages were sampled secondarily and through average verification process of the experts, 26 languages were finally selected as an evaluation language expressing image of apartment houses. Fourth, colors that may reflect objectivity by sensibility while harmonizing with outdoor environment were selected. By classifying components of outdoor space by each type, photo image over 600 pieces were selected and then 9 pieces of photo image being identical with sensibility language were selected by the expert and its color was analyzed. After diagraming analyzed color, it was arranged in the order of dominant color, assort color, accent color and achromatic color based on standard plan of environmental color and colors complying with sensibility language and harmonizing with tone of natural environmental color was deduced from arranged environmental color palette based on 'color image chart' and Adobe coloration program and 3 colors by each sensibility language were finally selected based on the opinion of the expert and it was arranged in image/scale/map of sensibility color.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wide range of color position being present in existing color image scale/map was utilized as basic data of efficient guideline at the time of actual color plan by reestablishing it in a way of limiting it by one dimension further than existing color image scale/map for the purpose of using color reflecting sensibility language.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it is considered that development of diversified color palette, in addition to that of apartment houses, is required and by overcoming restrictions in color study having been experienced so far, quality of color environment through color design of high quality is required to be enhanced and competitiveness of design culture in 21c is also required to be strengthened at the same time. 현대사회는 이용자 중심의 감성문화 시대이며 시대의 매체로 시각(87%)을 주로 사용하고 있어 환경을 구성하는 중요한 요소로써 색채의 요구도가 점증(漸增)되고 있다. 도시 미관의 질을 높이기 위한 색채계획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가운데 건축물 집합단지로서 공동주택의 외관색채는 주택의 양적 팽창에 치우쳐졌다. 그 결과 질적인 측면에서 체계적으로 계획되지 못하여 단조롭고 획일적인 이미지 위주로 열악한 주거환경이 조성되고 있다. 또한 21세기 감성문화 시대에 들어왔음에도 불구하고 일부에서는 주변 환경을 고려하지 않고 브랜드 이미지만을 고집하여 전체경관과 조화를 이루지 못하는 사례가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체계적인 색채계획을 위한 기준안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는 시점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옥외공간 색채계획 시 심리적 평가 요소가 되는 심리적 측면의 지향이미지를 통하여 실질적인 환경 색채계획의 의미공간(Image scale/Image map)을 재구축하고 색채계획 시 활용 가능한 효율적인 가이드라인의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공동주택 색채계획을 위한 기준안을 제공하기 위해서 우선적으로 해결하여야 할 과제는 옥외공간 전용의 감성언어를 찾아내고 그에 따른 색채 의미 공간을 개발하여야 한다. 이러한 감성색채 의미공간은 지역적 특성, 자연적 특성, 문화적 특성 등 다양한 요인을 고려하여 개발할 수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감성적 측면에서 분석․제안하였다. 첫째, 문헌적 자료를 근거로 색채의 일반적 현상과 조화에 대해 알아보고 도시이미지와 옥외공간 및 공동주택외관색채에 대해 고찰해 보았다. 또한 본 연구의 주요 관심 대상인 ‘감성’의 언어학적 측면을 살펴보았다. 둘째, 색채 의미공간 설정단계로 색채의 언어적 표현이 가능하도록 색에 대해 느끼는 사람들의 공통 감각 중 가장 기준이 되는 것을 축으로 설정하였다. 또한 시지각적 요소인 색채를 다차원적인 의미공간 안에 명확하고 효율적으로 배치하기 위하여 색의 삼속성 중 명도의 단계를 수직축으로 잡아 경연감을 나타내는 요소인 ‘soft-hard’로 배치하였다. 더불어 4계절의 구별이 뚜렷한 우리나라의 자연환경에 맞는 계절감과 온도감의 색상 요소인 ‘warm-cool’을 수평축으로 잡아 심리에 의한 기준축으로 설정하였다. 셋째, 감성언어 체계분석 단계로 옥외공간을 반영하는 언어적 표현을 알아보는 단계이다. 문헌고찰과 사전분석을 통해 추출된 총 662개의 언어 중 다른 언어와 유사한 언어, 공간을 표현하기에 적합하지 않은 언어, 기능과 물리적인 특성을 표현하는 언어, 평가적인 의미를 표현하는 언어, 지나치게 전문적인 언어, 여러 의미가 복합된 언어들을 제외한 427개의 1차 언어를 추출하였다. 1차로 추출된 언어와 국내 상위 10개 브랜드의 아이덴티티 분석을 통한 감성언어 48개를 Microsoft Excel 2010 프로그램의 통계방법으로 빈도 분석하였다. 이 과정에서 47개의 형용사 언어를 2차로 추출하고 전문가 평균검증과정을 거쳐 공동주택 이미지를 표현하는 평가언어로 최종 26개를 선정하였다. 넷째, 옥외환경과 조화를 이루면서 감성에 의한 객관성을 반영할 수 있는 색채를 선정하였다. 옥외공간의 구성요인을 유형별로 분류하여 600점 이상의 사진이미지를 선정한 후 감성언어와 일치하는 사진 이미지를 전문가에 의해 9점씩을 선정하여 색채 분석 하였다. 분석된 색채를 도식화 한 후 환경색채 기준안을 토대로 주조색, 보조색, 강조색, 무채색 순으로 정리하였으며 정리된 환경색채 팔레트에서 감성언어와 합일되는 색채를 추출하였다. 추출 된 색채는 ‘칼라이미지차트’와 Adobe 배색 프로그램을 기반으로 하여 환경색채의 톤과 조화를 이루는 색채를 도출한 후 감성색채 의미 공간에 배치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색채 의미공간에 광범위하게 분포되어있는 단순한 의미의 색채가 아닌 감성언어를 반영한 색채를 활용가능하게 하고자 그 범위를 기존의 의미공간에서보다 한 차원 더 한정시켜 재구축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를 실질적인 색채 계획 시 효율적인 가이드라인의 기초 자료로 제시하는데 그 의의가 있으며 이를 기초로 하여 공동주택 외에도 다양한 색채팔레트의 개발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또한 그 동안 색채 연구가 갖고 있던 연구의 제약을 극복하여 양질의 색채디자인을 통한 색채 환경의 질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21세기의 디자인 문화경쟁력을 강화시켜야 할 것이다.

      • Neurogenic differentiation of human mesenchymal-like stem cells from adipose tissue

        홍인경 인제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Neural tissue has limited intrinsic capacity of repair after injury, and the identification of alternate sources of neural stem cells has broad clinical potential. Mesenchymal stem cells can be cultured in vitro and differentiated into multiple mesodermal cell types. In addition, their differentiation into neuron-like cells expressing markers typical for mature neurons has been reported. We isolated mesechymal stem cells (AT-MSCs) from human adipose tissues and induced neural differentiation with DMSO and BHA. Following neural induction, AT-MSCs were changed toward neural morphology and displayed expression of neuronal markers such as NeuroD1, ß-tubulinⅢ and GFAP. The expression rate was about 51.4±3.2% for neuron, 18.3±2.2% for astrocyte. During differentiation, estrogen influenced growth and development for neurons. Estrogen treatment reduced mean neurite length but a significant increase in proportion of neuron, neurite branching, and expression of neuronal genes, such as GAP43, NT-3, NGF, BDNF, GDNF, CNTF were observed. Specific differentiation into cholinergic neurons was achieved by bFGF, RA, Shh. The success rate was 10% based on immunostaining for ChAT. For transplantation, AT-MSCs were incubated in the cholinergic neuronal differentiation medium. AT-MSCs labeled with PKH26 were injected into the basal nucleus of Meynert (NBM) of the rat brain. PKH26-positive cells migrated to various area of the brain. Interestingly ischemic brain injury by middle cerebral artery occlusion (MCAo) increased their migration to the injured cortex. Some of the transplanted cells expressed ChAT. Transplantation of AT-MSCs recovered functional deficits induced by MCAo. These data suggest that transplantation of AT-MSCs is a possible tool for functional recovery after stroke.

      • Differential Regulation of Sphingosine Kinase 2 and Hepatic insulin Signaling by Unfolded Protein Response : Unfolded protein response경로에 의한 Sphingosine kinase 2의 발현을 조절하고 sphingosine 1-phosphate 농도 변화가 간의 인슐린 신호전달을 조절하는 기전 규명

        홍인경 가천의과학대학교 일반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소포체는 단백질 folding과 trafficking, 지질대사체 합성 및 세포의 칼슘 항상성과 같은 세포 내에서의 중요한 기관으로 알려져 있다. 이런 소포체 스트레스는 폴딩 되지 않은 단백질 반응의 활성화로 인해 일어나게 되며 만성적인 소포체 스트레스는 비 정상적인 지질생합성과 인슐린 저항성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보고 된 바 있다. 또한 스핑고지질의 대사체 중 하나인 Sphingosine 1-phosphate는 세포의 성장과 이동, 증식에 관여한다고 알려져 있다. Sphk는 Spingosine 1-phosphte를 촉매 하는 효소이며 간에서 발현되는 Sphk2에 초점을 맞추어 실험을 진행하였다. 우리는 소포체 스트레스에 의한 Sphk2 발현 변화와 이에 따른 Sphk2가 포도당과 지질대사에 어떤 역할을 하는지 보고자 하였다. 이 연구에서 과 발현된 Sphk2의 역할을 보기 위해, Sphk2아데노바이러스를 구축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급성적인 소포체 스트레스를 일으키는 tunicamycin 처리한 마우스 간 세포에서 소포체 스트레스가 증가된 것을 확인 한 뒤, 소포체 스트레스 마커와 Sphk2를 함께 trasfection 한 결과 Sphk2는 소포체 스트레스 마커 중 ATF4에 의해 발현이 증가되고 Sxbp1에 의해서 감소하였다. 간세포 중 하나인 HepG2 세포에서 AdSphk2를 처리했을 때 IRS-1과 비의존적으로dose-depenent하게 AKT의 인산화가 증가되었다. 동물에서의 Sphk2 역할을 보기 위해, 4주 동안 고지방 식이를 먹인 후 AdSphk2를 주사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마우스의 간과 혈액에서 S1P농도가 증가했고, 세라마이드의 농도가 감소하였으며glucose tolerance test결과 대조군 보다 빨리 정상치의 glucose농도로 돌아왔다. 또한 마우스의 간에서 lipid droplet의 감소를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고지방 식이로 인해 소포체 스트레스가 일어나게 되면 그 중 ATF4가 Sphk2의 발현을 증가시키며, AKT의 pathway를 통해 glucose tolerance를 향상시킨다. 또한PPARα, CPT1, ACO와 같은 FA oxidation이 증가되어 간에 있는 lipid droplet을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The endoplasmic reticulum is the principal organelle in the cell for protein folding and trafficking, lipid synthesis and cellular calcium homeostasis. Perturbation of ER function results in activation of the unfolded protein response (UPR). Chronic ER stress is reported to have an important role in abnormal lipid biosynthesis and development of insulin resistance. The present study reports that transcription of sphingosine kinase 2 (Sphk2) is differentially regulated by ER stress-mediated UPR pathways. Expression of Sphk2, a major isotype of sphingosine kinase in the liver, was upregulated by tunicamycin and sphingosine 1-phosphate (S1P) was elevated in primary mouse hepatocytes. In contrast, chronic ER stress by high fat diet suppressed Sphk2 expression. Overexpression of the activating transcription factor 4 (ATF4) upregulated Sphk2 expression, whereas the spliced form of X-box binding protein 1 (sXBP1) downregulated Sphk2 as demonstrated by Sphk2 promoter assays and western blot analyses. Adenoviral Sphk2 overexpression activated pAKT with no alteration of IRS1 phosphorylation. In addition, cellular S1P levels were elevated by Sphk2 overexpression while ceramide and sphingomyelin were not altered. Hepatic overexpression of Sphk2 improved glucose tolerance in the mice fed a high fat diet and decreased hepatic accumulation of lipid droplet by upregulating the genes in fatty acid oxidation. These results demonstrated that Sphk2 is differentially regulated by ER stress-induced UPR pathways would contribute to the amelioration of hepatic insulin resistance and steatosis via S1P produ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